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862A - 멀티 부항기 - Google Patents

멀티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862A
KR20030014862A KR1020010048746A KR20010048746A KR20030014862A KR 20030014862 A KR20030014862 A KR 20030014862A KR 1020010048746 A KR1020010048746 A KR 1020010048746A KR 20010048746 A KR20010048746 A KR 20010048746A KR 20030014862 A KR20030014862 A KR 2003001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imer
cupping
suction
displa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098B1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훈 filed Critical 윤성훈
Priority to KR10-2001-004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0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부항컵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진공흡입/진공해제을 반복 시행되게 한 멀티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부항컵을 연결 호스로 연결하여 동시에 시술할 수 있게 구성하고, 펌프기의 작동을 타이머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하여 부항컵 내의 공기를 진공흡입/진공해제시키며, 또한 진공흡입/진공해제를 반복되게 구성한 것으로, 부항시술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조절이 가능하여 신체특성에 맞게 진공압을 조절할 수 있어 남녀노소 상관없이 부항시술을 할 수 있으며, 부항컵내의 공기를 흡입 및 진공해제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므로 부항을 시술한 신체부위의 수직반복운동 및 미세 진동으로 환부의 통증(압통)을 완화시키며 뭉친 근육이완에 탁월한 효능이 있고, 기존부항기의 단점인 수포증상, 가려움증 및 일시적 근육응결을 해소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멀티 부항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부항기{Multi cupping glass machine}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부항컵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진공흡입/진공해제를 반복 시행되게 하여 수직반복운동 및 미세 진동으로 환부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수포증상, 가려움증 및 일시적 근육응결을 해소 장시간 사용 가능한 멀티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라 함은 진공정혈요법, 혈액정화 및 체질개선에 사용되는 한방치료기로서, 치료코자 하는 환부에 시술용 로숀이나 알코올을 바르고 부항컵 내에 몇 방울의 알코올을 떨어뜨린 다음, 부항컵에 불을 붙여 일순간에 부항컵을 환부에 엎어 주면, 부항컵내의 산소가 다 소모되면서 불은 꺼지고 진공상태가 이루어지게 되어 피부의 일부가 부항컵 내로 빨려 들어가게 되므로, 피부의 땀구멍이 열리게 되어 그 땀구멍을 통해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 등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있었으나, 이 시술방법은 전문가가 아니면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시술자가 공포심을 느껴 기피하는 폐단 및 고통을 느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유통공을 구비한 부항컵과 펌프, 또는 펌프와 연결호스 및 부항컵으로 구성된 수동식 부항기와 기계식펌프와 연결호스 및 부항컵 등으로 구성된 기계식 부항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신체의 필요한 부위에 부항컵을 대고, 펌프로 펌핑하면 펌프의 흡입력에 의하여 부항컵이 시술자의 피부를 일정시간 동안 흡착하여서 피하에 침착된 나쁜 가스나 어혈을 정혈하여서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시술 후에 피부 면이 빨갛게 멍든 자국이 장시간 남아 있어 시각적으로 보기 흉하여 시술자가 부항시술을 거부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부항기는 부항컵을 하나하나 신체의 필요한 부위에 대고 시술하는 것으로 여러 부위를 동시에 시술할 수 없고, 시술하는 시간이 많은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러 개의 부항컵을 동시에 시술할 수 있게 하고, 펌프기의 작동을 타이머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하여 부항컵내의 공기를 진공흡입/진공해제시키며, 또한 진공흡입/진공해제를 반복되게 구성하여 수직반복운동 및 미세 진동으로 환부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수포증상, 가려움증 및 일시적 근육응결을 해소시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 멀티 부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 부항컵의 각 실시예도.
