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918A -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918A
KR20030009918A KR1020010044588A KR20010044588A KR20030009918A KR 20030009918 A KR20030009918 A KR 20030009918A KR 1020010044588 A KR1020010044588 A KR 1020010044588A KR 20010044588 A KR20010044588 A KR 20010044588A KR 20030009918 A KR20030009918 A KR 2003000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id
information
result
movemen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612B1 (ko
Inventor
박태식
이상국
이광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12B1/ko
Priority to JP2003515960A priority patent/JP2004537055A/ja
Priority to CN028177142A priority patent/CN1554044B/zh
Priority to PCT/KR2002/001369 priority patent/WO2003010652A1/en
Priority to US10/484,505 priority patent/US7259756B2/en
Publication of KR2003000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12B1/ko
Priority to US11/697,670 priority patent/US2007027364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된 움직임이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하고,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센싱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소정 임계값을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어떠한 작은 움직임도 중력 및 옵셋의 영향들을 받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공간적이거나 평면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유효한 움직임인가 및 그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임부들중 어느 움직임부의 움직임인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높은 인식률 및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정보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in multi-dimensional space}
본 발명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공간적이나 평면적인 움직임을 센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싱된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식별할 수 있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지시하거나 입력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공간적이거나 평면적인 움직임을 센싱하는 장치들로서,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PC:Personal Computer)나 개인용 디지탈 어시스턴스(PDA:Personal Digital Assitant) 또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등과 같은 손에 쥘만한 크기의 공간형 입력 장치, 무선 휴대용 포인팅 장치, 무선 휴대용 키보드, 손 동작 및 제스츄어 인식 장치, 가상 음악 연주 장치, 컴퓨터 게임기, 가상 환경 운동 및 훈련 장치, 가상 현실 데이타 장갑, 기계적 충격과 진동 추적 및 모니터 장치, 또는 로봇 움직임 정보 획득 장치 등이 있다.
전술한 장치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가를 식별하기 위해 종래에는 기계적인 스위치나 압력 센서 등을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방법은 평면상에서 임의의 스위치 또는 센서가 눌리거나 접촉하게 되면 온/오프 신호들을 발생하고, 발생된 온/오프 신호에 의해 유효한 정보를 식별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이 정보의 선택을 의도한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평면적인 접촉을 통해 식별할 수 있으며,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공간적인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을 수행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6 (a) ∼ (c)들은 도 5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의 각 부에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들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의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8 (a) ∼ (d)들은 도 7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이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신호 추출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신호 추출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제74 및 제76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소정 기간들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2는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4는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6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8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은,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a) 단계 및 센싱된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b)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는,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부와, 상기 움직임부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결과로부터 상기 움직임부의 움직임이 상기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유효 신호로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 신호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에 따라 유효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제10 ∼ 제1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로서, 움직임부(40), 센싱부(42), 정규화부(44),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46), 유효 신호 검출부(48), 움직임량 검출부(50), 제1 비교부(52) 및 유효 정보 결정부(54)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정보를 선택하고자 할 때 즉, 정보를 지시하거나 정보의 입력을 결정하고자 할 때 움직임부(40)를 공간적이나 또는 평면적으로 움직인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지시된 정보의 입력을 결정하고자 할 때 클릭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클릭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움직임부(40)는 클릭되는 손가락들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움직임부(40)는 사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위 예를 들면 손, 손가락, 발, 머리, 팔 또는/및 다리 따위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움직임부(40)는 신체의 소정 부위인 손에 직접 장착되는 장갑 형태의 부재(미도시)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위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조작 부재(미도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부재(40)는 인형 연극에서 사용되는 꼭두각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42)는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진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를 출력한다(제10 단계). 이 때, 센싱부(42)는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42)는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관찰된 결과를 움직임부(40)의 움직임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센싱부(42)는 움직임부(40)의 움직여진 정도를 가속도의 변화량, 각속도의 변화량, 저항의 변화량, 커패시턴스의 변화량, 자장의 변화량, 자장의 방향 또는 펄스의 개수의 변화량을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42)는 가속도나 각속도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MEMS(Micro ElectroMechanic System) 관성 센서, 저항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가변 저항 센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가변 커패시터 센서, 자장의 변화량 또는 자장의 방향을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펄스의 개수의 변화량을 센싱하는 회전 인코더(rotary encoder)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틱 센서는 자이언트 마그네토 레지스티브(GMR:Giant Magneto Resistive)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의 실례가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이란 제목의 국내 출원 번호 2001-41560에 개시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정보 선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42)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복수개인 경우 정규화부(44)를 마련할 수도 있고, 센싱부(42)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항상 한 개 뿐인 경우에 정규화부(44)를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정규화부(44)는 센싱부(42)에서 센싱된 결과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ADC(46) 및 움직임량 검출부(50)로 출력한다.
