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031A -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031A
KR20030013031A KR1020010047314A KR20010047314A KR20030013031A KR 20030013031 A KR20030013031 A KR 20030013031A KR 1020010047314 A KR1020010047314 A KR 1020010047314A KR 20010047314 A KR20010047314 A KR 20010047314A KR 20030013031 A KR20030013031 A KR 2003001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rollers
rubb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전두환
Original Assignee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2001004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031A/ko
Publication of KR2003001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8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frames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02Tenters for tentering or drying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06Clips or accessories for tenters or d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된 원단에 가해진 꼬임을 풀어 확포하기 위한 원단확포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리어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이 확포기상단에 구성된 원단진입 안내롤러로 안내되게 하는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원단에 가해진 꼬임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고, 또한 원단의 인출시 원단에 가해지는 장력이 전부분에 걸쳐 분산되게 하므로서, 과장력으로 인한 불량방지는 물론, 얇은 원단의 경우에도 원활한 확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확포기(10)의 프레임(14) 일측에 브라켓(15)을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15)에 한 쌍의 망글롤러(16)를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게 하고, 확포기(10)에 구성된 감지봉(21) 아랫쪽과, 진공탈수기(31) 좌우측 및 횡프레임(36)의 단부에 제1,2,3,4 고무구동롤러(22)(24)(26)(28)을 장치한 다음 제1,2,3,4 구동모터(23)(25)(27)(29)에 의해 동일한 표면속도로 각각 구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Textile supplying/fetching guide device of scutcher}
본 발명은 원단확포기에 장치된 원단공급 및 인출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포기내로 원단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단에 가해진 꼬임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확포기를 통하여 확포된 원단의 인출시 인출되는 원단에 적용되는 장력을 최소화하여 과장력으로 인한 원단의 불량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기, 특히 액류염색기를 이용하여 원단을 염색하게 되면 액류염색기의 특성상 원단에 꼬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원단에 가해진 꼬임은 뒷공정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반드시 풀어낸 다음 확포시켜 주어야 하며, 원단에 가해진 꼬임을 풀어주는 수단으로서 확포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확포기(100)의 구성은 도2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캐리어(103)에 담겨진 원단(104)을 인출하여 가이드롤러(104)를 경유시켜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망글롤러(101)로 통과되게 한 다음 다수 개로 구성된 가이드롤러(106)로 안내되게 하며, 이때 망글롤러(101)에서는 원단에 함유된 물기를 압착 탈수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캐리어(103)는 회전장치(111)상에 안치되어 정역회전하게 구성되어있다.
압착탈수된 다음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106)를 지난 원단(104)은 확포기 (100)의 최상부에 구성된 원단진입 안내롤러(107)로 안내되게 하고, 원단진입 안내롤러(107)로 안내된 원단(104)은 감지장치 및 회전장치가 부설된 헤드턴테이블 (108)를 지나면서 원단(104)에 가해진 꼬임이 풀어지게 한다.
헤드턴테이블(108)의 정역회전에 의해 꼬임이 풀어진 원단(104)은 직하방에 위치한 확포스크류(109)로 안내되고, 확포스크류(109)에서 꼬임이 풀어진 원단 (104)은 폭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원단(104)은 다시 안내봉(110)을 지난 다음 감지봉(112)에 의해 원단(104)이 항상 중앙에 위치될 수 있게 위치가 조정된다.
감지봉(112)를 지난 원단(104)은 하부가이드롤러(113)를 경유하여 윗쪽방향으로 안내되어 중간 가이드롤러(114)를 지나면서 진공탈수기(115)에 의해 원단 (104)에 잔류하는 물기를 한번 더 탈수하게 된다.
탈수된 원단(104)은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3개의 인출롤러(118)로 안내되게 하고, 인출롤러(118)를 경유한 원단(104)은 편심판(116)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간(119)을 지나면서 지그재그로 안내되어 적층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확포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캐리어(103)에 담겨진 원단(104)을 수직으로 구성된 망글롤러(101)와 여러 개로 구성된 가이드롤러(106)를 지나 확포기(100)의 윗쪽에 구성된 원단진입 안내롤러(107)및 헤드턴테이블(108)로 안내되기 때문에 캐리어(103)에 담겨진원단(104)이 망글롤러(101)와 여러 개의 가이들롤러(106)를 경유시키는 초기설치작업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수반될 뿐 아니라 캐리어(103)로부터 헤드턴테이블(108)까지 연결되는 원단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원단확포기(100)의 작동시 헤드턴테이블(108)의 감지작동에 의해 헤드턴테이블(108)의 정역회전 및 캐리어(103)가 안치된 회전장치(111)가 회전하여 원단(104)에 가해진 꼬임의 풀림이 용이하게하고 있으나 헤드턴테이블(108)과 캐리어(103)사이에 위치하는 원단(104)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원단(104)의 효과적인 풀림작업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오히려 더욱 꼬이게 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확포기(100)를 경유하는 원단(104)은 확포기(100)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한 3개의 인출롤러(118)의 강제적 당김동작에 의해 원단(104)이 이동되게 한 구성이다.
