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12A -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 Google Patents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12A
KR20030006912A KR1020020000166A KR20020000166A KR20030006912A KR 20030006912 A KR20030006912 A KR 20030006912A KR 1020020000166 A KR1020020000166 A KR 1020020000166A KR 20020000166 A KR20020000166 A KR 20020000166A KR 20030006912 A KR20030006912 A KR 2003000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er pipe
tension
wir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이가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Publication of KR2003000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0Traction chains,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구동 모터에 의한 과부하가 원인으로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디스크 와이어의 장력 부여 위치에 한정됨이 없이 소망의 장력을 디스크 와이어에 항상 부여하며,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해도 이것을 조기에 검지하여 문제 발생을 신속히 해소한다.  
몇 개의 라인 코너에 각각 디스크 와이어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설치한다. 장력 부여 장치(A)는 내측 파이프(20)와 외측 파이프(21) 사이를 완충기(23)로 연결하여 신축이 자유로운 파이프 조립체(22)를 구비하며, 라인 도중에 장착했을 때, 완충기의 압력으로 외측 파이프를 신장 방향(T)으로 이동시켜 구동 유닛의 구동 치차를 거쳐 디스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한다. 외측 파이프가 파이프 조립체의 신장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리미트 스위치(45)로 와이어 분단 상태를 검지하여 구동 치차의 구동을 전부 정지한다.

Description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PIPELINE FOR CONVEYING FEED}
본 발명은, 양돈 사육용 등의 사료 공급 라인 파이프에 디스크 와이어를 삽입하고, 그 디스크 와이어를 구동함으로써, 사료 보급 장치로부터 라인 파이프 내로 반입된 사료를 반송하여 각 사료 공급기에 공급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디스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부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직경의 반송 디스크를 등간격으로 갖는 디스크 와이어를 몇 개의 코너를 설치하여 굴곡시켜 배관한 라인 파이프에 삽입함과 동시에, 사료 보급 장치 근처에 디스크 와이어의 구동 장치를 1개 설치하고, 그 구동 장치의 구동 치차에 반송 디스크를 맞물려 디스크 와이어를 순환식으로 걸어 걸치는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1)에 장력 부여 기구(2)를 설치하여 디스크 와이어(3)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종래의 장력 부여 기구(2)는 구동 치차(4)에 대하여, 라인 파이프(5)의 길이 방향으로 종동 풀리(6)를 움직이게 지지하고, 그 종동 풀리(6)와 구동 치차(4) 사이에 디스크 와이어(3)의 일부(3a)를 걸어 감는 한편, 스프링(7)으로 종동 풀리(6)를 와이어 이동 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용수철 가압하여 디스크 와이어(3)에 장력을 부여하고, 라인 파이프(5) 내에서 느슨하지 않게 디스크 와이어(3)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서는, 사료 보급 장치 근처에 구비한 구동 장치(1)의 모터 1대로 디스크 와이어(3)를 구동하므로, 그것이 200m, 300m로 긴 라인의 경우, 라인 길이에 따라 구동력이 있는 대형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지 않을 수 없어, 그 결과 디스크 와이어(3)와 구동 치차(4)의 맞물림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기 쉬워, 그 원인으로 고장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지 사이클이 짧아지고, 그 만큼 작업상의 노동력이 증대하여, 유지 비용도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는, 구동 장치(1)에 스프링식의 장력 부여 기구(2)를 조립한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장력 부여 위치가 사료 보급 장치 근처 1곳에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는, 스프링(7)으로 종동 풀리(6)를 잡아 당겨 디스크 와이어(3)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스프링(7)의 탄성이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면, 인장력도 기계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디스크 와이어(3)에 초기의 소망 장력이 항상 부여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동 중에 디스크 와이어(3)가 단선하거나, 조인트가 분리되거나 하여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하면, 한쪽에서 구동 장치(1)는 그대로 작동 중이기 때문에, 라인 파이프(5) 내의 사료마다, 분단된 기다란 디스크 와이어(3)가 움직여 그 힘이 단일의 스프링(7)에 미치고, 그 결과, 디스크 와이어(3)가 느슨하게 구동 치차(4)에 맞물리고, 그 원인으로 파이프라인 전체가 구동 불능 상태에 빠질 때까지 문제 발생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만큼 문제 상태도 악화하여, 그 문제해소 작업에도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구동 모터에 의한 과부하가 원인으로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디스크 와이어의 장력 부여 위치에 한정됨이 없이 소망의 장력을 디스크 와이어에 항상 부여하며,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해도 이것을 조기에 검지하여 문제 발생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너를 설치하여 굴곡시켜 배관한 라인 파이프(12)에 디스크 와이어(16)를 삽입함과 동시에, 라인 길이에 따라 상기 