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388A -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 Google Patents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5388A
KR19990055388A KR1019970075321A KR19970075321A KR19990055388A KR 19990055388 A KR19990055388 A KR 19990055388A KR 1019970075321 A KR1019970075321 A KR 1019970075321A KR 19970075321 A KR19970075321 A KR 19970075321A KR 19990055388 A KR19990055388 A KR 1999005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roller
roller link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7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5388A/en
Publication of KR1999005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388A/en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캠롤러가 캠을 따라 가이드구동하면서 커플링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커플링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구조상 큰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또 카도어를 완전하게 닫기전에 상기 해치도어가 닫히게 되어야 함으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이러한 부가적인 장치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해치도어판넬에 두 개의 고정베인을 설치고정하고, 그 고정베인과 밀착연결될 수 있는 롤러링크를 엘리베이터의 카도어판넬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롤러링크를 수축.팽창시킬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나 자기커플러와 같은 롤러링크구동장치를 상기 카도어판넬에 설치고정함으로써, 커플링동작을 수행하는 시간이 절감됨과 아울러 소음과 진동이 저감되고, 또 상기 카도어를 완전하게 닫기 전에 상기 롤러링크구동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해치도어가 먼저 닫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해치도어를 먼저 닫기 위하여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nd the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ong coupling time and structurally high noise because the cam roller performs a coupling operation while guiding the cam along the cam. It causes excessive vibration, and the hatch door must be closed before the car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thus, additional devices are required, and this additional device causes a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elevator door syst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install two fixed vanes on the hatch door panel, and to install a roller link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vanes in the car door panel and In addition, by installing and fixing a roller link driving device such as an air cylinder or a magnetic coupler to the card door panel so as to contract and expand the roller link, the coupling time is reduced and noise and vibration are reduced. In addition, if the roller link driving device is driven before the car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hatch door is closed first, and since the additional device is not necessary to close the hatch door 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elevator door system.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preven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도어에 엑츄에이터를 설치고정하고, 그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함과 아울러 슬라이딩하는 링크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되도록 함으로써 커플링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의 개폐시에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nd in particular, the actuator is fixed to the car door, and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of the elevator are installed by rotating the driv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stalling a sliding link by the actu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which reduces coupling time and prevents noise and vibration from occurring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일반적으로, 사람과 화물을 상.하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는 그 사람과 화물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카가 형성설치되어 있고, 그 카에는 상기 사람이나 화물이 인.출입하는 카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층층마다 형성된 승강구에는 해치도어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for transporting people and cargo up and down is provided with a car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person and cargo are located, and the car is provided with a car door where the person or cargo enters or exits. The hatch door is provided in the hatch form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상기 카는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람과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으로 카(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카의 전면(前面)에는 카도어(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카도어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1 도어판넬(2a)과 제 2 도어판넬(2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판넬(2a,2b)을 개폐할 수 있는 카도어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r 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rames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person and the cargo can be loaded, and the front of the car ) Is provided with a card door (2), the card door is provided with a first door panel (2a) and a second door panel (2b)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the frame is the door panel ( A card door driving devic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2a and 2b) is provided.

상기 카도어구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구동원인 전동기(3)가 있고, 그 전동기(3)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기어(4a,4b)와 체인(5a,5b) 그리고 상기 전동기의 회전운동을 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6a,6b)가 상기 체인기어(4b)와 상기 도어판넬(2a,2b)에 연결설치되어 있다.The cardor drive device includes an electric motor 3 which is a driving source fixed to the frame, the chain gears 4a and 4b and the chains 5a and 5b which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3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electric motor. Links 6a and 6b for converting the linear motions are connected to the chain gear 4b and the door panels 2a and 2b.

