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656A -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656A
KR20030008656A KR1020010043492A KR20010043492A KR20030008656A KR 20030008656 A KR20030008656 A KR 20030008656A KR 1020010043492 A KR1020010043492 A KR 1020010043492A KR 20010043492 A KR20010043492 A KR 20010043492A KR 20030008656 A KR20030008656 A KR 2003000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ut
core
inclined surface
main block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608B1 (ko
Inventor
장호윤
Original Assignee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6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flexible or pivota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9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undercut articles during e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의 이동에 따라 메인블록의 외향 경사면을 따라 제품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수축되는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언더컷이 형성된 큰 지름을 갖는 이음관을 사출성형 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언더컷 처리를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배제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상부 캐비티를 구비한 상부다이와, 상기 성형품을 이루기 위해 상기 상부 캐비티에 대응 형성된 하부 캐비티를 구비한 하부다이와, 상/하부 캐비티 내에 삽입되며 성형품 취출시에 성형품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수축되는 언더컷 코어와, 하부다이 상단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와, 하부다이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왕복이송부와 함께 이동하는 언더컷 코어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언더컷 코어 이동시 언더컷 코어의 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하부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 코어와, 상기 원통형 코어의 일측이 고정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Injection Molding System of Forming Products having Undercut on Inside}
본 발명은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의 이동에 따라 메인블록의 외향 경사면을 따라 제품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수축되는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언더컷이 형성된 큰 지름을 갖는 이음관을 사출성형 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언더컷 처리를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배제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하수관이 매설되는 지형 및 위치에 따라 하수관이 절곡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하수관용 이음관은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후, 제품에 열을 가하는 등의 후가공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음관(10)은 도 1a와 같이 설치후 지반의 변동 등에 대비하여 취부관(3)을 대략 ±15°이내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몸체부(11) 내측에 구름접촉 가능한 가동부(13)가 배치된다.
첨부된 도 1b는 상기 이음관(10)을 이루는 몸체부(11) 및 가동부(13)의 단면이 각각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3a)에는 시일부재(15)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외주부가 구형상을 갖는 상기 가동부(13)가 결합되는 몸체부(11)의 내주부는 상기 가동부(13)의 외주부가 선회 가능하도록 만곡부를 갖도록 언더컷 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13) 역시 시일부재(15)를 결합하기 위해 내주부에 결합홈(13a)과 같은 언더컷 처리가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이음관의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해 사출 또는압출성형 단계를 거쳐 생산된 제품에 후가공 즉, 열을 가하여 언더컷을 형성하였으나, 이 경우 후가공에 의해 열로 인하여 이음관의 표면이 거칠어지게 되고 동시에 제품의 정밀성이 저하됨에 따라, 이음관의 상품성 및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언더컷 처리를 위해 별도의 후가공 단계를 추가해야 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후가공을 배재하기 위해 이음관의 몸체부(11) 및 가동부(13)를 사출 성형시 금형의 하부다이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에 탄성력이 풍부한 특수강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가 다수로 부분 절개된 코어(도시하지 않음)를 결합시켜 상기 몸체부(11) 및 가동부(13)의 언더컷을 처리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상기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코어 자체를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특수강 코어를 이용하여 대략 Ø75 이하의 지름을 갖는 언더컷 처리된 이음관을 생산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지름 예를 들면, Ø100 내지 Ø3000 까지의 지름을 갖는 이음관에 대한 내측 언더컷을 처리해야하는 경우 외경이 큰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코어를 제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못하며 코어 파손시 수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의 이동에 따라 메인블록의 외향 경사면을 따라 제품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수축되는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언더컷이 형성된 큰 지름을 갖는 이음관을 사출성형 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언더컷 처리를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배제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에 따라 수축 변형되는 언더컷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언더컷 코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코어의 메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코어의 가이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성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에 따라 수축 변형되는 언더컷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이음관11: 몸체부
13: 가동부20,20a: 상부다이
21: 상부 캐비티30,30a: 하부다이
31: 하부 캐비티50,50a: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
60,60a: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70,70a: 원통부 코어
80: 스토퍼90: 이젝트 핀
400: 언더컷 코어410,410a: 메인블록
420,420a: 제1 피스부430,430a: 제2 피스부
440: 슬라이드 블록451: 제1 가이드 블록
452: 제2 가이드 블록460: 틈
471: 제1 삽입홈472: 제2 삽입홈
481: 돌기482: 요홈
490: 돌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품을 성형시키기 위한 상부 캐비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캐비티 내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성형품을 이루기 위해 상기 상부 캐비티에 대응 형성된 하부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다이와 개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상/하부다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성형품 내측에 언더컷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되며, 성형품 취출시에 성형품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수축되는 언더컷 코어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 일측에 상기 상/하부다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면에 상기 언더컷 코어의 일측이 고정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왕복이송부와 함께 이동하는 언더컷 코어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언더컷 코어 이동시 언더컷 코어의 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상/하부다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성형품 내측에 원통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 코어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 타측에 상기 상/하부다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면에 상기 원통형 코어의 일측이 고정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언더컷 코어는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언더컷 코어 이송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외주부에는 타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면을 갖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다수의 경사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대응 결합된 다수의 가이드 블록과, 