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245A - 분만 의자 - Google Patents

분만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245A
KR20030014245A KR1020027015987A KR20027015987A KR20030014245A KR 20030014245 A KR20030014245 A KR 20030014245A KR 1020027015987 A KR1020027015987 A KR 1020027015987A KR 20027015987 A KR20027015987 A KR 20027015987A KR 20030014245 A KR20030014245 A KR 2003001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hair
slide
seat bas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394B1 (ko
Inventor
맛씨아스 도르너이에르
롤프 브론네르
Original Assignee
마쿠에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쿠에트 아게 filed Critical 마쿠에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1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05Chairs specially adapted for gynaecological purposes, e.g. obstetrical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009Obstetrical tables or delivery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받이(10)와 상기 축받이에 배치된 좌석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부가 좌석 베이스(22), 등받이(24) 및 상기 좌석 베이스(22)의 양측에 위치되며 후자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한 다리지지대(28)들로 구성된 분만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만의자는 실질적으로 수평 분만대(32)를 구비하며, 상기 분만대는 거의 완전하게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에 놓인 제 1위치와, 수직 단면도로 도시할 때, 좌석 베이스(22)의 전방의 다리 지지대(28)들 사이에 있는 제 2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분만의자에 부착된다.

Description

분만 의자{BIRTHING CHAIR}
분만의자는 업계에서 예를 들면, 이른바 마야 호커(Mayahocker) 또는 비탈룩스(Vitalux) 분만의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명들에서는 분만 여성이 겉천을 깐 좌석 가장자리에 앉고 아이를 바닥 방향의 아래쪽으로 분만하게 되어; 대략 45cm의 높이에서 아이가 떨어지는 것에 대응한 안전 수단이 없었으므로, 분만 의자 아래에 매트를 펼친다.
게다가, 분만 의자들은 좌석 베이스에 지지된 다리부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이는 상기 다리부에서 분만되고 상기 다리부는 분만 장소로 슬라이드 가능하거나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아이가 분만 중 떨어질 위험은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파 또는 의사의 접근은 그 대형의 다리부에 의해 제한된다. 다리부에 앉아 있는 산파의 회전된 자세는 산파에게 허리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급격히 지치게 한다.
본 발명은 축받이와, 상기 축받이에 장착되며 좌석 베이스, 등받이, 상기 좌석 베이스의 측방으로 그리고 전방에 위치한 다리 지지대들을 구비한 좌석부를 포함한 분만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분만대를 구비한 분만 의자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
도 2는 분만대와 그 슬라이드 안내부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해제 위치에 잠금 볼트를 구비한 도 2에 Ⅴ로 지시된 부분의 확대 도시도.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아이가 떨어지는 위험이 제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산파와 의사를 위한 인체 공학적인 유리한 조건의 분만 의자를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좌석 베이스 아래에 전체가 배치되는 제 1 위치와, 좌석 베이스의 전방의 다리 지지대들 사이에 놓인 -수직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사용 위치 사이에 이동을 위해 분만 의자에 장착된 본질적으로 수평인 분만대에 의해 해결된다.
제 2 위치 또는 사용 위치에서 분만대는 분만을 보조하고 있는 산파의 팔을 지지하고 분만 상태 이후에 신생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게다가, 분만대는 분비물 접시 또는 쓰레기 접시를 위한 지지면으로 사용된다. 분만대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분만대는 점유 공간을 줄이도록 좌석 베이스 아래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산파와 의사를 위한 진입 공간은 분만대에 의해 제약 받지 않고 산파 또는 의사는 앉아서 전방으로부터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만대는 좌석 베이스의 전방 가장자리와 전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분리선을 따라 2개의 분만대부분들로 분할되고, 상기 분만대부분들 중 1개는 분만 의자와 연결된 한편 다른 하나는 상기 분만의자에 부착된 분만대 부분의 외면으로부터 수직 또는 하강 위치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분만 의자에 부착된 분만대 부분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의해, 분만대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분만대는 좌석 베이스의 아래에 매우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좌석 베이스가 축받이에 설치되며 상황에 따라 축받이에 선회가능하며 조정 가능하게 지지된 서두에서 언급된 종류의 분만의자일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좌석 아래의 분만대를 수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단지 작은 공간이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만대의 이동 가능한 부분은 분리선을 따라 그어진 힌지 축선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위해 분만의자에 부착된 분만대부분에 선회되게 지지되어 사실상 수평인 위치와 사실상 수직인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은 좌석 베이스 아래쪽에 분만대 보관을 위해 단순 하강하여, 단지 분만 의자에 부착된 판부에 대응한 공간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강된 판부는 단지 비교적 낮은 높이를 필요로 함으로써, 좌석 베이스가 필요할 때 좌석 베이스는 하방으로 상당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2개의 위치 사이에서 분만대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분만대는 좌석부에 고정된 운반대 장착부에 삽입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드에 고정된다. 분만대가 부주의에 의해 그 사용 위치와 상기 좌석 베이스 아래로부터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드는 구속 장치에 의해 적어도 인출 위치에 구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속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잠금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편향력을 받아서 슬라이드의 인출 위치의 잠금 위치 내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운반대 장착부와 맞물리게 이동한다. 상기 편향력은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해 제공될 수 도 있다.
