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291A -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 - Google Patents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291A
KR20030013291A KR1020020045484A KR20020045484A KR20030013291A KR 20030013291 A KR20030013291 A KR 20030013291A KR 1020020045484 A KR1020020045484 A KR 1020020045484A KR 20020045484 A KR20020045484 A KR 20020045484A KR 20030013291 A KR20030013291 A KR 2003001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hin plunger
plunger
thin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또미끼오
오오따스스무
요시하라오사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3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by liquid pressure, e.g. hydromechanical adj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Paper (AREA)
  • Actuator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유압 실린더가 하우징 내에 롤 초크에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유압 실린더는 하우징에 고정된 실린더 내부에 라이너를 통해서 박형 플런저를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안내 수단을 형성하도록 실린더 상에 중심 안내부에 걸쳐 박형 플런저의 오목부를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각각의 롤 초크를 가압하기 위한 라이너를 박형 플런저의 전단부에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FLUID PRESSURE CYLINDER AND ROLLING MILL}
본 발명은 유압 등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 및 유체압 실린더를 가지고 상부 및 하부 압연롤 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립 재료 등을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도록 구성된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작업롤은 작업롤 초크를 통해서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및 하부 작업롤은 서로에 대해 대향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지지롤은 지지롤 초크를 통해서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및 하부 지지롤은 상부 및 하부 작업롤에 대향된다. 상부 지지롤을 통해서 상부 작업롤 상에 압연 하중을 부과하기 위한 나사식 하강 장치가 하우징의 상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스트립은 하우징의 입구 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지지롤을 통해서 나사식 하강 장치에 의해 소정의 하중이 주어진 상부 작업롤 및 하부 작업롤 사이로 통과됨으로써, 스트립은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다. 압연된 스트립은 하우징의 이송 측으로부터 운반되어 후속 단계로 공급된다.
종래의 압연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의 작업롤 및 지지롤의 수직 제어 중의 히스테리시스(HYSTERISIS)는 나사식 하강 장치 하에서의 압연 조건에서는 압연되는 판의 두께를 아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최소화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간극이 작업롤 초크와 지지롤 초크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내향 축소량에 대한 변형이 나사식 하강 하중 하에서 압연 중에 하우징에서 야기될지라도, 압연기의 수평 동적 강성이 낮아질 수도 있도록, 롤 초크와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압연기의 수평 동적 강성이 낮은 상태에서 높은 압연력 및 스트립 두께의 고비율 감소의 압연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압연되는 스트립과 작업 롤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한 심한 진동(이하 압연기의 진동으로 칭함)이 하우징 또는 작업 롤 내에서 발생함으로써 고효율의 압연을 방해한다. 또한, 롤이 안정되게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스트립이 롤 사이에 결합될 때 압연이 불안정하게 된다.
본 출원의 출원인은 상술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제2000-187163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113308호)를 출원하였다. 이러한 출원 발명은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작업롤, 롤 초크를 통해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롤, 상부 작업 롤 상에 소정의 압력을 부가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 내에 제공된 나사식 하강 장치, 하우징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제공된 유압 실린더 기구 및 롤 초크를 수평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 기구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유압 실린더 기구가 롤 초크와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도록 압연 중에 작동됨으로써, 수평 동적 강성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압연기 진동은 억제되고 고효율의 압연을 제공한다.
롤 초크를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 기구는 큰 가압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 기구는 변동 하중을 받게되며, 그 작업 스트로크가 짧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 기구가 작동될 때, 그 플런저는 실린더 내에서 적절히 이동하지 않고 정지되기 쉽다. 유압 실린더의 이러한 오작동 때문에, 압연기 진동은 용이하게 억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작동성에 있어 향상된 유체압 실린더 및 이러한 유체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압연기 진동을 방지하고 고효율의 압연을 가능하게 하며 이런 유체압 실린더로 인해 롤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안정된 압연 상태를 이루는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상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단면도.
도2는 유압 실린더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상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상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상부 작업롤 초크
13 : 하부 작업롤 초크
14 : 상부 작업롤
15 : 하부 작업롤
16 : 상부 지지롤 초크
17 : 하부 지지롤 초크
18 : 상부 지지롤
19 : 하부 지지롤
20 : 나사식 하강 장치
21, 22 : 유압 실린더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 원통형 실린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의 내벽면을 따라 끼워진 박형 플런저, 박형 플런저의 일단부에 제공된 출력부 및 서로 끼워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박형 플런저의 타단부와 실린더 사이에 제공되고, 실린더에 대한 박형 플런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유압 실린더가 제공된다.
