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03A -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03A
KR20000012903A KR1019980031479A KR19980031479A KR20000012903A KR 20000012903 A KR20000012903 A KR 20000012903A KR 1019980031479 A KR1019980031479 A KR 1019980031479A KR 19980031479 A KR19980031479 A KR 19980031479A KR 20000012903 A KR20000012903 A KR 2000001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vibration
driving motor
drive motor
reciprocat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427B1 (ko
Inventor
정우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4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 밀봉쉘의 외주면에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가 복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되고, 열교환기의 양단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순환관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봉쉘 하단의 냉각수 순환관 사이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냉각수 순환용 펌프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냉각수 루프를 구성하는 경우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순환용 펌프가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 단가가 많이 소요되고, 냉각수 순환용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어 기기의 운전비를 상승시키게 되며, 또한 블로워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블로워의 운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구동 모터에서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에 의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수 있으므로써 내부 열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의 방지 및 냉각수 순환용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필요없게 되어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는 한편, 펌프의 냉각수 송출량이 구동부의 제어에 의한 용량 변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 매칭을 할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
본 발명은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에서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에 의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전자부품 및 초전도체의 냉각을 위한 극저온 냉동기로는 스터링 냉동기(Stirling Refrigerator) 및 지엠 냉동기(GM Refrigerator) 등의 열재생식 냉동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냉동기들은 그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운전 속도를 낮게 하거나, 마찰이 발생하는 실링(Sealing) 재료의 향상, 그리고 운동하는 부분을 없애는 방법 등이 모색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장기간 보수가 필요없는 고신뢰성의 극저온 냉동기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극저온 냉동기중의 하나가 맥동관 냉동기(Pulse Tube Refrigerator)이다.
상기 맥동관 냉동기는 한 쪽이 막힌 관에 일정한 온도를 갖는 가스를 주기적으로 주입하여 압력을 변화시키면 가스의 유동에 난류 성분이 적을 때 매우 큰 온도 구배를 얻을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관의 열린 쪽에서 극저온의 냉동을 구현하는 기기이며, 또한 상기 맥동관 냉동기는 평균 압력과 압력비가 낮아서 비교적 냉동 용량이 작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냉동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터링 냉동기의 변형으로서, 종래의 스터링 냉동기가 피스톤과 디스플레이서 등 두 개의 운동부를 갖는 데 비하여 맥동관 냉동기의 운동부는 별도의 압축기 하나만을 갖는 차이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맥동관 냉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종래의 맥동관 냉동기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된 피스톤이 별도의 윤활 작용 없이 실린더를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작동 가스를 펌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작동 가스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00)와, 그 구동부(100)에 의해 펌핑되면서 관내를 왕복 운동하는 작동 가스의 열역학적 사이클에 의해 극저온부를 갖게 되는 냉동부(2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실린더부(110a)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 가스가 충진된 밀폐 케이스(110)와, 그 밀폐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20)와, 그 구동 모터(120)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구동축(130)과, 그 구동축(130)에 연결됨과 아울러 밀폐 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0a)에 삽입되어 구동축(130)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 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140)과, 상기 밀폐 케이스(110)와 구동축(130)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구동 모터(120)의 가동자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 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피스톤(140)의 공진 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가동자의 직선 운동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피스톤(140)의 직진성을 안내하는 상,하부 지지부재(151)(152)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 케이스(110)는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실린더부(110a)가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11)과, 그 상부 프레임(111)의 하단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축(130)의 상단이 결합된 상부 지지부재(151)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모터(120)가 고정 장착되는 중간 프레임(112A)과, 그 중간 프레임(112A)의 하단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구동축(130)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 지지부재(152)가 체결되는 하부 프레임(113)과, 상기 중간 프레임(112A) 및 하부 프레임(113)을 감싸도록 상부 프레임(111)의 하단면에 밀봉 결합되어 작동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셸(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프레임(112A)은 