분만대의 조정 조작이 간단하도록 해제요소가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해제요소는 슬라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작동 단부와 함께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의 선회 경로로 연장한다.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이 그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위치로 선회되면, 상기 분만대부분은 해제 요소를 작동시킨 다음, 잠금부재를 잠금 해제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 없이 분만대는 좌석 베이스 아래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잇다.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을 수평위치에 구속하도록 지지막대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전방 단부는 분리선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분만대부분의 아래쪽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드의 지지막대 안내부에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의 수평 위치에서의 상기 지지막대는 지지막대 안내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방으로 접혀진 후에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은 수평 위치를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 안내부는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중공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지지막대의 후방 단부를 수용하되 잠금 부재가 상기 중공 부재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며, 해제 요소를 형성하는 레일은 상기 중공 부재 내에 지지되어 그 후방단부에서 잠금부재를 제어하고 그 전방단부에서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에 의해 연동 가능하다. 이러한 해결책은 레일이 중공 부재에 수용된 지지막대의 단부와 연결 가능한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의 선회에 대해 지지막대는 해제요소를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지지막대가 이동가능한 분만대부분의 들어 올림을 통해 그 수평 위치에 억류될뿐 아니라 슬라이드 또한 내부 삽입에 대해 잠금 고정된다.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유리한 점은 실시예에 대한 섬명과 함께 첨부된 청항과 아래의 실시예 설명으부터 명백해진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만의자는 베이스(12)에 세워져 있는 축받이(10)를 포함하며, 좌석부(16)는 축받이의 축머리(14)에 의해 횡축(18)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지지된다. 좌석부(16)는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 위치 조정 구동 장치(20)의도움으로 횡축(1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축받이(10)는 미도시된 승강 장치를 포함하며, 그 승강 장치에 의해 좌석부(16)는 높이 조정될 수 있다. 좌석부(16)는 등받이(24)에 연결되어 좌석 베이스 일방향 운반대(26)가 전방으로 연장한 좌석 베이스(22)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베이스는 다리 지지대(28)를 수반하고 손잡이 만곡대(30)와 연결된다. 또한, 운반대(26)와 다리 지지대(28), 손잡이 만곡대(30)를 구성하는 유닛은 때때로 세로 축을 중심으로 좌석 베이스(22)에 대해 선회 가능하여 양측방으로 방해받지 않고 일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좌석 베이스(22) 하부에는 분만대(32)가 있으며, 상기 분만대는 예를 들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부분(34, 36)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부분들은 좌석 베이스(22)의 전방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그어진 분리 선을 따라 서로 링크 연결된다. 그 이음매는 강성 힌지 부품 또는 박편 힌지로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분만대부분(36)이 실선으로 도 1에 도시된 수평 위치와 점선으로 도1에 도시된 수직 위치사이에서 상기 판부(34)에 대하여 이음 축(38)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
분만대부분(34)은 슬라이드(40)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양쪽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운반대 장착부(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분만대(32)가 도 1에 도시된 실선위치와, 점선으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만대부분(34)이 완전히 좌석 베이스(22) 아래에 있도록 내부로 밀려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이동가능한 분만대부분(36)이 수직 하방으로 매달리게 되면, 분만대(32) 전체가 - 종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베이스(22) 밑으로 모습을 감추게 된다.
운반대 장착부(42)는 고정 만곡대(44)와 플랜지(46)에 의해 좌석 베이스(22)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술된 플랫폼 장착부는 도 2내지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횡단면으로 도시된 슬라이드(40)는 사실상 정사각형의 박스 형틀(48)을 가지며, 운반대 판(50)은 상기 형틀의 상부에 고정되어 분만대(32)의 판부(34)를 지지하며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분만대부분(34)의 고정은 각각이 손잡이(54)가 구비될 수도 있는 2개의 스크류(52, 도2)의 도움으로 달성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동작된다.
