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974A - 균긁기 장치 - Google Patents

균긁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974A
KR20030014974A KR1020010048978A KR20010048978A KR20030014974A KR 20030014974 A KR20030014974 A KR 20030014974A KR 1020010048978 A KR1020010048978 A KR 1020010048978A KR 20010048978 A KR20010048978 A KR 20010048978A KR 20030014974 A KR20030014974 A KR 20030014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late
housing
scraper
load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영풍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영풍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영풍정공
Priority to KR102001004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974A/ko
Publication of KR2003001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용 병(용기)에 접종된 버섯 종균의 배양후 재배용 병의 이물질을 제거해줌과 아울러 배양된 버섯 종균에 수분을 공급해주고 배양된 버섯 종균의 표면을 긁어주기 위한 균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로터리플레이트상에서 적재상자의 투입과 균긁기 작업 및 물주기 작업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비의 규격을 최소화시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용 병에 대한 수분 공급 및 세척작업과 균긁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균긁기 장치{mushroom scraping device}
본 발명은 균긁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재배용 병(용기)에 접종된 버섯 종균의 배양이 완료된 상태에서 재배용 병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재배용 병에 배양된 버섯 종균에 생장을 위한 수분을 공급해주고 그와 동시에 재배용 병에 접종된 균의 표면을 긁어주기 위한 균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배용 병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할 시에 재배용 병에 접종된 버섯 종균의 배양이 이루어지면 재배용 병에 접종된 버섯 종균에 대한 수분의 공급작업 및 재배용 병에 부착된 이물질의 세척작업과 버섯 종균의 표면을 긁어 주기 위한 균긁기 작업 등과 같은 절차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위와 같은 각각의 작업은 버섯의 수확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어서 소흘히 할 수 없다.
대량의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수많은 재배용 병에 대해 이루어지는 이물질의 세척작업 및 수분의 공급작업, 균긁기 작업 등을 수작업에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업체에서는 상기한 각각의 작업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해줄 수 있는 균긁기 장치를 제조하여 버섯 재배농가에 공급하고 있는데, 위 공급된 균긁기 장치는 재배용 병이 적재된 적재상자를 투입하여 "공급" → "균긁기" → "이송" → "물주기" → "배출"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의 균긁기 장치는 각 작업과정을 달성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일렬로 설치하여 각각의 작업과정이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장비의 크기가 상당히 비대해질 수밖에 없는 구성이므로 장비의 설치에 따른 면적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균긁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기안출된 종래의 균긁기 장치는 장비의 길이가 4m 50cm 이상에 달하고 있으며, 장비에 의한 균긁기 작업효율은 시간당 3,600 ~ 4.500개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의 균긁기 장치는 물을 분사시켜 주기 위한 분사노즐이 재배용 병의 입구 직경과 비슷한 규격을 한 갖도록 한 상태에서 강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물이 분사되는 재배용 병의 내부에 배압이 걸려 재배용 병의 내부에 대한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균긁기 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재배용 병이 적재된 적재상자의 투입과 재배용 병에 대한 수분 공급 및 세척작업과 버섯 종균에 대한 균긁기 작업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구동수단에 의해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로터리플레이트상에서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비의 규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균긁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에 의해 재배용 병에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균긁기 장치11: 기대
12: 공급컨베이어13: 배출컨베이어
15: 로터리플레이트16: 적재파레트
17: 클램핑실린더18: 클램핑보드
19: 클램핑공20: 안내봉
21: 투입대22: 투입실린더
23: 분사노즐 하우징24: 분사노즐
26: 스크레이퍼 하우징27: 스크레이퍼
B : 적재상자C1,C2,C3,C4: 구동전달수단
G : 재배용 병M1,M2,M3,M4: 구동모터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10)의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10)의 평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대(11)상에 재배용 병(G)이 적재된 적재상자(B)를 공급해주기 위한 공급컨베이어(12)를 설치한 다음 기대(1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M)와 구동전달수단(C1)으로 연계시켜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12)의 전방에 로터리플레이트(15)를 회전가능하게 축설치하고, 상기 로터리플레이트(15)의 전방에 재배용 병(G)이 적재된 상자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컨베이어(13)를 설치한다.