코너에 구동 유닛(13)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 유닛(13)의 구동 치차(15)에 반송 디스크(16a)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디스크 와이어(16)를 순환식으로 걸어 걸치는 한편, 상기 라인 파이프(12) 도중의 접합부(B1, B2)에 장력 부여 장치(A)를 장착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장치(A, A')는, 내측 파이프(20)와, 상기 내부파이프(20)를 삽입하고 그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20)와 파이프 조립체(22)를 형성하는 외측 파이프(21)와, 상기 외측 파이프(21)와 상기 내측 파이프(20)를 연결하고 상기 파이프 조립체(22)를 압력의 변동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완충기(shock absorber)(23)와, 상기 외측 파이프(21)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S)으로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립체(22)가 소망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를 규제하는 압축량 조정 수단(46)과, 상기 외측파이프(21)가 상기 파이프 조립체(22)의 신장 방향(T)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상기 디스크 와이어(16)의 분단 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구동 치차(15)의 구동을 전부 정지시키는 이상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와이어(16)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22)내에 통과시켜 상기 장력 부여 장치(A)를 장착한 후,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46)에 의한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 규제를 해제하면,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으로 상기 외측 파이프(21)를 신장 방향(T)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크 와이어(16)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유닛(13)의 와이어 이동 방향(X)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3) 근처에 상기 접합부(B1)를 설치하고, 그 접합부(B1)에 상기 장력 부여 장치(A, A')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파이프(12)에 'ㄷ'자 형상 라인부(L)를 설치하여 배관하고, 그 'ㄷ'자 형상 라인부(L)의 양 코너 근처에 각각 상기 접합부(B1, B2)를 설치하고, 각 접합부에 상기 장력 부여 장치(A, A')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력 부여 장치(A, A')에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으로 상기 외측 파이프(21)를 신장시키고 상기 디스크 와이어(16)에 소정 양의 장력을부여했을 때,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46)에, 선단에 너트(29)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이루어지되, 한 방향으로 회동(回動)시키면 그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너트(29)를 상기 외측 파이프(21)로 가압 접촉시켜, 상기 외측 파이프(21)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S)으로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는 나사봉(25)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22)가 소망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나사봉(25)과 상기 너트(29)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 규제를 해제할 때는 상기 나사봉(25)을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20)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46)을, 상기 외측 파이프(21)에 기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조립체(2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래크(rack)(50)와, 상기 래크(50)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20)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래크(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측 파이프(21)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S)으로 상기 완충기(23)의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는 피니언(53)과, 상기 파이프 조립체(22)가 소망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피니언(5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복귀 규제를 해제할 때는 상기 피니언(53)과의 맞물림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후퇴하게 되는 제 1 래칫(ratchet) 클로(58)를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수단(47)을 복수의 결합 구멍(27)을 갖는 피결합 부재(24)를 상기 내측 파이프(20)의 외주 길이 방향으로 장착하는 한편,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조립체(22)가 신장되어 상기 디스크 와이어(16)에 소망 양의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 상기 피결합 부재(24)의 결합 구멍(27)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결합 부재(35)를 상기 외측 파이프(21)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수단(47)에 평상시는 상기 피니언(53)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후퇴되는 한편, 상기 완충기(23)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조립체(22)가 신장되어 상기 디스크 와이어(16)에 소망 양의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5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래칫 