또, 상기 제 1 도어판넬(2a)에는 커플링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인 고정베인(7)이 설치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베인(7)에는 캠(7a)이 설치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베인(7)의 일측에는 상기 커플링장치의 또 하나의 구성요소인 이동베인(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동베인(8)에는 상기 캠(7a)을 따라 회전구동하는 캠롤러(8a)와 수개의 링크롤러(8b)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ing vane 7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coupling device is fixed to the first door panel 2a, and a cam 7a is fixed to the fixing vane 7, and One side of the fixed vane 7 is provided with a moving vane 8,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coupling device, and the moving vane 8 is a cam roller 8a that rotates along the cam 7a. ) And several link rollers 8b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해치도어(9)는 상기 승강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1 해치도어판넬(10a)과 제 2 해치도어판넬(10b)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의 상단부에는 해치도어행거(10a',10b')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그 해치도어행거(10a'10b')에는 수개의 가이드롤러(11)와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된 이동베인(8)과 밀착연결되는 커플링롤러(12) 그리고 도어개폐안전장치(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제 1 해치도어판넬(10a)과 제 2 해치도어판넬(10b)을 연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구동장치 즉, 상기 승강구의 양단부에 설치된 롤러(14,14')와 그 롤러(14,14')를 연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로프(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로프(15)에는 상기 해치도어행거(10a',10b')가 연결고정되어 있다.The hatch door 9 is provided with a first hatch door panel 10a and a second hatch door panel 10b each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hatch door. Hatch door hangers (10a ', 10b')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10a, 10b), and several guide rollers (11a) and the card door panel (2a,) are attached to the hatch door hangers (10a'10b '). The coupling roller 12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afety device 13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moving vane 8 installed in 2b) are installed, and the first hatch door panel 10a and the second hatch door panel 10b are installed. ) Interlocking drive device for interlockingly opening / closing, that is, a rope (15,14 ')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hatch and the rope (14,14') connected to drive the roller (14,14 ') interlockingly. Is provided, and the hatch door hangers 10a 'and 10b' are fixed to the rope 15.

상기와 같은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는 상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1)가 상.하로 구동할 시에는 상기 고정베인(7)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베인(8)이 그 고정베인(7)과 이루는 폭이 상기 커플링롤러(12)의 직경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카(1)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카(1)를 임의의 층의 승강구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2)를 상기 카도어구동장치로 구동하여 열게 되면 상기 카도어판넬(2a)에 설치된 고정베인의 캠(7a)을 따라 상기 캠롤러(8a)가 가이드구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베인(8)이 그 고정베인(7)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커플링롤러(12)와 밀착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levator having the coupl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moving vane 8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ed vane 7 when the car 1 is driven up and down. ) And the width of the fixed vane 7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roller 12, the car (1)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car (1) to the hatch of any floor In addition to positioning and driving the card door 2 by the card door driving device, the cam roller 8a is guided along the cam 7a of the fixed vane installed on the card door panel 2a. The moving vane 8 moves toward the stationary vane 7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roller 12.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구동장치에 의하여 상기 카도어(2)와 상기 커플링롤러(12)가 고정설치된 해치도어(9)가 열리게 된다.In the above state, the hatch door 9 having the card door 2 and the coupling roller 12 fixed thereto is opened by the card door driving device.

상기와 같이 열린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카도어구동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상기 카도어(2)와 상기 해치도어(9)는 연동적으로 닫힘과 아룰러 상기 카도어판넬(2a)에 설치된 고정베인의 캠(7a)에 상기 이동베인의 캠롤러(8a)가 가이드구동하여 밀착하고있던 상기 커플링롤러(12)와 떨어지게 되므로써 상기 카(1)는 연속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ard door driving device is driven to close the open door as described above, the card door 2 and the hatch door 9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fixed vanes installed on the card door panel 2a. Since the cam roller 8a of the movable vane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roller 1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7a of the moving vane, the car 1 can be continuously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캠롤러가 상기 캠을 따라 가이드구동하면서 커플링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커플링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구조상 큰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또 상기 카도어를 완전하게 닫기전에 상기 해치도어가 닫히게 되어야 함으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이러한 부가적인 장치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However,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long coupling time because the cam roller performs a coupling operation while guiding the cam along with the cam, and causes a large noise and vibration in structure. Since the hatch door must be closed before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 additional device is required and this additional device causes a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elevator door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카도어와 해치도어의 커플링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고, 또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reduce the coupling time of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to prevent noise and vibration, and also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elevator door system. In providing a r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car door equipped with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해치도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hatch door equipped with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of the elevator hav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of the elevator hav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upl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링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nk of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6a의 A-A부의 종단구조를 보인 단면도.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ermination structure of the A-A portion in FIG. 6A.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of the elevator hav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다른 커플링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정면도.Figure 9 is a front view of a schematic structure of another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다른 커플링장치의 마그네틱커플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agnetic coupler of another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and the hatch door of the elevator having another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카 2a,2b : 카도어판넬1: Car 2a, 2b: Car Door Panel

