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89B1 -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89B1
KR102334689B1 KR1020210095597A KR20210095597A KR102334689B1 KR 102334689 B1 KR102334689 B1 KR 102334689B1 KR 1020210095597 A KR1020210095597 A KR 1020210095597A KR 20210095597 A KR20210095597 A KR 20210095597A KR 102334689 B1 KR102334689 B1 KR 10233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ing
air
cupping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영
Original Assignee
이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영 filed Critical 이화영
Priority to KR102021009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로서, 제2 연결부 일측면에 공기홈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Combiner to join multiple cupping cup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는 진공정혈요법, 혈관정화 및 체질 개선에 사용되는 한방치료기기이다.
부항요법은 경혈상의 피부에 한쪽이 뚫린 부항기(컵)을 올려놓고 부항기 내측 공간부의 공기를 빼내어 부항기 내측을 음압(진공) 상태로 유지시켜 음압에 의해 피부가 부항기 내측으로 빨려들어가는 상태로 피부에 부착하여, 땀구멍을 통해 인체 내의 노폐물과 독소 내지 나쁜 피를 뽑아내는 한방 치료요법이다.
이러한 부항요법은 신체의 원활한 신진대사 및 피의 정화를 유발하며, 모세혈관의 확장과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노폐물 및 독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부를 치료하게된다.
전통적인 부항요법은 환부에 시술용 로션이나 알코올을 바르고 부항기 내에 알코올을 몇 방울 떨어뜨린 다음 부 항기 내에 불을 붙인 후 순간적으로 부항기를 환부에 엎어놓게 되면 부항기 내의 산소가 소진되면서 불은 꺼지 고 부항기 내부가 음압 상태로 환부를 흡착하여 부착되어 진다.
이와 같은 전통방식의 부항기는 주로 컵 형태의 도자기 제품을 사용하게된다. 상기 도자기 제품의 부항기는 사용시 부주의에 의해 깨지는 문제점과, 알코올에 불을 붙여 사용하는 등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부항 요법과는 달리 공기흡입수단을 갖는 부항기를 볼 수 있다.
공기흡입수단을 갖는 부항기는 부항기에 체크밸브를 가지며, 공기흡입펌프로 부항기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어, 부항기 내부를 음압을 발생하여 부항기를 환부에 부착함과 동시에 흡착력으로 땀구멍을 통해 인체 내의 노폐물이나 독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를 갖는 부항기는 공기 흡입 펌프와 같은 공기흡입수단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부항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신제품으로 실리콘부항기를 볼 수 있는데, 공개실용신안 20-2011-0004005(2011.04.22 공개)에서는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진 부항기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인체의 어느 부위나 관계없이 부항기를 부착하여 부항요법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소재의 부항기를 뒤집은 다음 신체부위에서 원상태로 다시 뒤집게 되면 부항기 내측의 공간부에 음압이 발생됨으로서 피부에 밀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등 부위 등과 같이 인체의 넓은 부위에 부항요법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 개의 부항기를 부착해야 하는데, 부착과정에서 근접한 부항기 상호 간에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 이상을 이격시킨 위치에 부착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부항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거나, 척추 부근과 같이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포되어 있는 경혈자리 위치에 정확하게 부항요법을 실시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 다수 개의 부항기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넓은 부위에 대한 부항요법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는, 제2 연결부 일측면에 공기홈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연결부는, 하단에는 부항기 본체가 다수 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홈을 통하여 상기 연결홈으로 공기가 유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홈으로부터 상기 부항기 본체로 연결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항기 본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공기홈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각 내부로 유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항기 본체는, 상단에 위치한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공기홈을 다른 연결부의 공기홈과 맞닿아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맞닿아 연결된 각 공기홈은 연결고리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고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드 형상의 납작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를 원형으로 말아 서로 맞닿게 되는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장치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조임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분할된 상기 결합판을 원터치 조립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판은, 일면상에 수직 관통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대해 관통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삽입된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원형으로 말린 밴드 형상의 상단부에 상방을 향해 양감되도록 포밍된 포밍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밍부는, 포밍된 중앙 정점에는 내외로 관통된 포밍홈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임부는, 조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의 상기 포밍부를 형성한 포밍된 요홈 자리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이탈방지턱은, 상기 조임홈이 자전 시 회전 가이드를 도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임부는, 상기 조임홈의 상단에 끼워쳐 일체로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용 부재는, 분할된 복수의 상기 결합판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함체의 저면이 개구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수용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되, 면상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의 일측 내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그립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사각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밀림부; 및 상기 밀림부의 상기 그립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밀림부가 상기 덮개의 상기 수용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밀림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은, 연결부 일측면에 홈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하단에 부항기 본체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홈을 통하여 공기가 유통 