이러한 태양에 따라, 박형 플런저는 볼록-오목 구조물로 인해 박형 플런저에 끼워지는 안내 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는 직선 안정도에 있어 우수하고, 정지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어 그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하우징, 롤 초크를 통해서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압연롤, 하우징의 상부에 제공되고 압연롤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나사식 하강 수단 및 하우징에 대해 롤 초크를 가압하도록 회전 가능한 재료의 이송 방향을 따라 롤 초크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서로 끼워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박형 플런저의 축단부와 각각의 유압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사이에 각기 제공되고 박형 플런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압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태양에 따라, 박형 플런저는 볼록-오목 구조물로 인해 박형 플런저에 끼워지는 안내 수단에 의해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는 직선 안정도에 있어 우수하다. 축 하중 또는 변동 하중이 롤 초크에 의해 압연 중에 부가되는 경우에도, 박형 플런저는 정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하여, 하우징 또는 압연롤 내에서 일어나는 압연기 진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스트립의 통과가 향상되어 고효율의 압연이 이루어진다. 또한, 롤이 안정되게 지지되지 때문에, 안정된 압연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압연기에 있어서, 박형 플런저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롤 초크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라이너가 박형 플런저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롤 초크가 라이너에 의해 직접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압연기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압연기는 라이너의 표면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따라서, 라이너와 롤 초크 사이의 마멸이 감소되어, 압연기의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압연기에 있어서, 박형 플런저는 롤 초크와 접촉하는 라이너부 내에 제공될 수도 있고, 라이너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으며, 롤 초크를 가압할 수 있는 전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는 라이너를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합체될 수 있어서, 압연기의 전체적인 목적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압연기는 박형 플런저의 전단면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라이너와 롤 초크 사이의 마멸은 감소되어, 압연기의 작동성은 향상될 수 있다.
압연기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실린더의 중심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중심 안내부 및 박형 플런저 내에 제공되고 중심 안내부에 걸쳐 끼워지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는 박형 플런저가 정지 없이 원활하게 작동 가능하게 하여 구조적인 단순화가 이루어진다.
압연기에 있어서, 박형 플런저는 라이너를 통해서 실린더의 내주연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도 있고, 고리형 커버가 박형 플런저의 외주연부와 대응하여 실린더에 고정될 수도 있고, 유압 공급 챔버가 실린더 및 박형 플런저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풀백(pullback) 기구가 커버와 박형 플런저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의 복귀 작동이 풀백 기구에 의해 수행되어서, 오일 공급홀 등을 만들 필요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 도면 및이하에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전혀 제한시키지 않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작업롤 초크(12, 13)는 하우징 내에서 지지된다.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작업롤(14, 15)의 축부는 각기 상부 및 하부 작업롤 초크(12, 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 작업롤(14) 및 하부 작업롤(15)은 서로 대향된다.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롤 초크(16, 17)는 상부 및 하부 작업롤 초크(12, 13) 위 아래에서 지지된다.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롤(18, 19)의 축부는 각기 상부 및 하부 지지롤 초크(16, 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지지롤(18) 및 상부 작업롤(14)은 서로 대향되고, 하부 지지롤(19) 및 하부 작업롤(15)은 서로 대향된다. 상부 지지롤(18)을 통해서 상부 작업롤(14) 상에 압연 하중을 부가하기 위한 나사식 하강 장치(20)가 하우징(11)의 상부에 제공된다.
