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307A -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 - Google Patents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307A
KR20030011307A KR1020027013975A KR20027013975A KR20030011307A KR 20030011307 A KR20030011307 A KR 20030011307A KR 1020027013975 A KR1020027013975 A KR 1020027013975A KR 20027013975 A KR20027013975 A KR 20027013975A KR 20030011307 A KR20030011307 A KR 2003001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isture
capacitive sensor
temperature stabl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992B1 (ko
Inventor
네츠어이샤이
Original Assignee
밀레니엄 센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레니엄 센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밀레니엄 센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1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25Capacitive rain sensor

Abstract

차량 윈드실드(17)의 외면(19) 상의 빗방울을 검출하기 위한 용량 센서(Cs)는 온도에 따른 윈드실드 유리의 유전 상수의 변화로 인한 용량 신호들(Cc)을 보상하고, 윈드실드(17)의 내면(18)에서 발생하는 습기 증착 또는 정전기 간섭으로부터 초래하는 용량 신호들의 제거하도록 동작한다. 이 센서는 접지된 도전성 외피에 의해 차폐된 윈드실드의 내면 상에 인쇄된 전극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윈도우(19)의 외측 상의 빗방울들과, 윈드실드(18)의 내면 상의 습기를 동시에 감지한다.

Description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Windshield dual moisture sensor}
종래 기술의 자동차 윈드실드 습기 센서들은 항상 다나카의 미국 특허 제 5,917,603호에 기술된 단일 전자-광학 개념에 기초한다. 이 방법에서는 전면 상의 유리-공기 경계면 외측으로의 광 빔의 총 내부적 반사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빗방울이 감지된다. 이 방법은 제한된 감지 영역을 가지고, 비교적 고가이며, 윈드실드 외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는 것에만 적합하다.
스탬 등의 미국 특허 제 5,923,027호는 윈도우 이미지의 섹션의 휘도가 분석되어 윈도우 상의 빗방울 또는 안개를 검출하는 전자-광학적 방법을 기술한다. 유사한 방법이 부셔의 미국 특허 제 5,020,704호에 기술되어 있다.
윈드실드 상에 증착된 전극들 사이의 저항 또는 커패시턴스에 대한 비의 영향에 기초하여 비를 검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이들 방법들에 기초한 센서들은 윈드실드와 일체이며, 근본적으로 덜 비싸고, 덜 가시적이다.
베베리치의 미국 특허 제 5,739,430호에서는 저항 감지 전극들이 윈드실드 외면 상에 증착되고, 마모를 받게된다. 웨버의 미국 특허 제 5,783,743호에 고려된 바와 같은 소결 유리층에 의해 부가적인 보호가 제공된다.
커패시턴스 감지 방법은 물의 비교적 큰 유전 상수(약 80)가 도전성 전극들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유전 상수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쿤쯔 등의 미국 특허 제 4,805,070호, 윌슨 등의 미국 특허 제 4,831,493호 및 부셔의 미국 특허 제 5,668,478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전성 전극들이 "샌드위치식으로 배치된" 윈드실드 유리의 적층체 내측에 증착되어 있는 전형적인 습기 센서들이 호치스테인의 미국 특허 제 4,703,237호, 뮐러의 미국 특허 제 4,827,198호, 크라우즈 등의 미국 특허 제 4,613,802호 및 암스트롱의 미국 특허 제 4,554,49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장치들에서, 물방울들의 용량 효과는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유리의 총 두께가 물방울들로부터 커패시터 판들을 분리시키는 종래 기술의 용량 습기 센서들에서는 물방울들로 인한 커패시턴스의 상대 변화가 매우 적으며, 최근까지 이들 장치들은 물로 인한 실제 신호와, 그 유전 상수에 영향을 미치는 윈도우 온도의 변화로 인한 오신호 사이의 구별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스테인만의 미국 특허 3,826,979호의 용량 강우 센서는 윈드실드 외면 상의 비를 감지하기 위해 윈도우 내면 상에 증착된 전극들을 사용한다. 스테인만의 발명에서, 유리로 인한 신호에 대하여 빗방울로 인한 신호를 증가시키기 위해 프린징(fringing)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전극들이 사용된다. 측정된 커패시턴스의 대부분이 여전히 그 온도 의존도가 빗방울들로 인한 소정의 신호를 압도하는 유리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이 개선은 별 효과가 없다.