도 4 는 본 발명 부항컵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펌프기,2: 제어부,
3: 전원 스위치,3L: 전원 표시램프,
4: 흡입 스위치,4L: 흡입 표시램프,
5: 자동 스위치,5L: 자동 표시램프,
6: 타이머 스위치,6L: 타이머 표시램프,
7: 흡입 타이머 스위치,7L: 흡입 표시램프,
8: 해제 타이머 스위치,8L: 해제 표시램프,
9: 진공압 조절 스위치,9M: 진공펌프,
10: 메인 패널부,11,12: 솔레노이드 밸브,
11N,12N: 노즐,11S,12S: 개폐기,
13: 연결호스,14: 부항컵,
14N: 노즐,15: 팬,
16: 릴레이,16a,16b,16c,16d: 릴레이 접점,
17: 타이머 릴레이,17a,17b: 타이머 릴레이접점,
18: 부저,18T: 부저타이머
18a: 부저타이머 접점,19: 연결커넥터
본 발명은 사각함체형 펌프기와, 상기 펌프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램프와 일체로 구성된 전원 스위치, 흡입 스위치, 자동 스위치와 타임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흡입 타이머 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해제 타이머 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진공압 조절 밸브를 구비한 메인 판넬부와, 상기 펌프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장한 노즐과 상기 노즐을 열고 닫아주는 개폐기와 상기 노즐에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진공압 조절 밸브에 의해 진공압이 조절된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체의 일부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부항컵을 동시에 사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전원스위치를 통하여 전원 표시램프, 팬 및 흡입 스위치에 인가되고, 흡입 스위치에 인가된 전원은 흡입 표시램프, 타임스위치를 통해 릴레이 및 자동 스위치를 통해 자동 표시램프와 타이머 릴레이에 인가되며, 상기 릴레이의 구동으로 각 릴레이 접점을 통해 타이머 표시램프, 진공펌프, 부저 타이머 및 부저 타이머 접점를 통해 부저와, 타이머 릴레이접점을 통해 해제 타이머 표시램프, 흡입 타이머 표시램프 및 2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항컵은 부항컵의 노즐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부항컵을 연결호스 또는 연결커넥터로 서로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의 펌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의 부항컵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의 부항컵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든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기(1)를 사각함체형으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펌프기(1)의 동작을 위한 제어부(2)를 내입 구성한다. 상기 펌프기(1)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2)와 연결되는 표시램프와 일체로 구성된 전원 스위치(3), 흡입 스위치(4), 자동 스위치(5)와 타임스위치(6)와 그 표시램프(6L), 흡입 타이머 스위치(7)와 그 표시램프(7L), 해제 타이머 스위치(8)와 그 표시램프(8L), 진공압 조절 밸브(9)를 구비한 메인 패널부(10)를 구성한다. 상기 펌프기(1)의 일측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12)를 내장한 노즐(11N)(12N)과 상기 노즐(11N)(12N)을 열고 닫아주는 개폐기(11S)(12S)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노즐(11N)(12N)에는 상기 진공압 조절 밸브(9)에 의해 진공압이 조절된 진공펌프(9M)의 작동으로 인체의 일부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부항컵(14)을 연결호스(13)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2)는 도 2 의 도시와 같이 전원스위치(3)가 켜졌을 때 전원 표시램프(3L), 팬(15) 및 흡입 스위치(4)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 표시램프(3L)의 점등과 팬(15)이 구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흡입 스위치(4)에 인가된 전원은 흡입 스위치(4)가 켜졌을 때 흡입 표시램프(4L), 타임스위치(6) 및 자동 스위치(5)에 전원을 인가하여 흡입 표시램프(4L)를 점등되게 구성한다. 