이때, 기대(11)상에 설치되는 공급컨베이어(12)는 재배용 병(G)이 적재된 적재상자(B) 2개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보다 다소 큰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기 기대(11)상에 공급컨베이어(12)의 상부 중앙영역으로부터 로터리플레이트(15)의 상부 영역에 이르는 안내봉(20)을 설치한 다음 안내봉(20)상에투입대(21)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하고, 기대(11)의 일측(로터리플레이트(15)의 전방)에 장착되는 투입실린더(22)의 롯드(22a)에 투입대(21)를 결합시켜 투입실린더(22)의 작용에 의해 투입대(21)가 안내봉(20)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투입대(21)의 측부에 적재상자(B)의 인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S)를 설치한다.
도 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균긁기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플레이트(15)는 회전축(15a)에 정삼각형 지지체(P)를 결합하여 기대(11)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지지체(P)의 각 변에는 3조의 적재파레트(16)를 장착하고, 상기 각각의 적재파레트(16)에 클램핑실린더(17)를 설치한 다음 클램핑실린더(17)의 롯드(17a)에 적재상자(B)에 적재된 재배용 병(G)과 동일한 수량의 클램핑공(19)이 형성된 클램핑보드(18)를 결합하여 클램핑보드(18)가 클램핑실린더(17)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하며, 상기 로터리플레이트(15)와 기대(11)상에 장착된 구동모터(M2)를 구동전달수단(C2)으로 연계시켜 로터리플레이트(15)가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M2)는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가 있은 후에 그 구동이 개시되어 로터리플레이트(15)를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로터리플레이트(15)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지지체(P)에 형성된 각각의 적재파레트(16)중 어느 하나의 적재파레트(16; 적재상자(B)가 투입되는 적재파레트)는 항상 공급컨베이어(12) 및 이송컨베이어(13)와 동일축선(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터리플레이트(15)의 하방에 로터리플레이트(15)의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120°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는 분사노즐 하우징(23)과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을 마련하여 각각의 분사노즐 하우징(23)과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이 로터리플레이트(15)에 설치된 적재파레트(16)중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두개의 적재파레트(16)와 대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 하우징(23)의 하방에 승강실린더(25)를 설치하고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하방에는 승강실린더(28)를 설치하여 각 승강실린더(25,28)의 작용에 의해 분사노즐 하우징(23)과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이 각각에 대응하는 적재파레트(16)측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 하우징(23)의 내부 구조를 발췌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 하우징(23)에는 적재상자(B)에 적재된 재배용 병(G)과 수량을 같이하는 분사 노즐(24)을 설치하여 물을 분사시켜줄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분사노즐(24)은 분사노즐 하우징(23)내에 설치된 구동모터(M3)와 피니언 및 래크 등과 같은 구동전달수단(C3)으로 연계시켜 구동모터(M3)의 정,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분사노즐(24)이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24)에 형성되는 노즐공(24a)은 가늘고 긴폭으로 절개되는 장공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분사되는 물줄기가 "|"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내부 구조를 발췌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 하우징(26)에는 적재상자(B)에 적재된 재배용 병(G)과 수량을 같이하는 스크레이퍼(27)를 설치하고, 각각의 스크레이퍼(27)는 스크레이퍼 하우징(26)내에 설치된 구동모터(M4)와 유성기어 등과 같은 구동전달수단(C4)으로 치합시켜 각각의 스크레이퍼(27)가 구동모터(M4)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로터리플레이트(15)를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동모터(M2)를 적용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동수단은 