유압 실린더[(21, 22), 유체압 실린더]는 상부 작업롤 초크(12)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장착된다. 이송 방향을 따라 상류 및 하류 측으로부터 상부 작업롤 초크(12)를 가압함으로써 유압 실린더(21, 22)는 하우징(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23, 24), 유체압 실린더]는 하부 작업롤 초크(13)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장착된다. 이송 방향을 따라 상류 및 하류 측으로부터 하부 작업롤 초크(13)를 가압함으로써 유압실린더(23, 24)는 하우징(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25, 26), 유체압 실린더]는 상부 지지롤 초크(16)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장착된다. 이송 방향을 따라 상류 및 하류 측으로부터 상부 지지롤 초크(16)를 가압함으로서 유압 실린더(25, 26)는 하우징(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27, 28), 유체압 실린더]는 하부 지지롤 초크(17)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장착된다. 이송 방향을 따라 상류 및 하류 측으로부터 하부 지지롤 초크(17)를 가압함으로써 유압 실린더(27, 28)는 하우징(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연기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21 내지 28)는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1)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압 실린더(21)에 있어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상부 작업롤 초크(12)에 대향되는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장착 오목부(31)를 가진다. 원통형의 실린더(32)는 장착 오목부(31) 내부에 끼워지고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다. 고리형 라이너(33)는 O링(34)을 통해서 실린더(32)의 내주면 상에 끼워진다. 조립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라이너(33)는 주연 방향을 따라 그 전단 외주연부 내에 형성되는 경사면(35)을 가짐으로써 테이퍼진 형상을 취한다. 경사면(35)에 대향되는 실린더(32)의 일부분에 있어서, 만곡면부(36)가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연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라이너(33)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많은 오일 구멍(37)이 형성된다.
원통형의 중심 안내부(38)는 볼트(39)에 의해 실린더(32)의 중심에 고정된다. 박형 플런저(40)는 원통형 형상을 취하고, 슬립퍼 밀봉부(41)를 통해서 실린더(32)의 라이너(33) 내벽면 상에 끼워진다. 박형 플런저(40)의 기부 단부 내에 형성된 오목부(42)는 O링(43) 및 슬립퍼 밀봉부(44)를 통해서 중심 안내부(38)에 걸쳐 끼워진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40)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안내 수단은 중심 안내부(38) 및 오목부(42)로 구성된다. 고리형 커버(45)는 박형 플런저(40)의 외주연부 상에 배치되어, 라이너(33)를 고정하고 박형 플런저(40)의 이동량을 한정하도록 볼트(46)에 의해 실린더(32)에 고정된다. 유압 공급 챔버(47)는 계단부에 의해 박형 플런저(40)의 기부 단면과 실리더(32) 사이에 제공된다. 유압 공급 챔버(47)와 연통하는 오일 공급 통로(48)가 형성된다. 풀백 기구로서의 나선형 압축 스프링(49)은 박형 플런저(40) 및 커버(45)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40)는 보통 나선형 압축 스프링(49)의 압박력에 의해 실린더(32)와 접촉하는 위치(예를 들면, 도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위치한다. 오일이 오일 공급 통로(48)를 통해 유압 공급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유압 공급 챔버(47)로 공급될 때, 박형 플런저(40)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49)의 압박력에 대향하여 소정의 스트로크(S)에 걸쳐 도1에서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압 공급 챔버(47)로의 오일 공급이 정지될 때, 박형 플런저(40)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49)의 압박력 하에서 스트로크(S)만큼 도1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오일은 오일 공급 챔버로부터 토출된다.
서로에 대해 미끄러짐이 가능한 라이너(33)의 내벽면과 박형 플런저(40)의 외벽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짐이 가능한 중심 안내부(38)의 외벽면과 오목부(42)의 내벽면 및 서로에 대해 미끄러짐이 가능한 교체 가능한 라이너(33)의 외벽면과 실린더(32)의 내벽면은 내구성, 마멸 저항 및 충격 저항을 고려하여 취급된 표면이다. 라이너(33)의 내벽면이 장기간의 사용 후에 훼손되었을 때, 라이너는 교체될 수 있다.
박형 플런저(40)는 지지축(50)의 플랜지부(51)가 압축 스프링(52)을 통해서지지 브래킷(53)에 의해 부착되는 전단부를 가진다. 출력부로서의 라이너(54)는 연결 부재(55)에 의해 지지축(50)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커버(56)는 라이너(54)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라이너(54)는 박형 플런저(40)의 전단부와 일치하는 만곡 배면을 가지고, 라이너(54)와 지지축(50)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양만큼 피봇이 가능하다.