만일, 정규화부(44)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제10 단계후에, 센싱된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한다(제12 단계). 만일, 센싱된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을 종료한다. 그러나, 센싱된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4 단계로 진행한다. 제1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정보 선택 장치는 움직임량 검출부(50) 및 제1 비교부(52)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정규화부(44)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움직임량 검출부(50)는 센싱부(42)에서 센싱된 결과로부터 움직임의 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의 량을 제1 비교부(52)로 출력한다. 그러나, 정규화부(44)가 마련된다면, 움직임량 검출부(50)는 정규화부(44)로부터 입력한 정규화된 결과로부터 움직임의 량을 검출한다. 이 때, 제1 비교부(52)는 움직임량 검출부(50)로부터 입력한 움직임의 량을 외부로부터 입력한 소정량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부(40)가 손가락들 각각에 부착되며, 사용자는 손가락을 움직여서 즉,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클릭하여 정보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가 손을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크게 움직일 때 이에 동반하여 움직이는 손가락의 움직임은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의도적인 움직임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도적이 아닌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에서 사용되어서는 않된다. 이를 위해, 제12 단계가 수행된다. 따라서, 유효 신호 검출부(48)는 제1 비교부(52)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단계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량 검출부(50) 및 제1 비교부(52)도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일,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정규화부(44)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ADC(46)는 센싱부(42)로부터 입력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된 결과를 제1 비교부(52)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 출력한다(제14 단계). 그러나, 정규화부(44)가 마련될 경우, ADC(46)는 정규화부(44)에서 정규화된 아날로그 형태의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DC(46)는 제1 비교부(52)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센싱된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때만,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ADC(46)는 제1 비교부(52)에서 비교된 결과에 무관하게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ADC(46)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결과가 유효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용되는가 이용되지 않는가는 제1 비교부(52)에서 비교된 결과를 입력하는 유효 신호 검출부(48)에서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4 단계와 ADC(46)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센싱부(42)에서 센싱된 결과가 아날로그 형태이고 유효 신호 검출부(48)가 디지탈 형태로 유효 신호를 검출할 경우, ADC(46)는 마련되지만, 센싱부(42)에서 센싱된 결과가 디지탈 형태인 경우 ADC(46)는 마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4 단계는 제10 단계와 제12 단계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데, 제10 단계후에,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제12 단계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ADC(46)는 센싱부(42)와 정규화부(44) 사이에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비교부(52)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또는 제1 비교부(52)에서 비교된 결과에 무관하게,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한다. 이 때, 정규화부(44)는 ADC(46)에서 변환된 디지탈 형태의 신호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유효 신호 검출부(48) 및 움직임량 검출부(50)로 출력한다.
제14 단계후에, 사용자가 움직임부(40)를 움직임일 때 센서부(42)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한다(제16 단계). 이를 위해, 유효 신호 검출부(48)는 제1 비교부(48)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센싱된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ADC(46) 및 정규화부(44)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센싱부(42)에서 센싱된 결과를 통해 판단하거나, ADC(4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경우 ADC(46)에서 변환된 결과를 통해 판단하거나, ADC(4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센싱부(42)와 정규화부(44) 사이에 마련될 경우 정규화부(44)가 존재한다면 정규화부(44)에서 정규화된 결과를 통해 판단하거나 정규화부(44)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ADC(46)에서 변환된 결과를 통해 판단한다.
만일, 유효 신호 검출부(48)는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운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도록 센싱부(42)를 제어한다. 그러나, 유효 신호 검출부(48)는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임을 나타내는 유효 신호를 발생하여 유효 정보 결정부(54)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규화부(44) 및 ADC(46)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서,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 및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48)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정규화부(44) 및/또는 ADC(46)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이 경우, 유효 신호 검출부(48)로 입력되는 신호는 센싱된 결과가 아니라 정규화된 결과 또는 디지탈 형태의 신호가 될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16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센싱된 결과로부터 검출한 특징량의 크기 및 검출된 특징량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서 센싱된 움직임을 유효한 움직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제70 ∼ 제7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48)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48A)의 블럭도로서, 특징량 검출부(90), 정규화부(92), 제2 비교부(94), 제1 카운터(96), 제3 비교부(98), 유효 신호 발생부(100) 및 제4 비교부(102)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량을 출력한다(제70 단계). 만일,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센싱된 결과는 직류 성분만 가지므로 센싱된 결과에서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센싱부(42)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항상 한 개인 경우 정규화부(92)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센싱부(42)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복수개일 경우 정규화부(92)는 도 2에 도시된 정규화부(44) 대신에 마련된다. 즉, 정규화부들(44 및 92)중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규화부(92)는 제70 단계에서 특징량 검출부(90)에서 추출된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제2 비교부(94)로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정규화부(44) 및 도 4에 도시된 정규화부(92)의 역할 및 동작에 대해 더욱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규화부(44 또는 92)는 입력한 데이타를 정규화하는 역할을 하며, 입력한 센싱된 결과와 가중치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정규화된 결과로서 출력하는 승산기(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 검지, 중지, 소지 및 약지들 각각에 움직임부(40)를 마련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각 손가락을 클릭할 때발생하는 움직임의 량은 각기 다르므로, 센싱된 결과에서 크기가 변화한 성분만을 특징량으로서 검출하기 위해서, 센싱된 결과들은 정규화된다. 이를 위해,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에 곱해지는 가중치는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 예를 들면 소지의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에 곱해지는 가중치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중치는 움직임부(40)의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달리 미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클릭할 때 발생되는 센싱된 결과들을 미리 조사하고,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손가락별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중치는 각 손가락을 구부린 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즉, 가중치는 손가락의 종류에 무관하게 각 손가락을 구부린 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구부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각도를 조사하고,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각도별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90A)의 블럭도로서, 저역 통과 필터(120), 고역 통과 필터(122) 및 신호 추출부(124)로 구성된다.
도 6 (a) ∼ (c)들은 도 5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A)의 각 부에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들로서, 도 6 (a)는 저역 통과 필터(120)에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b)는 저역 통과 필터(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c)는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특징량 검출부(90A)의 대역 통과 필터(126)는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한 도 6 (a)에 도시된 센싱된 결과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고, 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특징량으로서 신호 추출부(124)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126)는 저역 통과 필터(120) 및 고역 통과 필터(122)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저역 통과 필터(120)는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한 도 6 (a)에 도시된 센싱된 결과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저역 통과 필터링된 도 6 (b)에 도시된 결과를 고역 통과 필터(122)로 출력한다. 이 때, 고역 통과 필터(122)는 도 6 (b)에 도시된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고역 통과 필터링하고, 고역 통과 필터링된 도 6 (c)에 도시된 결과를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으로서 신호 추출부(124)로 출력한다. 이 때, 신호 추출부(124)는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출력되는 도 6 (c)에 도시된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의 양 또는 음의 성분만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량을 출력단자 OUT6을 통해 출력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의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90B)의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 필터들(140 및 142), 차 계산부(144) 및 신호 추출부(14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특징량 검출부(90B)의 제1 필터(140)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센싱된 결과의 제1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차 계산부(144)로 출력한다. 이 때, 제2 필터(142)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센싱된 결과의 제2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차 계산부(144)로 출력한다. 차 계산부(144)는 제1 필터(140)에서 필터링된 결과와 제2 필터(142)에서 필터링된 결과간의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차를 신호 추출부(146)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필터들(140 및 142)에서 필터링되는 제1 및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저역 성분, 고역 성분 또는 대역 성분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주파수 성분들은 저역 성분 및 고역 성분이 각각 될 수도 있고, 저역 성분 및 대역 성분이 각각 될 수도 있고, 고역 성분 및 대역 성분이 각각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및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이 저역 성분이고 제1 필터(140)의 차단 주파수(fc1)가 10㎐이며 제2 필터(142)의 차단 주파수(fc2)가 4㎐라고 가정할 때, 도 7에 도시된 특징량 검출부(90B)로부터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이 발생된다.
