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555A - 치근관 기기 세트 - Google Patents

치근관 기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555A
KR20030011555A KR1020020042525A KR20020042525A KR20030011555A KR 20030011555 A KR20030011555 A KR 20030011555A KR 1020020042525 A KR1020020042525 A KR 1020020042525A KR 20020042525 A KR20020042525 A KR 20020042525A KR 20030011555 A KR20030011555 A KR 2003001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canal device
operating part
diamet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게만프랑크
오토베른트
퀼머미하엘
당어칼-하인츠
Original Assignee
지이비알. 브라셀러 게엠바흐 앤드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13582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135820C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13582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135821C1/de
Application filed by 지이비알. 브라셀러 게엠바흐 앤드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지이비알. 브라셀러 게엠바흐 앤드 컴퍼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1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4Means for controlling working depth, e.g. supports or boxes with depth-gauging means, stop positioners or files with adjustably-mount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치근관(root canal) 기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치근관 기기에는 한 단부에서 샤프트 단부(2) 및 다른 단부 상에 적어도 한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동작부(3)를 가진 칼라(1)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3)는 원추형으로 또는 왕관형으로(crowned) 형성되는 치근관 기기 세트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의 원추각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감소되며, 각각의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각각의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왕관형 동작부(3)의 반경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증가되며, 각각의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각각의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3)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Description

치근관 기기 세트{ROOT CANAL INSTRUMENT SET}
본 발명은 치근관 기기 세트(root canal instrument se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요 청구범위의 전제부에 따른 치근관 기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치근관을 처리(processing)하고 교정(editing)하기 위해서, 종래에 여러 가지 다른 공구들이 제공되었다. 대체로, 각각의 처리의 순서에 따라서 두 가지 다른 형태의 공구가 있다. 공구 세트들 중의 하나는 상대적으로 얇은 공구로 시작하고,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는 더 두꺼운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치근관은 그 자유 단부로 향해서 단계적으로 그 직경이 넓어진다. 크라운-다운 준비(crown-down preparation)(치과에서 치아에 크라운을 씌우기 위한 준비)라고도 불리우는 처리의 다른 방법은 큰 직경의 공구로 시작하는데, 큰 직경의 공구에 의해서 치근관의 상부 외부 부분이 처리된다. 그 다음의 후속 기기들은 직경이 감소하며, 치근관의 더욱 광범위하고 더욱 먼 위치까지 처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크라운-다운 준비를 위한 치근관 기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많은 치근관 기기들은 최적 준비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붕괴의 상당한 위험성이 존재하며, 치근관의 자연스러운 궤적(course)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치근관 기기 세트로서 그 응용이 안전하고 우수한 준비 결과를 제공하면서도 단순한 구조이고 간단하고도 저비용으로 생산가능한 치근관 기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주요 청구범위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되며,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추가적 이점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동작부의 원추각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감소되고, 선행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는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은 또한 왕관형(crowned) 동작부의 반경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증가하고, 선행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는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동작부들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세트의 치근관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기의 직경만이 아니라 그 원추각 역시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선행 기기에 의해 생성된 원추형 홈 내로 후속 기기를 사용하여 관통해 들어가고 이러한 방법으로 치근관의 준비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또한 한편으로는 기기의 직경이 감소하고 또 한편으로는 왕관형 동작부의 반경이 증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선행 기기에 의해 생성된 홈 내로 후속 기기를 사용하여 관통해 들어가고 이러한 방법으로 치근관의 준비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표준 기기에 비하여 각각의 동작부의 길이가 짧아지고, 따라서 향상된 굽힘 강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선행 치근관 기기의 동작 길이는 후속 치근관 길이의 동작 길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치근관 기기를 사용하여, 원추형 분절들로 또는 분절들로 처리되는 치근관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동작부의 설계는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동작부에 나선형 에지가 제공되면 특히 이점을 갖는다. 동작부는 2-에지형 또는 3-에지형일 수 있다. 이것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절단 에지들이 제공될 수 있음을 뜻한다.