10a,10b : 해치도어판넬 21,22,31,32 : 고정베인10a, 10b: Hatch door panel 21,22,31,32: Fixed vane

23,33 : 롤러링크 23a,23c,33a,33c : 롤러23,33: roller link 23a, 23c, 33a, 33c: roller

23b,33b : 제 1 롤러링크 23d,33d : 제 2 롤러링크23b, 33b: first roller link 23d, 33d: second roller link

23e,33e : 몸체 24 : 에어실린더23e, 33e: Body 24: Air Cylinder

34 : 자기커플러34: magnetic coupler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간격으로 제 1 고정베인과 제 2 고정베인이 설치고정된 해치도어판넬과, 그 해치도어판넬에 설치된 제 1 고정베인 및 제 2 고정베인과 밀착연결될 수 있도록 카도어에 설치고정된 롤러링크와, 그 롤러링크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고정베인 및 제 2 고정베인과 밀착연결시키는 롤러링크구동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tch door panel in which the first fixed vane and the second fixed vane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fixed vane installed on the hatch door panel can be closely connected to the car door. It is achieved by a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xed roller link and a roller link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roller link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vane and the second fixed vane.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프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vator door cuff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의 링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6a의 A-A부의 종단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또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다른 커플링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다른 커플링장치의 마그네틱커플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커플링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해치도어가 커플링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for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ermination structure of the AA part of Fig. 6A, and Fig. 8 is a car door and a hatch door of an elevator hav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other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a structure of a magnetic coupler of another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 door and a hatch door of an elevator having another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참고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For reference,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상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를 개폐하는 해치도어의 해치도어판넬(10a,10b)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 1 고정베인(21)과 제 2 고정베인(22)이 고정부재인 수개의 보울트(21a,22a)의 체결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고정되어 있고, 또 상기 제 1 고정베인(21)과 제 2 고정베인(22)의 사이가 위치하는 상기 카도어의 카도어판넬(2a,2b)에는 롤러링크(2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롤러링크(23)는 일단부에 롤러(23a)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고정베인(과 밀착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2)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1 롤러링크(23b)가 있고, 상기 제 2 고정베인(22)과 밀착지지되는 롤러(23c)가 일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2)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2 롤러링크(23d)가 있으며, 그 제 2 롤러링크(23d)의 다른 일단부와 상기 제 1 롤러링크(23b)의 다른 일단부를 연결하는 몸체(23e)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to 8, the first fix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o the hatch door panels (10a, 10b) of the hatch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atch door The vanes 21 and the second fixed vanes 22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fastening of several bolts 21a and 22a as fastening members, and the first fixed vanes 21 and the second fixed vanes 21 are fixed. Roller links 23 are provided in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of the cardor,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vanes 22, and the roller links 23 are provided with rollers 23a at one end thereof. There is a first fixed vane (the first roller link (23b)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and is fixed to the car door (2) is install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vanes 22) 23c is installed at one end and fixedly installed at the car door 2 so as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 is a 2nd roller link 23d, and is comprised by the body 23e which connects the other end part of the said 2nd roller link 23d with the other end part of the said 1st roller link 23b.

상기 몸체(23e)에는 일단부에 롤러(23a,23c)가 설치고정된 상기 제 1 롤러링크(23b)와 제 2 롤러링크(23d)의 다른 일단부에 가이드롤러(23f,23g)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롤러(23f,23g)는 상기 몸체(23e)에 형성된 가이드홈(23h)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The body 23e is provided with guide rollers 23f and 23g at other ends of the first roller link 23b and the second roller link 23d on which rollers 23a and 23c are fixed. The guide rollers 23f and 23g are driven to rotate while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23h formed in the body 23e.