도 8 (a) ∼ (d)들은 도 7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로서, 도 8 (a)은 제1 및 제2 필터들(140 및 142) 각각에 입력되는 센싱된 결과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8 (b)는 제1 필터(140)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8 (c)는 제2 필터(142)에서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8 (d)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출력되는 차 성분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10㎐의 차단 주파수(fc1)를 갖는 제1 필터(140)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도 8 (a)에 도시된 센싱된 결과의 제1 주파수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도 8 (b)에 도시된 결과를 차 계산부(144)로 출력한다. 이 때, 4㎐의 차단 주파수(fc2)를 갖는 제2 필터(142)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도 8 (a)에 도시된 센싱된 결과의 제2 주파수 성분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도 8 (c)에 도시된 결과를 차 계산부(144)로 출력한다. 차 계산부(144)는 제1 필터(140)에서 필터링된 도 8 (b)에 도시된 결과와 제2 필터(142)에서 필터링된 도 8 (c)에 도시된 결과간의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도 8 (d)에 도시된 차를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으로서 신호 추출부(146)로 출력한다. 이 때, 신호 추출부(146)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입력한 차의 양 또는 음의 성분만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량을 출력단자 OUT7을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장갑 형태의 부재(미도시)의 엄지 손가락 부분에 움직임부(40)를 부착하고, 장갑 형태의 부재(미도시)를 손에 장착한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여서 정보를 클릭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엄지 손가락을 클릭하면 엄지 손가락이 좌 및 우 방향들로 각각 움직이므로 어느 한 쪽 방향만을 클릭으로서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한 번의 클릭을 위해서 엄지 손가락을 움직일 때 두 번의 클릭들이 인지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신호 추출부들(124 및 146) 각각은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에서 음 또는 양의 성분만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신호 추출부(124 또는 146)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정류기(160)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제1 정류기(160)는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한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 또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한 차를 정류하고, 정류된 결과를 특징량으로서 출력단자 OUT8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출력되는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 또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출력되는 차의 양의 성분만이 특징량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신호 추출부(124 또는 146)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반전기(180), 제2 정류기(182) 및 제2 반전기(184)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1 반전기(180)는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입력단자 IN6을 통해 입력한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 또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입력단자 IN6을 통해 입력한 차를 반전하고, 반전된 결과를 제2 정류기(182)로 출력한다. 이 때, 제2 정류기(182)는 제1 반전기(180)로부터 입력한 반전된 결과를 정류하고, 정류된 결과를 제2 반전기(184)로 출력한다. 제2 반전기(184)는 제2 정류기(182)에서 정류된 결과를 반전하고, 반전된 결과를 특징량으로서 출력단자 OUT9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122)로부터 입력한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 또는 차 계산부(144)로부터 입력한 차의 음의 성분만이 특징량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70 단계후에,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제72 단계). 여기서, 소정 임계값은 움직임부(40)가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움직임부(40)를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부착할 경우, 손가락들을 클릭할 때 검출되는 특징량들의 진폭들을 사전에 획득하고, 획득한 특징량들의 진폭들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즉, 손가락을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소정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7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2 비교부(94)는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입력한 특징량과 외부로부터 입력한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제1 카운터(96)로 출력하는 한편,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센싱부(42)로도 출력한다. 만일,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 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0 단계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42)는 제2 비교부(94)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보다 적은 것으로 인식되면, 움직임부(40)의 새로운 움직임을 센싱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제74 및 제76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소정 기간들(T1 및 T2)을 나타내는 파형도로서, 종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횡축은 진폭을 각각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소정 기간(T1)동안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가를 판단한다(제74 단계). 이를 수행하기 위해, 유효 신호 검출부(48A)는 제1 카운터(96) 및 제3 비교부(98)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운터(96)는 제2 비교부(94)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제3 비교부(98)로 출력한다. 예컨데, 제1 카운터(96)는 제2 비교부(94)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인식될 때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고,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때, 제3 비교부(98)는 제1 카운터(96)에서 카운팅된 결과와 외부로부터 입력한 제1 소정 기간(T1)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유효 신호 발생부(100)로 출력하는 한편,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센싱부(42)로도 출력한다.