슬라이드(40)의 중공 부재(48)는 운반대 장착부(42)의 2개의 박스 형상의 빔(58)들 사이에서 볼 레일(56)에 의해 슬라이드하여 안내된다. 운반대 판(50)은 박스 형상의 빔(58)들을 지나 측벽(60)에 의해 연장함으로써, 박스형 빔(56)들과 볼 레일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는 완전하게 덮여진다. 게다가, 슬라이드(40)의 전방 단부는 운반대 판(50)의 굽힘부로 형성된 전방 벽에 의해 차폐된다.
납작한 막대(66)는 중공 부재(48)의 후측부에서 그 부재의 아래에 놓여있고, 그 후측 단부에 잠금 볼트(68)를 구비하고 그 전반 단부가 스크류(70)에 의해 중공부재의 바닥에 고정됨으로써, 중공 부재(48)의 가로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지만 중공 부재의 바닥으로부터 들려 올라갈 수 있다. 그러므로, 잠금 볼트(68)는 슬라이드(40)가 인출된 경우에 볼트(68)가 박스 형상의 빔(58)들과 연결된 횡판(72)의 전방으로 하강하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그 잠금 위치와, 잠금 볼트(68)가 화살표(B) 방향으로 들려지도록 슬라이드(40)가 인출되자마자 잠금 볼트가 횡판(7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도 5에 도시된 자유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레일(74)은 도 2와 도4에 도시된 잠금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자유 위치로 잠금 볼트(68)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되고, 상기 레일은 반대로 서있는 U자형 부재로 형성되고, 도 2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부재(48)의 전체 길이에 가깝게 연장한다. U자형 레일(74)은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한정된 범위를 넘어서 중공 부재(48)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단면 레일(74)의 측방 다리(76)들 각각은 경사부(78)가 잠금 볼트(68)에 대면한 U자형 레일(74)의 후측 단부에 제공되며, U-단면 레일(74)을 수반한 상기 경사부는 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68) 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하여 쐐기 효과(wedging effect)에 의해 상기 잠금 볼트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U자형 레일(74)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U자형 레일(74)은 2개의 볼트(80, 도 2와 3참조)들을 갖는 잠금 볼트(68)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방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볼트들은 U자형 다리(76)들의 관련 외부 측면들에 용접되고, 중공 부재(48)의 가로 방향에 평행한 운반대 판(50)의 전방 벽(62)의 구멍들을 통해 외방으로 연장한다. 볼트(68)들의 길이는 플랫폼 부(36)가 그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떨어짐에 따라 볼트들이 내부로 눌려지게끔 선택되며, 이에 의해 U자형 레일(74)이 도 2에 도시된 오른쪽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잠금 볼트(68)는 들려진다. 그러므로,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4)이 하강함에 따라 잠금 볼트(68)는 자동적으로 들려 올라감으로써 다음 동작에서, 추가적인 조작 없이 슬라이드(40)는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의 내부로 즉각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막대(82)는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막대의 전방 단부는 막대가 링크 결합된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의 아래쪽 축(86)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작동 판(84)으로 넓어진다(도 1 참조). 상기 막대(82)는 후방 단부가 세로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슬롯(88) 양측면의 바닥 내부면을 연동하는 안내 롤(90)들을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된다. 더욱이, 손잡이(92)는 지지막대(82)의 작동 판(84)에 구비된다.
2개의 경사부(94)는 중공 부재의 전방 단부에 근접하여 상기 부재의 바닥의 내부면의 슬롯(88)의 양측면에 있고, 상기 경사부들은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해 오르막이어서, 지지막대(82)의 안내 롤(90)들은 그 경사부 위를 움직일 수 있다. 각각의 경사부(94)와 전방 벽(62) 사이에는 안내 롤(90)들 중 1개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홈(recess, 96)이 있다.
