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367B1 - 복합형 부항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 부항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4367B1 KR102424367B1 KR1020220055795A KR20220055795A KR102424367B1 KR 102424367 B1 KR102424367 B1 KR 102424367B1 KR 1020220055795 A KR1020220055795 A KR 1020220055795A KR 20220055795 A KR20220055795 A KR 20220055795A KR 102424367 B1 KR102424367 B1 KR 102424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ping
- cup
- variable
- fixed plat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항컵이 나사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부항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형 부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부항컵이 나사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부항장치에 대한 것이다.
부항이란 항아리를 붙인다는 뜻으로, 부항컵을 이용한 부항 요법은 한방 요법 및 물리 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소의 뿔을 재료로 관을 만들어 사용하여 각법 또는 흡각 요법이라고도 하였다.
상술한 부항 용법은 습식 부항과 건식 부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숩식 부항은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를 먼저 침으로 찔러 피부를 손상시킨 후, 그 자리에 부항컵을 붙여 피를 뽑아내는 방법으로서, 통증, 관절통, 종기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건식 부항은 침을 놓지 아니하고, 그대로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부항컵을 위치시키고, 상기 부항컵 내의 공기를 빼내어 혈관을 확장시키고 근육을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돕고, 피부에 탄력을 주고 지방이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는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키는 부항컵과 상기 부항컵 내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만드는 흡입장치로 구성되며,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상기 부항컵을 위치시키고 상기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부항컵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시술부위의 피부 일부가 부항컵의 내부로 흡입되어 근육이 풀리고 신경이 안정되며, 피부의 땀구멍이 열리게 되어 그 땀구멍을 통해 모세관에 존재하는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 등이 유출되어 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 또는 고름을 뽑아내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부항컵 내부에 형성된 음압을 시술하는 동안 오래 유지시키는 것은 부항 효과를 높이는 중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항시술은 등 부위 등과 같이 인체의 넓은 부위에 부항요법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 개의 부항기를 부착해야 하는데, 부착과정에서 근접한 부항기 상호 간에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 이상을 이격시킨 위치에 부착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부항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거나, 척추 부근과 같이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포되어 있는 경혈자리 위치에 정확하게 부항요법을 실시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부항컵을 나사방식으로 탈부착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갯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개별부항컵이 나사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부항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형부항장치는,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별부항컵이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복합연결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으로 치료하기 위해 복합연결부재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측연결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타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으로 치료하기 위해 복합연결부재 타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측연결부재와, 외부의 에어흡입라인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합연결부재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흡입커넥터와, 개별부항컵에 형성되는 결합커넥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측연결부재 일측과 제2측연결부재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컵결합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의 환부에 밀착되어 치료하도록 제1측연결부재와 제2측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컵결합부재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개별부항컵과, 개별부항컵 일측으로 컵결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커넥터와, 개별부항컵 내부의 공기가 에어흡입라인 측으로 이동되도록 결합커넥터 내부와 컵별합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에어흡입구와, 복합연결부재와 제1측연결부재와 제2측연결부재 내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에어흡입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형부항장치는, 환부의 굴곡에 다라 부항컵이 조절되어 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부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조절부는, 제1측연결부재 일측면과 제2측연결부재 일측면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플레이트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는 가변플레이트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에어흡입라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가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가변주름관과, 부항컵과 가변플레이트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변주름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부항컵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주름관과, 환부의 굴곡에 따라 부착되는 부항컵이 가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가변플레이트와 부항컵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부착회전힌지와, 고정플레이트를 기준으로 가변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실린더와, 조절실린더의 구동시 가변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주도록 일측면이 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가변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조절실린더의 구동시 부항컵이 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가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가압센서와, 가변플레이트의 가변시 고정플레이트를 슬라이드 관통하도록 하여 가변플레이트의 가변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타측이 바고정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고정플레이트의 관통시 고정플레이트와 가이드바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와 가이드바 사이에 형성되는 바베어링과, 가이드바의 일측을 