그 내주면 중간에 구동 모터(120)를 장착시키기 위한 모터 장착부(112a)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모터 장착부(112a)의 상측에는 상부 지지부재(151)가 얹혀져 체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형 지지부재 장착부(112b)가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 장착부(112b)의 내경은 상부 지지부재(151)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게 될 때에 발생되는 탄성력 저하를 감안하여 통상 구동 모터(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프레임(113)은 그 내주면에 하부 지지부재(152)를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형 지지부재 장착부(113a)가 중간 프레임(112A)의 지지부재 장착부(112b)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원주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 장착부(113a)의 내경 역시 구동 모터(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151)(152)는 모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판형의 판스프링으로서, 그 각각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동축 장착공(151a)(152a)은 피스톤(140)의 직진성이 유지되도록 상부 프레임(111)의 실린더부(110a)와 함께 동심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모터(120)는 복수개의 철편이 원통형으로 적층되어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외측 라미네이션(121B)에는 복수개의 코일(121b)이 장착된 고정자(121)와, 그 고정자(121)의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130)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121b)에 대향되도록 마그네트(112b)가 장착된 가동자(122)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리니어 모터로서, 상기 외측 라미네이션(121B)이 밀폐 케이스(110)의 중간 프레임(112A)에 체결되고, 상기 내측 라미네이션(121A)은 별도의 연결링(123)에 의해 외측 라미네이션(121B)과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20)의 가동자(122)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그 상단은 상부 지지부재(151)를 관통하여 피스톤(140)에 일체로 압입되는 반면, 그 하단은 하부 지지부재(152)의 중앙을 관통하여 별도의 고정부재(160)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30)이 공진운동 및 직진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구동축(130)과 상,하부 지지부재(151)(152)가 일체로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냉동부(200)는 밀폐 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0a)에서 펌핑된 작동 가스에 의해 내부의 작동 가스가 질량 유동되면서 양단부에서 압축과 팽창이 각각 발생되어 압축이 일어나는 압축부(211)에서는 열을 발생시키는 반면 팽창이 일어나는 팽창부(212)에서는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맥동관(210)과, 그 맥동관(210)의 압축부(211)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작동 가스의 질량 유동과 압력 맥동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열적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오리피스(220)와, 그 오리피스(220)에 연결되어 작동 가스가 일시 체류하는 저장 용기(230)와, 그 맥동관(210)의 팽창부(212)와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 사이에 연결되어 맥동관(210)으로 펌핑되는 작동 가스의 현열을 저장하였다가 맥동관(210)에서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로 되돌아 가는 작동 가스의 온도를 보상하는 재생기(240)와, 그 재생기(240)와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 사이에 연결되어 펌핑되는 고온 및 고압의 작동 가스를 우선 냉각시키는 예냉기(2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상기 중간 프레임(112A)의 모터 지지부(112a)에 구동 모터(120)의 외측 라미네이션(121B)을 체결하고, 그 외측 라미네이션(121B)에 내측 라미네이션(121A)을 삽입한 다음에 연결링(123)을 이용하여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을 일체로 체결하며, 상기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 사이의 공극에 구동축(130)이 결합된 원통형의 가동자(122)를 개재시키고, 상기 구동축(130)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부 지지부재(151)를 중간 프레임(112A)의 지지부재 장착부(112b)에 얹어 체결시키며, 상기 중간 프레임(112A)의 하단에는 하부 프레임(113)을 체결하고, 그 하부 프레임(113)의 지지부재 장착부(113a)에는 구동축(130)의 하단이 중앙을 관통하는 하부 지지부재(152)를 체결시키며, 상기 구동축(130)의 상단에는 상부 지지부재(151)가 밀착 개재된 채로 피스톤(140)을 결합시키는 반면, 상기 구동축(130)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부재(152)가 개재된 채로 고정 부재(16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140)은 직선 왕복 운동시 실린더부(110a)와의 간극이 전술한 바와 같이 10 ~ 20 μm를 유지하도록 상,하부 지지부재(151)(152)의 구동축 장착공 (151a)(152a) 및 실린더부(110a)가 동심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후, 상기 중간 프레임(112A)의 상단에는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 프레임(111)을 체결하고, 그 상부 프레임(111)의 하단에는 중간 프레임(112A)과 하부 프레임(113)을 감싸는 밀봉셸(114)을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실린더부(110a)의 선단면에 예냉기(250)를 직접 밀착시켜 체결하고, 그 예냉기(250)에 재생기(240), 맥동관(210), 오리피스(220), 저장 용기(230) 등을 차례대로 결합시키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실린더부(110a)와 예냉기(250) 사이에 별도의 연결관(260)을 개재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실린더부(110a)에서 발생되는 열이 예냉기(250)로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122)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그 가동자(122)에 결합된 구동축(130) 역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 구동축(130)에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 가스를 펌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40)의 압축 행정시는 실린더부(110a)의 작동 가스가 예냉기(250) 쪽으로 유출되고, 그 예냉기(250)에서 소정 온도로 미리 냉각된 작동 가스는 재생기(24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내부의 현열을 저장한 채로 맥동관(210)으로 유입되는데, 이 유입되는 작동 가스에 의해 맥동관(210)에 충진되어 있던 작동 가스는 오리피스(220) 쪽으로 밀리면서 압축되어 맥동관(210)의 압축단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그 상승된 온도는 작동 가스가 오리피스(220)를 지나면서 단열 팽창되어 외부로 방열된다.