구동모터(M2)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핵심은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로터리플레이트(15)상에서 "적재상자(B)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물주기", "균긁기"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할 것이므로 로터리플레이트(15)를 120°씩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수단이 실린더나 기타 구동수단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동수단의 치환행위는 본 발명이 향유하는 기술사상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수개(통상 16개)의 재배용 병(G)이 적재된 적재상자(B)가 공급컨베이어(12)를 통해 투입대(21)측으로 공급되면 감지센서(S) 적재상자(B)의 인입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S)에 의한 감지신호가 있은 후 투입실린더(22)의 작용에 의해 투입대(2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적재상자(B)를 로터리플레이트(15)의 적재파레트(16)상으로 이동시킨 다음 최초 위치로 원복하게되며, 적재파레트(B)의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적재파레트(16)에 설치된 클램핑실린더(17)가 클램핑보드(18)를 하강시켜 적재상자(B)에 적재된 각각의 재배용 병(G)이 클램핑보드(18)의 클램핑공(19)에 단속된다.(도 6 참조)
클램핑보드(18)에 의한 재배용 병(G)의 단속이 완료되면 구동모터(M2)가 로터리플레이트(15)를 120°회전시켜 주고, 회전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25)가 분사노즐 하우징(23)을 승강시켜 분사노즐(24)이 재배용 병(G)의 개구(G1)상에 근접하게 되고 분사노즐(24)은 노즐공(24a)을 통해 물(W)을 분사시켜 재배용 병(G)의 개구 외주변과 재배용 병(G)내부를 세척함과 아울러 배양된 버섯 종균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도 7 참조)
이때, 분사노즐(24)의 노즐공(24a)을 "|"형의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분사노즐(24)이 구동모터(M3)에 의해 정,역회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분사되는 물(W)줄기가 가늘고 긴폭을 이룬 상태에서 정,역회전하며 분사되어 재배용 병(G)의 내부에는 수압에 의한 배압이 걸리지 않으며 물이 골고루 분사되는 것이다.
재배용 병(G)에 대한 세척 및 수분공급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M2)가 로터리플레이트(15)를 다시 120°회전시켜 주고, 로터리플레이트(15)의 회전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28)가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을 승강시켜 스크레이퍼 하우징(26)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7)가 각각의 재배용 병(G)의 개구(G1)을 통해 인입되며, 구동모터(M4)에 의해 구동하는 각각의 스크레이퍼(27)가 재배용 병(B)내의 바삿 종균(배양이 완료된)의 표면을 긁어 주게 된다.
재배용 병(B)내의 버섯 종균에 대한 균긁기 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M2)가로터리플레이트(15)를 또다시 120°회전시켜 주고, 로터리플레이트(15)의 회전이 완료되면 클램핑실린더(17)가 작동하여 클램핑보드(18)를 승강시켜 재배용 병에 대한 단속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투입실린더(22)가 작동하여 차기열의 적재상자(B)가 투입대(21)에 의해 로터리플레이트(15)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적재파레트(16)상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상자(B; 세척 및 수분 공급작업과 균긁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것)는 이송되는 차기열의 적재상자(B)에 의해 배출컨베이어(13)상으로 밀려져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실린더(22)에 의한 적재상자(B)의 투입이 있은 후로부터 로터리플레이트(15)상에서 이루어지는 클램핑실린더(17)에 의한 클램핑보드(18)의 승·하강과 승강실린더(25,28)에 의한 분사노즐 하우징(23) 및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승·하강이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최초에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를 받은 투입실린더(22)에 의한 적재상자(B)의 공급이 이루어진 다음부터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정 즉, "클램핑실린더(17)에 의한 클램핑보드(18)의 승강" →"구동수단에 의한 로터리플레이트(15)의 120°회전" →"승강실린더(25)에 의한 분사노즐 하우징(23)의 승강 및 분사노즐(24)에 의한 물분사" →"로터리플레이트(15)의 120°회전" →"승강실린더(28)에 의한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승강 및 스크레이퍼(27)에 의한 