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451A -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451A
KR20030009451A KR1020027014285A KR20027014285A KR20030009451A KR 20030009451 A KR20030009451 A KR 20030009451A KR 1020027014285 A KR1020027014285 A KR 1020027014285A KR 20027014285 A KR20027014285 A KR 20027014285A KR 20030009451 A KR20030009451 A KR 20030009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r
heat
housing
assembly
heat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네스마크
Original Assignee
슈파컨덕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파컨덕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슈파컨덕터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0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01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a linear configuration or a linear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저온 단부와 고온 단부를 갖춘 디스플레이서 장치를 포함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4)는 저온 실린더 하우징과 이 하우징(10)의 내부 표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가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 내부에 위치하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활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서 장치는 재생장치(1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저온 단부에 열 수용체(20)가 고정된다. 이 열 수용체(20)는 고온 초전도체 필터와 같은 장치로부터의 열을 디스플레이서 장치내의 헬륨과 같은 가스로 전달한다. 열 수용체(20)는 방사형 구성요소(22)와 환형 구성요소(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수용체는 열 수용체와 헬륨가스간의 열 전달저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는 감소된 입력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어 원하는 열 상승 레벨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STIRLING CYCLE CRYOCOOLER WITH OPTIMIZED COLD END DESIGN}
최근, 초전도체 분야와 이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들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초전도체 필터 시스템과 같은 초전도체 제품이 기능할 수 있는 저온 환경(예컨대, 77°K 이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초전도체 장치가 기능할 수 있는 저온 환경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되어 온 하나의 장치는 스털링 주기 냉동장치 또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이다.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서(displacer) 조립체와 압축기(compressor)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유체(fluid)가 이 두 부분을 통해 흐르며 이 두 부분은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회전식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서 장치는 일반적으로 "저온(cold)" 단부(end)와 "고온(hot)" 단부를 가진다. 고온 단부는 압축기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는 일반적으로 헬륨과 같은 유체를 한쪽 단부, 즉,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 즉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고온단부로 보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서 장치에 탑재된 재생장치(regenerator)를 갖춘 디스플레이서를 포함한다. 피스톤 장치는 유체가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고온 단부에 위치할 때 유체에 부가적인 압력을 인가하고, 유체가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에 위치하면 유체로부터 압력을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는 예컨대 77°K로 유지되고,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고온 단부는 예컨대 주위온도 보다 15°K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초전도체 필터와 같은 장치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와 열적으로 접촉하여 위치한다.
현재의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설계는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에 위치하는 열 수용체(heat acceptor)를 채용한다. 열 수용체는 고온의 초전도체 필터(HTSF) 시스템과 같은 냉각될 장치와 열적으로 접촉한다. 열은 이 장치에서 열 수용체로 전달된다. 열 수용체로 전달된 열은 디스플레이서 장치에 들어 있는 헬륨 가스로 보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 전달에 대한 저항이 가장 크기 때문에 열 수용체에서 헬륨 가스로의 열의 전달이 매우 어렵다.
현재의 저온 냉각기 설계에 있어서, 열 수용체로부터 헬륨 가스로의 열의 비효율적인 전달은 부가적인 전력을 요구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질적으로, 원하는 냉각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큰 입력 전력이 필요하다. 낮은 열 전달율은 대부분 비교적 작은 표면적과 낮은 대류열 전달계수에 기인한다.
열 수용체와 헬륨 가스 사이의 열전달 저항을 감소시키는 저온 냉각기 설계가 요구된다. 저온 냉각기 설계는 종래의 설계와 비교하여 동등한 냉각수준을 제공하는데 보다 적은 입력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저온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Stirling cycle cryocooler)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의 측면도.