단일 치근관 기기의 간단한 취급을 보장하고 최적 처리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칼라/칼라부의 길이와 동작부의 길이를 합한 것으로부터 생성되는 치근관 기기의 동작 길이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증가하면 특히 이점을 갖는다. 작업을 위한 치근관 기기의 축부/축은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게 구동기 내로 삽입되고, 서로 다른 처리 깊이가 치근관 기기의 서로 다른 길이로부터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근관 기기의 길이가 세트 내에서 증가할뿐더러 동작부의 직경(또한 원추형 형상)이 그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제공한다.
동작부의 왕관형부의 반경이 증가함으로 인해서,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 또는 그 동작부의 전체적으로 더욱 가느다란 형상이 얻어진다.
따라서, 점진적인 준비를 확보하기 위해서, 선행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의 말단부로부터 더 작은 거리에서의 동작부의 직경이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의 말단부로부터 더 큰 거리에서의 동작부의 직경과 같으면 특히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규정된 점에서의 치근관 기기는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동일한 직경의점들은 동작부의 말단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가져서 후속 치근관 기기는 선행 치근관 기기에 의해서 이미 처리된 치근관의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치근관 내로 더욱 깊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 결과 선행 치근관 기기에 의해서 처리된 치근관의 원추형 부분은 후속 치근관 기기에 의해 다시 처리되지 않거나 아주 약간만 처리된다. 따라서, 힘을 부여할 필요성이 상당히 적게 된다. 그 결과, 마찰은 감소되고, 이것은 다음에는 치근관 기기 상의 부하를 감소시켜서 붕괴의 위험성 또한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표준 처리 또는 표준화된 처리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치근관 기기 세트의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기의 원추각 또는 직경은 각각 ISO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규정한다.
동작부의 단일 반경 또는 원추각 및 동작부의 유효 길이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발전된 실시예에서 두 번째 치근관 기기와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는 동작부의 말단부로부터 시작하는 영역에서만 예리한 절단 에지가 형성되는 것이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예리한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은 무절단부(non-cutting)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예로서 스크레이핑 효과만을 갖고 치근관을 더욱 평활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첫 번째 치근관 기기에 대해서, 그 동작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예리하게 되면 이점을 갖는다.
예리한 부분으로부터 무절단부로의 전이 영역에서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의 직경은 선행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의 말단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치근관의 점진적인 처리가 확보된다. 특히, 불필요하게 큰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 후속 기기가 사용되어야만 하는 것이 방지된다. 절단부는 처리될 치근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 정확하게 조정된다.
각각의 치근관 기기의 칼라에 돌출될 가능성이 있는 마킹 링이 제공되면 특히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치과 의사로 하여금 관통 깊이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마킹 링에는 예로서 칼라의 직경보다 큰 상승된 직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칼라로 인해서 치근관 기기의 유연성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근관 기기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초고탄성 니켈-티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기기들에 경성 코팅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치근관 기기가 일체식 부품(integral part)으로서 형성되면 특히 이점을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을 도면과 관련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3개의 치근관 기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세트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기들의 각각의 동작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치근관 기기의 제1 실시예에서 마킹 링을 가진 다른 대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절단 에지의 서로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상기 세트의 3개의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를 통한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5는 3개의 치근관 기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세트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기들의 각각의 동작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치근관 기기의 제2 실시예에서 마킹 링을 가진 다른 대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절단 에지의 서로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상기 세트의 3개의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를 통한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치근관 기기는 각각 얇은 탄성 칼라/칼라부(1)를 도시하는데, 칼라(1)의 전방 단부에는 원추형 형상을 가진 동작부(3)가 제공된다. 샤프트의 다른 단부는 샤프트 단부/샤프트(2)에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치근관 기기는 기계식 구동기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샤프트 단부는 그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그 설계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치근관 기기 세트는 가장 뿌리 부분의 치근관 처리를 위해 사용되도록 특히적응된다. 따라서, 사용된 모든 기기의 최대 처리 길이는 약 12mm이다. 사용될 크라운-다운 기술(crown-down technique)과 관련해서, 각각의 기기의 크기 또는 직경은 각각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세트는 감소하는 크기를 가진 2개의 기기를 포함하지만, 도시되었듯이 3개의 기기가 사용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세트의 각각의 기기의 동작 길이는 서로로부터 1 내지 10mm씩 변할 수 있다. 동작 길이는 동작부(3)와 칼라(1)의 길이로부터 정해진다.
