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337A -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337A
KR20030013337A KR1020020045958A KR20020045958A KR20030013337A KR 20030013337 A KR20030013337 A KR 20030013337A KR 1020020045958 A KR1020020045958 A KR 1020020045958A KR 20020045958 A KR20020045958 A KR 20020045958A KR 20030013337 A KR20030013337 A KR 20030013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onnection plug
holder
charging devi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89B1 (ko
Inventor
아베켄지
오다쇼이치로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1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탁상홀더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기판면적을 축소할 수 있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 상기 접속플러그가 탁상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저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스(3a)만으로 탁상홀더(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RADIO TELEPHONE}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PHS 등의 이동통신체, 혹은 유선방식의 전화기에 부속되는 코드레스 송수화기와 같은 무선전화기는,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얻기 위한 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충전장치에 의해 정기적으로 충전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로서는, 종래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은 것이 존재하고, 이것은 상면에 무선전화기로서의 휴대전화(1)를 위한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가 형성된 탁상홀더(3)와, 그 탁상홀더(3) 내에 설치된 기판(4)과, 상기 탁상홀더(3)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 내로 돌출되어 휴대전화(1)의 충전용 단자(5)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기판(4)에 땜납 등으로 부착된 급전용 접촉편(6)과, 급전용 접속플러그(7)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4)에 땜납 등으로 부착된 커넥터(8)와, 상기 탁상홀더(3)의 반급전용 접촉편측에 있어서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 내로 돌출되고 또한 휴대전화(1)의 결합홈(9)에 결합하는 갈고리부(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탁상홀더(3)는, 상부케이스(3a)와 하부케이스(3b)를 일체로 조립하여 이루어지고, 또 상기 갈고리부(10)는 상부케이스(3a) 내에 핀(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피벗지지된 고정암(1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암(12)은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의해 도 8 중, 상기 핀(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것에 의해 상부케이스(3a)의 소구멍(14)으로부터 갈고리부(10)가 소정량만큼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속플러그(7)는, 급전용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AC금속단자(15)를 갖고, 또한 교류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AC어댑터(16)에 대하여, 어댑터코드(1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탁상홀더(3)의 상부케이스(3a)에 돌출형성된 삽입구멍(18)으로부터 상기 커넥터(8)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탁상홀더(3)의 하부케이스(3b)의 저면에 있어서의 네모서리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19)을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으로 붙이고 있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의 탁상홀더(3)의 설치시에 그 자체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 중, 20은 탁상홀더(3)의 상부케이스(3a)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 내면측으로 돌출된 리브이고,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에휴대전화(1)를 장착할 때, 상기 휴대전화(1)의 오목홈(도시하지 않음)에 리브(20)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휴대전화(1)의 충전을 행할 때에는, 어댑터코드(17)의 접속플러그(7)를 탁상홀더(3)의 상부케이스(3a)에 뚫린 삽입구멍(18)으로부터 커넥터(8)에 접속하고, 또한 AC어댑터(16)의 AC금속단자(15)를 급전용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탁상홀더(3)의 상부케이스(3a)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에 휴대전화(1)를 끼워넣도록 하면, 급전용 접촉편(6)에 휴대전화(1)의 충전용 단자(5)가 접촉하고, 또한 휴대전화(1)의 오목홈(도시하지 않음)에 리브(20)가 결합하는 동시에, 상부케이스(3a)의 소구멍(14)으로부터 소정량만큼 돌출되어 있는 갈고리부(10)가,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구멍(14) 내로 일단 밀어넣어지고,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1)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 내로의 삽입이 허용되어, 상기 휴대전화(1)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갈고리부(10)가 상기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케이스(3a)의 소구멍(14)으로부터 다시 소정량만큼 돌출하여 휴대전화(1)의 결합홈(9)에 결합하고, 휴대전화(1)가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로부터 간단히는 빠지지 않게 되어,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1)에 내장된 전지로의 충전이 행해진다.