따라서 망글롤러(101)로부터 인출된 원단(104)은 가이드롤러(106)와 원단진입 안내롤러(107), 헤드턴테이블(108), 확포스크류(109), 안내봉(110), 하부가이드롤러(113), 중간가이드롤러(114) 및 진공탈수기(115)를 경유하면서 많은 마찰저항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저항때문에 원단(104)은 고장력상태로 유지되면서 원단(104)이 늘어나게 되고, 원단의 늘어남때문에 불량원단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매우 높다.
상기한 현상은 얇은 원단의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원단의 확포작업에 더욱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첫째, 캐리어와 헤드턴테이블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원단의 길이를 최소화되게 하여 원단의 설치 및 꼬임이 효과적으로 풀어질 수 있게 구성하고, 둘째, 확포기를 지나는 원단에 과장력이 부여되지 않게 하여 과장력으로 인한 불량 발생요인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은 확포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상에 망글롤러를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게 하여 캐리어가 망글롤러 직하방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캐리어로부터 인출된 원단이 망글롤러를 통하여 바로 원단진입 안내롤러 및 헤드턴테이블로 안내되게 하고, 또한 확포기의 다수곳에 별개의 구동력을 갖는 구동고무롤러를 설치하되, 구동고무롤러의 회전속도, 즉 표면속도는 동일하게 구성하여 확포기를 경유하는 원단의 장력이 분산되게 하므로서 과장력이 발생치 않게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원단확포기의 측면구성도.
도 2 : 종래 원단확포기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단확포기(11)--회전장치
(12)--턴테이블(13)--캐리어
(14)--프레임(15)--브라켓
(16)--망글롤러(17)--원단진입 안내롤러
(18)--헤드턴테이블(19)--확포스크류
(20)--안내봉(21)--감지봉
(22)--제1 고무 구동롤러(23)--제1 구동모터
(24)--제2 고무 구동롤러(25)--제2 구동모터
(26)--제3 고무 구동롤러(27)--제3 구동모터
(28)--제4 고무 구동롤러(29)--제4 구동모터
(30)--편심원판(31)--진공탈수기
(32)--요동간(33)--연결간
(36)--횡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확포기(10)의 측면구성도로서, 확포기(10) 전면에 캐리어 회전장치(1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장치(11)에 구성된 턴테이블(12)에는 캐리어(13)가 안치되어 있어, 턴테이블(12)이 회전하면 그 위에 안치된 캐이러(13)가 회전되게 구성한다.
확포기(10)를 구성하는 프레임(14) 전면에는 브라켓(15)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5)상에 한 쌍의 망글롤러(16)를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게 한다.
프레임(14) 상단에는 원단진입 안내롤러(17)를 구성하고, 그 아래에는 헤드턴테이블(18)이 구성되어 있고, 헤드턴테이블(18) 직하방에는 확포스크류(19)와 안내봉(20) 및 감지봉(21)이 차례로 구성되게 한다.