상기 타임스위치(6)에 인가된 전원은 타임스위치(6)가 켜졌을 때 릴레이(16)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16)를구동시켜 각 릴레이 접점(16a)(16b)(16c)(16d)이 작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릴레이 접점(16a)(16b)이 접촉되면 타이머 표시램프(6L), 진공펌프(9M)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릴레이 접점(16c)은 상기 릴레이(16)가 구동을 멈추면 접촉되어 부저타이머(18T)를 구동시키고 부저타이머(18T)에 의해 작동되는 부저타이머 접점(18a)을 접촉시켜 부저(18)을 부저타이머(18T)에 설정된 시간동안 울리게 구성한다. 상기 자동 스위치(5)에 인가된 전원은 자동 스위치(5)가 켜졌을 때 자동 표시램프(5L)와 상기 흡입 타이머 스위치(7)와 해제 타이머 스위치(8)에 의해 제어되는 타이머 릴레이(17)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타이머 릴레이(17)의 접점(17a)(17b)은 평상시 및 흡입 타이머 스위치(7)가 작동중일때 타이머 릴레이접점(17a)은 오프상태, 타이머 릴레이접점(17b)은 온상태를 유지하다가 해제 타이머 스위치(8)가 작동중일때 타이머 릴레이접점(17a)은 온상태, 타이머 릴레이접점(17b)은 오프상태로 변환되게 구성한다. 상기 릴레이 접점(16d)이 접촉되면 상기 타이머 릴레이접점(17a)(17b)의 상태에 따라 타이머 릴레이접점(17a)이 온상태면 해제 타이머 표시램프(8L)에 전원을 인가하고, 타이머 릴레이접점(17b)이 온상태면 흡입 타이머 표시램프(7L) 및 2개의 솔레노이드밸브(11)(12)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부항컵(14)은 도 3, 4의 도시와 같이 부항컵(14)의 측면 또는 상부에 공기을 흡입 및 배출하는 노즐(14N)을 2개 이상 구성한다. 또한 여러 개의 부항컵(14)을 한 개조로 구성하여 각 부항컵(14)의 노즐(14N)을 연결호스(13) 또는 연결커넥터(19)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를 사용하여 시술하고자 할 때는 펌프기(1)의 전원 스위치(3)를 온 시킨다. 전원 스위치(3)가 온 되면 전원 표시램프(3L)가 점등되고 팬(15)이 구동되며, 전원 표시램프(3L)의 점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전원 스위치(3)를 온 시킨 다음 흡입 스위치(4)를 온 시키면 흡입 표시램프(4L)가 점등되어 사용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렇게 사용준비가 완료되면 신체의 어느 부위에 몇 개의 부항을 시술할 것인가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부항컵(14)의 노즐(14N)과 노즐(14n)을 연결호스(13) 또는 연결커넥터(19)로 서로 연결하여 연결호스(13)로 펌프기(1)의 노즐(11N)(12N)에 연결한다. 여기서 펌프기(1)의 노즐(11N)(12N)은 부항컵(14)의 개수 또는 부항 방법에 따라 양쪽 다 사용할 수도 있고 개폐기(11S)(12S)를 조절하여 어느 한쪽의 노즐(11N)(12N)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호스(13) 또는 연결커넥터(19)로 연결된 몇 개의 부항컵(14)이 노즐(11N)(12N)에 연결되면 부항 시술을 하고자하는 신체부위에 올려놓고 펌프기(1)의 타임스위치(6)를 시술하고자하는 시간에 맞추면 타임스위치(6)가 온 되어 릴레이(16)가 구동된다. 릴레이(16) 구동으로 릴레이 접점(16a)(16b)(16d)이 온 되고 릴레이 접점(16c)는 오프된다. 릴레이 접점(16a)(16b)(16d)이 온 되면 릴레이접점(16a)에 의해 타이머 표시램프(6L)가 점등되고, 릴레이 접점(16b)에 의해 진공펌프(9M)가 구동되며, 릴레이 접점(16d)과 타이머 릴레이 접점(17b)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1)(12)를 구동시키고 흡입 표시램프(7L)를 점등시킨다.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9M)가 구동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1)(12)가 닫히면 여러 개의 부항컵(14)내의 공기를 동시에 부항컵(14)의 노즐(14N)과 연결호스(13), 노즐(11N)(12N) 통해 진공펌프(9M)가 흡입시키므로 여러 개를 동시에 부항 시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진공펌프(9M)의 진공압을 신체특성에 따라 진공압 조절 밸브(9)로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항컵(14)내의 공기를 진공펌프(9M)가 흡입하여 부항시술을 하다가 타임스위치(6)가 설정시간이 되어 오프 되면 릴레이(16)의 구동이 멈추게되고 각 릴레이 접점(16a)(16b)(16d)이 오프 되고 릴레이 접점(16c)느 온 되어 타이머 표시램프(6L), 진공펌프(9M), 솔레노이드 밸브(11)(12) 및 흡입 표시램프(7L)에 전원이 차단되어, 진공펌프(9M)의 작동이 멈추고, 솔레노이드 밸브(11)(12)가 열리면솔레노이드 밸브(11)(12)를 통하여 부항컵(14)내로 공기가 들어가 부항 시술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릴레이 접점(16c)이 온 되므로 부저타이머(18T)가 작동되고, 부저타이머(18T)의 작동으로 부저타이머 접점(18a)이 온 되어 부저타이머 (18T)에 설정시간 만큼 부저(18)가 울려, 부항 시술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또한 상기 부항 시술과정에서 타이머 스위치(6)를 온 시키기 전에 자동 스위치(5)를 온 시키면 자동 표시램프(5L)가 점등되고 타이머 릴레이(17)가 구동준비를 하게 된다. 