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073A -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 Google Patents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073A
KR20030007073A KR1020020039634A KR20020039634A KR20030007073A KR 20030007073 A KR20030007073 A KR 20030007073A KR 1020020039634 A KR1020020039634 A KR 1020020039634A KR 20020039634 A KR20020039634 A KR 20020039634A KR 20030007073 A KR20030007073 A KR 20030007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vice
motor
structural sections
car door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바다위아멩
뒤까스삘리쁘
크리스또뜨뒤랑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0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7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coupling device between a car door and a landing door, actuated by a motor independent of a drive motor of an elevator is provided to use two different mot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upling device and for moving the doors. CONSTITUTION: A coupling device between a car door(22) and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has two vertical structure sections(12,14) connected by upper and lower jointed connecting units(16,18). The vertical structure sections have L-shaped sections mounted to the car door.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DC-electric motor(66) to move the structure sections towards or away from each other at low speed; a movement transmission mechanism acting on the connecting units in a way of moving the structure sections towards or away from each other and converting a rotary motion of a shaft(72) of a first motor into a motion of an extending and contracting longitudinal direction; a mechanism including transmission unit driven by a second DC-electric motor, to move doors at faster speed; and a stiffness fastener connecting one side of a belt to the car door.

Description

도어들의 구동 모터에 독립적인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기의 카 도어와 랜딩 도어 사이의 커플링 장치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본 발명은 카 도어들이 구동 시스템에 의해 이동될 때, 승강기의 랜딩 도어와 카 도어들이 동시에 개방 및 폐쇄되도록 승강기의 랜딩 도어와 카 도어들을 일체식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used to integrally connect a landing door and a car door of an elevator such that when the car doors are moved by a drive system, the landing door and the car doors of the elevator ar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종래에 공지된 커플링 장치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이 장치는 도1 및 도2를참조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A conventionally known coupling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This devic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이 장치(10)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카 도어(22)의 상부 에지에 부착된 지지판(20) 상에서 조인트(21, 23)에 의해 연결되고 L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12, 14)을 갖는다. 지지판과 구조 섹션 중 하나에 후크로 연결된 나선형 스프링(24)은 구조 섹션(12, 14)과 레버(16, 18)에 의해 형성된 관절식으로 연결된 평행 사변형을 구조 섹션이 분리된 위치로 개방한다. 핀(27)을 구비하고 스프링(29)에 의해 하중을 받는 피봇팅 폴(25)은 도어들의 개폐 시에 평행 사변형을 개방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핀(27)은 상부 레버(16)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31)에 포획된다.The device 10 is connected by joints 21 and 23 on a support plate 20 which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ttached to the upper edge of the car door 22 and has two vertical structural sections 12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14). A helical spring 24 hooked to one of the backing plate and the structural section opens the articulated parallelogram formed by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nd the levers 16, 18 to a position where the structural sections are separated. A pivoting pawl 25 having a pin 27 and loaded by a spring 29 is provided to keep the parallelogram open when the doors are opened and closed. For this purpose, the pin 27 is captured in a notch 31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lever 16.

상부 레버는 역 T자형이며, 중심 레그(26)의 단부는 패스너(28)에 의해 모터(3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32)와 아이들 풀리(36)에 권취된 순환 구동 벨트(30)의 하부 측에 연결된다. 구동 기구는 카의 지붕부에 장착된다. 벨트(30)가 구동되는 방향에 따라, 평행 사변형 커플링 장치는 구조 섹션들이 서로 근접한 폐쇄 위치로부터 (도1) 구조 섹션들이 분리된 (도시되지 않은)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The upper lever has an inverted T-shape, and the end of the center leg 26 is driven by the fastener 28 and the circulation drive belt 30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32 and the idle pulley 36 by the motor 34.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e drive mechanism is mounted to the roof of the car.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lt 30 is driven, the parallelogram coupling device is moved from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structural sections are close to each other (Fig. 1) to an open position (not shown) in which the structural sections are separated.