감지봉(21) 아랫쪽, 즉 확포기(10)의 최하단에는 제1 고무 구동롤러(22)를 설치하고, 상기 제1 고무 구동롤러(22)는 제1 구동모터(23)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제1 고무 구동롤러(22) 윗쪽에는 제2 고무 구동롤러(24)와 제3 고무 구동롤러(26)를 설치한 다음 제2 구동모터(25)와 제3 구동모터(27)에 의해 각각 구동되게 하되, 제2 구동 고무롤러(24)와 제3 구동 고무롤러(27) 사이에는 진공탈수기(3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확포기(10)를 구성하는 횡프레임(36) 단부에 제4 고무 구동롤러(28)를 구성한 다음 제4 구동모터(29)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제4 고무 구동롤러(28) 아랫쪽에는 요동간(32)을 설치한 다음 연결간(33)으로 편심원판(30)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확포기(10)에 원단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즉 캐리어(13)에 담겨진 원단(W)을 꺼집어 낸 다음 직상부에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망글롤러(16)사이로 통과되게 한 다음 곧바로 직상부에 위치한 원단진입 안내롤러(17)로 안내되게 하고, 원단진입 안내롤러(17)에서 방향을 바꾼 원단(W)은 다시 헤드 턴테이블(18)을 지나면서 원단에 가해진 꼬임이 감지되게 함과 동시에 꼬임의 방향이나 정도에 따라 헤드 턴테이블(18) 및 캐리어(13)가 안치된 턴테이블(12)이 회전되게 하고, 헤드 턴테이블(18)을 지난 원단은 직하방에 위치한 확포스크류(19), 안내봉(20), 감지봉(21) 및 제1,2,3,4 고무 구동롤러(22)(24)(26)(28)를 지난 다음 요동간(32)으로 안내되게 하되, 제2,3 고무 구동롤러(24)(26) 사이에서는 진공탈수기(31)에 의해 원단(W)의 물기를 한번 더 흡착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염색기 특히 액류염색기를 통하여 염색 완료된 원단(W)을 캐리어(13)에 담은 다음 상기 캐리어(13)를 회전장치(11)에 구성된 턴테이블 (12)상에 안치한 상태에서 캐리어(13)에 담겨진 원단(W)을 확포기(10)를 이용하여 원단(W)에 가해진 꼬임을 풀어냄과 동시에 확포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확포기(10)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캐리어(13)에 담겨진 원단(W)을 꺼집어 내어 확포기(10) 상단에 구성된 헤드 턴테이블(18)로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캐리어(13)와 헤드 턴테이블 (18)사이에 위치하는 원단(W)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헤드턴테이블(18)에 구성된 감지장치(도시않됨)가 원단(W)에 가해진 꼬임을 감지한 다음 헤드 턴테이블(18)이 정역회전하고, 동시에 감지신호를 회전장치(11)의 턴테이블(12)로 인가하여 턴테이블(12)이 회전되게 하여 캐리어(13)가 회전되게 하면 캐리어(13)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꼬임이 즉시 원단(W)에 전달되어 꼬임이 용이하게 풀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확포기(10)에 장치된 망글롤러(16)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어 망글롤러(16)에서 압착되어 탈수된 원단(W)은 다른 안내수단 없이 바로 직상부에 위치한 원단진입 안내롤러(17)로 안내되게 할 수 있게 때문에 원단(W)의 설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둘째, 확포기(10)에 장치된 제1,2,3,4 고무 구동롤러(22)(24)(26)(28)가 제1,2,3,4 구동모터(23)(25)(27)(29)에 의해 각각 구동되게 하여 원단(W)을 당기게 되므로 원단에 가해지는 장력은 분산되어 과장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원단(W)에 가해지는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비교적 얇은 원단이라도 과장력으로 인한 불량없이 원활하게 원단을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2,3,4 고무 구동롤러(22)(24)(26)(28)를 구동시키는 제1,2,3,4 구동모터(23)(25)(27)(29)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각 고무 구동롤러(22) (24)(26)(28)의 표면속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에서 제2,3 고무 구동롤러(24)(26)는 필요에 따라 한 개의 구동모터로 구동되게 설계할 수도 있다.
제2,3 고무 구동롤러(24)(26)사이에 위치하는 진공탈수기(31)는 원단(W)에 잔류하는 물기를 한번 더 흡착되게 하여 원단(W)에 함유된 물기를 한번 더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확포기는, 첫째, 캐리어와 원단진입 안내롤러사이에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망글롤러만 구성되게 하여 원단의 설치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꼬임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둘째, 원단의 인출을 각각 구동하는 여러 개의 고무 구동롤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하여 장력이 분산되게 하므로서 과장력으로 인하여 원단이 늘어나게 되고, 원단의 늘어남 때문에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원단확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14) 일측에 브라켓(15)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15)에 한 쌍의 망글롤러(16)를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게 하므로서, 캐리어(13)로부터 공급되는 원단(W)이 망글롤러(16)를 경유하여 곧바로 원단진입 안내롤러(17)로 안내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 안내장치.
