KR20030015062A -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062A
KR20030015062A KR1020010049108A KR20010049108A KR20030015062A KR 20030015062 A KR20030015062 A KR 20030015062A KR 1020010049108 A KR1020010049108 A KR 1020010049108A KR 20010049108 A KR20010049108 A KR 20010049108A KR 20030015062 A KR20030015062 A KR 2003001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gate
log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407B1 (ko
Inventor
추교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회로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COG 방식 액정 표시 장치에서, 어레이 기판 상에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회로를 LOG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LOG 배선은 FPC를 대체하는 것으로 매우 낮은 저항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LOG 배선을 게이트 배선 및 화소 전극 형성시 각각 형성함으로써, 배선 폭을 넓게 형성하여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증가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array 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회로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발전함에 따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 중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해상도, 컬러표시, 화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현되는 제 1 영역(A) 및 구동회로와 연결되어 제 1 영역(A)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는 제 2 영역(B)으로 나누어진다.
제 1 영역(A)에서는 먼저, 하부의 투명한 제 1 기판(10) 위에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실리콘 질화막(SiNx)이나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2)이 게이트 전극(11)을 덮고 있다. 게이트 전극(11)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12) 위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불순물이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오믹 콘택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오믹 콘택층(14)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a, 15b)이 형성되어 있는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a, 15b)은 게이트 전극(11)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T)를 이룬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 전극(11)은 게이트 배선과 연결되어 있고, 소스 전극(15a)은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은 서로 직교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a, 15b) 위에는 실리콘 질화막이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층(16)은 드레인 전극(15b)을 드러내는 콘택홀(16c)을 가진다.
보호층(16) 상부의 화소 영역에는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17)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전극(17)은 콘택홀(16c)을 통해 드레인 전극(15b)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 기판(10) 상부에는 제 1 기판(10)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투명한 제 2 기판(20)이 배치되어 있고, 제 2 기판(20)의 안쪽면에는 블랙 매트릭스(21)가 박막 트랜지스터(T)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하지 않았지만 블랙 매트릭스(21)는 화소 전극(17) 이외의 부분도 덮고 있다. 블랙 매트릭스(21) 하부에는 컬러필터(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컬러필터(22)는 적, 녹, 청의 색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있으며, 하나의 색이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응된다. 컬러필터(22) 하부에는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2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화소 전극(17)과 공통 전극(23) 사이에는 액정(25)이 주입되어 있는데,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소 전극(17)의 상부와 공통 전극(23)의 하부에는 각각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어,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을 결정한다.
이어, 제 2 영역(B)에서는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에 액정 주입을 위한 갭을 형성하고 주입된 액정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 패턴(seal pattern)(2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0) 상의 게이트 절연막(12)과 보호층(16) 및 제 2 기판(20)의 공통 전극(23)은 제 2 영역(B)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배열된 하부의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컬러필터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의 컬러필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그리고 제조된 두 기판의 배치와 액정 물질의 주입 및 봉지, 그리고 편광판의 부착으로 이루어진 액정 셀(cell)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투과형(transmission type)과 반사형(reflection type)으로 나누어진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뒷면에 백라이트(backlight)를 배치하고 백라이트로부터 나오는 빛을 액정 패널에 입사시켜, 액정의 배열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액정 표시 장치의 전계 생성 전극인 화소 전극(17)과 공통 전극(23)은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되고, 두 기판(10, 20) 또한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의 자연광이나 인조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액정의 배열에 따라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는 하부의 화소 전극(17)을 반사가 잘 되는 도전 물질로 형성하고, 상부의 공통 전극(23)은 외부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한다. 이때, 제 1 기판(10)은 불투명하거나 투과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인위적인 배면광원을 사용하므로 어두운 외부 환경에서도 밝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으나 전력소비(power consumption)가 큰 단점이 있는 반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빛의 대부분을 외부의 자연광이나 인조광원에 의존하는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전력소비가 적지만 어두운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 가지 모드를 필요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반사 및 투과 겸용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개발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하나의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하부 기판(31) 위에 화소 전극(32)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32)은 투과부(32a)와 반사부(32b)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반사부(32b)의 내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사부(32b)의 홀은 투과부(32a)와 대응한다. 투과부(32a)의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 IZO)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비교적 뛰어난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반사부(32b)의 전극은 알루미늄(Al)과 같이 저항이 작고 반사율이 큰 물질로이루어진다.