요약하면, 외면 상에 용량 판을 증착하는 것은 와이퍼 마모로 인해 신뢰성이 없으며, 내부층에 증착하는 것은 전기적으로 종결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내부면상에 증착하는 것은 보호성 및 신뢰성은 있지만 신호가 작다. 판들의 위치에 무관하게, 종래 기술의 용량 습기 센서들의 다른 단점은 윈드실드의 내면 및 외면 상의 습기 사이의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며, 이는 윈드실드 와이퍼와 안개 제거 수단 양자 모두의 자동화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들 이유들 때문에, 용량 습기 센서들은 자동차 분야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네쩌의 미국 특허 5,801,307호, 미국 특허 제 5,682,788호 및 유럽 특허 EP 075343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근까지 이 용량 센서들의 단점들 대부분이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개선된 센서는 온도에 안정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방향성"이 있다. 즉, 이들은 윈드실드의 어느 한쪽면 상의 습기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용량 센서들은 커패시터 판들이 전방 윈드실드의 적층된 층내에 끼워넣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런 구조는 그 제조에 한계를 부여하고, 그 용도를 감소시키며, 그 이유는 모든 차량 윈도우들이 적층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재된 전극들에 대한 전기적 접속들을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현재의 공지된 센서들의 단점을 극복하는 용량 강우 센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습기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윈드실드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습기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센서는 윈드실드의 내면 상에 증착된 전극들을 사용하여 차등 용량 원리(differential capacitive principle)에 따라 동작하며, 이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보다 높은 면역성(immunity)을 가지고, 윈드실드의 어느 한쪽 표면 상에 증착된 습기에 선택적으로 응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커패시터판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단면도.
도 2b는 인근 물체들의 영향으로부터 상기 센서판들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상면도 및 두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센서 출력 대 시간의 확대된 플롯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개선된 종래 기술의 센서를 위한 인쇄된 커패시터 판들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윈도우의 양 표면들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이중 목적 센서를 위한 인쇄된 커패시터 판들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라서,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선택적 기능을 갖는, 윈도우와 함께 일체로 제조된, 개선된 자동차 빗방울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센서는 저가이고,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마모를 받지 않고, 유리상의 온도 효과들에 둔감하고, 또한, 인근의 도전성 또는 유전성 물체들에도 실질적으로 둔감하다.
본 발명의 습기 센서는 작은 영역에서만 습기를 샘플링하는 종래의 전자-광학 습기 검출기들과는 달리, 넓은 표면적에 걸쳐 습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 잘못된 와이프(wipe) 명령을 생성하지 않는다.
특정 온도를 갖는 윈도우 외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을 구비한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센서는 (가)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과, (나) 상기 습기에 응답하여 변화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는 출력 레벨을 생성하는 수단과, (다) 직접 습기 응결 또는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특정 온도를 갖는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을 구비한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센서는 (가)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과, (나)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며, 상기 습기의 지표인 출력 레벨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다) 직접 습기 응결 및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소정의 방식으로 제한하거나, 속속들이 규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그리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이 그 개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들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들을 가진 용량 강우 센서들을 윈도우 내측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에러들의 하기의 세가지 주 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1. 윈도우 온도 변화
2.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 응결
3. 센서에 인접한 물체 또는 인체
본 발명은 윈드실드 상에 증착된 2개의 커패시터들 사이의 차등 전류를 판독하는 것에 기초한다. 커패시터들은 각각 감지 및 보상 커패시터들이라 지칭되며, 종래 기술의 윈드실드 제조 기술들에 따라 유리 내로 인쇄 및 융합되는 것이 적합하다.