그리고, 상기 몸체(23e)의 중앙부에는 롤러링크(23)의 구동장치인 에어실린더(24)의 플랜저(24a)의 단부가 연결고정되어 있고, 그 에어실린더(24) 몸체는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고정부재인 수개의 보울트(24b)의 체결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flanger 24a of the air cylinder 24, which is a driving device of the roller link 23,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23e, and the air cylinder 24 body has the card door panel ( It is fixed to 2a, 2b by fastening several bolts 24b which are fixing member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벨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상기 에어실린더(24)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롤러링크(23)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the roller link 23 is repeatedly contracted and expanded by driving the air cylinder 24.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5a,25b는 제 1 롤러링크와 제 2 롤러링크를 고정함과 아울러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핀이다.Reference numerals 25a and 25b in the drawings are rotation pins that allow the first roller link and the second roller link to be fixed and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먼저, 상기 롤러링크(23)와 에어실린더(24)가 설치된 카도어판넬(2a,2b)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상.하로 구동할 시에는 상기 에어실린더(24)의 구동으로 상기 롤러링크(23)가 수축하게 되어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에 설치된 제 1 고정베인(21)과 제 2 고정베인(22)의 사이로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게 되고, 상기의 상태에서 임의의 층에 위치하는 승강구에 상기 카(1)를 정지시켜 그 카(1)에 화물과 사람이 승.하차 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4)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해치도어판넬의 고정베인21,22)과 상기 롤러링크(23)가 밀착연결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판넬(2a,2b)을 개폐하는 구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과 그 카도어판넬(2a,2b)이 연동적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First,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having the roller link 23 and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provided with the air cylinder 24 is driven up and down, the roller link 23 is driven by the air cylinder 24. ) Is contracted to freely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first fixed vane 21 and the second fixed vane 22 provided in the hatch door panels (10a, 10b), in any state in the above state The hatch is stopped when the air cylinder 24 installed in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is driven to stop the car 1 at a hatch located and to allow people and cargo to get on and off the car 1. The fixing vanes 21 and 22 of the door panel and the roller link 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atch door panels 10a and 10b are driven by a driving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Cardor panels (2a, 2b) is to be opened in conjunction.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판넬(2a,2b)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를 구동하면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은 연동적으로 상기 카도어판넬(2a,2b)과 닫히게 되고, 이의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24)를 구동하여 상기 롤러링크(23)와 밀착되어 있던 제 1 고정베인(21)과 제 2 고정베인(22)이 이탈하게 되어 상기 카(1)는 계속적으로 상.하로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driv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is driven, the hatch door panels 10a and 10b are interlocked with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By driving the air cylinder 24, the first fixed vane 21 and the second fixed vane 22,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er link 23, are separated, and the car 1 is continuously driven up and down. You can do it.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상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를 개폐하는 해치도어의 해치도어판넬(10a,10b)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 1 고정베인(31)과 제 2 고정베인(32)이 고정부재인 수개의 보울트(31a,32a)의 체결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고정되어 있고, 또 상기 제 1 고정베인(31)과 제 2 고정베인(32)의 사이가 위치하는 상기 카도어의 카도어판넬(2a,2b)에는 롤러링크(3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롤러링크(33)는 일단부에 롤러(33a)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고정베인(31)과 밀착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1 롤러링크(33b)가 있고, 상기 제 2 고정베인(32)과 밀착지지되는 롤러(33c)가 일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2 롤러링크(33d)가 있으며, 그 제 2 롤러링크(33d)의 다른 일단부와 상기 제 1 롤러링크(33b)의 다른 일단부를 연결하는 몸체(33e)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n the hatch door panels (10a, 10b) of the hatch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atch as shown in Figs. The first fixed vanes 31 and the second fixed vanes 32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fastening of several bolts 31a and 32a serving as fixed members, and the first fixed vanes 31 and the first fixed vanes 31 are 2 The roller link 33 is provided in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of the cardor,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xed vanes 32, and the roller link 33 is provided with a roller 33a at one end thereof. And a first roller link 33b which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vanes 31 and fixed to the cardor panels 2a and 2b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fixed vanes ( 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er 33c is installed at one end and fixed to the cardor panel (2a, 2b) There is a second roller link 33d that rotates at a positive angle, and is composed of a body 33e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ller link 33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link 33b. have.

상기 몸체(33e)에는 일단부에 롤러(33a,33c)가 설치고정된 상기 제 1 롤러링크(33b)와 제 2 롤러링크(33d)의 다른 일단부에 가이드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롤러는 상기 몸체(33e)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The body 33e is provided with guide rollers (not shown)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ller link 33b and the second roller link 33d on which rollers 33a and 33c are fixed. , The guide roller is rotated while sliding along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body 33e.