또한, 랜딩 도어(40)는 고정 롤러(46)를 지지하는 고정부(44)와 수평 피봇 핀(50)에 대해 고정편 상에서 피봇팅 하도록 장착된 가동부(48)에 의해 형성된 로크(42)를 각 층의 상부에 구비한다. 피봇 핀의 일측부 상에서, 가동부는 일단부에서 피봇팅 롤러(52)를 지지하고 타단부에서 캐치 구멍(53)을 지지한다. 피봇팅 롤러의 일측부 상에서, 가동부는 가동부가 랜딩 도어의 상부 에지 상에 놓이며 캐치구멍이 높은 위치에 있어 랜딩 도어의 상인방(59, lintel)에 부착된 볼트(56)를 수용하는 안정 위치로 복귀하는 평형추에 의해 안정된다. 가동부가 안정 위치에 있을 때 피봇팅 롤러는 고정 롤러와 대략 동일한 수평 레벨에서, 폐쇄 위치에서의 구조 섹션(12, 14)의 인접 플랭크들(58, 60) 사이의 거리보다 넓은 거리에 존재하고, 가동부가 화살표 f1의 방향으로 피봇팅될 때 평형추에 반하여, 볼트(56)가 캐치 구멍으로부터 해제될 때 피봇팅 롤러가 상승하여 고정 롤러로부터 수평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롤러(46, 52) 및 피봇 핀(50)이 위치 설정된다.In addition, the landing door 40 has a lock 42 formed by a fixing portion 44 supporting the fixing roller 46 and a movable portion 48 mounted to pivot on the fixing pie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ivot pin 50. It is provided on top of each layer. On one side of the pivot pin, the movable part supports the pivoting roller 52 at one end and the catch hole 53 at the other end. On one side of the pivoting roller, the movable part is placed in a stable position to receive the bolt 56 attached to the lintel 59 of the landing door with the movable part placed on the upper edge of the landing door and the catch hole in a high position. It is stabilized by the returning counterweight. When the movable part is in the stable position, the pivoting roller is at a distance substantially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flanks 58, 60 of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in the closed position, In contrast to the counterweight when the movable portion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1 , the rollers 46, 52 and in a manner in which the pivoting roller rises and is horizontally separated from the fixed roller when the bolt 56 is released from the catch hole; Pivot pin 50 is positioned.

도1은 랜딩에서 정지해야 하는 카(C)가 랜딩(P)에 접근할 때, 화살표 f2의 방향으로 하강하는 순간을 도시한다. 카의 하강 중에, 커플링 장치는 폐쇄 위치에 있는데, 즉 구조 섹션(12, 14)이 인접 플랭크(58, 60)(도2)가 교차되는 다른 랜딩에서 발견되는 모든 로크의 롤러들(52, 46) 사이에서 문제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근접된다.Fig. 1 shows the moment when the car C, which should stop in landing,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2 as it approaches the landing P. Figs. During the lowering of the car, the coupling device is in the closed position, ie the rollers 52 of all locks where the structural section 12, 14 is found in another landing where the adjacent flanks 58, 60 (FIG. 2) intersect. 46)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pass through without problems.

카가 랜딩(P)에서 고정될 때, 승강기 제어기는 모터(34)에 작동 명령을 송출한다. 그 후, 모터는 매우 저속으로 화살표 f3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벨트(30)를 구동시킨다. 이 때, 상부 레버(16)는 화살표 f4의 방향으로 피봇팅 되어 커플링 장치를 개방시킨다. 구조 섹션(12, 14)은 분리되어 그들의 내부 플랭크들(58, 60)은 피봇팅 롤러(52)와 고정 롤러(46)에 대해 각각 안착된다. 이때, 구조 섹션(14)은 고정 롤러(46)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구조 섹션(12)은 보다 멀리 이동하여 로크의 가동부(48)를 화살표 f1의 방향으로 피봇 시켜, 로크(42)를 해제시킨다. 또한, 폴(25)의 핀(27)이 레버(16)의 노치(31) 내에 포획되어, 개방 위치에서 관절식으로 연결된 평행사변형을 고정시킨다.When the car is locked at landing P, the elevator controller send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motor 34. The motor then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f 3 at a very low speed to drive the belt 30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upper lever 16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4 to open the coupling device.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re separated so that their inner flanks 58, 60 are seated relative to the pivoting roller 52 and the stationary roller 46,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tructural section 14 is fixed by the fixing roller 46 and cannot be moved.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section 12 moves further and pivots the movable portion 48 of the lock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1 , thereby releasing the lock 42. In addition, the pins 27 of the pawl 25 are captured in the notches 31 of the lever 16 to fix the articulated parallelograms in the open position.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운동의 제1 상(phase) 중 모터(34)의 속도는 구조 섹션(12, 14)의 파괴적인 충격과 이에 수반되는 소음을 피하기 위해 매우 저속이어야 한다.As already explained, the speed of the motor 34 during the first phase of motion should be very low to avoid the destructive impact of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nd the accompanying noise.

로크가 해제되면, 랜딩 도어(40)는 카 도어(22)와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그 후, 제어기가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할 것을 모터(34)에 지시한다. 카 도어와 랜딩 도어는 개방 위치로 화살표 f5의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When the lock is released, the landing door 40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ar door 22. The controller then instructs the motor 34 to rotate at a higher speed. The car door and landing door move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f 5 to the open position.