하부 기판(31) 상부에는 하부 기판(31)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부 기판(33)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기판(33) 안쪽면에는 화소 전극(31)과 대응하는 위치에 컬러 필터(34)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34) 상부에는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3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33)과 하부 기판(31) 사이에는 수평으로 배향된 액정층(37)이 삽입되어 있다.
두 기판(31, 33)의 바깥쪽에는 제 1 및 제 2 위상차판(retardation film(Quater wave plate ; 이하 "QWP"라 칭함))(41, 42)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데, 제 1 및 제 2 QWP(41, 42)는 빛의 편광 상태를 바꾸는 기능을 한다. 즉, 선평광을 좌 또는 우원 편광으로, 좌 또는 우원 편광을 선편광으로 바꾼다.
제 1 및 제 2 QWP(41, 42) 바깥쪽에는 하부 편광판(43)과 상부 편광판(4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편광판(43)의 편광축은 하부 편광판(44)의 편광축에 대하여 90도의 각을 가진다.
또한, 하부 편광판(43)의 바깥쪽 즉, 하부 편광판(43)의 아래에는 백라이트(45)가 배치되어 있어 투과 모드의 광원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이 반사부와 투과부로 이루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회로(이하 드라이버 IC(driver integrated circuit)라고 함)를 포함하며, 드라이버 IC를 액정 표시 장치에 실장(packaging)시키는 방법에 따라, 칩 온 글래스(COG : chip on glas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 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OF : chip on film)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COG 방식은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에 드라이버 IC를 접착시켜, 드라이버 IC의 출력 전극을 어레이 기판 상의 배선 패드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COG 방식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 구조를 도 3에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50)은 화상이 표시되는 점선 안쪽의 표시 영역(52)과 점선 바깥쪽의 비표시 영역(54)으로 나누어진다.
표시 영역(52) 내에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61)과 데이터 배선(62)이 형성되어 있는데, 게이트 배선(61)과 데이터 배선(62)은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 배선(61)과 데이터 배선(62)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위치하며,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 영역의 화소 전극에 신호를 스위칭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 비표시 영역(54)에는 게이트 배선(61) 및 데이터 배선(62)과 각각 연결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링크선(63, 64)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및 데이터 링크선(63, 64)의 한쪽 끝은 어레이 기판(50) 상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버 IC(70)및 데이터 드라이버 IC(8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IC(70) 및 데이터 드라이버 IC(80)는 에프피씨(FPC : flexible printed circuit)(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인쇄회로기판(PCB)은 기판 상에 집적회로와 같은 다수의 소자가 형성되어 있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을 생성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게이트부와 데이터부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FP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한편, 최근 드라이버 IC를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하는 COG 방식에서는 FPC의 구조와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어레이 기판 상에 게이트 드라이버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를 연결하는 라인 온 글라스(lines on glass : 이하 LOG라고 함) 방법이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OG 방식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 구조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였는데, 이는 LOG 배선 부분을 제외하면 앞선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LOG 방식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50)에서는, 비표시 영역(54)에 게이트 드라이버 IC(70)와 데이터 드라이버 IC(80)를 연결하는 LOG 배선(90)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LOG 배선(90)들은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FPC로 연결하던 것을 대신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 및 고정세화됨에 따라, 배선의 길이는 길어지고 그 폭은 작아져 신호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배선을 형성해야 하는데, 알루미늄의 비저항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게이트 배선의 재료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많이 사용한다.