도2는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의 확대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저온 냉각기와 종래의 저온 냉각기의 입력전력에 대한 열 상승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제1양상에 있어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가 개시된다. 이 디스플레이서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와 인접한 디스플레이서 라이너(displacer liner), 디스플레이서 조립체(displacer assembly), 생성장치 및 열 수용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는 디스플레이서 라이너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열 수용체는 방사형(radial) 구성요소와 환형(annular)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열 수용체는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저온 단부에 사용되는 열 수용체가 개시된다. 이 열 수용체는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장축에 직교하는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내부면을 포함하는 방사형 구성요소를 갖는다. 또한, 열 수용체는 내부 원주면을 갖는 환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양상에 의한 디스플레이서 장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에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을 더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는 디스플레이서 장치(4)와 열 교환장치(6), 압축기 및 선형 모터 장치(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4)는 저온 실린더 하우징(10)과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 생성장치(14) 및 디스플레이서 로드 조립체(displacer rod assembly)(1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를 둘러싸며 저온 실린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는 저온 실린더 하우징(10) 내부의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는 저온 실린더 하우징(1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서 장치(4)는 또한 열 수용체(20)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수용체(20)는 방사형 구성요소(22)와 환형 구성요소(24)를 포함한다. 방사형 구성요소(22)는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장축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의 장축은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고온 및 저온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환형 구성요소(24)는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원주형 고리를 따라 위치한다. 환형 구성요소(24)는 방사형 구성요소(22)로부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의 가장자리 너머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구성요소(24)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의 가장자리 너머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의 말단부와 인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 수용체(20)는 용접 밀폐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저온 실린더 하우징(10)에 납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구성요소(24)는 디스플레이서 라이너(18)와 동축(co-axial)을 가지면서 대향한다. 이에 따라 열 전달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열 수용체(20)의 전체 면적이 증가한다.
도2를 참조하면, 열 수용체(20)의 방사형 구성요소(22)는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내부면(21)을 포함한다.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내부면(21)은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장축과 수직을 이룬다. 환형 구성요소(24)는 내부 원주면(23)을 포함한다.
상기 열 수용체(20)가 두 개의 분리된 구성요소들, 즉, 방사형 구성요소(22)와 환형 구성요소(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열 수용체(20)는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열 수용체(20)는 구리와 같이 열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수용체(20)는 고순도의 구리 또는 산소를 함유하지 않은 고전도성 (oxygen-free-high-conductivity;OFHC) 구리로 만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는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26)을 포함한다. 이 방사형 구멍들(26)은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저온 단부(25)내에 헬륨이 부가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구멍들(26)을 흐르는 헬륨은 열 수용체(20)에 직접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도2에 화살표 A로 나타낸 열 전달을 위해 이용 가능한 면적이 증가한다. 방사형 구멍들(26)은 열 수용체(20)와 저온 냉각기(2)내의 헬륨 가스 사이의 대류성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도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서 로드 조립체(16)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의 베이스(28)의 일단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서 스프링 조립체(32)의 일단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서 장치(4)와 압축기와 선형 모터 장치(8) 사이에 위치하는 열 교환장치(6)는 열 교환블록(34)과 유체 절환기(flow diverter) 또는 이와 동등한 구조 및 열 교환기 장착 플랜지(3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교환기 장착 플랜지(38)는 압축기의 압력 하우징(40)의 말단부와 선형 모터 장치(8)에 연결된다. 열 교환기 블록(34)은 다수개의 내부 열 교환기 핀들(fins)(42)과 다수개의 외부 열 리젝터(refector) 핀들(44)을 포함한다. 따라서 열 교환기 장치(6)는 디스플레이서 장치(4)와 압축기 및 선형 모터 장치(8) 사이의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영역(PHOT)에 압축된 헬륨과 같은 가스로부터의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이하, 영역(PHOT)을 압축기와 선형 모터장치(8)의 압축 챔버라고 한다). 열 교환기 블록(34), 내부 열 교환기 핀(42) 및 외부 열 리젝터 핀(44)은 고순도 구리와 같은 열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와 선형 모터장치(8)는 피스톤 조립체(46)를 갖춘 압력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조립체(46)는 실린더(48)와 피스톤(50), 피스톤 조립체 장착 브라켓(54) 및 스프링 장치(56)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조립체 장착 브라켓(54)은 피스톤(50)과 스프링 장치(56)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피스톤(50)은 실린더(48) 내에서의 왕복 운동하는데 적합하게 된다. 다수개의 가스 베어링(58)이 피스톤(50)의 외부 벽(60)에 마련되며, 이 가스 베어링(58)은 피스톤(50)내에 위치하는 밀폐된 동공(cavity)(62)으로부터 헬륨과 같은 가스를 받아들인다. 체크 밸브(64)는 실린더(48)의 영역(PHOT)내의 가스의 압력이 동공(62)내의 압력보다 높으면(즉, 피스톤 저장소 압력보다 높으면) 밀폐된 동공(62)과 실린더(48)의 영역(PHOT) (즉, 실린더(48)의 압축 챔버) 사이에 단방향 유체 전달 도관(conduit)을 제공한다.