차등 습기 용량 센서들의 장점들은 본 명세서에서 그 개념들을 참조하고 있는 네쩌의 미국 특허 제 5,751,071호와, 미국 특허 제 5,801,30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하기의 용어들, 즉, 판, 전극 및 패턴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10)에 따른 강우 센서의 용량판들의 전형적인 패턴을 예시한다. 도 2a는 프로세싱 전자공학의 입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도 1의 실시예(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극들은 윈도우(17)의 내면(18) 상에 인쇄되어 있고, 2개의 커패시터들, 즉, 신호판(12)과 여기판(11) 사이의 감지 커패시터(Cs)와, 보상판(13)과 신호판(12) 사이의 보상 커패시터(Cc)를 형성한다.
여기판(11) 및 보상판(13)은 20kHz의 전형적인 주파수의, 반대 극성의 두 교류 전압들(22, 22')로 여기된다. 여기 전압들은 각 커패시턴스들에 비례하는 두 교류 전류들을 초래하고, 전하 증폭기(16; charge amplifier)에 대한 입력 전류는 Cs와 Cc 사이의 편차의 지표이며,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윈도우(17)의 외면(19)상의 습기에 비례한다. 전하 증폭기(16)는 이 차등 전류를 대응 교류 전압(Vo)으로 변환한다.
전극들(11, 12, 13)은 윈도우 내면 상에 증착된 습기와,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탑승자의 손(20) 같은 인근의 물체들로 인한 용량 영향들 양자 모두에 대하여, 접지된 전기 도전성 차폐부(15)에 의해 보호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커패시턴스(Cc)는 윈도우(17)의 외면(19) 상의 빗방울(14)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전극(12)과 전극(13) 사이의 프린징 전기장(Ec)이 좁은 간극으로 인해 유리 내측에 한정되며, 단지 이 빗방울에 의해 지엽적인 영향만 받는다. 한편, 신호판(12)과 여기판(11) 사이의 커패시터(Cs)는 전기장(Es)이 윈도우 유리 두께를 초과하여 연장하기 때문에 빗방울(14)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빗방울이 센서의 감지 영역, 즉, 판들(11 및 12)의 보호된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한 빗방울과 상호작용한다.
도 2c는 본 센서가, 현재 사용중인 모든 전자-광학 센서들이 갖는 단점인, 그 감지 영역 상의 접촉의 결과로서 잘못된 와이프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유를 예시한다. 특히, 역시 서있는 차량을 만지는 경우에, 지면 상에 서있는 사람은 실질적으로 접지 전위의 AC 형식이다. 그의 손(21)이 센서의 감지 영역을 만지면, 그때, 전기장(Es)의 라인들 중 일부가 접지에 단락되고, 판(12)에 도달하지 않는다. 이는 커패시턴스(Cs)를 감소시키는 것과 등가이며, 빗방울로 인한 것에 반대 방향으로 전압(Vo)을 변화시키며, 따라서, 식별될 수 있다.
커패시터들(Cs 및 Cc) 양자 모두는 윈도우 구성요소들의 유전 상수의 변화를 유발하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두 커패시터들의 측정값들을 차감하는 것은 명백히 외면 상의 빗방울의 양의 온도 무관 지표를 산출한다.
그러나, 각 커패시터의 유전 재료가 상이한 비율의 유리, 플라스틱 중간층(적층된 전극들의 경우) 및 공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상 커패시터(Cc)의 온도 계수는 감지 커패시터(Cs)의 온도계수와 상이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결과적으로, Cs를 통과하는 전류로부터 Cc를 통과하는 전류를 단순히 차감하는 것만으로는 완전한 온도 보상이 달성될 수 없다.
모든 관련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완전한 온도 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의 온도 계수를 갖는 값 C1의 이산 커패시터(23)가 Cs에 병렬로 추가된다. 값 C1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각각 ks와 kc의 온도 계수를 갖는 Cs와 Cc의 커패시턴스가 온도에 선형적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온도(T)의 함수로서의 Cs와 C1의 병렬 조합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주어진다.