설명된 종래 기술의 커플링 장치는 후속의 단점을 갖는다.The prior art coupling device described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 모터(34)는 구조 섹션들과 로크의 롤러들 사이의 접촉을 충격 없이 형성하기 위해 시간의 제1 주기 중 저속으로 회전하고, 시간의 제2 주기 중 도어들이 함께 이동하기 위해 가속된 속도로 회전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런 예측된 모터의 성능은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고 두 개의 상이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제한적이다.The motor 34 rotates at a low speed during the first period of time to form without impact the contact between the structural sections and the rollers of the lock, and at an accelerated speed for the doors to move together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o rotate.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se predicted motors is limited because no motor is known that can be produced at a reasonable cost and that can rotate at two different speeds.

- 지지판(22) 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벨트(30)에 연결된 역 T자형 형태의 상부 레버(16)의 존재는 커플링 장치가 구동 시스템에 가장 근접하도록 카 도어의 상부 부에 커플링 장치를 장착하도록 강요한다. 그러나 이것은 가용 공간이 적기 때문에 제한이 된다.The presence of an inverted T-shaped upper lever 16 articulated on the support plate 22 and connected to the belt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door so that the coupling device is closest to the drive system. Force to mount. However, this is a limitation because there is less space available.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개의 다른 모터, 커플링 장치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하나의 모터와, 도어들을 이동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는 발상으로부터 출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correct these shortcomings, from which the idea of using two different motors, one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upling device and the other motor for moving the doors for this purpose. depart.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 섹션들이 분리되는 위치로부터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관절식 연결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카 도어에 장착된 L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을 구비하는 유형의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조 섹션들을 근접시키거나 또는 저속으로 분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dc 전기 모터와, 구조 섹션을 분리 또는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수단 상에 작용하며, 제1 모터의 축의 회전 운동을 길이 방향 신장 또는 수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기구와, 제2 전기 dc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아이들 풀리와 구동 풀리에 권취된 전달 벨트를 포함하며, 도어를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카 도어에 벨트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강성 패스너(92)를 포함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vertical structural sections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mounted on the car door and connected together by upper and lower articulated connecting means in such a way that the structural sections can be moved from a separated position to an adjacent position. A coupling device of the type comprising: a first dc electric motor for advancing or disengaging structural sections at low speed and acting on said connecting means in a manner to move the structural section to a disengaged or proximate position; And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movement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of the first motor into a longitudinal stretching or contracting movement, an idler pulley rotated by the second electric dc motor, and a transmission belt wound around the driving pulley, A mechanism for moving the door at a higher speed, and a rigid fastener 92 connecting one side of the belt to the car door Include.

따라서, 커플링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작동과 도어들의 이동 작동은 두 개의 다른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가장 좋은 성능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1 모터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로크의 롤러 상의 구조 섹션의 충격과 그로 인한 소음을 회피하기 위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저 출력의 모터가 사용될 것이다. 물론, 이 모터가 커플링 장치의 비용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도록 경제적이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모터는 카 도어상의 임의의 지점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가볍고 부피가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창문을 작동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서 상용되고 있는 dc 모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u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coupling device and the moving operations of the doors are performed by two different motor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will be easy to select the first motor to perform its function with the bes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low power motor that rotates at low speed will be used to avoid the impact of the structural section on the roller of the lock and the resulting noise. Of course, it is necessary that this motor be economical so as not to excessively increase the cost of the coupling device. In addition, the motor should be light and not too bulky to be accommodated at any point on the car door. For example, it would be possible to choose dc motor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utomotive industry to operate windows of automobiles.

유사하게는, 제2 모터는 최선의 도어 이동 성능을 얻기 위해 선택될 것이다. 즉, 모터는 상대적으로 강력해야만 한다.Similarly, the second motor will be chosen to obtain the best door movement performance. That is, the motor must be relatively powerful.

또한, 벨트의 이동이 강성 패스너에 의해 랜딩 도어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종래 기술에서의 경우와 같이 상부 레버가 구동 벨트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belt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landing door by a rigid fastener, there is no need for the upper lever to contact the drive belt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도선에 의해 승강기 제어기로부터 모터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 모터의 장착 위치의 선택이 매우 자유롭다. 따라서, 모터는 도어 상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가능하며,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도 장착 가능하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lection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rst motor is very free since the motor is supplied from the elevator controller by the conductor. Thus, the motor can be mounted at any position on the door, and can also be mounted at a position remote from the door drive mechanism.