피스톤(50)은 그 상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자석들(66)을 포함한다. 내부 적층판(laminations)(68)은 실린더(48)의 외부에 고정된다. 외부 적층판(70)은 압력 하우징(40)내에 고정되며 자석들(66)의 외부에 위치한다. 외부 적층판(70)은 장착 플랜지(38)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및 외부 적층판들(68,70)은 철을 함유한 물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코일(72)은 외부 적층판(70) 내에 위치하며 피스톤(50)을 둘러싸고 있다. 모터 코일(72)은 자석들(66)의 외부와 외부 적층판(70)내에 형성된 함몰부(recess)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스톤(50)이 실린더(48)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자석들이 틈새(74)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피스톤(50)과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는 약 60Hz의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의 진동은 피스톤(50)의 진동에 대하여 약 90° 위상이 다르게 진동한다. 달리 말하면,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의 움직임이 피스톤(50)의 움직임을 대략 90° 만큼 "앞서는(lead)"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가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저온" 단부(PCOLD)로이동할 때 시스템내의 대부분의 유체, 예컨대 헬륨은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고온 단부(PHOT)로 움직이고/움직이거나 유체 절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 주위를 흘러 내부 열 교환기 핀(42)을 거쳐 피스톤 조립체(46)의 압축 영역(PHOT)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와 피스톤(50)의 움직임이 있어서의 위상 차이로 인해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가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저온 단부에 위치할 때 피스톤(50)은 중간지점에서 열 수용체(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영역(PHOT)내의 헬륨이 압축되어 헬륨의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압축 열은 압축된 헬륨으로부터 내부 열 교환기 핀(42)으로 전달되고 여기에서 열 교환기 블록(34)과 외부 열 리젝터 핀(44)으로 전달된다. 열 리젝터 핀(44)으로부터 열은 주위 대기로 전달된다. 디스플레이서 조립체(12)가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고온 단부(PHOT)로 이동함에 따라 헬륨은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저온 단부(PCOLD)로 움직이게 된다. 헬륨은 디스플레이서 실린더(12)를 통과하면서 재생장치(14)내에 열을 남기고 약 77°K의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저온 단부(PCOLD)로 배출된다. 이때, 압축기 피스톤(50)은 중간지점에서 스프링 장치(5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서 하우징(10)의 저온 단부(PCOLD)의 헬륨이 확장되어 헬륨의 온도가 감소되고 헬륨이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저온 단부(PCOLD)는 냉각장치의 기능을 하며 "저온" 소오스로서 작용한다.
방사형 구성요소(22)와 환형 구성요소(24)를 갖춘 열 수용체(20)를 사용함으로써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의 열 상승을 주어진 입력 전력에 대해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가 동작하는 동안 헬륨가스는 디스플레이서 장치(4)의 저온 단부에서 확장되는데, 이에 따라 헬륨가스의 온도가 감소하여 열 수용체(20)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열 수용체(20)와 헬륨가스의 온도 변화(gradient)에 의해 고온 초전도체 필터(HTSF)와 같은 냉각되는 장치로부터 열 수용체(20)와 헬륨가스로 열이 흐르게 된다. 열 전달율은 냉각되는 장치와 열 수용체(20)와 헬륨가스의 온도간의 온도 차이와, 냉각되는 장치와 열 수용체(20)간의 경계저항, 열 수용체(20)의 도전성 저항, 그리고 열 수용체(20)와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0) 내부의 헬륨가스간의 대류성 저항의 함수이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열 수용체(20)와 헬륨가스 아이에 가장 큰 열전달에 대한 저항이 발생한다. 이러한 대류성 저항을 정의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1) Q=h*A*ΔT
여기서, Q는 열 전달율(watts), h는 대류성 열 전달계수(watt/℃m2), A는 열 전달면적(m2), ΔT는 온도차(℃)를 나타낸다.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는 열 수용체(20)를 사용하여 대류성 저항을 감소시킨다. 열 수용체(20)는 열 전달면적(A)을 증가시키고 대류성 열 전달계수(h)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사형 구멍들(26)은 헬륨가스와 열 수용체(20)의 환형 부분(24) 사이의 열 전달계수(h)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전체적인 대류성 열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는 동일한 냉각수준에 대하여 보다 적은 입력 전력을 필요로 한다.