온도의 함수로서의 보상 커패시터(Cc)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주어진다.
0의 차등 커패시턴스에 대하여, 윈도우가 건조할 때 Cs는 반드시 Cc와 같아야 한다. 즉,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의 온도 의존부를 만족시키기 위해,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온도 무관 항에 대하여 수학식 3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하기의 수학식 5가 성립하여야 한다.
설계를 위해서, 센서 패턴(ks및 kc)이 결정되어야 하며, 이 패턴은 수학식 4 및 5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그 온도 의존도가 고려되는 한, 커패시터 C1이 온도에 무관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중요하다.
센서가 불투명 전극들과 차폐 박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운전자 또는 앞좌석 승객 중 어느 한쪽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 차단을 가능한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는 윈드실드의 하부 에지 상에 위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윈도우가 그 외주 둘레에 피복된 블랙 세라믹 프레임을 포함할 때, 센서는 그 위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며, 그 이유는 블랙 세라믹이 비도전성이며, 감지와 간섭하지 않기 때문이다.
센서 전극들을 차폐하는 다른 방법이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20)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판들(11, 12, 13)은 영역(35')을 통해 상호연결되는 동일 전극 노출 영역(35')을 남기고, 예로서, 윈도우 프레임의 외주를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층(34)으로 선택적으로 피복된다. 그후, 도전층(34')이 층(34)의 상부에 적용되며, 이는 차폐부로서 기능하도록 접지된다. 전극들(11, 12, 13)의 잔여 노출 영역(35')은 도 4에 도시된 동일 도전성 외피(15)에 의해 보호되며, 이는 또한, 프로세싱 전자 기판(36)도 보호하는 것이적합하다. 층(34) 내의 억세스 구멍들(35)을 통해 전극들(11, 12, 13)과 접촉하는 선택적 도전성 패드들(38)은 상호접속을 위한 여분의 영역을 제공한다. 이 차폐 방법은 외피(15)의 치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감지 영역을 필요한 만큼 크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윈드실드 상의 도전성 패턴의 구현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전사 방법인 열간 스탬핑 같은 상이한 방식들로 제조될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은 은 기반의 두꺼운 막을 스크린 인쇄하고, 그후, 이를 유리 내로 융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재료는 후방 윈도우 내의 히터 그리드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시간에 걸쳐 고저항 산화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접촉 저항을 극복하는 전극들(11, 12, 13)(또는 억세스 구멍들(35)을 통해 전극들과 접촉하는 패드들(38))과 회로 보드(3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양호한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방법에서, 날카로운 선단을 갖는 가요성 도전성 핑거들(39)이 공간(37) 내 보드(36)의 저면측에 납땜되고, 선단 영역의 증가된 접촉 압력이 신뢰성있는 접속을 보증하는 국부적 냉간 용접을 초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강우 센서의 온도 보상은 대부분의 상황들에서 만족스럽지만, 그러나, 이슬비 같은 매우 작은 방울들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신호 레벨이 출력 전압의 불안정한 베이스라인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하게 하도록 극도로 작을 수 있다. 와이퍼 명령은 임계 레벨에 신호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개시되며, 불안정한 베이스라인은 잘못된 와이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이한 온도들의 유리를 감지하는 신호 및 보상판들로 인한 불완전한 온도 보상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불안정한 베이스라인을 예시한다. 이 상황은 차량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 사이의 편차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하기의 두 고찰들을 사용한다.
1. 온도 변화로 인한 베이스라인 대 시간의 변화율은 빗방울들로 인한 것 보다 매우 낮아야만 한다.