이동 가능한 플랫폼 부(36)를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또한, 분만대 전체를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에서 사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작업자는 손잡이(92)를 잡고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분만대부분(36)를 위쪽으로 선회시킨다. 이렇게 하여 지지막대(82)의 후방 단부는 롤러(90)들에 의해 전방으로당겨진다. 상기 롤러(90)는 상기 경사부(94)의 위를 움직이며 전방 벽(62)과 경사부들(94)들 사이의 홈(96)으로 내려간다. 이 위치에서 지지막대(82)는 잠금됨으로써,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은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동작 과정에 있어서, U자형 레일(74)의 측방 다리(76)들에 형성된 종동부(98)에 의해 롤러(90)들은 잠금 막대(68)와 연동하지 않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U자형 레일(74)을 수반한다. 슬라이드(40)를 동반한 분만대(32)가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잠금 막대(68)는 하방으로 내려갈 수 있어서 박스 형상의 빔(58)들의 횡판(72)과 일렬로 정렬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40)가 의도되지 않게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이 구속된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또한,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의 슬라이드(40)내로 밀려갈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작동판(84)에서 지지막대(82)를 상방으로 밀므로써, 가이드 롤러(90)들을 구비한 지지막대(82)의 후방 단부는 홈(96)으로부터 나와 도2의 점선 위치로 들려 올라간다. 이에 의해. 구속 동작은 제거되며 분만대부분(36)은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수직위치에 도달하면 분만대부분(36)은,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볼트(80)와 오른쪽을 향해 U자형 레일(74)을 밀므로써, 이것은 도 5에 따라 잠금 막대(68)를 그 잠금 위치로부터 들어 올린다. 그런 다음, 슬라이드(40)는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측 내부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Claims (13)

  1. 축받이(10) 및, 상기 축받이에 장착되며 좌석 베이스(22), 등받이(24), 상기 좌석 베이스(22)의 측방 전방에 위치된 다리 지지대(28)들을 구비한 상기 축받이에 장착된 좌석부(16)를 포함하며, 사실상 수평인 분만대(32)가 사실상 완전히 상기 좌석 베이스(22)의 아래에 놓여진 제 1위치와, 상기 좌석 베이스(22)의 전방의 다리 지지대(28)들 사이에 놓여진 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분만 의자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대(32)는 좌석 베이스(22)의 전방 가장자리에 사실상 평행하게 그어진 분리선을 따라 적어도 2개의 분만대부분(34, 36)들로 분할되며, 상기 분만대부분들 중 1개(34)는 상기 분만 의자와 연결된 반면에 이외의 부분(36)이 상기 의자 부착 분만대부분(3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수직 또는 상기 의자 부착 플랫폼 부(34)의 외면에 상대적으로 내려간 위치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는 상기 분리선을 따라 놓여진 선회축(38)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의자 부착 분만대부분(34)에 선회되게 연결되어 사실상 수평 위치와 사실상 수직 위치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대(32)는 슬라이드(40)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는 삽입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좌석부(16)에 고정된 운반대 장착부(4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40)는 적어도 인출 위치에서 구속 장치(68)에 의해 구속 가능한 것을 특징을 하는 분만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슬라이드(4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40)의 인출 위치에서는 운반대 장착부(42)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잠금 위치로 자동적으로 내려가도록 편향력이 가해지는 잠금 부재(6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7. 제 3항과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68)는 해제 요소(74)에 의해 잠금 위치로부터 편향 가능하며, 상기 해제 요소는 작동 단부(80)를 구비한 슬라이드(40)가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의 선회 가능한 경로로 연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4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의자.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분만대부분(36)는 지지 막대(82)에 의해 그 수평 위치에 구속 가능하며, 상기 지지막대는 그 전방 단부에 의해 분리선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의 아래쪽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방 단부(90)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40)의 지지막대 안내부(48)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82)는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의 수평 위치 내에서 상기 지지막대 안내부(48)에 잠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막대 안내부는 중공 부재(48)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40)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지지막대(82)의 후방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중공 부재(48)의 후방 단부에는 잠금 부재(68)가 장착되며, 해제 요소(74)를 형성하는 레일은 상기 중공 부재 내에 지지되며, 상기 중공 부재의 후방 단부에 의해 잠금 부재(68)를 제어하고 그 전방 단부에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 부분(36)과 맞물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가능한 분만대부분(36)와 선회 결합된 지지막대(82)가 해제 요소(74)를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위치로 움직이도록 중공 부재(48)내에 수용된 지지막대(82)의 단부와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을 하는 분만의자.
  12. 제 1항내지 제 11항들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10)은 구동 모터에 의해 높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13. 제 1항 내지 제 12항들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10)의 상기 좌석부(16)는 좌석 베이스(22)의 전방 가장자리와 평행한 횡축(18)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의자.