라이너(54)는 상부 작업롤 초크(12, 도3 참조)를 가압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향상된 윤활성을 위해 고리형 윤활 홈(57)이 라이너(54)의 표면에 형성된다. 윤활 홈(57)은 실린더(32), 중심 안내부(38), 박형 플런저(40) 및 라이너(54) 내에 형성된 윤활 통로(58, 59, 60, 61)를 통해 윤활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윤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조의 압연기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은 하우징(11)의 입구측으로부터 공급되고 지지롤(18)을 통해서 나사식 하강 장치(20)에 의해 소정의 하중이 가해진 상부 작업롤(14)과 하부 작업롤(15) 사이로공급된다. 그 결과, 스트립은 소정의 두께로 압연되어 이송측으로부터 이송되어 다음 단계로 공급된다. 이러한 스트립의 압연 중에, 나사식 하강 하중에 대응하여 내향 감소 변형량이 하우징(11)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유압 실린더(21 내지 28)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압력이 하우징(11)에 가해짐으로써, 하우징(11)의 변형량은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은 오일 공급 통로(48)를 통해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유압 공급 챔버(47)로 공급된다. 그 결과, 박형 플런저(40)가 나선형 압축 스프링(49)의 압박력과 반대의 소정의 오일 공급압 하에서 소정의 스트로크(S)에 걸쳐 이동하여서, 라이너(54)를 통해서 상부 작업롤 초크(12)를 가압한다. 이 때에, 박형 플런저(40)는 그 외주연면이 라이너(33)에 의해 지지되고, 그 기부 단부에서 오목부(42)가 중심 안내부(38)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직선 안정도가 확실하게 보장되고, 박형 플런저(40)는 정지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박형 플런저(40)가 라이너(54)를 통해서 상부 작업롤 초크(12)를 가압할 때, 라이너(54)는 상부 작업롤 초크(12)를 따라 피봇하거나, 압연에 대한 반력이 상부 작업롤 초크(12)를 통해서 박형 플런저(40) 상에 작용한다. 그러나, 박형 플런저(40)는 중심 안내부(38)에 의해 지지되는 오목부(42)를 가진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40)는 이러한 반력을 용이하게 용인하고 원활하게 이동한다.
여기서, 롤 초크(12, 13, 16, 17)가 변위되는 경우에도, 롤 초크와 하우징(11) 사이에서 간극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압연기의 수평 동적 강성은 높게 유지된다. 고압연력, 플레이트 두께의 고비율의 감소의 압연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스트립과 작업롤(14, 15)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한 심한 압연기의 진동이 하우징(11) 또는 작업롤(14, 15)에서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효율의 압연을 제공한다. 또한, 압연기는 안정되게 지지되어 안정된 압연 상태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1 내지 28)는 롤 초크(12, 13, 16, 17)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입구측 및 이송측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21 내지 28)는 다음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박형 플런저(40)는 라이너(33)를 통해서 하우징(11)에 고정된 실린더(32)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안내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박형 플런저(40)의 오목부(42)는 실린더(32)의 중심 안내부(38)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각각의 롤 초크(12, 13, 16, 17)를 밀기 위한 라이너(54)는 박형 플런저(40)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박형 플런저(40)는 외주연부 및 상기 방식으로 실린더(3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부를 가진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40)는 직선 안정도에 있어 우수하다. 압연 중에 축 하중 또는 변동 하중이 롤 초크(12, 13, 16, 17)에 의해 부가되는 경우에도, 박형 플런저(40)는 정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업하여, 하우징(11) 또는 작업롤(14, 15) 내에 일어나는 압연기 진동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스트립의 통과가 향상되어 고효율의 압연이 이루어지고, 안정된 압연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압연기 상에 장착된 유압 실린더의 섹션을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고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 있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 플런저(40)는 슬리퍼 밀봉부(41)를 통해서 실린더(32)의 라이너(33)의 내벽면 상에 끼워진다. 박형 플런저(40)의 오목부(42)는 O링(43) 및 슬리퍼 밀봉부(44)를 통해서 중심 안내부(38)에 걸쳐 끼워진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40)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압 공급 챔버(47)는 박형 플런저(40)의 기부 단부면과 실린더(32) 사이에 제공되고, 오일 공급 통로(48)는 유압 공급 챔버(47)와 연통한다. 풀백 기구로서의 유압 공급 챔버(65)는 박형 플런저(40)와 커버(45) 및 라이너(33) 사이에 제공되고, 오일 공급 통로(66)는 유압 공급 챔버(65)와 연통한다. 오일 공급 통로(48, 66)는 선택 밸브(도시 생략)를 통해서 유압 공급원에 연결된다.