각각의 기기의 동작부(3)의 길이는 3 내지 10m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제1 기기의 원추의 개방각은 예로서 2o와 12o사이에 있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후속 기기의 개방각은 더욱 작게 선택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치근관 기기(도 5 내지 도 8 참조)는 왕관형 또는 불꽃 모양의 동작부(3)를 가진다. 이것들은 그 팁에서 직경 d1.1, d1.2 및 d1.3을 보이는데, 그 직경들은 표준화된 ISO 값들에 대응된다.
전방 팁은 통상적으로 형성된 무절단형(not-cutting)이며, 그것은 안내 작용을 하고 절두체(frustum) 또는 반구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팁의 반경은 예로서 제1 기기에 대해서 0.445mm, 제2 기기에 대해서 0.325mm 및 제3 기기에 대해서 0.274mm일 수 있다(도 6에서 반경 r2.1, r2.2 및 r2.3 참조).
각각의 동작부(3)의 왕관형부는 각각 R1, R2 및 R3의 반경을 갖는다. 이 반경들은 예로서 제1 기기에 대해서 62.6, 제2 기기에 대해서 83.4 및 제3 기기에 대해서 98.1일 수 있다.
전술한 반경이 제공된 동작부(3)는 경사부 또는 r1.1, r1.2 또는 r1.3의 반경을 가진 부분을 거쳐서 샤프트(1)에 병합된다. 상기 반경은 예로서 4.0mm, 6.7mm 및 5.6mm일 수 있다.
또한, 도 6으로부터, 팁 직경 d1.1, d1.2 또는 d1.3과 가장 큰 직경 d3.1, d3.2 및 d3.3에서 각각 위치된 선들에서 각각 측정된 감춰진(eclipsed) 원추각(이론적 각도)이 발생한다. 이것은 제1 기기에 대해서 W1=4.58o의 이론적 각도, 제2 기기에 대해서 W2=3.32o의 이론적 각도 및 제3 기기에 대해서 W3=2.77o의 이론적 각도를 발생시킨다.
도면에서 보듯이(도 2 또는 도 6), 이것은 동작부(3)의 직경을 감소시켜서 다음의 식이 얻어진다.
d3.1 > d3.2 > d3.3
상기 도면들에서, 직경 또는 길이의 두 번째 숫자는 사용된 기기의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동작부(3)의 무절단 스크레이핑부와 관련하여 동작부(3)의 예리한 절단부의 할당이 얻어지는데, 그것은 도면들에 대응되게 도시된다. 도면들로부터 다음의 결과가 얻어진다.
d1.1 = d2.2
d1.2 = d2.3
또한, 다음의 할당이 얻어진다.
d4.1 = d4.2
d5.2 = d5.3
먼저 언급된 두 개의 식은 동작부(3)의 예리한 절단부와 관련한 직경의 할당에 대한 힌트를 주고, 나중의 두 개의 식은 원추 또는 왕관형부의 개방각과 관련한 직경의 할당을 개시한다.
제1 기기에는 길이 12.1 전체에 걸쳐서 절단부가 형성된다. 다음의 두 개의 기기에 대해서는, 예리한 절단부에 12.2와 12.3이 할당되며, 스크레이핑부에는 13.2와 13.3이 할당된다.
개방각 및 주어진 직경의 할당과 관련해서, 도면에서 제1 기기에 대해서는 직경 d4.1이 말단부(distal end)로부터 거리 14.1에 제공되며, 상기 직경은 제2 기기의 말단부로부터 거리 14.2에서의 직경 d4.2와 같다는 것이 명백하게 보여졌다. 같은 방식으로, 제2 기기는 말단부로부터 거리 15.2에서 직경 d5.2를 갖는데, 상기 직경은 제3 기기의 말단부로부터 거리 15.3에서의 직경 d5.3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기의 동작부(3)는 그 전체 길이 12.1에 걸쳐서 날카로운 반면에, 제2 기기와 제3 기기의 예리한 절단부는 길이 12.2와 12.3으로 각각 할당된다. 길이 13.2와 13.3은 스크레이핑으로 형성된다. 절단부로부터 스크레이핑부로의 전이가 발생하는 직경 d2.2와 d2.3은 각각 앞의 기기의 말단부에서의직경 d1.1과 d1.2와 같다.
모든 치근관 기기의 유연성은 칼라(1)의 모양과 크기에 의해 보장된다.
