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6Y1 -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6Y1
KR200300076Y1 KR20-2002-0031075U KR20020031075U KR200300076Y1 KR 200300076 Y1 KR200300076 Y1 KR 200300076Y1 KR 20020031075 U KR20020031075 U KR 20020031075U KR 200300076 Y1 KR200300076 Y1 KR 200300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esk
vertical
wir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2002-003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비치되는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선이나 전선에 대한 배선처리가 용이하고 설치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장치는, 책상의 상판 후측단부 이면에 형성된 수평 장착홈과; 간벽의 후측단부에 형성된 수직 장착홈과; 상기 수평 장착홈에 장착되는 수평덕트와; 상기 수직 장착홈에 장착되는 수직덕트로 구성되며, 상기 덕트는 전선을 수용하는 몸체와 몸체부의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desk}
본 고안은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비치되는 각종 사무용 전자기기의 전원선이나 전선에 대한 배선처리가 용이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책상의 전선 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기기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의 책상 주변에는 컴퓨터, 프린트, 전화기, 팩스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에 연결된 전선들을 정리해 두지 않으면 외관상 보기가 흉할 뿐더러 전선에 충격이 가해지면 전자기기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책상 주변에 설치된 파티션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배선 처리하거나, 또는 책상의 상판 일측이나 측면에 별도의 전선덕트를 설치하여 배선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파티션의 내부공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설치구조가 매우복잡하고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정에서는 파티션을 설치할 공간이 없으므로 적용이 어렵다. 또한 책상의 상판과 측벽에 별도의 전선 안내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구성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아, 소비자의 불편과 원가 부담을 초래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책상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책상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책상(1)의 상판(2)은 지지대(9)를 매개로 하여 후판(3)과 측판(5)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판(3)과 측판(5)은 양측의 지지발(4)위에 고정되어 상판(2)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 측판(5)의 외측에는 전선을 수직으로 배선하기 위한 수직덕트(8)가 매설되고, 상기 수직덕트(8)의 외부에는 수직커버(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판(2)과 후판(3) 사이에는 전선을 수평으로 배선하기 위한 수평덕트가 위치되고, 수평덕트(7)의 구성은 전선(W)을 수용하기 위한 배선공간(7a)과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7b), 체결을 위한 연결구(7d) 구성을 위한 절곡리브(7c)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덕트(7)의 지지와 고정은 연결구(7d)를 후판(3)의 상부에 덮어씌운 후 지지대를 눌러 고정시키고, 또한, 플랜지부(7b)의 벌어짐으로 인한 전선(W)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판(3)의 뒤쪽에 수평덕트의 폭 만큼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판(1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배선은, 수직덕트와 수평덕트를 거처 전선홀로 인출하여 전자기기에 연결한다. 이렇게 배선하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정리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수직덕트를 매설하기 위해서는 측판이 커야 하고 구조 또한 복잡하며, 배선의 재배치를 위해 수평덕트의 분해 조립시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고, 수평덕트의 전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판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원가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
도면에 도시하거나 구체적으로 언급은 하지 않았으나, 상기 종래의 배선장치 외에도 여러가지 형상의 전선 안내 덕트나 전선캡을 이용하는 장치들이 있어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도 복잡하고 작업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가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준화된 전선 안내 덕트를 사용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 작업성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는 책상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책상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책상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후측 부분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a는 수평덕트 장착 단면도
도 5b는 수직덕트 장착 단면도.
도 6은 도3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책상 상판 32..........수평덕트의 장착홈
40.........간벽 40a,40b......우측벽,좌측벽
50..........키보드 선반 70..........후판
80.........지지판 100,101.....수평덕트,수직덕트
110........덕트몸체 120.........덕트카바
113........인출홀 116..........걸림턱
117........걸림홈 121.........체결턱
115........나사안내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책상의 상판 후측단부 이면과 간벽의 후측단부에 형성된 덕트 장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각종 전선을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된 전선 덕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부는 전선을 수용하는 몸체와 몸체부의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의 몸체부 양측벽에는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후벽에는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안내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이 출입되는 입구의 양측에는 걸림턱부와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턱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벽과 우측판을 연결하는 지지판의 후측단부에 콘센트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후측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와 5b는 수평덕트와 수직덕트의 장착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책상(20)의 상판(30) 이면에 고정되어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벽이 2개이상 설치되며, 본 고안에서는 양측벽(40a,40b)과, 상기 양측벽의 사이에는 간벽(40)이 설치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간벽(40)과 좌측벽(40b)의 후측에는 간벽(40)과 좌측벽(40b)을 연결 고정하는 후판(70)이 설치되며, 상기 후판(70) 위에는 키보드를 안내레일(51)에 의해 출입토록 수납하는 키보드 선반(50)이 위치되며, 또한 상기 간벽(40)과 우측벽(40a) 사이의 저부에는 컴퓨터 본체(P)를 얹어 놓을 수 있는 지지판(8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30)의 후측단부 이면에는 수평덕트 장착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덕트 장착홈(32)에는 전선의 수평 안내 및 배선을 위하여 수평으로 장착된 수평덕트(100)가 위치되고, 상기 간벽(40)의 후단부에는 수직덕트 장착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덕트 장착홈(42)에는 전선을 수직으로 안내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수직덕트(101)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80)의 후단부에는 콘센트(60)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어 더욱 이상적이다.
상기 수평덕트 장착홈(32)은 상판의 모서리부 근처에는 형성되지 않게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책상을 움직이기 위해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할 뿐더러 덕트의 장착이 측면에서 보면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평덕트 장착홈(42)은 수직덕트(101)가 전면에서 보아 노출되지 않도록 보조기둥(41)을 간벽의 후측단부에 연결하여 구성시킨다.
상기 덕트(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110)와 커버부(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112)에는 전선(W)을 필요한 위치에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1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0)의 후벽(111)에는 덕트를 장착홈에 장착할 때 필요한 나사를 안내하기 위한 나사안내홈(115)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의 입구 경사면의 끝단부에는 걸림턱(116)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16)에 의해 걸림홈(117)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20) 양측의 2단 절곡 단부에는 체결턱(121)이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110)의 걸림홈(117)부에 삽설되어 커버(120)가 몸체(110)에 결합된다.
이와 구성된 배선장치의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덕트(100)와 수직덕트(101)는 수평덕트 장착홈(32)과 수직덕트 장착홈(42)의 각각의 길이에 맞게 잘라서 나사(130)로 고정만 하면 덕트 장착은 완료되며, 장착홈이 덕트를 지지해 주므로 나사는 한개씩만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다음은, 장착된 덕트(100,101)의 몸체(110)에 전선(W)을 배선한후, 몸체(110)의 양측벽(112)의 입구측을 약간 눌리면서 커버(120)를 밀어주면 커버(120)가 몸체(110)에 결합되면 설치는 완료되고, 필요한 위치의 최단거리에 있는 덕트의 인출홀(113)에서 전선(W)을 인출하여 전자기기에 연결하면 연결이 종료된다.
콘센트가 책상의 주위에 없는 경우에는 전원 연장선을 사용할 경우는 별도의 콘센트가 필요하고, 이럴 경우 콘센트(60)는 상기 지지판(80)의 후측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고, 여분의 전선은 감아서 덕트내에 보관하면 되므로 전선 배선은 정돈이 완벽하게 된다. 또한, 덕트는 난연성의 탄성 플라스틱(예를 들어 PVC) 재료를 사용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며, 뿐만 아니라 사용회수가 증가되더라도 결합된 상태에서의 견고성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장착홈에 덕트만 설치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나사로 덕트만 고정하고 배선후 덕트 커버만 결합하면 되고, 전선은 필요한 위치에서 인출하여 연결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다. 또한 별도의 부품이나 구성품이 불필요하며, 기존의 책상에서 덕트 장착홈을 형성하게 되므로 책상의 무게가 감소된다.
따라서, 배선으로 인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고, 안전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에게 원가 부담을 줄여 주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8)