한편, LOG 배선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기존의 FPC를 대체하므로, LOG 배선 또한 저항이 매우 작아야 하는데, LOG 배선 중 특히 게이트 로우(gate low)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은 수 옴(ohm) 이내의 저항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해야 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이트 배선을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형성하므로 LOG 배선을 게이트 배선 형성시 함께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LOG 배선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는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C 부분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해당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60) 위에 LOG 배선(9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제 1 및 제 2 절연막(65, 66)이 형성되어 LOG 배선(90)을 덮고 있다. 여기서, LOG 배선(9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 형성시 함께 형성되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배선의 길이는 최소로 하고 폭은 최대로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제 1 절연막(65)은 게이트 배선을 덮고 있는 게이트 절연막이고, 제 2 절연막(66)은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다.
한편, 여기서는 LOG 배선(90)을 7개로 형성하였는데,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수로서 회로의 구조와 같은 다른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LOG 배선을 게이트 배선과 함께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LOG 배선의 저항을 작게 하면서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FPC는 구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알루미늄의 비저항은 구리의 약 1.6 배 정도가 되므로 LOG 배선은 FPC에 비해 여전히 저항이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회로를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하는 COG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저항이 작은 LOG 배선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COG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LOG 방식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C 부분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D 부분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서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절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다음,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고 불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위치하며, 비표시 영역 상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각각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데이터 구동 회로가 위치한다. 이어, 비표시 영역 상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회로를 연결하며, 절연되어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배선으로 이루어진 LOG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LOG 배선의 제 1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LOG 배선의 제 2 배선은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LOG 배선은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소 전극은 내부에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OG 방식을 이용한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공정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LOG 방식을 적용할 때, LOG 배선을 게이트 배선 및 화소 전극 형성시 각각 형성함으로써, 배선 폭을 넓게 형성하여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증가되지 않는다.
LOG 배선은 저항이 작아야 하기 때문에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그 길이는 짧고 폭은 넓게 형성하는데, 게이트 배선을 비저항이 비교적 작은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형성하므로,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이러한 배선 형성시 LOG 배선을 함께 형성한다. 그러나, LOG 배선은 여전히 FPC에 비해 저항값이 크기 때문에 더 작은 저항이 요구되므로, 이와 같이 한 층에 의해 LOG 배선을 형성할 경우 LOG 배선을 저저항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 전극이 불투명한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화소 전극을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게이트 배선 및 화소 전극 형성시 LOG 배선을 형성하여, 배선 폭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LOG 배선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기판(100)은 표시 영역(112)과 비표시 영역(114)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표시 영역(112)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114)은 표시 영역(112)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112)에는 가로 방향을 가지는 게이트 배선(121)과 세로 방향의 데이터 배선(1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배선(121) 및 데이터 배선(122)은 교차함으로써 화소 영역을 정의하고, 게이트 배선(121)과 데이터 배선(122)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123)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23)와 연결된 화소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123)는 게이트 배선(121)의 신호에 따라 데이터 배선(122)의 신호를 화소 전극(124)에 스위칭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기판(100)은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화소 전극(124)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이루어지며, 게이트 배선(121) 또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될 경우에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124)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비표시 영역(114)에는 다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링크선(131, 132)과 게이트 드라이버 IC(140) 및 데이터 드라이버 IC(15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버 IC(140)와 데이터 드라이버 IC(150)는 게이트 및 데이터 링크선(131, 132)을 통해 각각 게이트 배선(121) 및 데이터 배선(122)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게이트 드라이버 IC(140)와 데이터 드라이버 IC(150)는 어레이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114) 상에 형성된 LOG 배선(1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LOG 배선을 확대한 도면을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는데, 도 8은 도 7의 D 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Ⅸ-Ⅸ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120) 위에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125)과 보호층(126)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보호층(126) 상부에는 제 4 내지 제 7 LOG 배선(164, 165, 166, 167)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은 게이트 배선(도 7의 121)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4 내지 제 7 LOG 배선(164, 165, 166, 167)은 화소 전극(도 7의 124)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모두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5)은 