도 3 및 도 7은 관통 깊이를 감시하기 위해서 돌출된 마킹 링(4)이 제공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마킹 링은 칼라(1)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8은 동작부(3)의 절단부의 3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기기 및 제2 기기는 각각 3개의 절단 에지를 포함하고, 제3 기기는 에지가 2개인 기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세트의 크기와 한 세트에서의 기기들의 크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더 큰 전체적 동작 직경을 가진 세트와 더 작은 전체적 직경을 가진 세트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세트들을 결합하여 이러한 세트들이 왕관형 및 원추형 기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기기를 특히 가장 상이한 동작 조건 및 상황에 양호하게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세트의 크기와 한 세트에서의 기기들의 크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전체적 동작 직경을 가진 세트와 더 작은 전체적 직경을 가진 세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세트들을 결합하여 이러한 세트들이 왕관형및 원추형 기기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기기를 특히 가장 상이한 동작 조건 및 상황에 양호하게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8)

  1. 적어도 2개의 치근관 기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치근관 기기에는 한 단부에서 샤프트 단부(2) 및 다른 단부 상에 적어도 한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동작부(3)를 가진 칼라(1)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3)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치근관 기기 세트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원추각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감소되며, 각각의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각각의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d3.1>d3.2>d3.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 길이(3)는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 길이(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는 원추형으로 인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더 작은 거리(14.1 또는 15.2)에서의 상기 동작부(3)의 직경(d4.1 또는 d5.2)은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더 큰 거리(14.2 또는 15.3)에서의 상기 동작부(3)의 직경(d4.2 또는 d5.3)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기의 원추각 또는 직경은 각각 ISO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치근관 기기와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부분(12.2 또는 12.3)에서만 예리한 절단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부분에 인접한 부분은 무절단부(non-cutting)(13.2 또는 1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절단부는 스크레이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첫 번째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예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예리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무절단부로의 전이 영역 내의 상기 동작부(3)의 직경(d2.2 또는 d2.3)은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의 직경(d1.1 또는 d1.2)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1)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킹 링(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링(4)은 칼라(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관 기기는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5. 적어도 2개의 치근관 기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치근관 기기에는 한 단부에서 샤프트 단부(2) 및 다른 단부 상에 적어도 한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동작부(3)를 가진 칼라(1)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3)는 왕관형으로 형성되는 치근관 기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왕관형 동작부(3)의 반경은 선행 치근관 기기로부터 후속 치근관 기기로 가면서 증가되며, 각각의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각각의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동작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d3.1>d3.2>d3.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 길이(3)는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 길이(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는 인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더 작은 거리(14.1 또는 15.2)에서의 상기 동작부(3)의 직경(d4.1 또는 d5.2)은 상기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더 큰 거리(14.2 또는 15.3)에서의 동작부(3)의 직경(d4.2 또는 d5.3)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치근관 기기와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부분(12.2 또는 12.3)에서만 예리한 절단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부분에 인접한 부분은 무절단부(13.2 또는 1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절단부는 스크레이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첫 번째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예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후속 치근관 기기의 상기 예리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무절단부로의 전이 영역 내의 상기 동작부(3)의 직경(d2.2 또는 d2.3)은 상기 선행 치근관 기기의 상기 동작부(3)의 말단부의 직경(d1.1 또는 d1.2)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1)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킹 링(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링(4)은 칼라(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관 기기는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왕관형 및 원추형 치근관 기기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관 기기 세트.