선택 밸브는 오일 공급 통로(48)를 통해서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유압 공급 챔버(47)로 오일을 공급하고, 오일 공급 통로(66)를 통해서 유압 공급 챔버(65)로부터 오일을 토출하도록 작동한다. 그 결과, 박형 플런저(40)가 도4에서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라이너(54)는 롤 초크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선택 밸브는 오일 공급 통로(66)를 통해서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유압 공급 챔버(47)로 오일을 공급하고, 오일 공급 통로(48)를 통해서 유압 공급 챔버(47)로부터 오일을 토출하도록 전환된다. 그 결과, 박형 플런저(40)가 도4에서 좌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라이너(54)가 롤 초크를 가압하는 것이 정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런저(40)의 이동은 유압의 공급 및 토출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런저(40)의 작동 즉, 롤 초크를 가압하는 작동은 용이하게 실행된다.
제3 실시예를 따른 압연기에 있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72)는 롤 초크(12)에 대향되도록 하우징(11)의 만곡면(71) 상에서 지지되고 피봇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피봇 가능하다. 유압 실린더(73)는 라이너(72) 상에 장착된다.
즉, 실린더(73)는 라이너(72)의 소정의 위치에서 형성되고, 원통형의 오목부(74)는 실린더(73)의 중심에 형성된다. 박형 플런저(75)는 디스크형이고, 슬리퍼 밀봉부(76)를 통해서 실린더(73)의 내벽면 상에 끼워진다. 박형 플런저(75)의 기부 단부 내에 형성된 중심 안내부(77)는 슬리퍼 밀봉부(78)를 통해서 오목부(74) 내부로 끼워진다. 따라서, 박형 플런저(75)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안내 수단은 오목부(74) 및 중심 안내부(77)로 구성된다. 커버(79)는 박형 플런저(75)의 외주연부 상에 배치되고 박형 플런저(75)의 스트로크(S)를 한정하도록 볼트(80)에 의해 라이너(72)에 고정된다. 유압 공급 챔버(81)는 박형 플런저(75)의 기부 단부면과 라이너(72) 사이에 제공되고, 오일 공급 통로(82)는 유압 공급 챔버(81)와 연통한다. 풀백 기구로서의 나선형 압축 스프링(83)은 박형 플런저(75)와 커버(79)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박형 플런저(75)는 출력부로서 전단부 라이너(84)가 볼트(85)에 의해 고정되는 전단부를 가진다. 박형 플런저(75)는 전단부 라이너(84)를 통해서 롤 초크를 가압할 수 있다. 십자가형의 윤활 홈(86)은 향상된 윤활성을 위해서 전단부라이너(84)의 표면에 형성된다. 윤활 홈(86)은 박형 플런저(75), 전단부 라이너(84) 등에 형성되는 윤활 통로(87, 88)를 통해 윤활 공급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윤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이 오일 공급 통로(82)를 통해서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유압 공급 챔버(81)로 공급될 때, 박형 플런저(75)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83)의 압박력에 대향하는 소정의 오일 공급압 하에서 소정의 스트로크(S)에 걸쳐 이동하여서, 전단부 라이너(84)를 통해서 롤 초크를 가압한다. 이 때에, 박형 플런저(75)는 외주연면이 실린더(73)에 의해 지지되고, 중심 안내부(77)가 오목부(74)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직선 안정도는 확실하게 보장되고, 박형 프런저(75)는 정지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이너(72)는 하우징(11)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73)는 라이너(72) 내에 형성되며, 박형 플런저(75)는 실린더(73)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박형 플런저(75)의 중심 안내부(77)는 실린더(73)의 오목부(74)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안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롤 초크를 가압하기 위한 전단부 라이너(84)는 박형 플런저(75)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 설비는 라이너(72)를 교체함으로써 박형 플런저(75)를 용이하게 합체할 수 있고 전체적인 다양성에 있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 안내부(38)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볼트(39)에 의해 실린더(32)에 고정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 안내부(77)는 박형 플런저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중심 안내부는 분리식 부재 또는 일체식부재일 수도 있으며, 이는 생산 비용 또는 조립의 용이성에 따라 원하는 바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중심 안내부 및 오목부의 형성 위치는 박형 플런저 또는 실린더 내 일 수도 있다. 안내 수단은 중심 안내 및 오목부이다. 그러나, 중심 안내부 대신에, 복수의 볼록부가 중심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연기는 일반 형상의 압연기 뿐만 아니라 교차 압연기 및 변속 압연기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압 실린더는 다양한 압연기에 있어 롤 초크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21 내지 28)로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압 실린더는 작업력이 크고 그 작업 스트로크가 짧은 어떠한 곳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태양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수의 다른 태양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 일 것이고,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게 여겨지는 것처럼 이러한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성에 있어 향상된 유체압 실린더 및 이러한 유체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압연기 진동을 방지하고 고효율의 압연을 가능하게 하며 이런 유체압 실린더로 인해 롤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안정된 압연 상태를 이루는 압연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원통형의 실린더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실린더의 내벽면을 따라 끼워진 박형 플런저와,
    박형 플런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출력부와,
    서로 끼워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박형 플런저의 타단부와 실린더 사이에 제공되어, 실린더에 대해 박형 플런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실린더.