KR1020027015987A 2000-05-25 2001-05-25 분만 의자 KR100796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5982.0 2000-05-25
DE10025982A DE10025982A1 (de) 2000-05-25 2000-05-25 Gebärstuhl
PCT/EP2001/006007 WO2001089443A1 (de) 2000-05-25 2001-05-25 Gebärstuh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245A true KR20030014245A (ko) 2003-02-15
KR100796394B1 KR100796394B1 (ko) 2008-01-21

Family

ID=764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987A KR100796394B1 (ko) 2000-05-25 2001-05-25 분만 의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173813A1 (ko)
EP (1) EP1284710B1 (ko)
JP (1) JP4546693B2 (ko)
KR (1) KR100796394B1 (ko)
AT (1) ATE276720T1 (ko)
CZ (1) CZ300432B6 (ko)
DE (2) DE10025982A1 (ko)
ES (1) ES2230311T3 (ko)
PL (1) PL197235B1 (ko)
WO (1) WO2001089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9448A (en) * 2007-05-22 2008-11-26 Guy Richard Hubbard Safety device having a safety net biased into an open extended in use position.
CN109533916A (zh) * 2018-09-25 2019-03-29 青岛市妇女儿童医院(青岛市妇幼保健院、青岛市残疾儿童医疗康复中心、青岛市新生儿疾病筛查中心) 一种产科临床用产前诊断检查系统
US10973722B1 (en) 2018-12-10 2021-04-13 Kayla Nsien Birthing chair
CN110464587B (zh) * 2019-08-12 2021-06-08 杨琼 一种用于妇产科的便于使用型接生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96903A (fr) * 1908-11-30 1909-04-24 Jules Raygasse Canapé pour spéculum et auscultation
US1749867A (en) * 1927-04-20 1930-03-11 William D Allison Examining table
US3226105A (en) * 1962-07-11 1965-12-28 Ritter Co Inc Self-storing knee rest for medical examination table and the like
US3318596A (en) * 1964-05-15 1967-05-09 American Sterilizer Co Surgical table
US3837635A (en) * 1973-04-10 1974-09-24 Amerco Inc Medical examining chair
DE2732238A1 (de) * 1977-07-16 1979-02-01 Franz Ing Grad Milley Untersuchungsstuhl fuer urologische, proktologische und gynaekologische untersuchungen
US4541622A (en) 1983-12-22 1985-09-17 Kazuhisa Tabuchi Reclining bed for childbirth
SE451941B (sv) * 1986-03-05 1987-11-09 Landstingens Inkopscentral Forlossningsseng
US5522098A (en) * 1991-11-12 1996-06-04 Karin Berghammer Parturition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6693B2 (ja) 2010-09-15
KR100796394B1 (ko) 2008-01-21
DE10025982A1 (de) 2001-11-29
DE50103772D1 (de) 2004-10-28
ATE276720T1 (de) 2004-10-15
PL359018A1 (en) 2004-08-23
WO2001089443A1 (de) 2001-11-29
CZ300432B6 (cs) 2009-05-20
JP2003534847A (ja) 2003-11-25
EP1284710B1 (de) 2004-09-22
ES2230311T3 (es) 2005-05-01
EP1284710A1 (de) 2003-02-26
CZ20024212A3 (cs) 2003-05-14
US20030173813A1 (en) 2003-09-18
PL197235B1 (pl)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4876A (en) Multipurpose maternity care bed
US6948202B2 (en) Accessories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US3818516A (en) Mobile hospital bed to facilitate x-ray examinations
JP3321174B2 (ja) ベッドの側部レール
US6209463B1 (en) Medical examination table
EP1639980B1 (en) Storable foot section for a bed
US3708203A (en) Vehicle attendant's chair
US2941215A (en) Folding foot stool for beds
US4071222A (en) Lifting platform
US2904798A (en) Hospital bed with multipurpose equipment
US4560200A (en) Quickly disengagable lock for adjustably positioned seat
US6834868B1 (en) Transformable creeper
US6375355B1 (en) Moveable table
KR100796394B1 (ko) 분만 의자
US20050248192A1 (en) Feeding chair apparatus
US20020149249A1 (en) Vehicle seat development
CN216417207U (zh) 患者支撑设备和患者支撑装置
JP3068878U (ja) 椅 子
EP1549273B1 (en) Transporting device for a patient
GB2506666A (en) A footrest deployable from a hidden position
KR20110137146A (ko) 다기능 의료용 테이블
JPH05176963A (ja) 検診台用汚水受け装置
JPS6125783Y2 (ko)
JPH05176959A (ja) 車椅子嵌合式ベッド
JP3780803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