상기 다수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면에 대응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이드 블록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로 분할된 슬라이딩 블록으로 구성되며; 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상기 하부다이를 수직 이동하여 형개시킨 후 상기 언더컷 코어 가동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경우,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언더컷 코어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하부다이의 스토퍼에 의해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메인블록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이루는 외경이 제품의 내경보다 작게 수축 변형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동시에 경사면을 따라 결합홈을 갖는 다수의 피스로 이루어진 제1 피스부와, 상기 제1 피스부와 동일한 개수의 피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제1 피스부와 상호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부를 통해 제1 피스부와 시간차를 두고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피스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피스부는 제1 피스부의 가이드 홈 내측과 가이드 블록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의 이동과 동시에 제1 피스부는 메인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제2 피스부는 상기 틈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메인블록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이음관의 몸체부 내측의 만곡부 형상의 언더컷을 형성하도록 선단 외주가 초기상태에서 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이음관의 가동부 내측에 시일부재가 삽입되는 요홈 형상의 언더컷을 형성하도록 초기상태에서 선단 외주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성형품의 내측에 언더컷 처리를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제거함에 따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에 따라 수축 변형되는 언더컷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언더컷 코어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코어의 메인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코어의 가이드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성형품 즉, 내측에 가동부(13)가 만곡부가 이루어진 언더컷이 형성된 이음관(10)의 몸체부(11)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먼저 도 2a와 같이 상부다이(20) 및 하부다이(30)는 상기 몸체부(11)의 외형을 성형시키기 위해 도 2b 및 도 2g와 같이 상호 대응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캐비티(cavity)(21,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다이(30)는 상기 몸체부(11)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부(11)를 취출하기 위한 다수의 이젝션 핀(ejection pin)(90)이 수직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하부다이(30) 상부 양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 및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 및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는 내측으로 각각 일측이 고정 결합된 언더컷 코어(400) 및 원통부 코어(70)는 상기 각각의 왕복이송부(50,60)와 함께 수평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캐비티(21,31)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다이(20)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용융 합성수지를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을 성형하고, 상호 초기 상태에서 센터링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원통부 코어(70) 개방단에 돌기(481)가 돌설되며 상기 돌기(481)가 삽입되는요홈(482)이 상기 언더컷 코어(400)의 개방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에 언더컷을 성형하도록 외주 선단이 구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왕복이송부(50)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1)의 언더컷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수축 변형되는 상기 언더컷 코어(400)는 도 3a ∼ 도 3b 및 도 4와 같이 메인블록(410), 슬라이딩 블록(440) 및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 블록(451,452)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록(410)은 상기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도 4,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외주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다수의 제1 및 제2 경사면(411,412)이 메인블록(410)의 센터를 중심으로 각각 대칭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경사면(411,412)에는 메인블록(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의 제1 및 제2 고정홈(413,4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고정홈(413,414)에는 각각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가이드 블록(451,452)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블록(440)은 도 1b와 같이 이음관의 몸체부(11) 내측의 만곡부(11a)를 형성하도록 도 3a와 같이 선단 외주가 초기상태에서 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440)은 도 4와 같이 4개의 제1 피스부(420) 및 4개의 제2 피스부(430)가 상기 메인블록의 제1 및 제2 경사면(411,412)에 각각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피스부(420,430) 후단 외주에는 상기 하부다이(30) 상부에 배치된 스토퍼(80)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471,4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피스부(420)는 내측으로 상기 제1 경사면(411)에 접촉한 상태로 제1 경사면(411)을 따라 메인블록(410)의 개방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도 2a 및 도 3a와 같이 초기상태의 상기 언더컷 코어(400)의 외경이 도 2e 및 도 3c와 같이 수축 변형되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상기 제1 경사면(411)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이루어진 제1 내측 경사면(4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경사면(423)에는 제1 가이드 블록(451)의 상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피스부(430)는 제1 피스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경사면(412)에 접촉한 상태로 제2 경사면(412)을 따라 메인블록(410)의 개방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도 2a 및 도 3a와 같이 초기상태의 상기 언더컷 코어(400)의 외경이 도 2e 및 도 3c와 같이 수축 변형되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상기 제2 경사면(412)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이루어진 제2 내측 경사면(43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경사면(433)에도 상기 제1 내측 경사면(423)과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 블록(452)의 상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 홈(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2 가이드 홈(431)은 제2 피스부(430)가 제1 피스부(420)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슬라이딩 되도록 도 4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 블록(452)과 소정의 틈(460)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블록(410)이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피스부(420)는 스토퍼(80)에 의해 메인블록(410)의 제1 경사면(411)을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피스부(430)는 상기 틈(460)이 갖는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1 피스부(420)가 제2 피스부에 앞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피스부(420) 및 제2 피스부(430)는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각각의 양측 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갖는 한 쌍의 제1 측부 경사면(425) 및 제2 측부 경사면(4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a와 같이 상기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된 원통부 코어(70)는 몸체부(11)의 언더컷이 형성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타측을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초기상태에서 상/하부다이(20,30)가 폐쇄되고 상/하부 캐비티(21,31)에 언더컷 코어(400) 및 원통부 코어(70)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다이(20)에 형성된 호퍼(23) 및 주입구(25)를 통해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이음관의 몸체부(11)를 성형한다.