타이머 릴레이(17)가 구동준비가 되면 상기와 같이 여러 개가 연결된 부항컵(14)을 시술하고자하는 신체부위에 올려놓고 신체의 특성에 따라 흡입 타이머 스위치(7)와 해제 타이머 스위치(8) 맞추고 타임스위치(6)를 온 시키면 상기와같이 타이머 표시램프(6L), 진공펌프(9M), 솔레노이드 밸브(11)(12) 및 흡입 표시램프(7L)에 전원이 인가되어 진공펌프(9M)에 의해 여러 개의 부항컵(14) 내의 공기가 흡입 타이머 스위치(7)의 설정된 시간 동안 흡입된다. 흡입 타이머 스위치(7)의 설정시간 완료되면 타이머 릴레이(17)가 작동되어 타이머 릴레이 접점(17a)은 온 되고 타이머 릴레이 접점(17b)은 오프 되어 해제 표시램프(8L)가 점등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1)(12)와 흡입 표시램프(7L)에 전원이 차단되어 여러 개의 부항컵(14)내로 솔레노이드 밸브(11)(12)를 통하여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부항컵(14) 내로 공기가 들어가다가 해제 타이머 스위치(8)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타이머 릴레이(17)에 의해 타이머 릴레이 접점(17a)은 오프 되고 타이머 릴레이 접점(17b)은 온 되어 해제 표시램프(8L)에 전원이 차단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1)(12) 및 흡입 표시램프(7L)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1)(12)가 닫히면서 여러 개의 부항컵(14) 내의 공기를 진공펌프(9M)가 다시 흡입시킨다. 이와 같이 타임스위치(6)에 설정된 시간만큼 부항컵(14)이 신체에서 떨어지지 않고 부항컵(14) 내의 공기를 진공펌프(9M)가 흡입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1)(12)가 열리면서 부항컵(14)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 시행하여 부항시술 부위의 신체를 수직반복운동 및 미세 진동을 주는 부항시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부항기는 여러 개의 부항컵을 이용하여 동시에 부항시술을 할 수 있어 부항시술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조절이 가능하여 신체특성에 맞게 진공압을 조절할 수 있어 남녀노소 상관없이 부항시술을 할 수 있으며, 부항컵내의 공기를 진공 및 진공해제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므로 부항을 시술한 신체부위의 수직반복운동 및 미세 진동으로 환부의 통증(압통)을 완화시키며 뭉친 근육이완에 탁월한 효능이 있고, 기존부항기의 단점인 수포증상, 가려움증 및 일시적 근육응결을 해소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각함체형 펌프기와, 상기 펌프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램프와 일체로 구성된 전원 스위치, 흡입 스위치, 자동 스위치와 타임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흡입 타이머 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해제 타이머 스위치와 그 표시램프, 진공압 조절 밸브를 구비한 메인 판넬부와, 상기 펌프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장한 노즐과 상기 노즐을 열고 닫아주는 개폐기와 상기 노즐에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진공압 조절 밸브에 의해 진공압이 조절된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체의 일부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부항컵을 동시에 사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멀티 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전원스위치를 통하여 전원 표시램프, 팬 및 흡입 스위치에 인가되고, 흡입 스위치에 인가된 전원은 흡입 표시램프, 타임 스위치를 통해 릴레이 및 자동 스위치를 통해 자동 표시램프와 타이머 릴레이에 인가되며, 상기 릴레이의 구동으로 각 릴레이 접점을 통해 타이머 표시램프, 진공펌프, 부저 타이머 및 부저 타이머 접점를 통해 부저와, 타이머 릴레이접점을 통해 해제 타이머 표시램프, 흡입 타이머 표시램프 및 2개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부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컵은 노즐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부항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컵은 복수 개를 한 개조로 하여 연결호스, 연결커넥터로 서로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멀티 부항기.