균긁기" →"로터리플레이트(15)의 120°회전" →"클램핑실린더(17)에 의한 클램핑보드(18)의 승강" →"투입실린더(22)에 의한 적재상자(B)의 투입"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그 순차적인 작동데이터가 입력된 제어부(micro process unit; 미도시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적재상자(B)의 투입 및 물공급, 균긁기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120°씩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로터리플레이트(15)의 적재파레트(16)상에서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장비의 규격을 최소화시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공급 및 세척작업과 균긁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사노즐(24)의 노즐공(24a)을 장방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본사노즐(24)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물을 분사해줄 수 있도록 하여 재배용 병(G)내에 생기는 배압이 배제되므로 재배용 병(G)의 내외부에 대한 세척 및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다대한 매우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기대(11)상에 설치되어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공급컨베이어(12);
    기대(11)에 회전지지되는 회전축(15a)에 정삼각형 지지체(P)를 축설치하여 지지체(P)의 각 변에 3조의 적재파레트(16)를 장착한 로터리플레이트(15);
    기대(11)의 일측에 장착되고 로터리플레이트(15)와 구동전달수단(C2)으로 연계되어 로터리플레이트(15)를 120°씩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모터(M2);
    로터리플레이트(15)의 전방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13);
    공급컨베이어(12)의 상부 중앙영역으로부터 로터리플레이트(15)의 상부 영역에 이르게 설치되는 안내봉(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대(21);
    투입대(21)의 측면에 설치되어 적재상자(B)의 인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S);
    기대(11)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롯드(22a)에 투입대(21)를 결합시켜 감지센서(S)에 의한 감지신호가 있은 후에 투입대(21)를 로터리플레이트(15)의 적재파레트(16)상으로 슬라이드시켜 주기 위한 투입실린더(22);
    로터리플레이트(15)의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120°의 각도를 이루게 설치되는 분사노즐 하우징(23) 및 스크레이퍼 하우징(25);
    분사노즐 하우징(23) 및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하방에 설치되어 이들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플레이트(15)에 구비되는 각각의 적재파레트(16)에 승강실린더(17)를 설치한 다음 그 롯드(17a)에 다수개의 클램핑공(19)이 형성된 클램핑보드(18)를 결합하여 클램핑보드(18)가 승강실린더(17)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분사노즐 하우징(23)에는 가늘고 긴폭으로 절개되는 "|"형의 장공형태를 이루는 노즐공(24a)이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노즐(24)을 설치하고, 각각의 분사노즐(24)은 분사노즐 하우징(23)내에 설치된 구동모터(M3)와 래크 및 피니언 등과 같은 구동전달수단(C3)으로 연계시켜 구동모터(M3)의 정,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분사노즐(24)이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하우징(26)에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7)를 설치하고, 각각의 스크레이퍼(27)는 스크레이퍼 하우징(26)내에 설치된 구동모터(M4)와 유성기어 등과같은 구동전달수단(C4)으로 치합시켜 각각의 스크레이퍼(27)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실린더(17)에 의한 클램핑보드(18)의 승·하강과 승강실린더(25,28)에 의한 분사노즐 하우징(23) 및 스크레이퍼 하우징(26)의 승·하강이 동시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긁기 장치.
KR1020010048978A 2001-08-14 2001-08-14 균긁기 장치 KR20030014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78A KR20030014974A (ko) 2001-08-14 2001-08-14 균긁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78A KR20030014974A (ko) 2001-08-14 2001-08-14 균긁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974A true KR20030014974A (ko) 2003-02-20

Family