2. 온도로 인한 변화는 어느 한쪽 방향이지만, 빗방울로 인한 것은 항상 하나의 방향 -본 논의에 관하여- 양의 방향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출력 전압의 베이스라인(71)은 주기적으로 샘플링되고, 각 샘플은 이전에 저장된 것과 비교된다. 편차가 음인 경우에, 이는 온도로 인한 것인 것으로 가정되며, 임계값은 이 편차를 차감함으로써 갱신된다. 편차가 양이지만,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바람직하게는 가장 작은 방울들로 인한 신호 보다 작음), 이는 편차가 온도 변화로 인한 것이며, 임계값은 앞서와 같이 갱신된다. 임계값에 대한 감지된 편차(72)가 양이고,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임계값은 갱신되지 않으며, 와이퍼 명령이 개시된다.
도 6은 네쩌의 미국 특허 제 5,751,071호에 기술된 용량 습기 센서보다 개선된 본 발명의 실시예(40)를 도시한다. 상술된 실시예들과는 반대로, 이 센서는 역시 윈도우 내면 상에 인쇄되어 있는 두 세장형 판들(31, 32)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표면의 패턴화된 측면 상에, 특히, 윈도우 내면 상에 응결된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강우 감지판들과는 달리 증착된 습기에 대해 노출되어 있다.
응결된 습기가 결빙되지 않는 한, 부가된 커패시턴스는 쉽게 검출되지만, 응결된 습기가 결빙될 때, 전극(31, 32) 사이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에 대한 그 영향은 감소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는 0℃ 이상의 온도에서 약 80인 물의 유전 상수가 온도 강하에 따라 감소하며,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는 약 5의 유리의 유전 상수와 비슷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된 커피시턴스에 대한 유리의 기여도는 더 이상 무시될 수 없으며, 유리의 유전상수 그 자체가 온도와 함께 강하하기 때문에, 총 측정된 커패시턴스는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추가로 감소된다. 최종적 결과는 0도 미만의 온도에서 위에 언급된 특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원래의 방법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패턴(41)은 윈도우의 유리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호 전극들(31, 32) 사이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의 변화들을 보상한다. 패턴(41)은 실시예(10)의 보상 커패시턴스(Cc)의 것과 유사하게 온도 영향들의 차등 보상을 가능하게 하는 커패시턴스(33)를 구성한다. 이 패턴은 예로서, 강우 센서에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예로서, 금속 또는 두꺼운 막 차폐부에 의해 건조상태로 유지된다. 실시예(40)의 개선된 센서의 차등 동작은 40℃ 이하까지 윈도우 내면 상의 성애의 신뢰성 있는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 습기 센서의 동작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0)의 강우 센서의 것과 원론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그 프로세싱 전자 공학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판들과 습기의 친화성은 보다 높은 신호 레벨을 초래하고, 유리 열 영향의 보상은 덜 임계적이며, 따라서, 실시예(10)에 사용된 이산 커패시터(23)는 필수적이지 않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50)를 예시한다. 이는 조합된 강우 및 습기 센서를 위한 인쇄된 도전성 패턴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실시예(50)는 하나의 이중 센서에 실시예 10과 실시예 40을 통합하며, 이는 강우 센서 전극들(10)로 외면 상의 강우를 감지하고, 센서판들(31 및 32)로 윈드실드의 내면 상의 습기를 감지한다.
이들 판들은 상이하게 성형되거나,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예로서, 이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윈도우의 외주를 포위할 수 있다. 패턴(10)은 바람직하게는, 패턴(41) 및 프로세싱 전자 회로 보드에 공용되는, 접지된 차폐부(15)에 의해 포위된다.