가변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변플레이트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바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 복수개의 부항컵을 치료부위에 맞게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 치료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부착조절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개별세척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회전지압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부착조절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개별세척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회전지압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합형부항장치(100)는 복수개의 개별부항컵(115)이 나사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형부항장치(100)는 복합연결부재(110), 제1측연결부재(111), 제2측연결부재(112), 에어흡입커넥터(113), 컵결합부재(114), 개별부항컵(115), 결합커넥터(116), 에어흡입구(117), 에어흡입라인(1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연결부재(110)는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별부항컵(115)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합연결부재(1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연결부재(111)는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115)으로 치료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측연결부재(111)는 복합연결부재(110)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연결부재(112)는 척추를 중심으로 타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115)으로 치료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연결부재(112)는 복합연결부재(110) 타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흡입커넥터(113)는 외부의 에어흡입라인(118)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흡입커넥터(113)는 복합연결부재(110)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결합부재(114)는 개별부항컵(115)에 형성되는 결합커넥터(116)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컵결합부재(114)는 제1측연결부재(111) 일측과 제2측연결부재(112)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별부항컵(115)은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의 환부에 밀착되어 치료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별부항컵(115)은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컵결합부재(114)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커넥터(116)는 개별부항컵(115) 일측으로 컵결합부재(11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흡입구(117)는 개별부항컵(115) 내부의 공기가 에어흡입라인(118)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흡입구(117)는 결합커넥터(116) 내부와 컵별합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흡입라인(118)은 복합연결부재(110)와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 내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부착조절부(200)를 적용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조절부(200)는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착조절부(200)는 환부의 굴곡에 다라 부항컵이 조절되어 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조절부(200)는 고정플레이트(210), 가변플레이트(211), 가변주름관(212), 회전주름관(213), 부착회전힌지(214), 조절실린더(215), 가압부재(216), 가압센서(217), 가이드바(218), 바베어링(219), 바고정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제1측연결부재(111) 일측면과 제2측연결부재(112) 일측면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211)는 고정플레이트(2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플레이트(210)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주름관(212)은 고정플레이트(210)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는 가변플레이트(211)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에어흡입라인(118)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주름관(212)은 일측이 가변플레이트(211)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주름관(213)은 부항컵과 가변플레이트(211)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변주름관(212)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주름관(213)은 일측이 부항컵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변플레이트(211)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회전힌지(214)는 환부의 굴곡에 따라 부착되는 부항컵이 가변플레이트(211)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회전힌지(214)는 가변플레이트(211)와 부항컵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실린더(215)는 고정플레이트(210)를 기준으로 가변플레이트(211)가 일정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실린더(215)는 고정플레이트(2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216)는 조절실린더(215)의 구동시 가변플레이트(211)를 밀거나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216)는 일측면이 조절실린더(215)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가변플레이트(211)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센서(217)는 조절실린더(215)의 구동시 부항컵이 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센서(217)는 가압부재(216)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바(218)는 가변플레이트(211)의 가변시 고정플레이트(210)를 슬라이드 관통하도록 하여 가변플레이트(211)의 가변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바(218)는 일측이 고정플레이트(210)를 관통하고, 타측이 바고정부재(220)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베어링(219)은 고정플레이트(210)의 관통시 고정플레이트(210)와 가이드바(218)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베어링(219)은 고정플레이트(210)와 가이드바(218)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부재(220)는 가이드바(218)의 일측을 가변플레이트(211)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고정부재(220)는 가변플레이트(211)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개별세척부(300)를 적용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별세척부(300)는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별세척부(300)는 부항컵의 미사용시 살균액을 분사하여 부항컵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별세척부(300)는 부재회전힌지(310), 금속회전부재(311), 가변바(312), 부재바(313), 압축부재(314), 스프링가변홈(315), 가변스프링(316), 챔버회전힌지(317), 세척챔버(318), 항균패드(319), 밀착패드(320), 흡입구(321), 흡입팬(322), 살균액분사홀(323), 살균액펌프(324), 거치마그네틱(3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회전힌지(310)는 금속회전부재(311)가 제1측연결부재(111)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회전힌지(310)는 금속회전부재(311)와 제1측연결부재(111) 사이에 형성되며, 금속회전부재(311)가 제2측연결부재(112)에서 