만일, 제1 소정 기간(T1) 동안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0 단계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42)는 제3 비교부(98)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제1 소정 기간(T1)동안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부(40)의 새로운 움직임을 센싱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의도적인 움직임이기 위해서는 특징량이 최소한 제1 소정 기간(T1) 동안 소정 임계값을 유지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이 의도적인 유효한 움직임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 소정 기간(T1) 동안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부(40)의 센싱된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8 단계로 진행한다(제76 단계). 여기서, 제1 소정 기간(T1)은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사용자가 움직임부(40)를 움직일 때 소요되는 최소의 기간으로 설정된다. 제7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3 비교부(98)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임을 나타내는 유효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유효 신호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유효 정보 결정부(54)로 출력한다. 이 때, 센싱부(42)는 제3 비교부(98)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제1 소정 기간(T1)동안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부(40)의 새로운 움직임을 센싱하지 않거나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제74 단계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제1 카운터(96) 및 제3 비교부(98) 역시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2 비교부(94)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유효 신호를 발생한다. 예컨데,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2 비교부(94)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신호를 발생하고,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6 단계에서, 센싱된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때 도 11에 도시된 제2 소정 기간(T2)으로부터 제1 소정 기간(T1)을 제외한 기간 동안의 센싱된 결과는 이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할 때, 원지 않는 혼선(crosstalk)이나 잡음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들 각각에 움직임부(40)를 부착하고,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중지를 움직여서 클릭할 때 약지가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약지의 움직임에 의해 혼선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유효 신호 검출부(48A)는 제4 비교부(102)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제4 비교부(102)는 제1 카운터(96)에서 카운팅된 결과와 외부로부터 입력한 제2 소정 기간(T2)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유효 신호 발생부(100)로 출력하는 한편,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센서부(42)로도 출력한다. 이 때,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4 비교부(102)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유효 신호를 발생한다. 예컨데,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4 비교부(10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제1 소정 기간(T1)이 경과한 후 제2 소정 기간(T2)이 아직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2 비교부(94)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로부터 특징량(200)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인식되더라도 새로운 유효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42)는 제4 비교부(10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제2 소정 기간(T2)으로부터 제1 소정 기간(T1)을 제외한 기간인 것으로 인식되면, 움직임부(40)의 새로운 움직임을 센싱하지 않거나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제2 소정 기간(T2)에서 제1 소정 기간(T1)을 제외한 구간에서 센싱부(42)의 불필요한 센싱 동작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소정 기간(T2)은 움직임부(40)가 정보를 선택할 때 불필요하게 움직일 수 있는 기간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또는, 제2 소정 기간(T2)은 움직임부(40)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부(40)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손가락들에 부착되고 엄지 손가락을 움직여서 클릭한다고 가정하면, 엄지 손가락 이외의 다른 손가락을 움직여서 클릭한다고 가정할 때 보다도 제2 소정 시간(T2)은 더 길게 설정된다. 왜냐하면, 다른 손가락들과 달리 엄지 손가락이 클릭할 때, 엄지 손가락은 좌 및 우 방향들으로 두 번 움직이므로 두 번의 특징량들이 검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제4 비교부(102)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신호 발생부(100)는 제2 소정 기간(T2)이 경과했는가에 무관하게 제3 비교부(98)에서 비교된 결과만에 응답하여 유효 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한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제18 단계). 예컨데, 유효 신호를 통해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유효 신호를 통해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움직임부(40)의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비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한다.
도 2에 도시된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예를 들면, 전술한 국내 출원 번호 2001-41560에 개시된 특허에서 언급된 정보 선택부로서 응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응용에서,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제1 또는/및 제2 변위와 각도로부터 정보 화면의 1차원적인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1차원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한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더욱 세부적으로,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상기 개시된 특허에서 정보 인식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정보의 1차원적인 위치와 매핑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된 정보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한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유효한 정보로서 인식하고, 인식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또는, 유효 정보 결정부(54)는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정보의 수평 방향의 위치 및 수직 방향의 위치로부터 결정한 2차원적인 위치인 수평 및 수직 좌표값과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된 검색된 정보를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한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유효한 정보로서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부(40)가 손가락들 각각에 마련될 때, 중지를 움직여서 클릭하면 약지와 소지는 중지가 움직임에 수반하여 움직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약지와 소지의 움직임들을 유효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간주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을 경우, 중지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별하는데, 약지와 소지의 움직임은 혼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하,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들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2는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복수개의 유효한 움직임들중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제220 ∼ 제22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로서, 제1 저장부(240), 제2 카운터(242), 제1 특징량 선택부(244) 및 유효 정보 결정부(246)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서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220 단계). 이를 위해, 제2 카운터(242)는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단자 IN8을 통해 입력되는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제1 특징량 선택부(244) 및 유효 정보 결정부(246)로 각각 출력한다.
만일,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큰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한다(제224 단계). 이를 위해, 먼저 제1 저장부(240)는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을 입력단자 IN7을 통해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적어도 하나 입력하여 저장하고, 제1 특징량 선택부(244)는 제1 저장부(240)에 저장된 특징량들중에서 가장 큰 특징량을 제2 카운터(242)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량을 유효 정보 결정부(246)로 출력한다. 예컨데, 제2 카운터(242)로부터 입력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것으로 인식되면, 제1 특징량 선택부(244)는 제224 단계를 비로서 수행한다.
여기서, 제220 및 제224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와 제18 단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제1 저장부(240), 제2 카운터(242) 및 제1 특징량 선택부(244)는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48)와 유효 정보 결정부(5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정보 결정부(246)는 유효 정보 결정부(54)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2 카운터(242)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246)는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9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0을 통해 출력한다(제222 단계). 또는, 제224 단계후, 제2 카운터(242)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246)는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9를 통해 입력한 정보들중 제1 특징량 선택부(244)에서 선택된 특징량에 해당하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0을 통해 출력한다(제226 단계).
도 14는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복수개의 유효한 움직임들중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제260 ∼ 제26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블럭도로서, 제2 저장부(280), 제3 카운터(282), 제1 시간 선택부(284) 및 유효 정보 결정부(286)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서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260 단계). 이를 위해, 제3 카운터(282)는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단자 IN11을 통해 입력되는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제1 시간 선택부(284) 및 유효 정보 결정부(286)로 출력한다.
만일,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제266 단계로 진행한다(제264 단계).
제264 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움직임부(40)가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들 각각에 부착되고 사용자는 손가락들중 하나를 움직여서 정보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의도적으로 움직여지는 손가락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은 의도된 손가락이 움직여짐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후속하여 움직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264 단계는 의도적으로 움직여지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특징량은 근접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특징량보다 항상 먼저 검출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움직여진 손가락이 어느 손가락에 해당하는가를 식별한다. 제26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2 저장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입력단자 IN10을 통해 입력되는 시점(즉, 시간)을 저장하고, 제1 시간 선택부(284)는 제2 저장부(280)에 저장된 시간들중에서 가장 적은 시간을 제3 카운터(282)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시간을 유효 정보 결정부(286)로 출력한다. 예컨데, 제3 카운터(282)로부터 입력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1 시간 선택부(284)는 비로서 제264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60 및 제264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와 제18 단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제2 저장부(280), 제3 카운터(282) 및 제1 시간 선택부(284)는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48)와 유효 정보 결정부(5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정보 결정부(286)는 유효 정보 결정부(54)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3 카운터(282)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286)는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2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1을 통해 출력한다(제262 단계). 또는, 제264 단계후에, 제3 카운터(282)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286)는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2를 통해 입력한 정보들중 제1 시간 선택부(244)에서 선택된 시간에 발생된 특징량에 해당하는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1을 통해 출력한다(제266 단계).