본 발명을 한정된 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외부 차량 거울 상의 습기 감지 및 다른 응용분야들을 위하여 철도 및 항공기 윈도우들에 적용되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들, 변용들 및 다른 응용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Claims (18)

  1. 특정 온도를 갖는 윈도우 외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을 구비한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과;
    상기 습기에 응답하여 변화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는 출력 레벨을 생성하는 수단; 및
    직접 습기 응결 또는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이산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이산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된 습기로 인해, 그리고, 상기 감지 영역을 만짐으로써 상기 출력 레벨의 변화는 반대 극성들로 이루어지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은 상기 특정 온도와 함께 잔류 변화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이 비를 가리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은 상기 특정 온도의 변화로 인한 상기 출력 레벨의 변화들을 무시하도록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전기 도전판들은 윈도우 내에 융합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3개 이상의 전기 도전판들 사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 상에 증착된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상에 증착된 전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제 2 층을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0. 특정 온도를 갖는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을 구비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과;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며, 상기 습기를 가리키는 출력 레벨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직접 습기 응결 및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부를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은 상기 특정 온도와 함께 잔류 변화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이 상기 윈도우 표면 상의 습기를 가리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메카니즘은 상기 특정 온도의 변화로 인한 출력 레벨의 변화들을 무시하도록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4. 윈도우 외면 및 내면 상의 습기를 동시에 감지하기 위한 이중 센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을 포함하는 제 1 도전성 패턴과;
    상기 윈도우 외면 상의 습기에 응답하여 변화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상 커패시터와 하나 이상의 감지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는 출력 레벨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윈도우 내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제 2 감지 커패시터와 적어도 제 2 보상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3개 이상의 용량 판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제 2 도전성 패턴과;
    상기 제 2 감지 커패시터와 제 2 보상 커패시터 사이의 편차에 비례하며, 상기 윈도우 내면 상의 습기를 가리키는 출력 레벨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직접 습기 응결 및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성 패턴 양자 모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이중 센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냉간 용접 연결부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 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냉간 용접 연결부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 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그 외주 둘레를 덮는 세라믹 불투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세라믹 불투명 프레임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그 외주 둘레를 덮는 세라믹 불투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세라믹 불투명 프레임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온도 안정형 용량 센서.
KR1020027013975A 2000-04-20 2001-04-09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 KR100581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53,900 US6373263B1 (en) 2000-04-20 2000-04-20 Differential windshield capacitive rain sensor
US09/553,900 2000-04-20
PCT/US2001/011449 WO2001081931A1 (en) 2000-04-20 2001-04-09 Windshield dual moistur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307A true KR20030011307A (ko) 2003-02-07
KR100581992B1 KR100581992B1 (ko) 2006-05-23

Family

ID=2421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75A KR100581992B1 (ko) 2000-04-20 2001-04-09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3263B1 (ko)
EP (1) EP1292836A4 (ko)
JP (1) JP2003532080A (ko)
KR (1) KR100581992B1 (ko)
AU (1) AU2001253264A1 (ko)
WO (1) WO20010819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8667A (zh) * 2018-09-03 2020-05-12 法国圣戈班玻璃厂 窗玻璃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2999C2 (de) * 2001-10-26 2003-12-24 Preh Elektro Feinmechanik Sensor und Sensoreinheit zur Detektion einer Beschlagneigung