도3은 수정된 열 수용체(20)를 이용한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2)의 향상된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0와트의 입력전력에서 4.25와트에서 5.7와트로 열 상승이 일어나 약 34%가 개선된다. 결과적으로, 감소된 입력 전력으로 원하는 양의 열 상승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저온 단부와 고온 단부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인접한 디스플레이서 라이너,
    상기 디스플레이서 라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며, 재생장치와 자신의 저온 단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저온 단부에 고정되고, 방사형 구성요소와 이 방사형 구성요소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온 단부에 인접한 환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은 상기 열 수용체의 환형 구성요소와 인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의 환형 구성요소와 열 수용체의 방사형 구성요소는 단일 열 수용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열적으로 도전성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서 장치는 열 교환장치와 압축기와 선형 모터장치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6. 저온 단부와 고온 단부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인접한 디스플레이서 라이너,
    상기 디스플레이서 라이너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며, 자신의 저온 단부에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을 포함하며, 가스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저온 단부와 고온 단부를 갖춘 왕복 운동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저온 단부에 고정되고, 방사형 구성요소와 환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왕복 운동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이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왕복 운동의 일부가 행해지는 동안 상기 열 수용체의 환형 구성요소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구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OFHC 구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용접 밀폐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10.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에 있어서,
    실린더내에서의 왕복 운동에 적합하도록 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갖춘 압력 하우징과,
    제1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서 로드 조립체,
    상기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와 연결되고, 저온 단부와 고온 단부를 갖춘 저온 실린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서 라이너 및 이 디스플레이서 라이너 내부에 위치하는 왕복 운동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서 장치, 및
    상기 저온 실린더 하우징의 저온 단부에 고정되고, 방사형 구성요소와 이 방사형 구성요소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온 실린더 하우징의 저온 단부와 인접한 환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열 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서 로드 조입체의 제2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는 상기 저온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는 가스 재생장치와 자신의 저온 단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의 환형 구성요소와 열 수용체의 방사형 구성요소는 단일 열 수용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열적인 도전성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구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용체는 OFHC 구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 냉각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하는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다수개의 방사형 구멍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서 조립체의 왕복 운동의 일부가 행해지는 동안 상기 열 수용체의 환형 구성요소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KR1020027014285A 2000-04-26 2001-04-16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KR20030009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58,879 US6327862B1 (en) 2000-04-26 2000-04-26 Stirling cycle cryocooler with optimized cold end design
US09/558,879 2000-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51A true KR20030009451A (ko) 2003-01-29

Family

ID=2423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285A KR20030009451A (ko) 2000-04-26 2001-04-16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7862B1 (ko)
JP (1) JP2003532046A (ko)
KR (1) KR20030009451A (ko)
CN (1) CN1189706C (ko)
AU (1) AU2001274812A1 (ko)
DE (2) DE10196129B4 (ko)
GB (1) GB2378749B (ko)
WO (1) WO20010818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2684A1 (en) * 2022-09-29 2024-04-04 Kla Corporation Frictionless design of high-pressure recirculation thermo-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93B1 (ko) * 2002-02-04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쿨러
US6694730B2 (en) * 2002-05-30 2004-02-24 Superconductor Technologies, Inc. Stirling cycle cryocooler with improved magnet ring assembly and gas bearings
US6813892B1 (en) 2003-05-30 2004-11-0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ryocooler with multiple charge pressure and multiple pressure oscillation amplitude capabilities
US20050056036A1 (en) * 2003-09-17 2005-03-17 Superconductor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ryogenic receiver front-end