  2. 원단확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감지봉(21) 아랫쪽에 제1 고무 구동롤러(22)를 장치하여 제1 구동모터(23)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진공탈수기(31) 좌우측에 제2,3 고무 구동롤러(24)(26)를 장치한 다음 제2,3 구동모터(25)(27)에 의해 각각 구동되게 하고, 또한 횡프레임(36) 단부에 제4 고무 구동롤러(28)를 설치한 다음 제4 구동모터(29)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상기 각 고무 구동롤러의 표면속도는 동일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확포기의 원단 인출 안내장치.
KR1020010047314A 2001-08-06 2001-08-06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KR20030013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14A KR20030013031A (ko) 2001-08-06 2001-08-06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314A KR20030013031A (ko) 2001-08-06 2001-08-06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852U Division KR200252486Y1 (ko) 2001-08-06 2001-08-06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031A true KR20030013031A (ko) 2003-02-14

Family

ID=2771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314A KR20030013031A (ko) 2001-08-06 2001-08-06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0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24B1 (ko) * 2010-06-22 2012-03-23 박정호 직물용 확포장치
KR101438426B1 (ko) * 2013-10-31 2014-09-12 정자영 원단확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909A (en) * 1979-07-16 1982-05-25 Erhardt & Leimer Kg Apparatus for flattening and guiding an elongated web
JPH0738184U (ja) * 1993-12-13 1995-07-14 鐘紡株式会社 拡布装置
KR950025054U (ko) * 1994-02-17 1995-09-15 정의훈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KR960008842A (ko) * 1994-08-26 1996-03-22 로버트 시. 콜웰 메모리 회로에서 기록 사이클 다음의 상보형 데이타 라인의 고속 전압 평형 회로
KR970000125U (ko) * 1995-06-16 1997-01-21 이상원 곡물의 세척, 탈수기
KR970001078A (ko) * 1995-06-05 1997-01-21 한승준 에어덕트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의 차체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909A (en) * 1979-07-16 1982-05-25 Erhardt & Leimer Kg Apparatus for flattening and guiding an elongated web
JPH0738184U (ja) * 1993-12-13 1995-07-14 鐘紡株式会社 拡布装置
KR950025054U (ko) * 1994-02-17 1995-09-15 정의훈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KR960008842A (ko) * 1994-08-26 1996-03-22 로버트 시. 콜웰 메모리 회로에서 기록 사이클 다음의 상보형 데이타 라인의 고속 전압 평형 회로
KR970001078A (ko) * 1995-06-05 1997-01-21 한승준 에어덕트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의 차체구조
KR970000125U (ko) * 1995-06-16 1997-01-21 이상원 곡물의 세척, 탈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24B1 (ko) * 2010-06-22 2012-03-23 박정호 직물용 확포장치
KR101438426B1 (ko) * 2013-10-31 2014-09-12 정자영 원단확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338283U (zh) 一种纺织用捻线机
KR200252486Y1 (ko)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KR20030013031A (ko) 원단확포기의 원단 공급.인출 안내장치
CN107364766A (zh) 一种筒纱自动输送机构
CN107587255B (zh) 一种针织圆纬机的纱线智能检测除疵装置及其方法
CN1786309B (zh) 毛圈经纱张力的调整方法
CN113652792B (zh) 一种喷水纺织机
CN209797079U (zh) 一种纺织纱线抻线设施
CN107974815A (zh) 一种熨平机
CN208871993U (zh) 一种纺织业化学纤维织物面料生产用晾干装置
CN220704024U (zh) 一种可均匀染色的纺织线染色装置
CN212025567U (zh) 用于针织机的辅助装置
CN220746184U (zh) 一种纤维加工用加弹机
CN117646300B (zh) 一种便于上线的纺织纤维纺织设备
KR200231103Y1 (ko) 합성수지제 원사의 공급장치
CN220827518U (zh) 一种对膜片纱线整经的花轴整经机
CN219907988U (zh) 一种dty丝用整经机
CN115506089B (zh) 一种纺织绣花机
CN218664713U (zh) 一种新型棉纱生产收卷用张紧装置
CN221051186U (zh) 纺织类纺织线用导向装置
CN216189574U (zh) 一种无纺布生产线用快捷下料装置
CN215328572U (zh) 一种经纱线的整经机
CN216765174U (zh) 一种纺织毛巾生产用整经机
CN114197127B (zh) 一种电脑枪刺地毯机自动收线及线结检测装置
CN217236357U (zh) 一种纺织生产用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