이어서 하부다이(30)를 도 2b와 같이 한 쌍의 왕복이송부(50,6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하방향으로 가동시켜 상/하부다이(20,30)의 상/하부 캐비티(21,31)를 개방시킨다.
그 후, 도 2c와 같이 몸체부(11) 내측의 언더컷에 배치된 언더컷 코어(400)를 몸체부(11)의 언더컷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가 하부다이(30)의 상부를 따라 수평이동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언더컷 코어의 메인블록(410)은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딩 블록(440)의 제1 피스부(420)는 스토퍼(8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삽입홈(471)으로부터 상기 스토퍼(80)가 이탈되어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2 피스부(430)는 상기 메인블록(410)의 지속적인 수평이동에 의해 제2 가이드 홈(431)과 제2 가이드 블록(452) 사이에 형성된 틈(460)이 없어질 때까지 스토퍼(80)가 제2 삽입홈(47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d와 같이 제2 피스부(430)가 상기 제1 피스부(420)에 이어서 제2 삽입홈(472)으로부터 스토퍼(80)가 삽탈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가 타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통부 코어(70)가 상기 이음관의 몸체부(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 후, 도 2e, 도 3b 및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피스부(420,430)는 메인블록(410)의 제1 및 제2 경사면(411,412)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하여 몸체부(11) 내측의 언더컷의 내경보다 작게 축소 변형된다.
이에 따라 도 2f와 같이 상기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 및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가 하부다이(30) 상부를 따라 미리 설정된 한계치 즉, 상기 몸체부(11) 내측으로부터 언더컷 코어(400) 및 원통부 코어(70)가 이탈될 수 있는거리까지 이동한다.
상기 언더컷 코어(400) 및 원통부 코어(70)가 몸체부(11) 내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후, 도 2g와 같이 다수의 이젝트 핀(90)이 상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몸체부(11)를 취출하게 되고, 다시 제품을 사출하기 위해 성형장치는 초기상태로 설정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이음관의 몸체부를 대량 생산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성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동에 따라 수축 변형되는 언더컷 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몸체부(11) 내측의 언더컷에 삽입되는 가동부(13)를 사출성형하며 그 구성은 도 7과 같이 상/하부다이(20a,30a), 원통부 코어(70a), 언더컷 코어(400a) 및 상기 원통부 코어 및 언더컷 코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원통부 코어 왕복이송부(60a)와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50a)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언더컷 코어(400a)는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메인블록(410a)을 제외한 슬라이드 블록(440a)을 이루는 제1 및 제2 피스부(420a,430a)의 외주면의 형상이 도 1b와 같이 가동부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상기 언더컷 코어(400)의 외주 형상은 상이하며, 그 작동방법은 상기 언더컷 코어(400)와 동일하다.
