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305A - 배출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출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305A
KR20030014305A KR1020030002574A KR20030002574A KR20030014305A KR 20030014305 A KR20030014305 A KR 20030014305A KR 1020030002574 A KR1020030002574 A KR 1020030002574A KR 20030002574 A KR20030002574 A KR 20030002574A KR 20030014305 A KR20030014305 A KR 2003001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topper
assembly
packaging container
fil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3000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305A/ko
Publication of KR2003001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305A/ko
Priority to JP2004570350A priority patent/JP2006506292A/ja
Priority to AU2003284736A priority patent/AU2003284736A1/en
Priority to US10/535,374 priority patent/US7677422B2/en
Priority to EP03774276A priority patent/EP1585680A4/en
Priority to PCT/KR2003/002517 priority patent/WO2004045977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배출대 어셈블리(SPOUT ASSEMBLY)
(2)발명의 목적
일반적인 배출대는 연포장용기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그 연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역활을 하고 있으나, 밀폐성과 작업성이 나쁜 폐단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접착되어 배출구 역활을 하는 배출대는 배출대마개를 수용하는 구부와, 상기한 배출대를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일체화시키는 접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구부의 내벽 상단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그 단턱의 내벽부에는 밀폐용접철부를 형성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밀폐력이 보강된 바, 작업성이 우수한 것과, 그리고 개봉이 용이하여 어린아이들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성이 향상되어 고속자동화가 가능한 것과, 필요에 따라 흡음하는 것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트로를 수용 할 수 있는 등의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출대 어셈블리{SPOUT ASSEMBLY}
본 발명은 배출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는 일반적인 스크류방식의 배출대가 범용으로 사용되었고, 상기한 기술의 개량된 것으로는 본 발명인의 미국특허 6,435,383호 등이 있다.
일반절인 배출대는 연포장용기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그 연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역활을 하고 있다.
상기한 배출대의 기술이 부존재할때는 그 연포장용기의 모서리 부위를 가위로 잘라내 배출구를 형성하였던 것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발전이 있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대량유통,대량소비의 문화가 실현되는 이 때에 종전의 배출대는 그 역활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상과 폐단을 극복하기 위하여, 동종 업계에서는 수 많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있는데, 그 일부류는, 배출대의 상부에 씌워지는 배출대마개가 밀폐가 잘되어 누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다른 부류는, 배출대와 연포장용기 사이에 접착성이 좋아 용기의 기밀성이 좋은 제조시스템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대와 마개 사이에 발생하는 밀폐성과, 배출대와 연포장용기(필름면) 사이에 발생하는 기밀성은 대량생산과 그 생산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서 발생하는 수반행위이다.
본 발명은 대량생산, 고속생산에서 발생하는 품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대가 장착된 용기를 개봉할때에 힘이 적게 들어 가도록 설계하여 노약자나 어린아이들도 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 짜먹는 것 또는 그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가능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출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출대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출대를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 배출대의 일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 배출대의 일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 배출대 구부에 배출대마개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완성된 결합도.
도 8 은 배출대의 걸림돌기형성부에 매출대마개의 스커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9 는 도 8 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개봉과정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배출대의 종단면도.
도 11∼도 13 은 본 발명 배출대 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 배출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배출대 구부에 조립되는 배출대마개의 종단면도.
도 16 은 배출대마개의 평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배출대에 별도의 배출장치(스트로)를 결합하여 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출대 101 : 구부
102 : 접착부 102' : 보강접착부
103 : 구부환단부 104 : 단턱
105 : 제1내벽부 106,106' :밀폐용접철부
107, 208 : 나사산 108 : 스커트고정부
109 : 걸림돌기형성부 110 : 걸림돌기
111 : 제1공간 112 : 제2공간
113,114 : 안내부 115, 402 : 배출공
116 : 제2내벽부 117 : 배출유도부
200 : 배출대마개 201 : 내마개
202 : 구부환단부삽입홈 203 : 스커트
2044 : 탄력편 205 : 연결부
206 : 측면부 207 : 측면부
300 : 연포장용기 400 : 스트로
401 : 측면배출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대의 구부에 밀폐용접철부를 두고, 상기한 밀폐용접철부에 밀착되어 그 행위를 수반하는 배출대마개에 내마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배출대의 걸림돌기형성부와 배출대마개의 스커트사이에는 시간차를 두고 연결부를 파괴할 수 있도록 유격이 형성된 기술을 부가하였다.