가능하도록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부항기 본체로 연결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항기 본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홈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각 내부로 유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항기 본체는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홈을 다른 연결부의 홈과 맞닿아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맞닿아 연결된 각 홈은 연결고리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고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드 형상의 납작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를 원형으로 말아 서로 맞닿게 되는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장치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조임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분할된 상기 결합판을 원터치 조립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판은, 일면상에 수직 관통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대해 관통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삽입된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원형으로 말린 밴드 형상의 상단부에 상방을 향해 양감되도록 포밍된 포밍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밍부는, 포밍된 중앙 정점에는 내외로 관통된 포밍홈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임부는, 조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의 상기 포밍부를 형성한 포밍된 요홈 자리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이탈방지턱은, 상기 조임홈이 자전 시 회전 가이드를 도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임부는, 상기 조임홈의 상단에 끼워쳐 일체로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용 부재는, 분할된 복수의 상기 결합판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함체의 저면이 개구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수용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되, 면상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의 일측 내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그립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사각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밀림부; 및 상기 밀림부의 상기 그립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밀림부가 상기 덮개의 상기 수용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밀림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은 2개 이상 다수 개의 부항기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넓은 부위에 대한 부항요법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500)은 연결부(510)의 일측면에 홈(590)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510)는 하단에 부항기 본체(550)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으며, 홈(590)을 통하여 공기가 유통 가능하도록 홈(590)으로부터 부항기 본체(550)로 연결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부항기 본체(5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연결부(51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와 홈(590)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각 내부로 유통될 수 있다.
부항기 본체(550)는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51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510)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홈(590)을 다른 연결부의 홈과 맞닿아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맞닿아 연결된 각 홈은 연결고리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연결고리는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00)는 제2 연결부(110) 일측면에 공기홈(190)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부(110)는 하단에는 부항기 본체가 다수 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홈(190)을 통하여 연결홈(150)으로 공기가 유통 가능하도록 공기홈(190)으로부터 부항기 본체로 연결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항기 본체(5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연결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와 공기홈(190)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각 내부로 유통될 수 있다.
부항기 본체는 상단에 위치한 제2 연결부(11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부(110)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공기홈(190)을 다른 연결부의 공기홈(190)과 맞닿아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맞닿아 연결된 각 공기홈은 연결고리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00)를 연결하는 연결고리(300)는 원형 링 형상의 연결부재(310)와, 연결고리를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조임부(320)와, 연결부재(310)의 분할된 결합판(312)을 원터치 조립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용 부재(3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310)는 밴드 형상의 납작한 고리부(311)를 원형으로 말아 서로 맞닿게 되는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절곡하여 결합판(312)을 형성하되, 맞닿은 결합판(312) 중 일 면상에는 수직 관통된 결합홈(31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10)는 상하로 분할된 결합판 중 어느 하나의 결합판(312) 일면상에 결합홈(3121)에 대해 관통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삽입된 결합홈(31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이탈방지턱(3342)을 형성한 결합핀(334)이 구비되며 원형으로 말린 밴드 형상의 상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양감되도록 포밍된 포밍부(313)에 포밍홈(3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결합판의 결합홈(3121)은 상부 결합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결합홈을 관통하는 결합핀은 결합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를 향해 절곡된 것으로 작업이 용이하고 부품수가 절감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일체로써 결합된 상단 결합판의 결합핀은 끼움결합부가 하단 결합판 아래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밀림부의 돌출부와 대응되어 체결되거나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판(312)은 판재 몸체를 외측으로 절곡한 것으로, 절곡된 너비는 결합홈에 끼워진 체결구가 상하 결합을 조장할 경우 스페너 등의 작업공구가 체결 회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밍부(313)는 원형으로 말린 고리부(311)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프레스하여 포밍한 것으로, 포밍된 중앙 정점에는 내외로 관통된 