충전완료 후에는, 휴대전화(1)를 탁상홀더(3)로부터 다소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도록 하면, 휴대전화(1)의 결합홈(9)에 결합되어 있는 갈고리부(10)가,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구멍(14) 내로 일단 밀어넣어지고,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1)의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2) 내로부터의 이탈이 허용되어, 상기 휴대전화(1)가 탁상홀더(3)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서는, 탁상홀더(3)가 상부케이스(3a)와 하부케이스(3b)를 일체로 조립한 구조로 되어 있는 동시에, 탁상홀더(3)로의 휴대전화(1)의 장착시에 그 휴대전화(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로서, 고정암(12)이나 스프링(13) 등의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 및 조립공정수가 증가하여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또, 급전용 접촉편(6)과 커넥터(8)가 설치된 기판(4)의 면적이 커져 있는 동시에, 커넥터(8)에 대한 접속플러그(7)의 접속시에는 상기 접속플러그(7)가 탁상홀더(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넓게 필요하게 되어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탁상홀터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기판면적을 축소할 수 있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 그 접속플러그가 탁상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부 확대도로서, (A)부분은 휴대전화의 결합홈 형상이 단면 사각형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부분은 휴대전화의 결합홈 형상이 단면 삼각형상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예의 저면도,
도 6은 도 1 및 도 5의 Ⅵ-Ⅵ단면 상당도,
도 7은 종래예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예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전화(무선전화기)
2 : 휴대전화 장착용 오목부(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
3 : 탁상홀더 3a : 상부케이스
4 : 기판 5 : 충전용 단자
6 : 급전용 접촉편 7 : 접속플러그
8 : 커넥터 9 : 결합홈
10 : 갈고리부 19 : 족편
21 : 슬릿 22 : 칸막이판
23 : 급전공간 24 : 접속플러그 수납공간
25 : 삽입구멍 26 : 노치부
27 : 시트부
본 발명은 상면에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가 형성된 탁상홀더와, 상기 탁상홀더 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탁상홀더의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 내로 돌출되어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단자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된 급전용 접촉편과, 급전용 접속플러그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탁상홀더의 반급전용 접촉편측에 있어서의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 내로 돌출되고 또한 무선전화기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갈고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저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스만으로 탁상홀더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하부케이스가 삭제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선전화기 장착용 충전장치에 있어서는, 갈고리부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상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탁상홀더로의 무선전화기의 장착시에 그 무선전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로서, 고정암이나 스프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 더욱 가능하게 된다.
또, 상부케이스 내부에 칸막이판을 설치하여 급전공간과 접속플러그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급전용 접촉편과 커넥터가 설치된 기판을 상부케이스에 대하여 급전공간의 저부를 덮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 상기 접속플러그가 상부케이스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하면, 기판면적이 축소되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는 그 저속플러그가상부케이스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 내에 머무르는 형태로 되어, 탁상홀더의 외측에 돌기물이 없어지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축소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저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부분에 시트부를 형성하고, 그 시트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면, 하부케이스가 없어도 족편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의 탁상홀더의 설치시에 그 자체의 안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하는 일도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예로서, 도면중,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부은 동일물을 표시하고 있고, 기본적인 구성은 도 7 및 도 8에 표시하는 종래의 것과 같지만, 본 도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스(3a)만에 의해서 탁상홀더(3)를 형성한 점에 있다.
본 도시예의 경우, 상부케이스(3a)에 슬릿(21)을 형성함으로써 갈고리부(10)를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상부케이스(3a)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도 4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부(1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수평선에 대한 상측의 경사각도(α)와, 하측의 경사각도(β)와, 돌출량(γ)은 각각,
α= 0∼70°
β= 0∼70°
γ= 0.5∼2.0[㎜]
라는 범위 내에서 휴대전화(1)의 크기, 중량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면, 휴대전화(1)의 결합홈(9)에 대한 갈고리부(10)의 결합·이탈이 원활하게 행해지고, 또한 탁상홀더(3)로의 휴대전화(1)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고정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형태로 된다. 또한, 상기 휴대전화(1)의 결합홈(9)의 형상은, 도 4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의 (B)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삼각형상이어도 좋다.
또, 상기 상부케이스(3a)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판(22)을 설치하여 급전공간(23)과 접속플러그 수납공간(24)을 형성하고, 급전용 접촉편(6)과 커넥터(8)가 설치된 기판(4)을 상부케이스(3a)에 대하여 급전공간(23)의 저부를 덮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커넥터(8)에 대한 접속플러그(7)의 접속시에 상기 접속플러그(7)가 상부케이스(3a)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2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판(22)에는 커넥터(8)에 대하여 접속플러그(7)를 접속하기 위한 삽입구멍(25)을 뚫고, 상부케이스(3a)의 반급전용 접촉편측에 있어서의 저부에는 어댑터코드(17)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부(2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3a)의 저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부분에는 시트부(27)를 형성하고, 그 시트부(27)에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19)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도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스(3a)만에 의해서 탁상홀더(3)를 형성하면, 하부케이스(3b)가 삭제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부품수 삭감 및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도시예에 있어서는, 갈고리부(10)를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상부케이스(3a)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탁상홀더(3)로의 휴대전화(1)의 장착시에 그 휴대전화(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로서, 고정암(12)이나 스프링(13) 등의 부품(도 8 참조)이 불필요 하게 되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 더욱 가능하게 된다.