ID=2771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78A KR20030014974A (ko) 2001-08-14 2001-08-14 균긁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97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071A1 (en) * 2001-08-13 2004-02-26 Young Poong Industries Co., Ltd. Mushroom scraping device
KR100660173B1 (ko) * 2005-10-07 2006-12-21 백우인 버섯재배용 탈병장치의 바스켓 가이드 장치
KR101070780B1 (ko) * 2011-05-02 2011-10-06 디엠에스코리아(주) 재배병 자동 처리용 작업장치
KR101137054B1 (ko) * 2009-11-05 2012-04-20 신근영 버섯재배용 균긁기 장치
KR101415504B1 (ko) * 2012-10-24 2014-07-07 김영애 버섯 재배용 포트병 회전 적재 장치
KR101670205B1 (ko) 2016-04-12 2016-10-27 여현동 버섯 균 긁기 장치
CN111373985A (zh) * 2020-05-21 2020-07-07 施加加 一种菌菇种植用便于采摘的培养装置
KR20220078215A (ko) 2020-12-03 2022-06-10 정성학 병재배 버섯 배지의 이물질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427A (ja) * 1989-07-31 1991-03-18 Chiyoda Seisakusho:Kk 茸菌の掻き出し装置
JPH04370039A (ja) * 1991-06-15 1992-12-22 Nakata Sangyo Kk きのこ培養床の菌掻方法及び自動菌掻装置
JPH11196667A (ja) * 1998-01-16 1999-07-27 Nippon Seiki Co Ltd 種菌掻き取り装置
JP2000316378A (ja) * 1999-03-09 2000-11-21 Karuchia Machine:Kk きのこ培基のかき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427A (ja) * 1989-07-31 1991-03-18 Chiyoda Seisakusho:Kk 茸菌の掻き出し装置
JPH04370039A (ja) * 1991-06-15 1992-12-22 Nakata Sangyo Kk きのこ培養床の菌掻方法及び自動菌掻装置
JPH11196667A (ja) * 1998-01-16 1999-07-27 Nippon Seiki Co Ltd 種菌掻き取り装置
JP2000316378A (ja) * 1999-03-09 2000-11-21 Karuchia Machine:Kk きのこ培基のかき出し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6071A1 (en) * 2001-08-13 2004-02-26 Young Poong Industries Co., Ltd. Mushroom scraping device
KR100660173B1 (ko) * 2005-10-07 2006-12-21 백우인 버섯재배용 탈병장치의 바스켓 가이드 장치
KR101137054B1 (ko) * 2009-11-05 2012-04-20 신근영 버섯재배용 균긁기 장치
KR101070780B1 (ko) * 2011-05-02 2011-10-06 디엠에스코리아(주) 재배병 자동 처리용 작업장치
KR101415504B1 (ko) * 2012-10-24 2014-07-07 김영애 버섯 재배용 포트병 회전 적재 장치
KR101670205B1 (ko) 2016-04-12 2016-10-27 여현동 버섯 균 긁기 장치
CN111373985A (zh) * 2020-05-21 2020-07-07 施加加 一种菌菇种植用便于采摘的培养装置
CN111373985B (zh) * 2020-05-21 2022-03-04 山东远洋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菌菇种植用便于采摘的培养装置
KR20220078215A (ko) 2020-12-03 2022-06-10 정성학 병재배 버섯 배지의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846B1 (ko) 병버섯 재배용 배지병 세척 장치
KR100996543B1 (ko) 드럼회전식 새싹재배장치
KR20030014974A (ko) 균긁기 장치
CN111955225A (zh) 园林种植用便于幼苗快速移栽的种植装置
KR101068822B1 (ko) 재배병 자동 클리닝 작업장치
CN102653475A (zh) 循环自动施釉系统
KR100413516B1 (ko) 액체 버섯종균 자동접종장치
CN111264237A (zh) 一种侧柏育苗容器及其使用方法
CN108934792B (zh) 一种金针菇工厂化瓶栽的采收及废料回收系统
WO2004016071A1 (en) Mushroom scraping device
WO2014061200A1 (ja) 栽培容器、および、栽培システム
CN109349006B (zh) 一种高效金针菇采收-废料回收系统及方法
KR101056387B1 (ko) 버섯 종균 균긁기 장치
KR102469596B1 (ko) 버섯 종균 자동 접종장치
KR20220131751A (ko) 버섯재배용 병뚜껑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JP2002125461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CN210042785U (zh) 园林绿化带浇灌装置
CN103099135B (zh) 一种菌种自动喷洒设备
CN111687102A (zh) 一种水培叶菜漂浮板自动洗机
CN219719279U (zh) 一种育苗装置
KR200214172Y1 (ko) 병버섯용 배지자동제거기의 고압분사장치
JPH04370039A (ja) きのこ培養床の菌掻方法及び自動菌掻装置
CN108551928A (zh) 一种甜瓜苗盆栽育苗装置
CN219046837U (zh) 一种新型玉米育苗箱
CN218244778U (zh) 一种农业种植培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