이후, 상기 맥동관(210)은 피스톤(140)의 압축 행정과 팽창 행정 사이에서 고압 상태의 열적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 가스는 지속적으로 오리피스(220)를 통해 맥동관(210)으로 부터 저장 용기(230)로 이동하여 맥동관(21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140)의 팽창 행정시는 맥동관(210)으로 유입되었던 작동 가스를 흡입하면서 맥동관(210)내의 작동 가스를 재생기(24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재생기(240)를 통해 맥동관(210)을 빠져나가는 작동 가스의 질량 유량에 비해 오리피스(220)를 통해 맥동관(210)으로 유입되는 작동 가스의 질량 유량이 훨씬 적기 때문에 상기 맥동관(210)에서의 작동 가스는 단열 팽창이 되며, 이 작동 가스의 단열 팽창은 통상 냉측 열교환기(미부호)가 장착된 재생기(240) 쪽에서 급격하게 발생되어 극저온부가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맥동관(210)은 피스톤(140)의 팽창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저압 상태의 열적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 가스는 지속적으로 오리피스(220)를 통해 저장 용기(230)에서 맥동관(210)으로 이동하면서 맥동관(210)내의 압력을 높여 처음의 온도를 회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130)의 상,하단부에 결합된 상,하부 지지부재(151)(152)는 구동축(130)의 왕복 운동을 전달받아 가동자(122)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 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피스톤(140)의 공진 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가동자(122)의 직선 운동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의 내주벽과 항상 일정한 공차를 두고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는 오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 모터(120)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 밀봉쉘(114)의 외주면에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300)가 복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되고, 열교환기(300)의 양단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순환관(310)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봉쉘(114) 하단의 냉각수 순환관(310) 사이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냉각수 순환용 펌프(330)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냉각수 루프(Loop)를 구성하는 경우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순환용 펌프(330)가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 단가가 많이 소요되고, 냉각수 순환용 펌프(3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어 기기의 운전비를 상승시키게 되며, 또한 블로워(Blower, 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블로워의 운전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에서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에 의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수 있도록 하여 내부 열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으며, 냉각수 순환용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필요없게 되어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냉각수 송출량이 구동부의 제어에 의한 용량 변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 매칭(matching)을 할수 있는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맥동관 냉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동관 냉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4; 밀봉쉘 120; 구동 모터
117; 지지축 180; 진동 감쇄부재
190; 왕복 운동 전달부재 300; 열교환기
310; 냉각수 순환관 320;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복수회 감긴 상태로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밀봉쉘의 하단 중앙에 설치된 지지축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다른 진폭으로 진동하는 진동 감쇄부재와, 상기 진동 감쇄부재에 설치되어 진동 감쇄부재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왕복 운동 전달부재와, 상기 왕복 운동 전달부재 하단의 열교환기의 양단과 연통되는 냉각수 순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왕복 운동 전달부재로 부터 전달받은 감쇄된 진동에 의해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가 제공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동관 냉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부(100)에 설치되는 밀봉쉘(114)의 하단 중앙에 설치된 지지축(170)에 밀봉쉘(114)내의 중간 프레임(112) 내부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모터 장착부(112a)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120)의 작동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다른 진폭으로 진동하며 원래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 감쇄부재(180, Dynamic Balancer)가 설치되고, 진동 감쇄부재(180) 하단에는 진동 감쇄부재(18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시키기 위한 왕복 운동 전달부재(1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120)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 밀봉쉘(114)의 외주면에는 열교환기(300)가 복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되고, 열교환기(300)의 양단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순환관(310)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왕복 운동 전달부재(190) 하단의 냉각수 순환관(310) 사이에는 왕복 운동 전달부재(190)로 부터 전달받은 감쇄된 진동에 의해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32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동작시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122)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자(122)에 결합된 구동축(130) 역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 구동축(130)의 상단부에 결합된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 가스를 펌핑시켜 기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30)이 직선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구동부(100)가 상,하부 방향으로 크게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 진동은 밀봉쉘(114)하단 중앙의 지지축(170)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 감쇄부재(180)에 전달되어 진동 감쇄부재(180)가 다른 진폭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진동 감쇄부재(180) 하단에 설치된 왕복 운동 전달부재(190)가 상기 진동 감쇄부재(18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왕복 운동 전달부재(190) 하단의 냉각수 