특히 상기 언더컷 코어의 슬라이드 블록(440a)은 도 1b와 같이 이음관의 가동부(13) 내측에 시일부재(15)가 삽입되는 요홈(13a)을 형성하도록 도 8a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선단 외주를 따라 돌출부(4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연결관에 적용하였으나 가스관, 상수도관 및 전기배선관 등의 연결관에 있어서 사출성형 되는 연결관인 경우에 모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따라서 성형품의 내측에 언더컷 처리를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제거함에 따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성형품을 성형시키기 위한 상부 캐비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캐비티 내로 용융된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는 상부다이와,
    상기 성형품을 이루기 위해 상기 상부 캐비티에 대응 형성된 하부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다이와 개폐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다이와,
    상기 상/하부다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성형품 내측에 언더컷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되며, 성형품 취출시에 성형품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수축되는 언더컷 코어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 일측에 상기 상/하부다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면에 상기 언더컷 코어의 일측이 고정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왕복이송부와 함께 이동하는 언더컷 코어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언더컷 코어 이동시 언더컷 코어의 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상/하부다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성형품 내측에 원통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 코어와,
    상기 하부다이 상단 타측에 상기 상/하부다이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면에 상기 원통형 코어의 일측이 고정된 언더컷 코어 왕복이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코어는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언더컷 코어 이송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외주부에는 타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면을 갖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다수의 경사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대응 결합된 다수의 가이드 블록과,
    상기 다수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면에 대응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가이드 블록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로 분할된 슬라이딩 블록으로 구성되며;
    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상기 하부다이를 수직 이동하여 형개시킨 후 상기 언더컷 코어 가동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경우,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언더컷 코어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하부다이의 스토퍼에 의해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메인블록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코어가 이루는 외경이 제품의 내경보다 작게 수축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동시에 경사면을 따라 결합홈을 갖는 다수의 피스로 이루어진 제1 피스부와,
    상기 제1 피스부와 동일한 개수의 피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제1 피스부와 상호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부를 통해 제1 피스부와 시간차를 두고 상기 메인블록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피스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피스부는 제1 피스부의 가이드 홈 내측과 가이드 블록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의 이동과 동시에 제1 피스부는 메인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제2 피스부는 상기 틈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메인블록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이음관의 몸체부 내측의 만곡부 형상의 언더컷을 형성하도록 선단 외주가 초기상태에서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이음관의 가동부 내측에 시일부재가 삽입되는 요홈 형상의 언더컷을 형성하도록 초기상태에서 선단 외주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KR10-2001-0043492A 2001-07-19 2001-07-19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KR10042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92A KR100421608B1 (ko) 2001-07-19 2001-07-19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92A KR100421608B1 (ko) 2001-07-19 2001-07-19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56A true KR20030008656A (ko) 2003-01-29
KR100421608B1 KR100421608B1 (ko) 2004-03-12

Family

ID=2771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92A KR100421608B1 (ko) 2001-07-19 2001-07-19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6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52B1 (ko) * 2007-08-20 2010-07-13 김숙경 사출물 내부에 홈을 형성하기 위해 수축되는 금형장치
KR101455820B1 (ko) * 2013-03-29 2014-10-28 가부시키가이샤 하타 용기, 용기의 사출 성형 방법, 및 용기의 사출 성형용 금형
CN109968611A (zh) * 2019-04-26 2019-07-05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内侧倒扣的滑块出模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11B1 (ko) 2011-04-13 2012-03-23 주식회사 유씨엠테크 금형 조립체
KR101961255B1 (ko) 2017-09-04 2019-03-22 남도금형(주) 언더컷의 취출이 용이한 사출금형
KR102355368B1 (ko) 2020-03-18 2022-01-25 주식회사 디엠씨 내부 및 외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사출하는 금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930B2 (ja) * 1978-04-10 1985-08-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金型装置
JPS58138625A (ja) * 1982-02-10 1983-08-17 Kubota Ltd 球状管継手の製造方法
JPH05261757A (ja) * 1992-03-23 1993-10-12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の製造装置
JP2001047464A (ja) * 1999-08-10 2001-02-20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
JP2001096591A (ja) * 1999-09-30 2001-04-10 Sekisui Chem Co Ltd パイプ状成形物の射出成形用金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52B1 (ko) * 2007-08-20 2010-07-13 김숙경 사출물 내부에 홈을 형성하기 위해 수축되는 금형장치
KR101455820B1 (ko) * 2013-03-29 2014-10-28 가부시키가이샤 하타 용기, 용기의 사출 성형 방법, 및 용기의 사출 성형용 금형
CN109968611A (zh) * 2019-04-26 2019-07-05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内侧倒扣的滑块出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608B1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608B1 (ko) 내측에 언더컷을 갖는 성형품의 사출성형장치
KR101339032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갖는 이중사출금형
JPH10175230A (ja) 中空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KR101699939B1 (ko) 곡선 튜브 사출 성형 금형
EP0669194B1 (en) Method of and mold for molding product having insert
JP2007517690A (ja) 射出圧縮成形
EP0030729B1 (en) A clamping device for molds used in the blow molding of hollow plastic articles
CN211591064U (zh) 用于单色注塑机的双色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CN110900963B (zh) 一种注塑模具
CA2553642C (en) Injection molding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2770535B2 (ja) 多色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
JPH11170296A (ja) インサート部材を有する中空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209414B1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JP6615040B2 (ja) シリンダ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ダ成形方法
JP3047213B2 (ja) 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中空成形品の成形用金型
CN219153475U (zh) 一种易于拆装的模具
JP2000102953A (ja) 射出成形用金型
CN219748774U (zh) 一种梳体的注塑模具
KR20140082309A (ko) 사출 금형
CN219947117U (zh) 成型模具
CN212219161U (zh) 一种可快速脱模的注塑模具
JP2005212370A (ja)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CN214687742U (zh) 一种用于生产a柱装饰件的加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