포밍홈(3131)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320)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홈(321)의 제1 이탈방지턱(3211)은 연결고리의 포밍부를 형성한 포밍된 요홈 자리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조임홈의 자전 시 회전 가이드를 도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임부의 제1 이탈방지턱(3211)은 포밍부(313)의 포밍된 내측으로 수용 결합 시 연결부재(310)의 내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사부(322)는 조임홈의 상단에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조임홈 상단부에 소정 피치로 나사산을 형성한 뒤 나사부의 암나사와 결합되어 나사 체결되고, 이때, 나사부의 내경 상단부로 돌출된 조임홈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절곡 시켜 나사부가 피치가 더 없는 하부로 이송되지도 못하고, 조임홈의 상단 절곡에 의해 외측으로도 이탈하지 못함으로써, 별도의 용접 없이도 조임홈과 나사부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형밴드는 절개된 결합판을 벌려 수갑을 채우듯 원형튜브를 붙잡아 체결구를 통해 간단히 결합한 후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00)로부터 돌출된 고정볼트와 결합 시 포밍부를 통해 돌출된 나사부를 돌려 상호 체결을 도모함에 있어서, 조임홈은 나사부와 일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고, 이에 포밍부의 포밍된 요홈자리에서 자전하는 조임홈의 제1 이탈방지턱은 원형튜브를 붙잡은 연결고리가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00)에 밀착되도록 조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결합용 부재(330)는 분할된 복수의 결합판(312)을 결합하기 위함으로 크게 덮개(331)와, 밀림부(332)와, 탄성부재(333)와, 결합핀(3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331)는 함체의 저면이 개구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되, 수용부 면상에는 포밍홈(311)이 형성되 고, 함체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사각 모따기가 형성되어 사각홈(3312)이 형성되며, 함체의 높이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걸림돌기(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밀림부(332)는 덮개(331)의 수용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되 면상에는 관통홈(3321)이 형성되고, 관통홈(3321)의 일측 내주면에는 돌출부(3322)가 형성되며, 면상 외주면 일측에는 그립부(3323)가 형성되어 덮개의 사각홈(33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33)는 밀림부의 그립부(3323) 반대측에 위치되어 밀림부(332)가 덮개의 수용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밀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핀(334)은 결합판의 결합홈(3121)에 대해 저면에서 상부로 관통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돌출된 면상에는 밀림부의 돌출부(3322)와 대응되는 끼움결합부(341)이 형성되고, 끼움결합부(341)과 대향되는 하단부에는 삽입된 결합홈(31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이탈방지턱(3342)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310)는 원형의 밴드 몸체가 일측 결합판(312)을 기준으로 상, 하 분할되어 각각 반원호 형상의 상, 하부판을 이루되, 결합판(312)의 반대측에는 "T자" 형 고리부(3411)가 형성된 고리형성부(341)과, 그 하부에 대응되어 "T자" 형 고리부(3411)가 끼움 결합되도록 일자형 끼움결합부(3421)이 타공된 연결홈(342)이 형성되어 분리결합부(34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 이송용 원형튜브를 체결하는 연결고리의 원활한 체결력을 도모하도록 결합판의 타측에 힌지 형태의 결속힌지부를 더 구성함으로써, 원형튜브의 체결이 작업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리부(3411)은 외측으로 양감 돌출(프레스) 되어 형성되는 한편, 이와 대응되는 끼움결합부 역시 외측으로 양감 돌출(프레스)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튜브의 외경과 맞닿는 연결고리의 내경측에 상술한 걸고리와 끼움결합부가 간섭되어 원형튜브의 고정을 들 뜨게 하거나 미관을 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고리는 끼움결합부와 결합 시 일측으로 비껴 삽입시킨 후 서로 면접되도록 맞닿게 한 뒤 서로의 힌지점에 대해 상, 하부로 당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 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300)의 결합용 부재(330)와 결합판(312)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딩부(400)는 한 쌍의 바디부(401, 403)와 바디부(401, 403)와 결합하는 하나의 고리형성부(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401)는 제1 상단부(402)와 제1 상단부(402)의 일 변에서 연장되면서 대략 45°정도 꺽어져서 형성된 제1 하단부(40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단부(402)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략 팔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각각의 변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400)에 따른 제1 상단부(402)는 도면에서 봤을 때 좌우 변의 길이가 다른 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제1 상단부(402)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각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 팔각형이 아닌 그 이상이나 이하의 각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상단부(402)의 모서리 변에는 연결핀(402a, 406a)이 형성될 수 있고, 모서리 변이 4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상단부(402)(406)마다 4개의 핀(102a)(10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모서리 변에 형성되는 연결핀은 서로 엇갈려서 형성될 수 있고, 상대방 몸통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핀(102a)(106a)은 상단부(402)(406)의 테두리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고리형성부(420)이 상단부(402)(406) 내부에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402)(406)의 내면 테두리에 테두리부(405, 409)가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이는 고리형성부(420)이 보다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결핀(402a, 406a)만으로 고리형성부(42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테두리부(405, 409)는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참고로, 수용공간을 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고리형성부(420)는 보다 더 안정된 자세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상단부(402)의 바깥면, 즉 작업자가 파지하는 면에는 파지부(410, 4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상단부(402)의 바깥면에 형성된 걸이부(110)는 엄지가 걸어지는 부분이고, 제2 상단부(406)의 바깥면에 형성된 걸이부(111)는 검지가 걸어지는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파지부(410, 411)는 힌지로 결합되어 상단부(402)(406)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404)(108)는 상단부(402)(406)의 일 변에서 대략 45°정도 꺽어져서 형성될 수 있고, 홀딩부(400)를 파지하고 작업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홈(404a, 408a)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고리형성부(42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고리돌출부(42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고리형성부(420)는 양단면에 소정 길이만큼 고리돌출부(4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고리돌출부(422)가 연결홈(404a, 408a)에 삽입되어 상단부(402)(406)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리돌출부(422)가 연결홈(404a, 408a)에 삽입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고리형성부(420)는 뒤틀림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연결홈(404a, 408a)에 끼워진 고리돌출부(42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홈(404a, 408a) 및 고리돌출부(422)에 돌기나 돌기홈을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고리형성부(420)는 탄성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단부(402)(406)는 초기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가 상단부(402)(406)를 양 방향에서 누르면 서로 밀착하게 될 수 있다. 