또, 상부케이스(3a) 내부에 칸막이판(22)을 설치하여 급전공간(23)과 접속플러그 수납공간(24)을 형성하고, 급전용 접촉편(6)과 커넥터(8)가 설치된 기판(4)을 상부케이스(3a)에 대하여 급전공간(23)의 저부를 덮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커넥터(8)에 대한 접속플러그(7)의 접속시에 그 접속플러그(7)가 상부케이스(3a)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24) 내에 머무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4)의 면적이 축소되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커넥터(8)에 대한 접속플러그(7)의 접속시에는 그 접속플러그(7)가 상부케이스(3a)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24)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되어, 탁상홀더(3) 외측으로 돌기물이 없어지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축소화에도 기여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3a)의 저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부분에 시트부(27)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27)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19)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케이스(3b)가 없어도 족편(19)의 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의 탁상홀더(3)의 설치시에 그 자체의 안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하는 일도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탁상홀더(3)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기판(4)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8)에 대한 접속플러그(7)의 접속시에 그 접속플러그(7)가 탁상홀더(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하부케이스(3b)가 없어도 족편(19)의 부착을 행할 수 있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의 탁상홀더(3)의 설치시에 그 자체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는, 상술의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기재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하부케이스를 삭제하여 탁상홀더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기재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또한, 탁상홀더로의 무선전화기의 장착시에 그 무선전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로서, 고정암이나 스프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삭감 및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있고,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기재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기판면적을 축소할 수 있어 소형화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 그 접속플러그가 탁상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4기재의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또한, 하부케이스가 없어도 족편의 설치를 행할 수 있어 책상이나 테이블 등으로의 탁상홀더의 설치시에 그 자체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5)

  1. 상면에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가 형성된 탁상홀더;
    상기 탁상홀더 내에 설치된 기판:
    상기 탁상홀더의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 내로 돌출되어 무선전화기의 충전용 단자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된 급전용 접촉편;
    급전용 접속플러그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 및
    상기 탁상홀더의 반급전용 접촉편측에 있어서의 무선전화기 장착용 오목부 내로 돌출되고 또한 무선전화기의 결합홈에 결합하는 갈고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저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스만으로 탁상홀더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갈고리부를 탄성변형가능하게 되도록 상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 내부에 칸막이판을 설치하여 급전공간과 접속플러그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급전용 접촉편과 커넥터가 설치된 기판을 상부케이스에 대하여 급전공간의 저부를 덮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커넥터에 대한 접속플러그의 접속시에 그 접속플러그가 상부케이스의 접속플러그 수납공간 내에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의 저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부분에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의 저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복수부분에 시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족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KR10-2002-0045958A 2001-08-07 2002-08-03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KR100502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9201A JP4119626B2 (ja) 2001-08-07 2001-08-07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JP-P-2001-00239201 2001-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37A true KR20030013337A (ko) 2003-02-14
KR100502789B1 KR100502789B1 (ko) 2005-07-22

Family

ID=1906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958A KR100502789B1 (ko) 2001-08-07 2002-08-03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19626B2 (ko)
KR (1) KR100502789B1 (ko)
CN (1) CN117041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898B2 (ja) * 2004-11-18 2010-10-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
JP4748222B2 (ja) 2007-01-23 2011-08-17 公立大学法人横浜市立大学 軟骨細胞調製方法
WO2009019857A1 (ja) * 2007-08-09 2009-02-12 Panasonic Corporation 燃料供給装置
JP5451654B2 (ja) * 2011-01-14 2014-03-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クレードル
JP5413994B2 (ja) * 2011-10-24 2014-02-1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及び卓上電話機
JP7302162B2 (ja) * 2018-11-21 2023-07-04 ニプロ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用支持台、診断装置セット、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7Y1 (ko) * 2000-05-09 2000-10-16 주식회사피엠케이 탁상 및 여행 겸용 핸드폰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12C (zh) 2004-10-06
JP4119626B2 (ja) 2008-07-16
KR100502789B1 (ko) 2005-07-22
CN1402509A (zh) 2003-03-12
JP2003051875A (ja) 200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973A (en) Conductive contact
KR100502789B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장치
GB2385992A (en) Antenna installation structure
KR20020009810A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US6619982B2 (en) Charge adapter for charging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s
JP3009875B1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3762295B2 (ja) 携帯端末用充電装置及び携帯端末
JP4133900B2 (ja)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KR10066355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거치대
JP3790987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KR20010044821A (ko) 배터리에 안테나를 장치한 핸드폰
KR100474212B1 (ko)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
JP3814471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機器
JP2000261973A (ja) 充電台
JP3212967B2 (ja) 携帯通信機およびその充電器
CN112040031A (zh) 设备套装及其折叠式终端设备
JP2003189483A (ja) 携帯端末用充電装置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JP2006222350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0340B1 (ko)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218035Y1 (ko) 개인휴대 단말기를 위한 베이스 스테이션
KR100636536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37429A (ko) 휴대폰용 인터페이스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