순환관(310) 사이에 설치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320)로 전달시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320)가 별도의 전기 에너지가 필요없이 작동하게 되므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순환관(310)을 통해 밀봉쉘(114)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긴 상태로 설치된 열교환기(300)를 원활한 상태로 순환하게 되므로 인해 냉동기의 작동시 구동 모터(120)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효과적으로 열교환기(300)를 통해서 외부로 방열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진동 감쇄부재(180)인 다이나믹 밸런서라고 하는 것은 다이나믹 업소버(Dynamic Absorber) 라고도 하는데, 아래의 도면에서와 같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힘 Fsin(ωt)에 의해 X1의 진폭으로 진동하는 질량 M을 갖는 물체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진동 방향으로 스프링(상수값K)과 질량 m을 갖는 작은 물체를 설치 연결한 것으로서, 질량 M을 갖는 물체의 진동량 X1은 0이 되도록 하고 그 대신 질량 m의 작은 물체가 X2의 진동량을 갖도록 한 것이며, 이때 스프링 상수 K와 질량 m은 동역학적 계산을 통해 정하게 되고, 본 발명에서 진동 감쇄부재(180)인 다이나믹 밸런서를 이용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320)에서는 진동량 X2를 펌프의 왕복동 변위로서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에서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에 의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수 있으므로써 내부 열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으며, 냉각수 순환용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필요없게 되어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는 한편, 펌프의 냉각수 송출량이 구동부의 제어에 의한 용량 변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하 매칭(matching)을 할수 있으므로 인해 냉동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내부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복수회 감긴 상태로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밀봉쉘의 하단 중앙에 설치된 지지축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다른 진폭으로 진동하는 진동 감쇄부재와, 상기 진동 감쇄부재에 설치되어 진동 감쇄부재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왕복 운동 전달부재와, 상기 왕복 운동 전달부재 하단의 열교환기의 양단과 연통되는 냉각수 순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왕복 운동 전달부재로 부터 전달받은 감쇄된 진동에 의해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수 순환용 진동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 모터 방열장치.
KR1019980031479A 1998-08-03 1998-08-03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KR10028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479A KR100284427B1 (ko) 1998-08-03 1998-08-03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479A KR100284427B1 (ko) 1998-08-03 1998-08-03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03A true KR20000012903A (ko) 2000-03-06
KR100284427B1 KR100284427B1 (ko) 2001-11-17

Family

ID=1954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479A KR100284427B1 (ko) 1998-08-03 1998-08-03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54B1 (ko) * 2000-07-22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극저온 냉동기의 진동 상쇄구조
KR101682418B1 (ko) * 2015-09-14 2016-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펌프를 사용하는 액체로켓엔진
WO2017048041A1 (ko) * 2015-09-14 2017-03-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부스터 펌프를 사용하는 액체로켓엔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13B1 (ko) * 2011-11-01 2013-09-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온 및 극저온 환경 모사용 블로워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54B1 (ko) * 2000-07-22 2002-09-05 엘지전자주식회사 극저온 냉동기의 진동 상쇄구조
KR101682418B1 (ko) * 2015-09-14 2016-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펌프를 사용하는 액체로켓엔진
WO2017048041A1 (ko) * 2015-09-14 2017-03-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부스터 펌프를 사용하는 액체로켓엔진
WO2017048039A1 (ko) * 2015-09-14 2017-03-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펌프를 사용하는 액체로켓엔진
US11060482B2 (en) 2015-09-14 2021-07-13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Liquid rocket engine using booster pump driven by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427B1 (ko) 200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0201A (en) Cryogenic refrigerator operating on the stirling cycle
CN105299946B (zh) 一种自由活塞斯特林热机系统
CA2562029A1 (en) Cryocooler system with frequency modulating mechanical resonator
US5927080A (en) Vibration-actuated pump for a stirling-cycle refrigerator
US20050223715A1 (en) Regenerator and cryocooler using the same
JP2009236456A (ja) パルス管型蓄熱機関
KR100284427B1 (ko)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CN112303953A (zh) 一种余热驱动制冷机
KR20110097065A (ko) 극저온 냉동기
KR100296296B1 (ko) 선형액츄에이터
CN110736264A (zh) 一种机架及自由活塞分置式斯特林制冷机
JPH06137697A (ja) 熱駆動式冷凍機
KR100273437B1 (ko) 선형 액츄에이터 방열구조
KR100311373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
KR20110097069A (ko) 극저온 냉동기의 피스톤 밸브 고정구조
KR20000012904A (ko) 맥동관 냉동기의 열전달 방지장치
CN210921854U (zh) 一种机架及自由活塞分置式斯特林制冷机
KR20000013817A (ko) 맥동관 냉동기의 냉동 장치
JPS61210276A (ja) 往復動式圧縮機
KR100304567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구동장치
KR10028315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예냉기 구조
KR100304566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구동장치
CA2561038A1 (en) Resonant linear motor driven cryocooler system
KR101503748B1 (ko) 스터링 냉각을 이용한 cpu 냉각장치
KR20000012905A (ko)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축 및 피스톤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