이후에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상단부(402)(406) 사이는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초기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500: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Claims (3)

  1. 제2 연결부 일측면에 공기홈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하단에는 부항기 본체가 다수 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홈을 통하여 상기 연결홈으로 공기가 유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홈으로부터 상기 부항기 본체로 연결된 공기통로가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항기 본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공기홈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가 각 내부로 유통되고,
    상기 부항기 본체는,
    상단에 위치한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공기홈을 다른 연결부의 공기홈과 맞닿아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맞닿아 연결된 각 공기홈은 연결고리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연결고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드 형상의 납작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를 원형으로 말아 서로 맞닿게 되는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장치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조임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분할된 상기 결합판을 원터치 조립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은,
    일면상에 수직 관통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대해 관통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삽입된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결합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원형으로 말린 밴드 형상의 상단부에 상방을 향해 양감되도록 포밍된 포밍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밍부는,
    포밍된 중앙 정점에는 내외로 관통된 포밍홈이 가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부는,
    조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의 상기 포밍부를 형성한 포밍된 요홈 자리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탈방지턱은,
    상기 조임홈이 자전 시 회전 가이드를 도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조임홈의 상단에 끼워쳐 일체로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부재는,
    분할된 복수의 상기 결합판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함체의 저면이 개구되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수용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되, 면상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의 일측 내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그립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의 사각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밀림부; 및
    상기 밀림부의 상기 그립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밀림부가 상기 덮개의 상기 수용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밀림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5597A 2021-07-21 2021-07-21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KR10233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97A KR102334689B1 (ko) 2021-07-21 2021-07-21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97A KR102334689B1 (ko) 2021-07-21 2021-07-21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89B1 true KR102334689B1 (ko) 2021-12-02

Family

ID=7886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97A KR102334689B1 (ko) 2021-07-21 2021-07-21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62A (ko) * 2001-08-13 2003-02-20 윤성훈 멀티 부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862A (ko) * 2001-08-13 2003-02-20 윤성훈 멀티 부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686B1 (ko)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USD965789S1 (en) Blood pressure monitor
US7879013B2 (en) Intravenous catheter anchoring device
US9597098B2 (en) Skin tensioner for hair transplantation
US2003013964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organ tissue
US20120245529A1 (en) Anchoring device for a line in a skull bore hole
USD915897S1 (en) Heart shaped container
KR102334689B1 (ko) 복수 개의 부항컵을 결합하는 결합장치
US20200000546A1 (en) Pole clamp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CN106456288B (zh) 用于牙种植体的紧固系统
USD968186S1 (en) Polishing pad
USD983402S1 (en) Medical sample test device
CN202052029U (zh) 一次性输液袋输液器瓶塞穿刺器组合式可调节固定装置
USD987096S1 (en) Neck massage device
USD957635S1 (en) External medical fixation clamp
CN107669367B (zh) 一种兽医用动物束腿器
CN203539671U (zh) 一种穴位夹
USD963167S1 (en) Size adjustable device to cover and secure implantable devices in surgical applications
CN209154881U (zh) 一种防压疮医用输液三通保护器具
CN210962099U (zh) 一种挑刺美容针
CN109847131A (zh) 一种腕带式透析血路管的磁吸固定装置
USD970734S1 (en) Pad for surgical boot
CN211357427U (zh) 一种新型面部美容针
US11931046B2 (en) Simplified field use junctional tourniquets
USD1006594S1 (en) Cross brace for a table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