DE10163760C5 (de) * 2001-12-28 2012-02-02 Ebro 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des Zustandes von Ölen und Fetten
US7296461B2 (en) 2002-12-03 2007-11-20 Ppg Industries Ohio, Inc. Temperature compensated windshield moisture detector
US7204130B2 (en) 2002-12-03 2007-04-17 Ppg Industries Ohio, Inc. Windshield moisture detector
US20050116020A1 (en) * 2003-11-07 2005-06-02 Smolucha Walter E. Locating individuals and games in a gaming establishment
DE10356407A1 (de) * 2003-11-26 2005-06-3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Feuchtigkeitssensor
US20050122119A1 (en) * 2003-12-05 2005-06-09 Touchram Llc Low noise proximity sensing system
US20060287078A1 (en) * 2004-04-22 2006-12-21 Smolucha Walter E Identifying components of a casino game
JP4389692B2 (ja) * 2004-06-24 2009-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装置
US20060006701A1 (en) * 2004-07-06 2006-01-12 Jason Wells System and method for rain detection and automatic operation of power roof and power windows
US7263875B2 (en) 2004-10-11 2007-09-04 Ppg Industries Ohio, Inc. Multi-layer windshield moisture detector
JP2008530497A (ja) * 2005-02-15 2008-08-07 コントロール・デヴァイシ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氷を検出し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330108B2 (en) * 2005-02-24 2008-02-12 Wms Gaming Inc. Security zones for casino gaming
US20060258442A1 (en) * 2005-05-13 2006-11-16 Ryan Chad A Multi-purpose casino chips
DE102006032372A1 (de) * 2005-07-19 2007-02-15 Preh Gmbh Kapazitiver Regensensor
DE102006030208B4 (de) * 2005-07-19 2008-05-29 Preh Gmbh Sensoranordnung zur Erfassung der Feuchte auf einer Scheibe
WO2007029248A2 (en) * 2005-09-06 2007-03-15 Tamar Sensors Ltd. Sealed capacitive rain sensor
US20070056947A1 (en) * 2005-09-15 2007-03-15 Control Devices, Inc. System and sensor for remote defrost activation
US7551095B2 (en) * 2006-01-10 2009-06-23 Guardian Industries Corp. Rain sensor with selectively reconfigurable fractal based sensors/capacitors
US7561055B2 (en) * 2006-01-10 2009-07-14 Guardian Industries Corp. Rain sensor with capacitive-inclusive circuit
US10173579B2 (en) 2006-01-10 2019-01-08 Guardian Glass, LLC Multi-mode moisture sensor and/or defogger, and related methods
PL2218616T3 (pl) 2006-01-10 2013-01-31 Guardian Industries Czujnik deszczu z kondensatorem fraktalnym (kondensatorami fraktalnymi)
US9371032B2 (en) 2006-01-10 2016-06-21 Guardian Industries Corp. Moisture sensor and/or defogger with Bayesian improvements, and related methods
US8634988B2 (en) * 2006-01-10 2014-01-21 Guardian Industries Corp. Time, space, and/or wavelength multiplexed capacitive light sensor, and related methods
GB0602943D0 (en) * 2006-02-14 2006-03-22 Pilkington Automotive Ltd Vehicle glazing
EP1821098A1 (fr) * 2006-02-16 2007-08-22 Glaverbel Vitrage avec détecteur de pluie capacitif
JP4816212B2 (ja) 2006-04-10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ラス温度検出装置、窓曇り検出装置、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窓曇り検出方法
CN100571035C (zh) * 2006-06-08 2009-12-16 孙滕谌 平面电容式传感器及检测汽车挡风玻璃环境变化的方法
JP2008256516A (ja) * 2007-04-04 2008-10-23 Asmo Co Ltd 水滴検出装置及び水滴制御装置
DE102008043610A1 (de) 2008-11-10 2010-05-12 Robert Bosch Gmbh Kapazitive Regensensor
CN102224041B (zh) * 2008-11-20 2013-10-16 埃尔莫斯半导体公司 干扰补偿传感器
US20100168694A1 (en) * 2008-12-31 2010-07-01 Sudhanshu Gakhar Infrared Wetness Detec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US8866624B2 (en) * 2008-12-31 2014-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or-less detec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JP5127776B2 (ja) * 2009-05-20 2013-01-23 ナイルス株式会社 オートワイパ制御装置
US8441268B2 (en) * 2010-04-06 2013-05-14 Lam Corporation Non-contact detection of surface fluid droplets
CN101833121B (zh) * 2010-04-09 2011-08-10 深圳市汇顶科技有限公司 一种双耦合型检测电路、雨量传感器及雨量识别方法
US9063067B1 (en) 2010-11-17 2015-06-23 Alvin P. Schmitt Moisture sensing devices
US9287219B2 (en) 2012-07-25 2016-03-15 Silicon Laboratories Inc. Radiation-blocking structures