도 16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복수개의 유효한 움직임들중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제300 ∼ 제31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로서, 제3 및 제4 저장부들(330 및 332), 제4 카운터(334), 제5 비교부(336), 제2 특징량 선택부(338), 제2 시간 선택부(340) 및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에서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300 단계). 이를 위해, 제4 카운터(334)는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단자 IN15를 통해 입력되는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유효 정보 결정부(342) 및 제5 비교부(336)로 출력한다.
만일,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304 단계). 이를 위해, 먼저 제4 저장부(332)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입력단자 IN14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을 저장하고, 제5 비교부(336)는 제4 저장부(332)에 저장된 시간들을 비교하며, 비교된 결과를 제2 특징량 선택부(338), 제2 시간 선택부(340) 및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5 비교부(336)는 제4 카운터(334)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데, 제4 카운터(334)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움직임이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5 비교부(336)는 비교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만일,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제310 단계로 진행한다(제306 단계). 제306 단계는, 제264 단계와 마찬가지로,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은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가장 먼저 발생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제30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2 시간 선택부(340)는 제4 저장부(332)에 저장된 시간들중에서 가장 적은 시간을 제5 비교부(336)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시간을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출력한다. 예컨데, 제5 비교부(336)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동시에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2 시간 선택부(340)는 제306 단계를 비로서 수행한다.
그러나,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큰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제310 단계로 진행한다(제308 단계). 이를 위해, 먼저 제3 저장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을 입력단자 IN13을 통해 특징량 검출부(90)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고, 제2 특징량 선택부(338)는 제3 저장부(330)에 저장된 특징량들중에서 가장 큰 특징량을 제5 비교부(336)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량을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출력한다. 예컨데, 제5 비교부(336)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된 것으로 인식되면, 제2 특징량선택부(338)는 제308 단계를 비로서 수행한다.
여기서, 제300 ∼ 제308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제16 단계와 제18 단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며, 도 17에 도시된 제3 및 제4 저장부들(330 및 332), 제4 카운터(334), 제5 비교부(336), 제2 특징량 선택부(338) 및 제2 시간 선택부(340)는 도 2에 도시된 유효 신호 검출부(48)와 유효 정보 결정부(5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정보 결정부(342)는 유효 정보 결정부(54)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4 카운터(334)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342)는 하나의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6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2를 통해 출력한다(제302 단계). 또는, 제306 또는 제308 단계후에, 제4 카운터(334)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유효 정보 결정부(342)는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입력단자 IN16을 통해 입력한 정보들중에서 제5 비교부(336)로부터 입력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2 특징량 선택부(338)에서 선택된 특징량 또는 제2 시간 선택부(340)에서 선택된 시간에 발생된 특징량에 해당하는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유효한 정보를 출력단자 OUT12를 통해 출력한다(제310 단계).
도 18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유효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복수개의 유효한 움직임들중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제300, 제306 ∼ 제310및 제37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의 블럭도로서, 제3 및 제4 저장부들(330 및 332), 제4 카운터(334), 제6 비교부(360), 제2 특징량 선택부(338), 제2 시간 선택부(340) 및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구성된다.
먼저, 제304 단계 제370 단계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도 18에 도시된 정보 선택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정보 선택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제5 비교부(336)가 제6 비교부(360)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도 19에 도시된 정보 선택 장치는 도 17에 도시된 정보 선택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8 및 도 19에서 도 16 및 도 17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부분들에 대해서만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은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의 움직임 량 즉, 유효한 움직임들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가를 판단한다(제370 단계). 만일, 유효한 움직임들의 움직임 량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06 단계로 진행하고, 유효한 움직임들의 움직임 량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308 단계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도 19에 도시된 제6 비교부(336)는 제3 저장부(330)로부터 입력한 특징량들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며, 비교된 결과를 제2 특징량 선택부(338), 제2 시간 선택부(340) 및 유효 정보 결정부(342)로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제6 비교부(360)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들에 해당하는 특징량들이 서로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유효한 움직임들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시간 선택부(340)는 제306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제6 비교부(360)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유효한 움직임들에 해당하는 특징량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특징량 선택부(338)는 제308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3, 도 15, 도 17 또는 도 19에 도시된 유효 정보 결정부(246, 286 또는 342)는 제224, 제264, 제306 또는 제306 단계에서 선택된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부(40)중에서 어느 움직임부의 움직임에 해당하는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또는 제2 특징량 선택부(244 또는 338)는 선택된 특징량 대신에 선택된 특징량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일으킨 움직임부(4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를 유효 정보 결정부(246 또는 342)로 출력하고, 제1 또는 제2 시간 선택부(284 또는 340)는 선택된 시간 대신에 선택된 시간에 발생한 특징량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일으킨 움직임부(40)의 고유 식별 번호를 유효 정보 결정부(286 또는 342)로 출력한다. 따라서, 유효 정보 결정부(246)는 제1 특징량 선택부(244)로부터 입력되는 고유 식별 번호를 통해 어느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으로 선택되었는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유효 정보 결정부(286)는 제1 시간 선택부(284)로부터 입력되는 고유 식별 번호를 통해 어느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으로 선택되었는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정보 결정부(342)는 제2 특징량 선택부(338) 또는 제2 시간 선택부(340)로부터 입력되는 고유 식별 번호를 통해 어느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으로 선택되었는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장치는, 유효 신호 검출부(48)로부터 입력한 유효 신호의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을 갖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무선으로 유효 정보 결정부(54)로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움직임부(40)는 사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소정 부위가 손가락일 경우 센싱부(42)는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임을 센싱하고, 소정 부위가 손일 경우 센싱부(42)는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소정 부위가 목일 경우 센싱부(42)는 목 관절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부(42)가 손가락의 끝에서 세번째 관절의 움직임을 센싱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는 검지, 중지, 약지 또는 소지와 같은 손가락의 클릭 운동이 유효한가를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QWERY 키보드를 클릭할 때, 손가락의 세번째 관절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 손가락 및 손등에 관성 센서들을 센싱부(42)로서 부착한 장갑 형태의 부재를 움직여서 공간적으로 정보를 입력시킨다고 가정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은 손가락의 관절 각도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가를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손가락에 의해 지시된 정보의 입력을 결정하는 손가락의 클릭을 위한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움직임부(40)를 공간적이나 평면적으로 움직여서 정보를 지시하거나 입력시키고 할때, 그 움직임을 센싱하는 장치들에서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이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는 움직임부(40)를 느리거나 빠르게 움직여서 정보를 선택할 때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크거나 작을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차단 주파수들을 갖는 제1 및 제2 필터들(140 및 142)을 이용하여 필터링된 결과들간의 차를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으로서 검출하기 때문에 소정 임계값을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움직임부(40)의 어떠한 작은 움직임도 센싱부(42)로서 관성 센서를 사용하였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중력 및 옵셋의 영향들을 받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공간적이거나 평면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유효한 움직임인가 및 그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의 움직임부(40)들중 어느 움직임부(40)의 움직임인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높은 인식률 및 높은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정보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8)

  1. (a)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및