회전되도록 금속회전부재(311)와 제2측연결부재(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회전부재(311)는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부재회전힌지(3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바(312)는 금속회전부재(311)로부터 가변스프링(316)에 의해 일정 간격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바(312)는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금속회전부재(311)의 일측으로 부재바(313)에 의해 각각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바(313)는 가변바(312)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스프링가변홈(315) 내에 삽입되어 가변스프링(316)에 의해 압축과 이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바(313)는 금속회전부재(3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부재(314)는 금속회전부재(311)로부터 가변바(312)를 당김에 따라 가변스프링(316)을 압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부재(314)는 부재바(3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가변홈(315)은 가변스프링(316)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가변홈(315)은 가변바(312)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스프링(316)은 가변바(312)의 당김시 압축부재(314)에 의해 압축되거나, 이완시 가변바(312)를 금속회전부재(311)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스프링(316)은 스프링가변홈(315)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회전힌지(317)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변바(312)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회전힌지(317)는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변바(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챔버(318)는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챔버회전힌지(317)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패드(319)는 부항컵의 개구면에 밀착되어 부항컵 내부의 항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항균패드(319)는 세척챔버(318) 일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320)는 부항컵의 개구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320)는 항균패드(319)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321)는 부항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321)는 항균패드(319)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팬(322)은 흡입구(321)를 통해 부항컵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팬(322)은 세척챔버(318) 내부로 형성되어 일측이 흡입구(321)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액분사홀(323)은 살균액펌프(324)의 구동시 부항컵 내부로 살균액이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액분사홀(323)은 항균패드(319)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액펌프(324)는 살균액분사홀(323) 측으로 살균액을 고압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액펌프(324)는 세척챔버(318)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마그네틱(325)은 세척완료 후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금속회전부재(311)를 자성에 의해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마그네틱(325)은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회전지압부(400)를 적용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압부(400)는 복합형부항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지압부(400)는 환부에 부착되는 부항컵을 회전시켜 환부에 지압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압부(400)는 고정부항컵(410), 회전지지단(411), 회전부항컵(412), 회전단(413), 밀폐가스켓(414), 회전기어(415), 회전모터(416), 구동기어(417), 회전벨트(41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항컵(410)은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 일측으로 각각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단(411)은 회전부항컵(412) 상부로 형성되는 회전단(413)이 걸려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지지단(411)은 고정부항컵(410)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항컵(412)은 회전모터(416)의 회전시 고정부항컵(410)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항컵(412)은 고정부항컵(4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단(413)은 회전지지단(411)에 걸려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단(413)은 회전부항컵(412) 상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가스켓(414)은 회전부항컵(412)의 회전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가스켓(414)은 회전지지단(411)과 회전단(41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기어(415)는 구동기어(417)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부항컵(41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기어(415)는 회전부항컵(412) 상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416)는 구동기어(417)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모터(416)는 제1측연결부재(111)와 제2측연결부재(112)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417)는 회전모터(416)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기어(415)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417)는 회전모터(416)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벨트(418)는 구동기어(417)의 회전동력을 회전기어(415)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벨트(418)는 구동기어(417)와 회전기어(415) 간의 상호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합형부항장치
110 : 복합연결부재 111 : 제1측연결부재
112 : 제2측연결부재 113 : 에어흡입커넥터
114 : 컵결합부재 115 : 개별부항컵
116 : 결합커넥터 117 : 에어흡입구
118 : 에어흡입라인
200 : 부착조절부 210 : 고정플레이트
211 : 가변플레이트 212 : 가변주름관
213 : 회전주름관 214 : 부착회전힌지
215 : 조절실린더 216 : 가압부재
217 : 가압센서 218 : 가이드바
219 : 바베어링 220 : 바고정부재
300 : 개별세척부 310 : 부재회전힌지
311 : 금속회전부재 312 : 가변바
313 : 부재바 314 : 압축부재
315 : 스프링가변홈 316 : 가변스프링
317 : 챔버회전힌지 318 : 세척챔버
319 : 항균패드 320 : 밀착패드
321 : 흡입구 322 : 흡입팬
323 : 살균액분사홀 324 : 살균액펌프
325 : 거치마그네틱
400 : 회전지압부 410 : 고정부항컵
411 : 회전지지단 412 : 회전부항컵
413 : 회전단 414 : 밀폐가스켓
415 : 회전기어 416 : 회전모터
417 : 구동기어 418 : 회전벨트
110 : 복합연결부재 111 : 제1측연결부재
112 : 제2측연결부재 113 : 에어흡입커넥터
114 : 컵결합부재 115 : 개별부항컵
116 : 결합커넥터 117 : 에어흡입구
118 : 에어흡입라인
200 : 부착조절부 210 : 고정플레이트
211 : 가변플레이트 212 : 가변주름관
213 : 회전주름관 214 : 부착회전힌지
215 : 조절실린더 216 : 가압부재
217 : 가압센서 218 : 가이드바
219 : 바베어링 220 : 바고정부재
300 : 개별세척부 310 : 부재회전힌지
311 : 금속회전부재 312 : 가변바
313 : 부재바 314 : 압축부재
315 : 스프링가변홈 316 : 가변스프링
317 : 챔버회전힌지 318 : 세척챔버
319 : 항균패드 320 : 밀착패드
321 : 흡입구 322 : 흡입팬