상술된 현수형 커플링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터의 축이 감소 기어에 의해 나사식 로드가 나사 결합된, 축방향 운동에 대해서는 고정적인 관형 너트(78)의 회전을 야기하여, 그 결과 나사식 로드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버(18)를 당기거나 밀기 위해 커플링 장치의 레버들, 상부 또는 하부 레버 중 하나에 연동기에 의해 연결된 나사식 로드는 관형 너트로 진입 또는 후퇴하여, 커플링 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를 야기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suspension coupling device, the rotation of the tubular nut 78 fixed for the axial movement, in which the axis of the first motor is screwed by the reduction gear, is screwed. As a result, when the threaded rod is moved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readed rod connected by the interlocker to one of the levers, the upper or lower lever of the coupling device to pull or push the lever 18 Entering or retracting into the tubular nut results in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장치는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분리 또는 근접될 수 있는 두 개의 구조 섹션과, 나사식인 제1 모터의 축과 나사 결합된, 구조 섹션들에 평행인 가동 관형 너트와, 관형 너트와 두 개의 구조 섹션들 상에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너클 조인트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할 때 나사식 축을 따라 너클 조인트를 구비한 커넥팅 로드 조립체의 절첩을 유발하는 관형 너트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여, 구조 섹션들을 함께 근접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너클 조인트를 갖는 커넥팅 로드 조립체의 펼침을 유발하여, 구조 섹션들을 분리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절첩가능한 커넥팅 로드 조립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upling device is mounted to move vertically, parallel to the structural sections, two structural sections which can be separated or proximate, and screwed to the axis of the screwed first motor. Connecting rod assembly with in-moving tubular nut and knuckle joint connected by a joint on tubular nut and two structural sections, with knuckle joint along a threaded axis when the motor rotates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At least two collapsible connecting rods that cause axial movement of the tubular nut, causing folding of the components, thereby moving the structural sections together closely, or causing the unfolding of the connecting rod assembly with a knuckle joint, thereby separating the structural sections. An assembly.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수형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정면도.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suspension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단지 커플링 장치의 두 개의 구조 섹션들과 랜딩 도어의 로크의 두 개의 롤러들을 도시한 도1의 부분 평면도.Figure 2 is a partial plan view of Figure 1 showing only two structural sections of the coupling device and two rollers of the lock of the landing door.

도3은 구조 섹션을 현수하는 경우에, 커플링 장치가 폐쇄된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을 따른 커플링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upling device is in a closed state when suspended;

도4는 도3과 유사하지만, 커플링 장치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도면.FIG. 4 is similar to FIG. 3, but with the coupling device open;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른 커플링 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구조 섹션이 평행하고 수직으로 이동하며, 커플링 장치는 폐쇄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Fig. 6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uctural sections move in parallel and vertically, and the coupling device is in a closed state.

도7은 도6과 유사하지만, 커플링 장치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도면.Figure 7 is similar to Figure 6 but with a coupling device open.

도8은 도6 및 도7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6 and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커플링 장치10: coupling device

12, 14 : 구조 섹션12, 14: structural section

16 : 상부 레버16: upper lever

18 : 하부 레버18: lower lever

22 : 카 도어22: car door

40 : 랜딩 도어40: landing door

66 : 제1 모터66: first motor

78 : 관형 너트78: tubular nut

80 : 나사식 로드80: threaded rod

82 : 연동기82: interlock

86 : 완충기86: shock absorber

본 발명의 두 개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고려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w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view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는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이제 도3 내지 도5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1의 커플링 장치의 요소들과 공통인 이 도면들의 요소들의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공통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칭될 것이다.1 and 2 have already been describe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to 5 will now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s of these figures in common with the elements of the coupling device of FIG. 1 will not be repeated. Common elements will b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커플링 장치(10)의 개방 및 폐쇄는 독립(stand-alone) 기구(62)에 의해 수행된다. 이 기구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기 제어기와 두 개의 도선(68, 70)에 의해 공급되는 제1 dc 모터(66)를 포함한다. 이 모터의 축(72)은 공급 전류의 극성에 따라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5) 축(72)은 도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감소 기어 트레인(reducing gear train)을 구동한다. 이로 인해, 감소 기어 트레인은 내부 나사를 갖는 튜브의 형태인 축방향 너트(78)에 대해 회전한다. 나사식 로드(80)는 관형 너트(78)에 나사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일 수단이 관형 너트(78)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축방향 운동은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관형 너트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로드는 관형 너트로 진입 또는 후퇴한다.3 to 5,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upling device 10 is performed by a stand-alone instrument 62. This mechanism includes a lift controller not shown and a first dc motor 66 supplied by two leads 68, 70. The shaft 72 of this motor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supply current. The shaft 72 drives the reducing gear train schematically shown in FIG. Due to this, the reduction gear train rotates about the axial nut 78, which is in the form of a tube with internal threads. The threaded rod 80 is threaded to the tubular nut 78. One means, not shown, is provided to allow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bular nut 78 and prevent axial movement. As a result, when the tubular nu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he rod enters or retracts into the tubular nut.