    (b) 센싱된 상기 움직임이 상기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단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c) 상기 (a) 단계후에, 센싱된 상기 움직임의 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의 량이 상기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상기 (a) 단계후에,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변환된 결과로부터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d)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은 공간적인 움직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은 평면적인 움직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선택은 상기 정보의 지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선택은 상기 정보의 입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b2) 상기 특징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특징량이 상기소정 임계값 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특징량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센싱된 결과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고, 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센싱된 결과의 제1 주파수 성분과 제2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b12) 필터링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과 상기 제2 주파수 성분간의 차를 구하고, 상기 차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은 저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은 저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센싱된 결과의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의 양의 성분만을 상기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센싱된 결과의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의 음의 성분만을 상기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특징량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소정 기간동안 상기 특징량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특징량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b3) 단계는 상기 제1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특징량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때 상기 제2 소정 기간으로부터 상기 제1 소정 기간을 제외한 기간 동안의 상기 센싱된 결과는 이용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소정 기간은 상기 제1 소정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상기 (a) 단계후에, 상기 센싱된 결과를 정규화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상기 정규화된 결과로부터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b1) 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b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5. 제23 항에 있어서, 가중치는 상기 정보를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가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며, 상기 정규화된 결과는 상기 센싱된 결과와 상기 가중치를 승산한 결과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6. 제24 항에 있어서, 가중치는 상기 정보를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가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며, 상기 정규화된 결과는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과 상기 가중치를 승산한 결과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7. 제23 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e1)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2)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큰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e1) 단계에서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상기 (e2)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8. 제23 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f1)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2)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f1) 단계에서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상기 (f2)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29. 제23 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g1)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g2)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g3)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큰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g4)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이 동시에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g1) 단계에서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상기 (g3) 또는 상기 (g4)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0. 제23 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방법은
    (h1)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h2)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한 움직임들의 움직임 량이 서로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단계;
    (h3)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의 움직임 량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큰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h4)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이 움직임 량들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중 가장 먼저 결정된 유효한 움직임을 선택하고,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h1) 단계에서 상기 유효한 움직임이 적어도 둘 이상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상기 (h3) 또는 상기 (h4)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1. 제1 항, 제2 항, 제10 항, 제22 항, 제25 항 또는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는 신체의 소정 부위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는 적어도 하나의 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손가락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4.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손가락을 구부린 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5.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은 손가락의 끝에서 세번째 관절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6.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후에, 센싱된 상기 신체의 상, 하, 전, 후, 좌 또는 우 방향의 상기 움직임 량이 상기 소정량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의 량이 상기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7.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의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상응하여 상기소정 임계값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8.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2 소정 기간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39. 정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부;
    상기 움직임부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결과로부터 상기 움직임부의 움직임이 상기 정보의 선택을 의도하는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를 유효 신호로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 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상기 센싱된 결과로부터 상기 움직임의 량을 검출하는 움직임량 검출부; 및
    상기 움직임량 검출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움직임의 량을 소정량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1. 제39 항 또는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센싱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변환된 결과로부터 상기 움직임이 상기 유효한 움직임인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2.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는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센싱된 결과를 상기 디지탈 형태로 상기 제1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3.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상기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유효 정보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4.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움직임부의 상기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5.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부는 공간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6.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부는 평면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7.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선택은 상기 정보의 지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8.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선택은 상기 정보의 입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49. 제4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센싱된 결과의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특징량으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량을 출력하는 특징량 검출부;
    상기 특징량 검출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특징량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제2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는 유효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움직임을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0.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결과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고, 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1.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부는
    상기 센싱된 결과의 제1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필터;
    상기 센싱된 결과의 제2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필터에서 필터링된 결과와 상기 제2 필터에서 필터링된 결과간의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차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차 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2.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3.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을 저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주파수 성분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4.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은 저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5.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6.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고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7.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들 각각은 대역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8.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부는
    상기 차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차의 양의 성분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양의 성분을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신호 추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59. 제5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추출부는