그리고, 상기 몸체(33e)가 위치하는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는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자기커플러(3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자기커플러(34)는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고정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전자석(34a)을 삽입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갖는 케이스(34b)가 있고, 그 케이스(34b)의 공간부에는 철심(34c)에 전기를 인가하는 코일(34d)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석(34a)이 삽입설치고정되며, 그 전자석(34a)이 삽입설치된 공간부의 전면(前面)에는 덮개판(34e)이 고정되어 있고, 그 덮개판(34e)에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롤러링크(33)의 몸체(33e)가 결합할 시에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흡수판인 고무판(34f)이 설치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in which the body 33e is located are provided with a magnetic coupler 34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applying a current, and the magnetic coupler 34 includes the card door panel ( 2a and 2b, and a case 34b having a space part open at one side so as to insert and mount the electromagnet 34a to be described later. The space part of the case 34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ron core 34c. The electromagnet 34a formed by winding the coil 34d for applying the coil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cover plate 34e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magnet 34a is inserted, and the cover plate ( 34e) is provided with a rubber plate 34f, which is a shock absorbing plate for cushioning shock when the body 33e of the roller link 33 is coupled by a magnetic for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는 상기 자기커플러(34)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그 자기커플러(34)에는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전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롤러링크(33)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되어 있다.In 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magnetic coupler 34 by a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coupler 34, and the roller link 33 contracts and expands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It is suppos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3f, 33f'는 제 1 롤러링크와 제 2 롤러링크를 고정함과 아울러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핀이고, 35는 상기 자기커플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인 보울트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33f and 33f 'are rotation pins for fixing the first roller link and the second roller link,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35 are bolts for fixing the magnetic coupler. .

먼저, 상기 롤러링크(33)와 자기커플러(34)가 설치된 카도어판넬(2a,2b)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카(1)가 상.하로 구동할 시에는 상기 자기커플러(34)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 상기 롤러링크(33)는 수축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에 설치된 제 1 고정베인(31)과 제 2 고정베인(32)의 사이로 자유롭게 상기 롤러링크(33)가 승.하강할 수 있게 되고, 상기의 상태에서 임의의 층에 위치하는 승강구에 상기 카(1)를 정지시켜 그 카(1)에 화물과 사람이 승.하차 하기 위하여 상기 카도어판넬(2a,2b)에 설치된 자기커플러(34)에 전류를 인가하여 그 자기커플러(34)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롤러링크의 몸체(33e)가 상기 자기커플러의 고무판(34f)이 설치고정된 전면(前面)에 밀착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링크의 제 1 롤러링크(33b)와 제 2 롤러링크(33d)의 롤러(33a,33c)는 상기 해치도어판넬의 고정베인(31,32)과 밀착연결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카도어판넬(2a,2b)을 개폐하는 구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과 그 카도어판넬(2a,2b)이 연동적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First, when the car 1 of an elevator having the roller link 33 and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provided with the magnetic coupler 34 is driven up and dow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upler 34. As a result, the roller link 33 contracts and the roller link 33 freely moves between the first fixing vane 31 and the second fixing vane 32 installed in the hatch door panels 10a and 10b. The car door panels (2a, 2b) can be lowered, and the car (1) is stopped at the hatch located at any floor in the above state so that cargo and people can get on and off the car (1). When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magnetic coupler 34 installed in the c) to drive the magnetic coupler 34, the body 33e of the roller link adheres to the front surface where the rubber plate 34f of the magnetic coupler is fixed. The rollers 33a and 33c of the first roller link 33b and the second roller link 33d of the roller link are fixed. The hatch door panel 10a and 10b and the card door panel 2a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vanes 31 and 32 of the hatch door panel and driven by a driv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2b) will be opened in conjunction.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카도어판넬(2a,2b)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를 구동하면 상기 해치도어판넬(10a,10b)은 연동적으로 상기 카도어판넬(2a,2b)과 닫히게 되고, 이의 상태에서 상기 자기커플러(34)에 인가된 전류를 차단하게 되면 상기 롤러링크(33)와 밀착되어 있던 제 1 고정베인(31)과 제 2 고정베인(32)이 이탈분리되어 상기 카(1)는 계속적으로 상.하로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driv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is driven, the hatch door panels 10a and 10b are interlocked with the card door panels 2a and 2b.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magnetic coupler 34 is cut off, the first fixed vane 31 and the second fixed vane 32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ler link 33 are separated and the car 1 continues to be separated. Will be able to drive up and down.