또한 배출대의 접착부는 외형의 돌출 정도가 차이가 나게 하여, 필름면을 배출대의 접착부에 접착되게 하는 실바의 균질도가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실링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배출대 구부에 스트로를 내입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을 빨아 먹거나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스트로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측면배출공을 형성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배출대에 별도 장착되는 스트로의 단부는 배출대마개의 내마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대(100)는 배출대마개(200)를 수용하는 구부(101)와 배출대(100)를 용기의 필름면에 접착시키는 접착부(10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101)의 상단에는 구부환단부(103)가 형성되고, 단턱(104)으로 구분된 다소 넓은 형태의 제1내벽부(105)에는 하향으로 접철(뒤집히는 것)이 가능한 일정 크기의 환테형의 밀폐용접철부(106)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부(101)에는 배출대마개(200)를 수용하는 나사산(107)이나 또는 원터치형의 걸림턱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부(101)와 접착부(102)의 사이에는 스커트고정부(108)와 걸림돌기(110)가 있는 걸림돌기형성부(109)를 형성한 것임과, 접착부(102)와 제1공간(111)의 사이에는 제2공간(112)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100)의 하단에는 접착부(102)가 용포장용기(3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부(113, 114)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착면(102)에 연포장용기(300)의 필름면이 접착되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연포장용기(300)의 상단부가 접착부(102)에 녹아 접착되는 과정에 그 용융물이 제2공간(112)으로 흘러 내리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 은 밀폐용접철부(106)의 역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도 6 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부(101)에 배출대마개(200)가 조립되는 과정에 내마개(201)가 밀폐용접철부(106)를 하방으로 접철시키면서 결합되며, 그 과정의 결과가 도 7 과 같은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개(201)의 외벽부가 밀폐용접철부(106)에 탄력적으르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내마개(201)의 외환부에는 구분환단삽입홈(202)을 두고 배출대(100)의 구부환단부(102)에 긴히 밀착 삽입되어 밀폐력을 보강한 특징도 있다.
도 8 내지 도 9 는 걸림돌기형성부(109)와 관련된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형성부(109)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기(110)와 그 걸림돌기(110)에 걸려 연결부(205)를 파괴하는 용도의 탄력편(204)은 각각 그 유격을 달리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8 에서 부호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유격 「A, B, C, D」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사용시는 유격의 차가 협소한 「A」위에 있는 연결부가 먼저 파괴되고, 최후에 유격의 차가 큰 부위에 위치한 「D」부위의 연결부(205)가 파괴되는 특징의 것이다.
그 목적이 상기한 바, 각각의 유격은 지정 부위를 순차적으로 하거나, 불규칙하게 하는 등 다양할 수 있고, 또한 스커트(203)의 연결부(205)를 파괴하는 것 외에 필요에 따라 스커트(203)에 측면절취선을 형성하고 그 측면절취선을 파괴하여 스커트(203)를 파괴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는 「A」부위에 위치한 턴력편(204)이 걸림돌기(110)에 제일 먼저 접촉되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0 은 밀폐용접철부(106')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고, 그 사용에 있어서도, 내마개(201)에 의해서 접철이 되는 것과, 먼저 밀폐용접철부(106, 106')를 하방으로 접철시켜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 은 다양한 형태의 접철부(106')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는 접착부(102)의 보강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02)에는 그 접착부(102) 군 보다도 더 돌향된 보강접착부(102')를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는 것이며, 그 사용시는 실바의 형태의 변형 또는 실바에 주어지는 기계적인 압력의 변화에 의해 실바가 용기필름면을 접착부(102)에 가압하는 힘이 느슨할지라도 보강접착부(102')는 이를 예상하여 형성한 것인 바 그 접착성의 변화는 어느정도 예방되는 것이다.