    상기 차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차를 정류하고, 정류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제1 정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0. 제5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검출부는
    상기 차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차의 음의 성분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의 성분을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신호 추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1. 제6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추출부는
    상기 차 계산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차를 반전하고, 반전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반전기;
    상기 제1 반전기로부터 입력한 상기 반전된 결과를 정류하고, 정류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2 정류기; 및
    상기 제2 정류기에서 정류된 결과를 반전하고, 반전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출력하는 제2 반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2.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2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카운터; 및
    상기 제1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와 제1 소정 기간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3 비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3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3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움직임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3. 제6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와 제2 소정 기간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4 비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소정 기간은 상기 제1 소정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4. 제6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4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5. 제6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4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움직임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6.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센싱된 결과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 출력하는 정규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정규화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정규화된 결과로부터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7. 제66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부는
    상기 센싱된 결과와 가중치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상기 정규화된 결과로서 출력하는 승산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움직임부를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8.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는
    상기 특징량 검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을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결과를 상기 특징량으로서 상기 제2 비교부로 출력하는 정규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69.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부는
    상기 특징량 검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크기 변화가 있는 부분과 가중치를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상기 정규화된 결과로서 상기 제2 비교부로 출력하는 승산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움직임부를 움직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0. 제66 항 또는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을 상기 특징량 검출부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 및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징량들중에서 가장 큰 특징량을 상기 제2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특징량을 출력하는 제1 특징량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2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선택된 상기 특징량에 해당하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1. 제66 항 또는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상기 특징량이 상기 특징량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시간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3 카운터; 및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들중 가장 적은 시간을 상기 제3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시간을 출력하는 제1 시간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3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선택된 상기 시간에 발생된 상기 특징량에 해당하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2. 제66 항 또는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을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이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시간을 저장하는 제4 저장부;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4 카운터;
    상기 제4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들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5 비교부;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징량들중에서 가장 큰 특징량을 상기 제5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특징량을 출력하는 제2 특징량 선택부; 및
    상기 제4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들중 가장 적은 시간을 상기 제5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시간을 출력하는 제2 시간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4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제5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상기 제2 특징량 선택부에서 선택된 특징량 또는 상기 제2 시간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시간에 해당하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3. 제66 항 또는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선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을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특징량이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시간을 저장하는 제4 저장부;
    상기 유효 신호 검출부로부터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효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4 카운터;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된 특징량들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5 비교부;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징량들중에서 가장 큰 특징량을 상기 제5 비교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특징량을 출력하는 제2 특징량 선택부; 및
    상기 제4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간들중 가장 적은 시간을 상기 제5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시간을 출력하는 제2 시간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효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4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거나, 상기 제5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한 움직임들에 의해 선택된 정보들중 상기 제2 특징량 선택부에서 선택된 특징량 또는 상기 제2 시간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시간에 해당하는 유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유효한 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4.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5.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움직임부를 움직여서 상기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6.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움직임부를 움직여서 상기 정보의 입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7. 제7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는 적어도 하나의 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78. 제77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은 손가락의 끝에서 세번째 관절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장치.
KR10-2001-0044588A 2001-07-24 2001-07-24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44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88A KR100446612B1 (ko) 2001-07-24 2001-07-24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03515960A JP2004537055A (ja) 2001-07-24 2002-07-22 多次元空間上での情報選択方法及び装置
CN028177142A CN1554044B (zh) 2001-07-24 2002-07-22 用于在多维空间中选择信息的方法和设备
PCT/KR2002/001369 WO2003010652A1 (en) 2001-07-24 2002-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in multi-dimensional space
US10/484,505 US7259756B2 (en) 2001-07-24 2002-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in multi-dimensional space
US11/697,670 US20070273642A1 (en) 2001-07-24 2007-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formation in multi-dimensional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588A KR100446612B1 (ko) 2001-07-24 2001-07-24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918A true KR20030009918A (ko) 2003-02-05
KR100446612B1 KR100446612B1 (ko) 2004-09-04

Family

ID=1971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88A KR100446612B1 (ko) 2001-07-24 2001-07-24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59756B2 (ko)
JP (1) JP2004537055A (ko)
KR (1) KR100446612B1 (ko)
CN (1) CN1554044B (ko)
WO (1) WO20030106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243B2 (en) 2013-09-25 2015-08-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oper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4249B2 (en) * 2001-03-29 2004-12-21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system
US7184020B2 (en) * 2002-10-30 2007-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ration instructing device, operation instructing method, and operation instructing program
KR100501721B1 (ko) * 2003-03-19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계센서를 이용한 펜형 입력시스템 및 그 궤적 복원 방법
KR100543710B1 (ko) * 2004-02-25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에 발생되는 복수의 공간적 움직임으로부터 정보 완료신호를 인식하는 공간형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JP4410051B2 (ja) * 2004-07-22 2010-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角速度計測装置および脚式移動ロボット
NL1026945C2 (nl) * 2004-09-01 2006-03-02 Access Engineering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door ruimtelijke bewegingen zoals hoofdbewegingen besturen van een aanwijzer op een computerscherm.