  1. 상판부(30)와 수직벽부(40,40a,40b) 및 지지판(80)으로 구성된 책상에 덕트를 사용하여 전선을 배선하는 구조에 있어서,
    책상의 상판(30) 후측단부 이면에 형성된 수평덕트 장착홈(32)과; 수직벽(40,40a,40b)의 후측단부에 형성된 수직덕트 장착홈(42)과; 상기 수평덕트 장착홈(32)에 체결부(130)로 장착되어 전선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수평덕트(100); 그리고 상기 수직덕트 장착홈(42)에 체결부(130)로 장착되어 전선을 수용하는 수직덕트(1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80)의 일부에 콘센트(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101)는 간벽(4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배선장치.
  4. 제 1항 있어서, 상기 덕트(100,101)는 전선을 수용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배선장치.
  5. 책상의 상판 후측저부 일부와 수직벽의 일부에 설치되는 덕트(100,101)구조에 있어서,
    전선(W)을 필요한 위치에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홀(1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양측벽(112)과, 상기 양측벽(112)의 사이에는 체결용 나사(130)를 안내하기 위한 나사안내홈(115)이 다수개 형성된 후벽(111)과, 상기 양측벽(112)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16)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걸림홈(117)부를 가지는 덕트몸체와; 상기 몸체(110)의 걸림홈(117)부에 결합되어 몸체의 입구를 막기 위해 양측의 절곡 단부에 체결턱(121)이 형성된 커버(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100)구조를 이용한 책상의 배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12)의 단부는 내향 경사된 끝단에 걸림턱(116)과 걸림홈(117)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100,101)를 장착한 책상의 배선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101)는 난연성 탄성의 플라스틱류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배선장치.
  8. 제 5항 있어서, 상기 커버(120)의 폭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112)의 거리 보다 크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100,101)를 가진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2002-0031075U 2002-10-18 2002-10-18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0300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75U KR200300076Y1 (ko) 2002-10-18 2002-10-18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75U KR200300076Y1 (ko) 2002-10-18 2002-10-18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6Y1 true KR200300076Y1 (ko) 2003-01-06

Family

ID=4939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075U KR200300076Y1 (ko) 2002-10-18 2002-10-18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KR100969193B1 (ko) 바닥 배선 기구
US6520605B2 (en) Wall mount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case
KR101832214B1 (ko) 케이블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US6956168B2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US5789702A (en) Modular component of appliance housing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US4627684A (en)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KR200300076Y1 (ko)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TWI417064B (zh) 傢俱(二)
KR101558521B1 (ko)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KR101553026B1 (ko) 배선 닥트
JP2010184056A (ja) カウンター取付構造
JPH0815365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0171332Y1 (ko) 배선덕트
KR200229457Y1 (ko) 책상용 배선 안내구조
KR200276885Y1 (ko)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US6826058B1 (en) Telecommunications panel flame shield and wire trough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JP2001104059A (ja) ラック
KR200427544Y1 (ko) 탁자
KR200338447Y1 (ko) 슬림형 배선덕트에 설치되는 배선기구를 결합하기 위한연결구
JP6647337B2 (ja) コントローラ
KR200240900Y1 (ko) 책상용 전선보호장치
JPH0643295Y2 (ja) 間仕切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