상기와 같이 해치도어판넬에 두 개의 고정베인을 설치고정하고, 그 고정베인과 밀착연결될 수 있는 롤러링크를 엘리베이터의 카도어판넬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롤러링크를 수축.팽창시킬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나 자기커플러와 같은 롤러링크구동장치를 상기 카도어판넬에 설치고정함으로써, 커플링동작을 수행하는 시간이 절감됨과 아울러 소음과 진동이 저감되고, 또 상기 카도어를 완전하게 닫기 전에 상기 롤러링크구동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해치도어가 먼저 닫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해치도어를 먼저 닫기 위하여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wo fixed vanes are installed and fixed on the hatch door panel, and a roller link that can be closely connected to the fixed vanes is installed on the car door panel of the elevator, and an air cylinder or air cylinder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By installing and fixing a roller link driving device such as a magnetic coupler on the card door panel, the coupling time is reduced, noise and vibration are reduced, and the roller link driving device is completely closed before the card door is completely closed. When the drive is closed, the hatch door is closed first, and since the additional device is not necessary to close the hatch door first, an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elevator door system can be expected.

Claims (5)

소정의 간격으로 제 1 고정베인과 제 2 고정베인이 설치고정된 해치도어판넬과, 그 해치도어판넬에 설치된 제 1 고정베인 및 제 2 고정베인과 밀착연결될 수 있도록 카도어에 설치고정된 롤러링크와, 그 롤러링크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고정베인 및 제 2 고정베인과 밀착연결시키는 롤러링크구동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Roller links fixed to the car doo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tch door panel in which the first fixed vane and the second fixed vane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irst fixed vane and the second fixed vane installed in the hatch door panel. And a roller link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roller link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vane and the second fixed v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링크구동장치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link driving device is an air cylin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링크는 일단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고정베인과 밀착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1 롤러링크와, 상기 제 2 고정베인과 밀착지지되는 롤러가 일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카도어에 설치고정되어 소정의 각으로 회전구동하는 제 2 롤러링크와, 그 제 2 롤러링크의 다른 일단부와 상기 제 1 롤러링크의 다른 일단부를 연결하는 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The roller roller of claim 1, wherein the roller link is provided with a roller at one end thereof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vane, and to be fixed to the car door and to be driven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roller link,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vane, is installed at one end and is fixed to the card door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ller link and the first roller link Elevator door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ody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롤러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ody has a guide groove in which a roller can sl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링크구동장치는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는 자기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The coupl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link driving device is a magnetic coupler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when a current is applied.
KR1019970075321A 1997-12-27 1997-12-27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KR199900553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321A KR19990055388A (en) 1997-12-27 1997-12-27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321A KR19990055388A (en) 1997-12-27 1997-12-27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388A true KR19990055388A (en) 1999-07-15

Family

ID=6617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321A KR19990055388A (en) 1997-12-27 1997-12-27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538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348B1 (en) * 1999-07-29 2002-05-13 장병우 Door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KR20030007073A (en) * 2001-07-12 2003-01-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348B1 (en) * 1999-07-29 2002-05-13 장병우 Door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KR20030007073A (en) * 2001-07-12 2003-01-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Coupling device between car doors and landing doors of an elevator, actuated by a motor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rive motor of the do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88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liding door mechanism
CN1083393C (en) Apparatus for closing hatch doors of elevator
RU2107653C1 (en) Device to connect lift cabin door with lift well door
US20230012351A1 (en) Door operator system
US5612518A (en) Linear induction motor door drive assembly for elevators
KR19990055388A (en)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WO2004050529A1 (en) Elevator door guide
KR100877182B1 (en) The cardoor locking instrument for an elevator
JPH0648294A (en) Gate device
KR20220018585A (en) door operation system
KR0158931B1 (en) Elevator hoistway and car door lock and coupling
KR100517026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oor for rolling stock
KR101356111B1 (en) Elevator Device
KR100675664B1 (en) Belt tension compensation device for elevator
KR960004607Y1 (en) Door open-close device of an elevator
KR200294540Y1 (en) Folding door having a pushing means for closing a door panel
RU2139831C1 (en) Retractable lift door (versions)
KR100336361B1 (en) Linear motor for door driving apparatus
KR19980057284U (en) Car door switchgear of elevator
KR100218405B1 (en) Elevator hatch door
KR200294541Y1 (en) Bottom rail for supporting folding door of railway carriage base
KR19980030442U (en) Sliding doors for buses
KR100347171B1 (en) Structure of elevator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JPH02270793A (en) Elevator door device
JPS6046294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in roller chain dr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