US20140026642A1 (en) * 2012-07-25 2014-01-30 John O. O'Connell Capacitive sensor comprising differing unit cell structures
US20140026652A1 (en) * 2012-07-25 2014-01-30 Timothy Cummins Sensor for measuring high humidity conditions and/or condensation
JP6379435B2 (ja) * 2013-03-22 2018-08-29 株式会社プロプ 導電性繊維を用いて形成される非接触形センサ
US9234859B2 (en) 2013-03-28 2016-01-12 Stmicroelectronics S.R.L. Integrated device of a capacitive type for detecting humidity, in particular manufactured using a CMOS technology
ITMI20130484A1 (it) * 2013-03-29 2014-09-30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integrato per il monitoraggio di umidita' e/o acidita'/basicita' ambientali e/o corrosione
EP2988122B1 (en) 2014-08-20 2019-04-24 ams international AG Capacitive sensor
DE112014007133A5 (de) * 2014-11-04 2017-07-27 Daniel Kalliontz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eines kapazitiven Differenzwertes bei einem Personenrufsystem zur Signalisierung eines vermeidbaren Abschleppvorgangs
KR102587532B1 (ko) 2015-02-27 2023-10-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누설 평가 시스템
US10426672B2 (en) 2016-08-26 2019-10-01 Vener8 Technologies Moisture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KR102099784B1 (ko) 2017-04-05 2020-04-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누출 검출 의복 및 이를 이용한 흡수 용품 누출 검출 방법
US11229091B2 (en) 2018-05-30 2022-01-18 Betterfrost Technologies, Inc. Continuous resistance and proximity checking for high power deicing and defogging systems
DE102020205401A1 (de) 2020-04-29 2021-11-0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Regenerkennungsvorrichtung, Gartengerät mit der Regenerkenn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einer Erfassung von Regentropfen auf einer Oberfläche mittels einer Regenerkenn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60057B2 (de) * 1974-12-19 1977-02-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anordnung mit einem streufeldkondensator
US4748390A (en) * 1984-09-19 1988-05-3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apacitive-type detection device
JPH0552797A (ja) * 1991-08-28 1993-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電率検知装置
DE19600108C2 (de) * 1995-03-07 1997-11-27 Mannesmann Vdo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trieb eines resistiven Feuchtesensors
US5682788A (en) * 1995-07-12 1997-11-04 Netzer; Yishay Differential windshield capacitive moisture sensor
US5801307A (en) * 1995-07-12 1998-09-01 Netzer; Yishay Differential windshield capacitive moisture sens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8667A (zh) * 2018-09-03 2020-05-12 法国圣戈班玻璃厂 窗玻璃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53264A1 (en) 2001-11-07
KR100581992B1 (ko) 2006-05-23
EP1292836A4 (en) 2006-11-02
US6373263B1 (en) 2002-04-16
EP1292836A1 (en) 2003-03-19
JP2003532080A (ja) 2003-10-28
WO2001081931A1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992B1 (ko) 윈드실드 이중 습기 센서
KR100367193B1 (ko) 윈도우서리제거장치를자동작동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US20210256408A1 (en) Moisture sensor and/or defogger with bayesian improvements, and related methods
US6094981A (en) Capacitive rain sensor for windshield
EP0444022B1 (en) Capacitive coupled moisture sensor and its use
US8009053B2 (en) Rain sensor with fractal capacitor(s)
US5682788A (en) Differential windshield capacitive moisture sensor
JP2009505038A (ja) 静電容量性雨検出器を持つ窓
US7864063B2 (en)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moisture on a window
US20080265913A1 (en) Sealed Capacitive Rain Sensor
KR20000070001A (ko) 프린지 필드 차동 용량성 감습 센서 조립체 및 얼음 검출 방법
US7263875B2 (en) Multi-layer windshield moisture detector
JP2000075052A (ja) 車両用センサ付き窓ガラス
US20090071234A1 (en) Installation for moisture detection for motor vehicles
US11803277B2 (en) Glazing unit
US20050018884A1 (en) Fingerprint sensor,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fingerprint sensing system
KR19990013829A (ko) 대상물의 위상적 특징을 감지하는 장치
WO2019142448A1 (ja) ドアハンドル
JPS62184342A (ja) 高感度結露センサ
CN115427800A (zh) 带有电容式湿度传感器的装配玻璃
SE525016C2 (sv) Antenn för kapacitiv störningsskyddad avståndsmätning samt kapacitiv närhetssensor för styrning av dör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