  2. 하우징과,
    롤 초크를 통해서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압연롤과,
    하우징의 상부에 제공되어 압연롤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나사식 하강 수단과,
    하우징에 대해 롤 초크를 가압하도록 압연 가능한 재료의 이송 방향을 따라 롤 초크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서로 끼워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박형 플런저의 축단부와 각각의 유압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사이에 제공되어, 박형 플런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플런저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롤 초크와 접촉하고 가압할 수 있는 라이너는 박형 플런저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4. 제3항에 있어서, 라이너의 표면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플런저는 롤 초크와 접촉하는 라이너부 내에 제공되고, 라이너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롤 초크를 가압할 수 있는 전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플런저의 전단면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실린더의 중심에 제공되는 원통형의 중심 안내부 및 박형 플런저 내에 제공되어 중심 안내부에 걸쳐 끼워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플런저는 라이너를 통해서 실린더의 내주연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고리형 커버가 박형 플런저의 외주연면에 대응하여 실린더에 고정되고, 유압 공급 챔버가 실린더와 박형 플런저 사이에 제공되며, 풀백 기구가 커버와 박형 플런저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KR1020020045484A 2001-08-02 2002-08-01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 KR20030013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34661 2001-08-02
JP2001234661A JP2003048006A (ja) 2001-08-02 2001-08-02 流体圧シリンダ及び圧延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291A true KR20030013291A (ko) 2003-02-14

Family

ID=1906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484A KR20030013291A (ko) 2001-08-02 2002-08-01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024292A1 (ko)
EP (1) EP1281449A2 (ko)
JP (1) JP2003048006A (ko)
KR (1) KR20030013291A (ko)
CN (1) CN1401444A (ko)
BR (1) BR0202853A (ko)
CA (1) CA2392101A1 (ko)
TW (1) TW5654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53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733B2 (ja) 2003-09-08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の台車式搬送装置
US7225657B2 (en) * 2004-05-05 2007-06-05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Elimination of rolling mill chatter
DE102005042168A1 (de) * 2005-06-08 2006-12-14 Sms Demag Ag Vorrichtung zur Beaufschlagung der Führungsflächen von in den Ständerfenstern von Walzgerüsten geführten Lagereinbaustücken
DE102006046311A1 (de) 2006-09-29 2008-04-03 Xella Baustoffe Gmbh Verfahren und Bewehrungsmittel zur Herstellung bewehrter Poren- oder Schaumbetonkörper und Bewehrungshalterahmen zur Verwendung für ein derartiges Verfahren
US8091817B2 (en) * 2009-12-11 2012-01-10 Flsmidth A/S Milling device
RU2510298C2 (ru) * 2012-04-20 2014-03-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дежность Тяжелых Машин" Станина клети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CN102847717A (zh) * 2012-09-08 2013-01-02 中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轧机辊系稳定运行的装置及其方法
CN112958629B (zh) * 2021-01-29 2023-01-13 嘉兴学院 一种有色金属压延成型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904A (ja) * 1982-11-12 1984-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ワ−クロ−ルベンデイングシリンダ装置
EP0354170A2 (de) * 1988-08-05 1990-02-07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xialführung der Walzen von Walzgerüsten
US4907329A (en) * 1987-06-04 1990-03-13 Clecim Axial support device for a cylinder with rotating sleeve