클로(59)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을 리미트 스위치(45)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45)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kicker)부(24b)를 상기 피결합 부재(24)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예컨대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을 리미트 스위치(45)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45)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부(50a)를 상기 래크(50)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장력 부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장력 부여 장치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3은 장력 부여 장치의 스토퍼 수단에 구비된 결합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장력 부여 장치의 구조를 결합 부재 설치 위치에서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내측 파이프 및 외측 파이프 접합용의 커플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디스크 와이어가 구동 유닛 내에서 구동 치차와 맞물려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구비한 장력 부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다른 예의 장력 부여 장치에 구비된 압축량 조정 수단 및 스토퍼 수단을 도시하는 구성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장력 부여 기구를 도시하는 구성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라인 파이프13 : 구동 유닛
15 : 구동 치차16 : 디스크 와이어
16a : 반송 디스크20 : 내측 파이프
21 : 외측 파이프22 : 파이프 조립체
23 : 완충기24 : 피결합 부재
24b : 리미트 키커부25 : 나사봉
27 : 결합 구멍29 : 너트
35 : 결합 부재45 : 리미트 스위치(이상 검지 수단)
46 : 압축량 조정 수단47 : 스토퍼 수단
50 : 래크53 : 피니언
58 : 제 1 래칫 클로59 : 제 2 래칫 클로
A, A' : 장력 부여 장치Bl, B2 : 접합부
L : 'ㄷ'자 형상 라인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전체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은, 예컨대 양돈용의 사료 반송 시스템으로서 돈사(豚舍)내에 구축되며, 도면 중 참조부호(10)로 나타내는 사료 보급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양돈 사육의 규모에 따라 다수의 사료 공급기(11)를 정렬시켜 설치하고 있다. 사료 보급 장치(10)와 각 사료 공급기(11)의 사이는 사료 공급기(11)의 설치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코너를 설치하여 굴곡시켜 배관한 라인 파이프(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사료 보급 장치(1O)는 대용량의, 예컨대 분말 형태의 사료를 수용하는 사료 탱크(1Oa)와 사료 탱크(1Oa)의 밑에서 그와 연결하여 사료의 보급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보급용 호퍼(1Ob)를 구비한다. 사료 공급기(11)는 각각 사료 배출량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수직의 드롭 파이프(1la)를 거쳐 라인 파이프(12)와 연통하고 있다.
라인 파이프(12)는 복수의 기다란 금속제 환파이프재를 접속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코너에 원호 형상 파이프재의 코너 조인트(12a)로 연결되어 몇 개의 'ㄷ'자 형상 라인부(L)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순환식으로 배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라인 파이프(12)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와이어를 삽입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설한다.
한편, 라인 파이프(12)의 'ㄷ'자 형상 라인부(L)에는, 한쪽 코너에 각각 디스크 와이어를 작동시키는 구동 유닛(13)을 설치하고 있다. 구동 유닛(13)은 구동 모터(14)를 구비하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축 선단(14a)에서 구동 치차(15)를 축지지하여 디스크 와이어(16)를 작동시키는 코너 구동식 구동 장치이다.
구동 유닛(13)은 2장의 덮개 형상 케이스를 포개고, 그 중 한쪽 케이스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유닛 커버(18)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커버(18) 내에 디스크 와이어(16)의 일부를 거는 구동 치차(15)를 수납한다.
디스크 와이어(16)는 다수의 반송 디스크(16a)를 등간격으로 고정 장착한 수개의 철제 와이어를 조인트 금구(金具)(도시하지 않음)로 소망 길이로 결선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반송 디스크(16a)를 구동 치차(15)에 맞물리게 하고, 코너의 각 구동 치차(15) 사이에 순환식으로 걸어 걸쳐, 도 7의 화살표(X)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라인 파이프(12) 내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서는, 사료 공급시에 사료 탱크(1Oa)에 수용한 사료를 보급용 호퍼(10b)로 보급량을 조정하면서 라인 파이프(12) 내로 반송하는 한편, 구동 모터(14)를 작동하여 구동 치차(15)를 회전하여, 디스크 와이어(16)를 라인 파이프(12)를 따라 회동시킨다. 그러면, 사료는 디스크 와이어(16)의 반송 디스크(16a)에 의해 라인 파이프(12) 내를 통해 화살표(X) 방향으로 반송되며, 각 사료 공급기(11)의 바로 위에 도달하면, 순차적으로 드롭 파이프(1la)를 통해 낙하하여, 각 사료 공급기(11)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시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은 'ㄷ'자 형상 라인부(L)의 양 코너 근처에 각각 접합부(Bl, B2)를 설치하고, 그곳에 장력 부여 장치(A)를 장착한다. 그 중 접합부(B1)는 디스크 와이어(16)의 느슨함이 발생되기 쉬운 구동 유닛(13)의 와이어 이동 방향(X) 하류측에 있고, 구동 유닛(13) 근처에 설치한다. 이 장력 부여 장치(A)의 구체적 구성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다.