US7539513B2 (en) * 2005-02-02 2009-05-26 National Telephone Products, Inc. Portable phone with ergonomic image projection system
KR100537279B1 (ko) * 2005-05-12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지 가능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모션 인지 방법
KR100651368B1 (ko) * 2005-09-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제어방법
TWI348639B (en) * 2005-12-16 2011-09-11 Ind Tech Res Inst Motio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7903092B2 (en) * 2006-05-25 2011-03-08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position dependent reduced keying ambiguity
US8786554B2 (en) * 2006-07-10 2014-07-22 Atmel Corporation Priority and combination suppression techniques (PST/CST) for a capacitive keyboard
US20090146953A1 (en) * 2006-10-30 2009-06-11 Imu Solutions, Inc. Methods for processing data from accelerometer in anticipating real-time cursor control movements
EP2083276B1 (en) * 2008-01-22 2014-10-29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omalous events for an electronic apparatus, in particular a portable apparatus
TWI396967B (zh) * 2008-05-16 2013-05-21 Htc Corp 信號過濾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與可讀取記錄媒體
US8508498B2 (en) * 2009-04-27 2013-08-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rection and force sensing input device
US20100289743A1 (en) * 2009-05-15 2010-11-18 AFA Micro Co. Laser pointer and gesture-based input device
US8482678B2 (en) * 2009-09-10 2013-07-09 AFA Micro Co. Remote control and gesture-based input device
US8717291B2 (en) * 2009-10-07 2014-05-06 AFA Micro Co. Motion sensitive gesture device
US8494544B2 (en) * 2009-12-03 2013-07-23 Osocad Remote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o perform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retrieval using a gesture-controlled handheld mobile device
KR101795574B1 (ko) 2011-01-06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8531B1 (ko) 2011-01-06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모션 제어 방법
WO2012123033A1 (de) * 2011-03-17 2012-09-20 Ssi Schae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Steuerung und überwachung einer lager- und kommissionieranlage durch bewegung und sprache
CN103164049A (zh) * 2011-12-09 2013-06-19 捷达世软件(深圳)有限公司 手持行动电子装置摆动识别控制系统及方法
US9891718B2 (en) * 2015-04-22 2018-02-13 Medibotics Llc Devices for measuring finger motion and recognizing hand gestures
US20140085177A1 (en) * 2012-09-21 2014-03-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input based upon relative finger position
JP2014151149A (ja) * 2013-02-14 2014-08-25 Seiko Epson Corp 運動解析装置及び運動解析方法
KR101518904B1 (ko) * 2013-09-23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조작 장치
KR20160114070A (ko) * 2014-01-31 2016-10-04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주기 분주기
CN105843429A (zh) * 2015-01-14 2016-08-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悬浮触控方法
TWI621968B (zh) * 2016-02-05 2018-04-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控制電子設備之方法及穿戴裝置
US20170249561A1 (en) * 2016-02-29 2017-08-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bot learning via human-demonstration of tasks with force and position objectives
US11294463B2 (en) 2018-12-03 2022-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user input devices using a digital glove
US11314409B2 (en) 2018-12-03 2022-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eless augmentations to a virtual trackpad on a multiple screen computing device
US11199901B2 (en) * 2018-12-03 2021-1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non-digital objects using a digital glove
US10564719B1 (en) 2018-12-03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user input devices using a digital glove
US11137905B2 (en) 2018-12-03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eless augmentations to a virtual trackpad on a multiple screen computing device
US11829531B2 (en) * 2021-09-13 2023-11-28 Htc Corporatio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7027A (ja) * 1990-09-28 1992-05-12 Ezel Inc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
US5146566A (en) * 1991-05-29 1992-09-08 Ibm Corporation Input/output system for computer user interface using magnetic levitation
US5982352A (en) * 1992-09-18 1999-11-09 Pryor; Timothy R. Method for providing human input to a computer
JPH086708A (ja) * 1994-04-22 1996-01-12 Canon Inc 表示装置
JPH08272520A (ja) * 1995-03-29 1996-10-18 Asako Hanno 手袋命令発信装置
JP3777650B2 (ja) * 1995-04-28 2006-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H0944297A (ja) * 1995-07-25 1997-02-14 Canon Inc データ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81309A (ja) * 1995-09-13 1997-03-28 Toshiba Corp 入力装置
JP3272960B2 (ja) * 1996-08-19 2002-04-08 株式会社データ・テック 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及び車両の運行解析装置
KR100221335B1 (ko) * 1996-12-26 1999-09-15 전주범 가상 현실 시스템에서 글러브 센서값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53567A (ko) * 1996-12-27 1998-09-25 배순훈 디지탈 글러브용 센서
KR100244523B1 (ko) * 1997-05-02 2000-02-01 정선종 가상현실용 실시간 인터페이싱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 방법(Real-time interfacing for virtual environment)
JPH11338614A (ja) * 1998-05-27 1999-12-10 Noritz Corp 操作入力装置
CN1105347C (zh) * 1998-07-08 2003-04-09 大腾电子企业股份有限公司 电脑输入指标装置
JP2000181601A (ja) * 1998-12-18 2000-06-30 Fujitsu General Ltd 情報表示システム
CN2396443Y (zh) * 1999-10-15 2000-09-13 曾信得 单孔多轮讯号输入装置
KR100682579B1 (ko) * 2000-05-04 2007-02-15 (주)태민메카트로닉스 3차원 공간상에서의 위치 결정 장치 및 방법
US6529130B2 (en) * 2001-02-16 2003-03-04 General Phosphorix Llc System for detecting intru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243B2 (en) 2013-09-25 2015-08-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ope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59756B2 (en) 2007-08-21
US20070273642A1 (en) 2007-11-29
CN1554044A (zh) 2004-12-08
WO2003010652A1 (en) 2003-02-06
US20040169636A1 (en) 2004-09-02
WO2003010652B1 (en) 2004-04-08
CN1554044B (zh) 2012-07-04
JP2004537055A (ja) 2004-12-09
KR100446612B1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612B1 (ko) 다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9313493B (zh) 用于基于手的运动和位置控制计算机的装置
CN105824431B (zh) 信息输入装置与方法
US8421634B2 (en) Sensing mechanical energy to appropriate the body for data input
US7565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hand gestures
CN108196668B (zh) 一种便携式手势识别系统及方法
CN105446461A (zh) 手势识别方法及使用该方法的手掌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US20100023314A1 (en) ASL Glove with 3-Axis Accelerometers
US9619024B2 (en) Virtual input device and virtual input method
KR20020072367A (ko)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및 정보 입력방법
CN102741919A (zh) 用于使用声学信号提供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包括用户接口的装置
CN103186261B (zh) 触控方法及装置
KR20030008066A (ko) 착용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사용한 정보 입력 방법
JPH07248873A (ja) 筋電信号を用いた制御装置
CN101706677A (zh) 基于体感的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101553484B1 (ko) 손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3710B1 (ko) 동시에 발생되는 복수의 공간적 움직임으로부터 정보 완료신호를 인식하는 공간형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1580660A (zh) 一种操作触发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22968B1 (ko)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른 명령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Pedrosa et al. EMG Based MIDI Controller
KR100803200B1 (ko)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80770B1 (ko) 3차원 공간상의 정보 포인팅 방법
Harling Gesture input using neural networks
JPH11143608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CN106155277A (zh) 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