연동기(82)의 일 단부는 로드(80)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고, 커플링 장치의 레버들 중 하나(이 경우, 레버(18))에 결합된 타단부는 카 도어 상의 조인트(23)와 다른 지점(84)에서 연결된다.One end of the interlock 82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rod 8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of the levers of the coupling device (in this case lever 18) is a joint 23 on the car door. And at another point 84.

기구(62)의 요소들의 배치는 로드(80)의 작용선이 구조 섹션(12, 14)에 평행하고, 연동기(82)는 하부 레버(18)로 대체로 수직인 힘을 전달하거나 또는 적어도 레버(18)에 대해 수직인 분력을 갖는다.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of the instrument 62 is such that the line of action of the rod 80 is parallel to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nd the linkage 82 transfers a generally perpendicular force to the lower lever 18 or at least the lever ( Have a vertical component with respect to 18).

이 커플링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카 도어가 층에 도달할 때 커플링 장치는 도3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다. 제어기는 로드(80)가 관형 너트(78)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모터(66)에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그 후, 로드는 연동기(82)에 의해 하부 레버(18)를 당겨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를 개방시킨다. 모터가 저 출력 모터이므로 커플링 장치의 이러한 개방 운동은 로크의 롤러들 상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저속으로 부드럽게 발생한다.The operation of this coupling device is as follows. The coupling device is in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3 when the car door reaches the floor. The controller supplies DC power to the first motor 66 to cause the rod 80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entry into the tubular nut 78. The rod then pulls the lower lever 18 by the interlock 82 to open the coupling device as shown in FIGS. 4 and 5. Since the motor is a low output motor, this opening movement of the coupling device occurs smoothly at low speed so that no impact occurs on the rollers of the lock.

충격은 카 도어의 고정점(88)과 예를 들어, 구조 섹션들 중 하나, 예컨대 구조 섹션(12)의 지점(90) 사이에 장착된 공압 또는 수압 완충기에 의해 더욱 감쇠될 수 있다.The impact can be further damped by a pneumatic or hydraulic shock absorber mounted between the fixed point 88 of the car door and, for example, one of the structural sections, such as point 90 of the structural section 12.

커플링 장치의 개방 위치(도5)에서, 랜딩 도어의 로크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해제된다. 폴(25)의 핀은 상부 레버(16)의 노치(31)에 결합된다. 그 결과, 커플링 장치는 도4에 도시된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open position (FIG. 5) of the coupling device, the lock of the landing door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pin of the pawl 25 is coupled to the notch 31 of the upper lever 16. As a result, the coupling device remains in the open state shown in FIG.

그 후, 승강기 제어기는 제2 모터(34)로 직류 제어 전류를 공급한다. 이 모터는 작동을 시작하여 도어들의 개방 방향으로 벨트(30)를 구동한다. 이 운동은 카 도어 상의 단부들과 벨트(30)의 측부 중 하나에 부착된 강성 패스너(92; fastener)에 의해 카 도어(22)에 직접 전달된다. 개방 방향으로의 운동에 의해, 카 도어는 로크의 피봇팅 롤러(52)에 대한 좌측 구조 섹션(12)의 정지로 인해 동일한 방향으로, 카 도어를 따라 랜딩 도어(40)를 이동시킨다. (도1 참조)The elevator controller then supplies a direct current control current to the second motor 34. This motor starts operation to drive the belt 30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s. This movement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ar door 22 by a rigid fastener 92 attached to one of the ends on the car door and the side of the belt 30. By movement in the open direction, the car door moves the landing door 40 along the car door in the same direction due to the stop of the left structural section 12 relative to the pivoting roller 52 of the lock. (See Figure 1)

역전 작동은 승강기 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반드시 발생한다. 제어기는 역전 방향 전류를 제2 모터(34)에 제공한다. 이것은 카 도어(22)를 패스너(92)에 의해 개방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운동에서, 우측 구조 섹션(14)은 로크의 고정 롤러(46)위에 놓이며 랜딩 도어를 카 도어와 일체로 이동시킨다.Reverse operation necessarily occurs to close the elevator doors. The controller provides the reverse direction current to the second motor 34. This moves the car door 22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fastener 92. In this movement, the right structural section 14 rests on the locking roller 46 of the lock and moves the landing door integrally with the car door.