US7137259B2 (en) * 2003-12-05 2006-11-21 Superconductor Technologies Inc. Cryocooler housing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KR100512002B1 (ko) * 2004-01-29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터링 냉동기의 리니어 모터 장착구조
KR100644825B1 (ko) * 2004-01-29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극저온 냉동기
KR100565522B1 (ko) * 2004-01-29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극저온 냉동기의 가스 누설 방지 구조
US7913497B2 (en) * 2004-07-01 2011-03-29 Respironics, Inc. Desiccant cartridge
US7318327B2 (en) * 2004-10-26 2008-01-15 Respironics In-X, Inc. Liquefying and storing a gas
US8959929B2 (en) * 2006-05-12 2015-02-24 Flir Systems Inc. Miniaturized gas refrigeration device with two or more thermal regenerator sections
US7587896B2 (en) * 2006-05-12 2009-09-15 Flir Systems, Inc. Cooled infrared sensor assembly with compact configuration
US8074457B2 (en) * 2006-05-12 2011-12-13 Flir Systems, Inc. Folded cryocooler design
US7555908B2 (en) * 2006-05-12 2009-07-07 Flir Systems, Inc. Cable drive mechanism for self tuning refrigeration gas expander
US8490414B2 (en) * 2007-05-16 2013-07-23 Raytheon Company Cryocooler with moving piston and moving cylinder
US8607560B2 (en) * 2008-02-28 2013-12-17 Superconductor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entering reciprocating bodies and structures manufactured therewith
CN101815843A (zh) 2007-08-17 2010-08-25 超导技术公司 用于定中往复本体的方法以及用该方法制造的结构
US10088203B2 (en) * 2009-06-12 2018-10-02 Raytheon Company High efficiency compact linear cryocooler
US9131666B2 (en) * 2012-05-18 2015-09-15 Yamamoto Corp. Hatching egg inspection apparatus
US10422329B2 (en) 2017-08-14 2019-09-24 Raytheon Company Push-pull compressor having ultra-high efficiency for cryocoolers or other systems
US10753653B2 (en) * 2018-04-06 2020-08-25 Sumitomo (Shi) Cryogenic Of America, Inc. Heat station for cooling a circulating cryogen
CN111023612A (zh) * 2019-11-18 2020-04-17 上海厚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机机身组件安装结构
CN111076441A (zh) * 2019-11-18 2020-04-28 上海厚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机机身
CN111076442A (zh) * 2019-11-18 2020-04-28 上海厚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冷机压力壳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356A (en) * 1964-09-28 1966-09-20 Little Inc A Heat exchanger-expander adapted to deliver refrigeration
US3282064A (en) * 1965-06-29 1966-11-01 Hughes Aircraft Co Refrigerant regeneration and purification as applied to cryogenic closedcycle systems
NL156810B (nl) * 1974-04-29 1978-05-16 Philips Nv Koudgaskoelmachine.
US4036027A (en) * 1976-04-30 1977-07-19 Cryogenic Technology, Inc. Lost-motion refrigeration drive system
US4359872A (en) * 1981-09-15 1982-11-23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Low temperature regenerators for cryogenic coolers
US4846861A (en) * 1988-05-06 1989-07-11 Hughes Aircraft Company Cryogenic refrigerator having a regenerator with primary and secondary flow path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2684A1 (en) * 2022-09-29 2024-04-04 Kla Corporation Frictionless design of high-pressure recirculation thermo-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74812A1 (en) 2001-11-07
GB2378749A (en) 2003-02-19
GB0224927D0 (en) 2002-12-04
DE10196129B4 (de) 2006-03-09
CN1189706C (zh) 2005-02-16
DE10164947B4 (de) 2008-05-08
CN1426522A (zh) 2003-06-25
JP2003532046A (ja) 2003-10-28
GB2378749B (en) 2003-12-03
US6327862B1 (en) 2001-12-11
WO2001081840A1 (en) 2001-11-01
DE10196129T1 (de)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9451A (ko) 최적화된 저온 단부를 가지도록 설계된 스털링 주기 저온냉각기
US6141971A (en) Cryocooler motor with split return iron
US6079960A (en) Linear compressor with a coaxial piston arrangement
JPH0788985B2 (ja) 冷凍機
JP3728833B2 (ja) パルス管冷凍機
US9146047B2 (en) Integrated Stirling refrigerator
CA2562029A1 (en) Cryocooler system with frequency modulating mechanical resonator
WO2003060390A1 (en) Cryopump with two-stage pulse tube refrigerator
KR100348618B1 (ko) 맥동관 냉동기의 에프터 쿨러 및 그 제조방법
JP2003232282A (ja) コンプレッサクーラ及びその組立方法
US20050120721A1 (en) Cryocooler cold-end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JPH05215422A (ja) 熱機械
CN114616430A (zh) 具有机械驱动扩展器的低温斯特林制冷机
JPH0936442A (ja) 超電導磁石装置
JP2828948B2 (ja) 再生熱交換器
JP3741300B2 (ja) パルス管冷凍機
KR20000012903A (ko)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
JP2005241113A (ja) 恒温冷凍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2978005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JPH01281372A (ja) 冷却機
JP2901722B2 (ja) クリアランスシール型シリンダアセンブリ
JP2008267679A (ja) スターリング機関およびスターリング機関搭載機器
JP2000055491A (ja) 冷凍装置
KR101503748B1 (ko) 스터링 냉각을 이용한 cpu 냉각장치
JP2004333054A (ja) パルス管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