그 이유가 상기한 바, 접착부(102)는 그 외형의 차가 지게 각 구성하거나 또는 보강접착부(102' )가 녹을 때 그 용융물이 이동할 수 있는 등의 구조는 당연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6 은 배출대마개(200)를 나타내 보이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부(206)의 하방에 스커트(203)가 연결부(205)로 연결되고, 그 스커트(203)의 내벽부에는 일정 하단에 탄력편(204)이 일정 각도의 배열에 의해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고, 상면부(207)의 저부에는 내마개(201)와 구부환단삽입홈(202)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17 은 배출대(100)에 연포장용기(300)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인스트로(400)를 조립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400)는 배출대(100)의 구부(101)를 중심으로 조립되어 구부(101)와 스트로(400) 사이에는 밀폐력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 사용시는 연포장용기(300)를 가압하거나 쥐어 짜게 되면 그 내용물이 배출공(402)이나 측면배출공(401)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로(400)의 단부를 빨아 내용물을 흡음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용물이 남을 경우, 스트로(400)의 단부에 배출대마개(200)를 씌우게 되면 내마개(201)가 스트로(400) 단부의 내벽에 조립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출대(100) 하방에는 일정 길이의 배출유도부(117)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밀폐력이 보강된 바, 작업성이 우수한 것과, 그리고 개봉이 용이하여 어린아이들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성이 향상되어 고속자동화가 가능한 것과, 필요에 따라 흡음하는 것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트로를 수용할 수 있는 등의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접착되어 배출구 역활을 하는 배출대는 배출대마개를 수용하는 구부와, 상기한 배출대를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일체화시키는 접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구부의 내벽 상단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그 단턱의 내벽부에는 밀폐용접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접철부는 환테형이고, 하방으로 접철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접철부는 그 상방에 조립되는 내마개에 의해서 밀폐가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접철부가 있는 구부의 상단에는 구부환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접철부는 그 상부에 씌워지는 배출대마개의 내마개에 의해서 하방으로 접철되고, 그와 동시 내마개의 내벽부가 밀폐용접철부를 탄력적으로 확장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의 하방에는 배출대마개의 스커트를 수용하는 걸림돌기형성부를 구성하고, 그 걸림돌기형성부에 있는 걸림돌기와 탄력편을 갖고 있는 스커트의 탄력편은 일정 유격을 형성하여 탄력편이 부위에 위치한 연결부가 순차적이나 또는 불규칙하게 파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접철부는 구부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상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하방에는 배출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출대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외환으로는 선택적으로 보강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0.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접착되어 배출구 역활을 하는 배출대는 배출대마개를 수용하는 구부와, 상기한 배출대를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일체화시키는 접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접착부의 외환부에는 선택적으로 보강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1.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접착되어 배출대 역활을 하는 배출대는 배출대마개를수용하는 구부와, 상기한 배출대를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일체화시키는 접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배출대마개는 배출대의 걸림돌기 형성부에서 일정 시간차를 두고 배출대마개의 스커트가 파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마개의 스커트를 수용하는 걸림돌기형성부를 구성하고, 그 걸림돌기형성부에 있는 걸림돌기와 탄력편을 갖고 있는 스커트의 탄력편은 일정 유격을 형성하여 탄력편의 부위에 위치한 연결부가 순차적이나 또는 불규칙하게 파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접착부 상방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에는 내용물배출용 흡배출하는 스트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5.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접착되어 배출구 역활을 하는 배출대는 배출대마개를 수용하는 구부와, 상기한 배출대를 연포장용기의 필름면에 일체화시키는 접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배출대의 구부를 중심으로 하여는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용도의 배출장치인 스트로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는 배출대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배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대 어셈블리.
KR1020030002574A 2002-11-20 2003-01-10 배출대 어셈블리 KR20030014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74A KR20030014305A (ko) 2003-01-10 2003-01-10 배출대 어셈블리
JP2004570350A JP2006506292A (ja) 2002-11-20 2003-11-20 液体容器の排出アセンブリ
AU2003284736A AU2003284736A1 (en) 2002-11-20 2003-11-20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10/535,374 US7677422B2 (en) 2002-11-20 2003-11-20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EP03774276A EP1585680A4 (en) 2002-11-20 2003-11-20 TUBE ASSEMBLY FOR A LIQUID RESERVOIR
PCT/KR2003/002517 WO2004045977A1 (en) 2002-11-20 2003-11-20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74A KR20030014305A (ko) 2003-01-10 2003-01-10 배출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305A true KR20030014305A (ko) 2003-02-15

Family

ID=2773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574A KR20030014305A (ko) 2002-11-20 2003-01-10 배출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3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5673B (zh) 分配封口、使用分配封口的方法以及包括分配封口的容器
US6321977B1 (en) Drinking container
CN106458415B (zh) 包装袋
USD476892S1 (en) Liquid dispensing cap
US7677422B2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20080111126A (ko) 파열 펌프를 구비한 밀봉 제품 전달 유닛
JP2005029275A (ja) 液体充填容器用排出口組立体
AU633010B2 (en) A discharging device for a packaging container
KR20030014305A (ko) 배출대 어셈블리
KR200206853Y1 (ko) 일회용 약봉지
USD474109S1 (en) Connector for use in packaging aerosol containers
KR200397706Y1 (ko) 포장용 봉지
CN210259458U (zh) 一种新型玻璃瓶瓶盖
JP5844619B2 (ja) 食品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調味料注入方法
TW202202121A (zh) 容器
CN217416469U (zh) 提拉式瓶盖
CN218663166U (zh) 一种具有新型开口的密封包装袋
KR200195267Y1 (ko) 아크릴제 진공 장갑 상자
KR20010070639A (ko) 내용물 유출용 배출부가 있는 액체충전용기와 그 배출부의구조
JPH02152652A (ja) 薬液容器
KR20030019290A (ko) 스파우트 구조
JPH0891446A (ja) 密封袋
KR20030019291A (ko) 스파우트 구조
CN201481802U (zh) 塑料瓶口服液包装
KR101070152B1 (ko) 연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배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