카 도어와 랜딩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카의 상인방에 장착된 고정 핑거(94)가 폴(25)을 피봇팅 시켜, 상부 레버(16)를 해제시킨다. 제어기는 제1 모터(66)에 반대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고, 그 결과 로드(80)는 관형 너트(78)로 진입하여 하부 레버(18)를 당겨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를 폐쇄시킨다. 그 후, 카는 다른 층으로 이동한다.When the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are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fixing finger 94 mounted on the lintel of the car pivots the pawl 25 to release the upper lever 16. The controller supplies current of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motor 66, so that the rod 80 enters the tubular nut 78 and pulls the lower lever 18 to open the coupling device as shown in FIG. 3. Close it. The car then moves to another floor.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커플링 장치는 카 도어(22) 상에 장착된 두 개의 수직 섹션(12, 14) 위를 구르도록 장착된 두 개의 롤러들(104, 106, 108, 110)이 각각 제공된 L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12, 14)을 포함한다.The coupling device shown in FIGS. 6 to 8 has two rollers 104, 106, 108, 110 mounted to roll over two vertical sections 12, 14 mounted on the car door 22. Two vertical structural sections 12, 14 each having an provided L-shaped cross section.

또한, 커플링 장치는 구조 섹션들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운동 전달 기구를 포함한다. 이 운동 전달 기구는 구조 섹션(12, 14)에 평행하며 수직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관형 너트(120)에 일 단부가 나사 결합된 나사식 축(118)을 구비한 dc 모터(116)를 포함한다.The coupling device also includes a motion transfer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moving the structural sections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This motion transfer mechanism comprises a dc motor 116 having a threaded shaft 118 one end screwed into a tubular nut 120 that is parallel to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nd axial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

관형 너트는 레일(112, 114)에 드릴링된 구멍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두 개의 부싱(122, 124)을 관통한다. 따라서, 모터의 축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관형 너트는 부싱(122, 124) 내를 활주하여 모터(116)로부터 멀어지거나 (도6) 또는 모터에 근접하게 된다.The tubular nut passes through two bushings 122, 124 permanently attached to the holes drilled in the rails 112, 114. Thu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motor rotates, the tubular nut slides in the bushings 122, 124 away from the motor 116 (FIG. 6) or close to the motor.

구조 섹션(12, 14)은 너클 조인트(126)를 갖는 커넥팅 로드 조립체들로, 양호하게는 구조 섹션 당 두 개의 커넥팅 로드 조립체로 관형 너트(120)에 연결된다. 각각의 커넥팅 로드 조립체는 조인트(128, 130)에 의해 결합된 세 개의 레버들로 형성된다.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re connecting rod assemblies with a knuckle joint 126, preferably connected to the tubular nut 120 with two connecting rod assemblies per structural section. Each connecting rod assembly is formed of three levers joined by joints 128 and 130.

모터(116)가 도6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관형 너트(120)는 나사식 축(118)에서 해제되어 모터로부터 멀어진다. 이러한 운동에서, 너클 조인트를 구비한 커넥팅 로드 조립체는 펼쳐져서 구조 섹션을 분리 이동시킨다.When the motor 116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the tubular nut 120 is released from the threaded shaft 118 away from the motor. In this movement, the connecting rod assembly with the knuckle joint is unfolded to move the structural section apart.

이 실시예에서도, 카 도어와 랜딩 도어는 벨트(30)를 구동하는 dc 모터(34)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강성 패스너(92)는 벨트의 일측면을 카 도어에 연결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are moved by a drive device including a dc motor 34 driving the belt 30. Rigid fasteners 92 connect one side of the belt to the car door.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들의 구동 모터에 독립적인 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승강기의 카 도어와 랜딩 도어 사이의 커플링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upling device between a car door and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which is operated by a motor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Claims (6)