KR1020020042525A 2001-07-23 2002-07-19 치근관 기기 세트 KR20030011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5820A DE10135820C1 (de) 2001-07-23 2001-07-23 Wurzelkanalinstrumentenset mit balligen Arbeitsteilen
DE10135820.2 2001-07-23
DE10135821A DE10135821C1 (de) 2001-07-23 2001-07-23 Wurzelkanalinstrumentenset mit konischen Arbeitsteilen
DE10135821.0 2001-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55A true KR20030011555A (ko) 2003-02-11

Family

ID=2600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25A KR20030011555A (ko) 2001-07-23 2002-07-19 치근관 기기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17434A1 (ko)
EP (1) EP1279378A3 (ko)
KR (1) KR20030011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138A (ko) * 2011-02-18 2014-04-30 에스에스 화이트 버스, 인코포레이티드 근관 치료용 버, 키트, 및 근관 치료용 버를 사용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6534A1 (en) * 2004-02-25 2005-08-25 Roane James B. Endodontic instrument 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068362A1 (en) * 2004-09-27 2006-03-30 Ormco Corporation Endodontic instrument with depth markers
US20070101797A1 (en) * 2005-11-01 2007-05-10 Quan Nancy N Endodontic instruments
WO2007053746A1 (en) * 2005-11-01 2007-05-10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Endodontic instrument
IL181439A0 (en) * 2007-02-20 2007-07-04 Medic Nrg Ltd An endodontic file member
FR3006165A1 (fr) * 2013-05-30 2014-12-05 Guy Levy Forets et pivots pour racines de sections ovales ou etroites
JP2021029663A (ja) * 2019-08-26 2021-03-01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治療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4997C2 (de) * 1974-02-01 1983-07-14 Eduard 8000 München Zdarsky Zahnwurzelkanal-Instrument
IT1211650B (it) * 1987-07-10 1989-11-03 Riitano Francesco Serie di strumenti endodontici per la preparazione dei canali radicolari mediante manipoli a vibrazione sonica, ultrasonica, o meccanica
US5026284A (en) * 1988-02-17 1991-06-25 Howard Martin Apex root canal file
US5257934A (en) * 1992-03-25 1993-11-02 Giovanni Cossellu Endodontic instrument for preparing the root canal
US5897316A (en) * 1994-04-28 1999-04-27 Buchanan; Leonard Stephen Endodontic treatment system
GB9423692D0 (en) * 1994-11-23 1995-01-11 Philips Electronics Uk Ltd A photoresponsive device
US5653590A (en) * 1995-06-06 1997-08-05 Tulsa Dental Products, L.L.C. Kit of endodontic instrument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CH689997A5 (fr) * 1996-01-17 2000-03-15 Maillefer Instr Sa Jeu de forets pour l'alésage de la partie coronaire des canaux radiculaires dentaires.
US5833457A (en) * 1996-11-18 1998-11-10 Dentsply International Inc. Endodontic obturator
US5947730A (en) * 1997-10-31 1999-09-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creased taper segmental rotary files
US6293794B1 (en) * 1999-02-16 2001-09-25 Ormco Corporatio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regressive conicity
US6589052B1 (en) * 2000-01-10 2003-07-08 James M. Wilcko Endodontic instru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138A (ko) * 2011-02-18 2014-04-30 에스에스 화이트 버스, 인코포레이티드 근관 치료용 버, 키트, 및 근관 치료용 버를 사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17434A1 (en) 2003-01-23
EP1279378A2 (de) 2003-01-29
EP1279378A3 (de)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2198A (e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enhanced compliance at the tip
CA1164254A (en) Dental file
EP0257961B1 (en) Dental root canal shaping file
US5980250A (en) Endodontic instrument
EP1086659B1 (en) Endodontic treatment system
JP6009445B2 (ja) 作業部分が流体用の通路を形成するスロットを有する歯内治療器具
JP5876633B2 (ja) 可変の蔓巻角を有する歯内治療用ヤスリ
RU2751751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файл
JP2017511184A (ja) 組織除去用医療器具
US8393899B2 (en) Endodontic instrument and method
US20120021376A1 (en) Gutta-percha remover
KR20030011555A (ko) 치근관 기기 세트
WO2004091422A3 (en) Endodontic instrument
WO2020229143A3 (en) A set of tools for installing an implant
JP2007236933A (ja) 連続的に変わる凹部によって規定されているテーパーを有している歯科治療用ヤスリ
CA3017585C (en) Non-circular endodontic instruments
KR20100018121A (ko) 치과용 파일
JP4414887B2 (ja) ポイントチップ及び放物線状切削溝を備えた歯科治療器具
US20200229899A1 (en) Dental root canal instrument
CN113873965A (zh) 牙科用根管治疗器具
WO1997039696A1 (en) Endodontic instrument having a chisel tip
EP1405609A1 (en) Root canal reamer for handpieces
KR20240067592A (ko) 치과용 근관 치료 기구
KR20150030862A (ko) 파절 위험성이 저하된 치내요법 기구
JPWO2020170999A1 (ja) 針状根管治療具と歯科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