JPH0284206A (ja) * 1988-04-30 1990-03-26 J M Voith Gmbh シリンダ・ピストン機構
US5174002A (en) * 1990-10-23 1992-12-29 Eduard Kusters Maschinenfabrik Gmbh & Co Kg Deflection-controlled cylinder
JPH07185619A (ja) * 1993-12-28 1995-07-25 Nippon Steel Corp 位置制御用油圧シリンダの検出器支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6767A (en) * 1974-05-31 1975-09-23 Mitsubishi Heavy Ind Ltd Hydraulic roll-gap control system
GB1559571A (en) * 1976-09-24 1980-01-23 Avon Ind Polymers Piston means for piston cylinder arrangements
DE3019947A1 (de) * 1980-05-24 1981-12-03 Fried. Krupp Gmbh, 4300 Essen Walzenanstellvorrichtung
DE4010662C3 (de) * 1990-04-03 2001-07-05 Bwg Bergwerk Walzwerk Anstellvorrichtung zum Einstellen des Walzenabstandes in Walzgerüsten, insbesondere in Bandwalzgerüsten für Warm- oder Kaltwalzung
US5299489A (en) * 1991-05-17 1994-04-05 Reo Hydraulic Pierce & Form Pressure cylinder with low tolerance fit capable of supporting large transverse loads
JP4402264B2 (ja) * 1999-08-11 2010-0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延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904A (ja) * 1982-11-12 1984-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ワ−クロ−ルベンデイングシリンダ装置
US4907329A (en) * 1987-06-04 1990-03-13 Clecim Axial support device for a cylinder with rotating sleeve
JPH0284206A (ja) * 1988-04-30 1990-03-26 J M Voith Gmbh シリンダ・ピストン機構
EP0354170A2 (de) * 1988-08-05 1990-02-07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xialführung der Walzen von Walzgerüsten
US5174002A (en) * 1990-10-23 1992-12-29 Eduard Kusters Maschinenfabrik Gmbh & Co Kg Deflection-controlled cylinder
JPH07185619A (ja) * 1993-12-28 1995-07-25 Nippon Steel Corp 位置制御用油圧シリンダの検出器支持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53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24292A1 (en) 2003-02-06
CN1401444A (zh) 2003-03-12
BR0202853A (pt) 2003-05-20
CA2392101A1 (en) 2003-02-02
EP1281449A2 (en) 2003-02-05
JP2003048006A (ja) 2003-02-18
TW565476B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131B2 (en) Rotational resistance applying device in main shaft driving device for machine tool
KR20030013291A (ko) 유압 실린더 및 압연기
KR20100102149A (ko) 인덱스 테이블의 클램프 장치의 증력장치
JPH0369004B2 (ko)
US7263925B1 (en) Hydraulic axial piston machine
JPH0246904A (ja) 圧延機のスタンド内でロールを軸方向に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
EP2237901B1 (en) Linear bearing plate for rolling mill
US8584500B2 (en) Lubrication delivery system for linear bearings
JP2005076858A (ja) ロータリー分配弁及び潤滑装置
CA2483638C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act pressure of contact rolls
US7513691B2 (en) Piston engine, shaft and rolling bearing for a piston engine
US6796929B2 (en) Self-adjusting deflection controlled roll
CN112004619B (zh) 压缩扭转成型装置
US11002244B2 (en) Hydrostatic axial piston machine
JP2007177764A (ja) 斜板式ピストンモータ
JPS6118678B2 (ko)
DE10314654B4 (de) Hydrostatisches entlastetes Gleitlager
KR100246309B1 (ko) 머시닝 센터의 주축 베어링의 예압변경장치
GB2417990A (en) Hydrostatic displacement unit
CN220259092U (zh) 轧机工作辊轴向防窜装置、防窜结构以及轧机
US4942754A (en) Arrangement for axially displacing rolls in rolling mill stands
JP7460838B1 (ja) 流体送給機構における回転シール機構およびロータリジョイント
CN210769738U (zh) 应用于疲劳试验机的锁紧装置
CN116673340A (zh) 轧机、轧机工作辊轴向防窜装置、防窜结构及其应用方法
CN111390199A (zh) 一种内反馈可倾瓦定压预紧的机床主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