구조 섹션들이 분리되는 위치로부터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관절식 연결 수단(16, 18; 126)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카 도어(22)에 장착된 L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12, 14)을 구비한 형태의 승강기의 카 도어와 랜딩 도어 사이의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Two sections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mounted together on the car door 22 and connected together by the upper and lower articulated connecting means 16, 18; 126 in such a way that the structural sections can be moved from a separated position to an adjacent position. In the coupling device between a car door and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having a vertical structural section (12, 14), 구조 섹션들을 저속으로 분리 이동시키거나 또는 근접시키기 위한 제1 dc 전기 모터(66; 116)와,A first dc electric motor 66; 116 for separating or moving the structural sections at low speed; 구조 섹션(12, 14)을 분리 또는 서로 근접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수단(16, 18; 126)에 작용하며, 제1 모터의 축(72; 118)의 회전 운동을 신장 또는 수축 길이 방향의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전달 기구와,Acting on the connecting means 16, 18; 126 in such a way that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are separated or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xes 72, 118 of the first motor. An exercise transmission mechanism for converting it into a longitudinal motion, 제2 dc 전기 모터(34)에 의해 구동되는 전달 수단(30, 36, 32)을 포함하고, 도어를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A mechanism for moving the door at a higher speed, comprising delivery means (30, 36, 32) driven by a second dc electric motor (34); 벨트(30)의 일측면을 카 도어(22)에 연결시키는 강성 패스너(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gid fastener (92) for connecting one side of the belt (30) to the car door (2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레버가 관절로 연결된 평행 사변형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부 레버(16) 및 하부 레버(18)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12, 14)을 갖는 현수형 커플링 장치의 경우에 적용되며,Suspension coupl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wo levers have two vertical structural sections (12, 14) connected by an upper lever (16) and a lower lever (18) in such a way that they form an articulated parallelogram. Applies to the case of devices, 제1 모터(66)의 축(72)이 감소 기어(78)에 의해 내부에서 나사식 로드(80)가나사 결합된, 축방향 운동에 대해서는 고정적인 관형 너트(78)의 회전을 야기하여, 그 결과 관형 너트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버(18)를 당기거나 밀기 위해 커플링 장치의 레버들 중 하나(18)에 커넥팅 로드(82)에 의해 연결된 나사식 로드가 관형 너트로 진입 또는 후퇴하여, 커플링 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The shaft 72 of the first motor 66 causes the rotation of the fixed tubular nut 78 with respect to the axial movement, in which the threaded rod 80 is internally screwed by the reduction gear 78, As a result of the tubular nut being moved in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the threaded rod connected by the connecting rod 82 to one of the levers of the coupling device 18 to pull or push the lever 18 into the tubular nut.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or retracts to cause the coupling device to open or close. 제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분리 또는 서로 근접될 수 있는 두 개의 수직 구조 섹션(12, 14)과,2. The two vertical structural sections (12, 14) according to claim 1, which are mounted to move vertically and can be separated or in proximity to each other, 나사가 형성된 제1 모터(116)의 축(118)이 나사 결합되고 구조 섹션들에 평행인 이동 가능한 관형 너트(120)와,A movable tubular nut 120 which is screwed and the shaft 118 of the first motor 116 is parallel to the structural sections, 가동 관형 너트와 두 개의 구조 섹션들 상에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너클 조인트를 구비하여, 모터(116)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관형 너트(120)가 제1 모터로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나사식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절첩가능한 커넥팅 로드 조립체를 포함하며,With a movable tubular nut and a knuckle joint connected by a joint on the two structural sections, the tubular nut 120 is screwed closer or away from the first motor when the motor 116 rotates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At least two foldable connecting rod assemblies that move axially along the axial axis, 관형 너트의 운동은 너클 조인트를 갖는 커넥팅 로드 조립체의 절첩을 유발하여, 구조 섹션들을 서로 근접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너클 조인트를 갖는 커넥팅 로드 조립체의 펼침을 유발하여, 구조 섹션들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The movement of the tubular nut causes the folding of the connecting rod assembly with the knuckle joint to move the structural sections close to each other or to unfold the connecting rod assembly with the knuckle joint, thereby separating the structural sections. Coupl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구조 섹션(12, 14)의 각각에는, 카 도어(22) 상에 형성된두 개의 수평 레일(12, 14) 위를 구르도록 장착된 두 개의 롤러(104, 106, 108, 1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4. The rollers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structural sections 12, 14 comprises two rollers 104, 106, 108, mounted to roll over two horizontal rails 12, 14 formed on the car door 22; A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110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레버(16)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31) 내에 핀을 포획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시 커플링 장치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핀(27)이 제공되고 스프링(29)에 의해 하중을 받는 피봇팅 폴(2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The pin 27 is provided and the spring 29 is provided to hold the coupling device open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trapping the pin in the notch 31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lever 16.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ivoting pawl (25) is provided which is loaded by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의 개방의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구조 섹션 중 하나(12)와 카 도어의 고정점 사이에 완충기(8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2.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er (86) is mounted between one of the structural sections (12) and the fixing point of the car door to dampen the impact of the opening of the coupling device.
KR1020020039634A 2001-07-12 2002-07-09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KR2003000707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9285A FR2827266B1 (en) 2001-07-12 2001-07-12 COUPLING DEVICE BETWEEN CAB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DRIVEN BY A MOTOR INDEPENDENT OF THE DOOR DRIVE MOTOR
FR0109285 2001-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73A true KR20030007073A (en) 2003-01-23