KR10-2001-0048746A 2001-08-13 2001-08-13 멀티 부항기 KR10044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46A KR100442098B1 (ko) 2001-08-13 2001-08-13 멀티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46A KR100442098B1 (ko) 2001-08-13 2001-08-13 멀티 부항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57U Division KR200253246Y1 (ko) 2001-08-13 2001-08-13 멀티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62A true KR20030014862A (ko) 2003-02-20
KR100442098B1 KR100442098B1 (ko) 2004-07-30

Family

ID=2771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746A KR100442098B1 (ko) 2001-08-13 2001-08-13 멀티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0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23B1 (ko) * 2006-09-29 2008-05-07 김정희 부항기
KR101426153B1 (ko) * 2012-11-05 2014-08-01 차진석 헬쓰 케어 및 미용용 복합 장치
CN111110536A (zh) * 2020-01-14 2020-05-08 董昊 一种风湿免疫科用器械操作平台
WO2021049701A1 (ko) * 2019-09-10 2021-03-18 박상준 두피전용 부항기, 이를 구비한 전자 부항기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102334689B1 (ko) * 2021-07-21 2021-12-02 이화영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KR102334686B1 (ko) * 2021-07-21 2021-12-02 이화영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KR102390468B1 (ko) * 2021-11-16 2022-04-25 한기홍 부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62B1 (ko) 2008-01-26 2009-10-19 (주)성환이엔비 멀티 피부미용기
KR101341388B1 (ko) * 2012-11-26 2013-12-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멀티채널 뜸장치
KR101341389B1 (ko) * 2012-11-26 2014-01-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복합 자극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자극시스템
KR102424367B1 (ko) * 2022-05-05 2022-07-22 (주)하선메디 복합형 부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547Y2 (ko) * 1976-02-20 1980-11-07
JPS59108635U (ja) * 1983-01-11 1984-07-21 柿沼 繁富 吸玉治療器
JPH01130331U (ko) * 1988-02-24 1989-09-05
KR950024534U (ko) * 1994-02-26 1995-09-13 노갑부 부항기
KR20010019792A (ko) * 1999-08-26 2001-03-15 김태환 부항컵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23B1 (ko) * 2006-09-29 2008-05-07 김정희 부항기
KR101426153B1 (ko) * 2012-11-05 2014-08-01 차진석 헬쓰 케어 및 미용용 복합 장치
WO2021049701A1 (ko) * 2019-09-10 2021-03-18 박상준 두피전용 부항기, 이를 구비한 전자 부항기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20210030642A (ko) * 2019-09-10 2021-03-18 박상준 두피전용 부항기, 이를 구비한 전자 부항기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N111110536A (zh) * 2020-01-14 2020-05-08 董昊 一种风湿免疫科用器械操作平台
CN111110536B (zh) * 2020-01-14 2022-01-25 王翠翠 一种风湿免疫科用器械操作平台
KR102334689B1 (ko) * 2021-07-21 2021-12-02 이화영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KR102334686B1 (ko) * 2021-07-21 2021-12-02 이화영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KR102390468B1 (ko) * 2021-11-16 2022-04-25 한기홍 부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098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098B1 (ko) 멀티 부항기
KR10033951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CN103391791A (zh) 抽吸冲洗装置
KR200253246Y1 (ko) 멀티 부항기
US20010003353A1 (en) Nozzle and aspirator with nozzle
CN108113752B (zh) 用于手术机器人的电磁感应式吸附器
KR200167073Y1 (ko) 부항기용 마사지구
KR100650105B1 (ko)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KR200395374Y1 (ko) 부항기용 자동펌핑기구
KR102171878B1 (ko) 에어 압박 마사지 장치
KR102132687B1 (ko) 전동식 부항기
KR100404810B1 (ko) 진공흡입력 조절이 가능한 전기부항기
KR20020038904A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900001414B1 (ko) 진공압을 이용한 마사아지기의 진공압발생방법 및 장치
KR200181529Y1 (ko) 부항기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KR100383401B1 (ko) 휴대용 함몰 유두교정기
KR200208737Y1 (ko) 부항기
KR200262748Y1 (ko) 진공 조절용 부항 접속구
JPS5937220Y2 (ja) マツサ−ジ具
KR200243180Y1 (ko) 진공흡입력 조절이 가능한 전기부항기
KR200275676Y1 (ko) 자석이 구비된 부항기
CN218338494U (zh) 一种手指止血压迫装置
KR200153398Y1 (ko) 부항기
JP4049420B2 (ja) 気体回路切替装置及びそれを内蔵した噴霧・吸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