실리콘 질화막이나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무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층(126)은 아크릴 계열의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과 제 4 내지 제 7 LOG 배선(164, 165, 166, 167) 사이에 두 층의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LOG 배선(161, 162, 163, 164, 165, 166, 167)이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하더라도 신호의 왜곡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이 제 4 내지 제 7 LOG 배선(164, 165, 166, 167)에 비해 더 넓은 폭을 가지므로 저항이 더 작아지는데, 배선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을 상부에 형성하고, 제 5 내지 제 7 LOG 배선(164, 165, 166, 167)을 하부에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LOG 배선 중 가장 작은 저항이 요구되는 게이트 로우 신호선은 폭이 더 넓은 제 1 내지 제 3 LOG 배선(161, 162, 163) 중의 하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OG 배선(161, 162, 163, 164, 165, 166, 167)을 게이트 배선과 화소 전극 형성시 각각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LOG 배선(161, 162, 163, 164, 165, 166, 167) 폭을 종래에 비해 약 2 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LOG 배선의 저항을 1/2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LOG 배선(161, 162, 163, 164, 165, 166, 167)의 개수를 7개로 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OG 배선(161, 162, 163, 164, 165, 166, 167)의 개수는 변화될 수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계 물질은 화학 약품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쉽게 부식될 수 있으므로, 주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상부에 몰리브덴(Mo)과 같은 금속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LOG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COG 방식을 이용한 반사형이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공정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LOG 방식을 적용할 때, LOG 배선을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하여 배선 폭을 넓게 함으로써,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LOG 배선은 저저항 물질로 형성되는 게이트 배선과 화소 전극을 형성할 때 각각 함께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증가되지 않는다.

Claims (5)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절연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화소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고 불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각각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데이터 구동 회로;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회로를 연결하며, 절연되어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배선으로 이루어진 LOG 배선;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OG 배선의 제 1 배선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OG 배선의 제 2 배선은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OG 배선은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내부에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0010049108A 2001-08-14 2001-08-14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76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08A KR100763407B1 (ko) 2001-08-14 2001-08-14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08A KR100763407B1 (ko) 2001-08-14 2001-08-14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62A true KR20030015062A (ko) 2003-02-20
KR100763407B1 KR100763407B1 (ko) 2007-10-04

Family

ID=2771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108A KR100763407B1 (ko) 2001-08-14 2001-08-14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4540B2 (en) 2006-07-26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flexible conductive film
CN113934063A (zh) * 2020-06-29 2022-01-14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433A (ja) * 1992-09-30 1994-04-28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75487A (ja) * 1993-06-18 1995-01-10 Fujitsu Ltd 混成回路基板
KR100560977B1 (ko) * 1998-03-13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직접 실장형 액정 표시 장치
JP4381498B2 (ja) * 1999-02-16 2009-12-09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Cog構造の液晶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4540B2 (en) 2006-07-26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flexible conductive film
CN113934063A (zh) * 2020-06-29 2022-01-14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CN113934063B (zh) * 2020-06-29 2024-02-06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407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5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6340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002105B2 (ja) 液晶表示装置
US8068077B2 (en) Contact structure of conductive films an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including the same
JP4029663B2 (ja) 半透過反射型液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636286B1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ve and transparent pixel electrodes
US20090128757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977701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2852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110541A (ko)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40086926A (ko)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026707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473588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0500787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76340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JP6903425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80192189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687227B1 (ko) 씨오지 타입 어레이 기판
KR100947536B1 (ko)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JP200711433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10486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7876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표시판
KR20060012207A (ko)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KR2005012188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표시판
KR20050005714A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