Family

ID=886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634A KR20030007073A (en) 2001-07-12 2002-07-09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54860A (en)
KR (1) KR20030007073A (en)
CN (1) CN1251956C (en)
FR (1) FR28272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4233B1 (en) * 2003-10-14 2006-11-29 Inventio Ag Clutch for coupling a car door of an elevator car with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system
JP2005119878A (en) * 2003-10-14 2005-05-12 Inventio Ag Clutch for coupling car door of elevator car with landing door of elevator system
JP4879477B2 (en) * 2003-12-08 2012-02-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Elevator door drive device
JP4708005B2 (en)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Apparatus in an elevator car for temporarily connecting a cage door leaf to a hoistway door leaf and activating a cage door unlocking means
CN100542932C (en) * 2004-03-22 2009-09-23 奥蒂斯电梯公司 The connecting device that is used for elevator cab door and layer door
CN100593505C (en) * 2005-03-15 2010-03-10 三菱电机株式会社 Interlock device for car door of elevator
JP2006290566A (en) * 2005-04-12 2006-10-26 Toshiba Elevator Co Ltd Door device for elevator
EP1886957A1 (en) 2006-08-11 2008-02-13 Inventio Ag Lift belt for a lif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lift belt
JP5121364B2 (en) * 2006-10-05 2013-01-16 セマチック・イタリア・ソチエタ・ペル・アチオニ Active chute for elevator cabin door
KR101165505B1 (en) * 2007-07-18 2012-07-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oor engagement device for elevator
ATE530486T1 (en) 2007-12-21 2011-11-15 Inventio Ag DOOR DRIVE DEVICE FOR ELEVATOR SYSTEMS
JP2011063384A (en) * 2009-09-17 2011-03-31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oor engaging device
BR112012000868A2 (en) * 2009-12-16 2016-11-16 Thyssenkrupp Elevator Ag device for dragging a box door through an elevator cabin door that can be operated by a door and elevator unit
CN105967029A (en) * 2016-06-28 2016-09-28 苏州乐丰电梯部件有限公司 Drive device used for door knife assembly in elevator
ES2894692T3 (en) 2018-10-12 2022-02-15 Otis Elevator Co Elevator landing door releas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415A (en) * 1994-04-06 1995-07-25 Otis Elevator Company Cammed wedge elevator car door coupling
JPH08143252A (en) * 1994-11-21 1996-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device
KR19990055388A (en) * 1997-12-27 1999-07-15 이종수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3932A (en) * 1951-02-21 1953-04-07 William C Clift Elevator door operator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415A (en) * 1994-04-06 1995-07-25 Otis Elevator Company Cammed wedge elevator car door coupling
JPH08143252A (en) * 1994-11-21 1996-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oor device
KR19990055388A (en) * 1997-12-27 1999-07-15 이종수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1956C (en) 2006-04-19
FR2827266A1 (en) 2003-01-17
CN1397481A (en) 2003-02-19
FR2827266B1 (en) 2003-09-26
JP2003054860A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7073A (en)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CA1323043C (en) Powered sliding door opener/closer for vehicles
JP3192474B2 (en) Door drive having a latching mechanism for lift
US5263280A (en) Device for moving a swinging and sliding door in a mass-transit car especially a car that travels along a track
RU2486103C2 (en) Device to open and close aircraft landing gear well (versions) and landing gear well flap mechanism
JP3875967B2 (en) Plug door device
RU2107017C1 (en) Device for connecting lift well door with lift cabin door for simultaneous movement (design versions)
JP3260055B2 (e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2135344A1 (en) Door drive equipment for mass transit vehicle
JP2007063021A (en) Lift cage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aintenance method for lift facility
CA2630382A1 (en) Latch for a fold out ramp
US4018005A (en) Drawbar arm for door operator
US3083784A (en) Movable stair assembly
CN102642563B (en) Motor-driven conveyer especially motor vehicle hatchcover system
CN1186147A (en) Sliding door of vehicle
JP3781158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s
US6216393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liding door, in particular for vehicles
CN110295804B (en) Passive lock for platform door and platform door
KR100968741B1 (en) Disabilities vehicle with sliding lift
US20220047436A1 (en) Vehicle access ramp
GB2271384A (en) Sliding door drive
US8047141B2 (en) Step actuator
JP3853348B1 (en) Folding automatic gate
EP3992054B1 (en) Foldable vehicular coupler and vehicle
CN112855046A (en) Multi-point locking mechanism of do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