323 : 살균액분사홀 324 : 살균액펌프
325 : 거치마그네틱
400 : 회전지압부 410 : 고정부항컵
411 : 회전지지단 412 : 회전부항컵
413 : 회전단 414 : 밀폐가스켓
415 : 회전기어 416 : 회전모터
417 : 구동기어 418 : 회전벨트
Claims (3)
- 복수개의 개별부항컵이 나사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부항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부항장치는,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별부항컵이 위치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복합연결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으로 치료하기 위해 복합연결부재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측연결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타측방향의 환부에 개별부항컵으로 치료하기 위해 복합연결부재 타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측연결부재와,
외부의 에어흡입라인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합연결부재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흡입커넥터와,
개별부항컵에 형성되는 결합커넥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측연결부재 일측과 제2측연결부재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컵결합부재와,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의 환부에 밀착되어 치료하도록 제1측연결부재와 제2측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컵결합부재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개별부항컵과,
개별부항컵 일측으로 컵결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커넥터와,
개별부항컵 내부의 공기가 에어흡입라인 측으로 이동되도록 결합커넥터 내부와 컵결합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에어흡입구와,
복합연결부재와 제1측연결부재와 제2측연결부재 내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에어흡입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형부항장치는,
환부의 굴곡에 따라 부항컵이 조절되어 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부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조절부는,
제1측연결부재 일측면과 제2측연결부재 일측면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플레이트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로부터 간격이 조절되는 가변플레이트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에어흡입라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가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가변주름관과,
부항컵과 가변플레이트 사이에서 부항컵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변주름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부항컵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홀에 연결 형성되는 회전주름관과,
환부의 굴곡에 따라 부착되는 부항컵이 가변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가변플레이트와 부항컵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부착회전힌지와,
고정플레이트를 기준으로 가변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 양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실린더와,
조절실린더의 구동시 가변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겨주도록 일측면이 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가변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조절실린더의 구동시 부항컵이 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가압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가압센서와,
가변플레이트의 가변시 고정플레이트를 슬라이드 관통하도록 하여 가변플레이트의 가변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고, 타측이 바고정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고정플레이트의 관통시 고정플레이트와 가이드바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와 가이드바 사이에 형성되는 바베어링과,
가이드바의 일측을 가변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변플레이트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바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부항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5795A KR102424367B1 (ko) | 2022-05-05 | 2022-05-05 | 복합형 부항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5795A KR102424367B1 (ko) | 2022-05-05 | 2022-05-05 | 복합형 부항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4367B1 true KR102424367B1 (ko) | 2022-07-22 |
Family
ID=8260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5795A KR102424367B1 (ko) | 2022-05-05 | 2022-05-05 | 복합형 부항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436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098B1 (ko) * | 2001-08-13 | 2004-07-30 | 주식회사 리더스메디텍 | 멀티 부항기 |
KR20190121529A (ko) | 2018-04-18 | 2019-10-28 | 이건왕 | 부항컵 |
KR102334686B1 (ko) * | 2021-07-21 | 2021-12-02 | 이화영 |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
-
2022
- 2022-05-05 KR KR1020220055795A patent/KR1024243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098B1 (ko) * | 2001-08-13 | 2004-07-30 | 주식회사 리더스메디텍 | 멀티 부항기 |
KR20190121529A (ko) | 2018-04-18 | 2019-10-28 | 이건왕 | 부항컵 |
KR102334686B1 (ko) * | 2021-07-21 | 2021-12-02 | 이화영 | 복수 개로 연결된 부항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368046B (zh) | 药物注入用顶端件、手持件及皮肤处理装置 | |
CN104168868A (zh) | 体形塑造与皮肤调理的改进设备及方法 | |
US20170196759A1 (en) |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low pressure suction apparatus | |
EP0995417B1 (en) | Massage apparatus | |
CN110946637B (zh) | 一种儿科临床用穿刺针 | |
KR102424367B1 (ko) | 복합형 부항장치 | |
CN209269754U (zh) | 一种提高自体脂肪成活率的移植器 | |
KR20190121529A (ko) | 부항컵 | |
CN112545855A (zh) | 一种能检测、磁疗、用药式按摩呼吸拔罐的多功能治疗仪 | |
CN103142392A (zh) | 电动式刮痧装置 | |
CN109172326A (zh) | 一种深层肌肉和肌筋膜松解多头振击器 | |
US20110237986A1 (en) |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massaging apparatus, and massaging apparatus | |
KR102424350B1 (ko) | 거북목 부항장치 | |
AU2015270361B2 (en) | Massage head and massage apparatus using such a head | |
CN207413963U (zh) | 一种火罐清洗机 | |
CN205924730U (zh) | 多功能超声波肢体清创治疗机 | |
CN210612598U (zh) | 清瘀排毒仪用的拔罐及清瘀排毒仪 | |
CN208627993U (zh) | 一种用于清洗医用器械的真空超声清洗装置 | |
CN210228750U (zh) | 一种吸脂用插入式喷射针头 | |
CN218280169U (zh) | 一种中医临床用消毒装置 | |
KR102614090B1 (ko) | 지방 흡입 수술용 캐뉼라 | |
CN204951828U (zh) | 旋转偏心钝针定向连续吸脂注射器 | |
CN216169131U (zh) | 一种痛风创面负压引流装置 | |
CN215306481U (zh) | 一种带有注射结构的胸腔穿刺器 | |
CN215308091U (zh) | 一种中医护理康复用拔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