장력 부여 장치(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짧은 금속제 환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내측 파이프(20)와, 상기 내측 파이프(20)를 삽입한 보다 약간 대직경인 외측 파이프(21)를 구비하고, 양 파이프(20, 21)로 1개의 파이프 조립체(22)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20)와 외측 파이프(21)를완충기(23)로 연결하고 그 완충기(23)의 압력의 변동에 따라 파이프 조립체(22)를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다.
내측 파이프(20)는 라인 파이프(12)와 대략 동일 직경으로 그 외주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기다란 금속제의 피결합 부재(24) 및 나사봉(25)을 부설하고 있다. 외측 파이프(21)는 한쪽 단부를 보다 가는 직경으로 성형하여 라인 파이프(12)와 대략 동일 직경으로 만들어지고, 반대의 다른 쪽 단부 외주에 한 쌍의 정지판 조각(21a)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정지판 조각(21a)에 인접한 외주에는 단면이 L형상인 고정판 조각(26)을 용접하고, 그 구부러진 조각(26a)을 피결합 부재(24)의 외측에 겹치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피결합 부재(24)는 그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구멍(27)을 갖는 판재로, 기단부에 그 일부를 구부려 단차가 부여된 고착부(24a)를 형성하는 한편, 선단부에 고착부(24a)와 반대 방향으로 L형상으로 절곡하여 리미트 키커부(24b)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착부(24a)에서 용접하여 내측 파이프(20)에 고정하고, 그것과 평행하게 지지하게 된다.
나사봉(25)은 기단부를 내측 파이프(20)상에 설치한 유지편(20a)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선단부측을 정지판 조각(21a) 사이에 끼우고, 내측 파이프(20)와 평행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나사봉(25)의 기단부에 회동용의 조작 레버(28)를 장착하고, 정지판 조각(21a)으로부터 선단측의 나사봉 외주에 T형 너트(29)를 나사 결합하여,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압축량 조정 수단'(46)을 구성하고 있다.
완충기(2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실린더(30) 내에, 피스톤 로드(31)의 선단에 설치하는 피스톤(32)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프리피스톤(free piston)(33)을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내장하여, 프리피스톤(33)에 의해 도면에서 좌우로 분할된 좌측 실내에 오일(o)을 주입하는 한편, 우측 실내에 질소 가스(g)를 충전하여 입구(30b)를 밀봉재(34)로 밀폐하여 이루어진다.
이 완충기(23)는 피스톤 로드(31)의 기단에 연결용 브라켓(31a)을 갖고, 실린더(30)의 바닥부에 연결용 브라켓(30a)을 갖는다. 그리고, 이들 브라켓(30a, 31a)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1)를 피결합 부재(24)와 함께 내측 파이프(20)에 고착한 연결판 조각(20b)에 연결하는 한편, 실린더(30)를 외측 파이프(21)의 연결판 조각(21b)에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력 부여 장치(A)는 내측 파이프(20)에 대하여 외측 파이프(21)를 실린더(30)내의 압력의 변동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파이프 조립체(22)가 신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장력 부여 장치(A)는 외측 파이프(21)상의 고정판 조각(26)에 결합 부재(35)를 장착하고 있다. 결합 부재(3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대칭 위치에 L형상의 볼트 삽입 구멍(36)을 설치하는 가이드 튜브(37)와, 가이드 튜브(37)에 나사 결합식으로 씌우는 캡(38)과, 가이드 튜브(37)내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수납되는 환봉(丸棒)(39)과, 가이드 튜브(37)내에서 환봉(39)과 캡(38) 사이에 수납된, 환봉(39)을 가이드 튜브(37)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40)을 구비한다. 환봉(39)은 외주에 볼트 나사 구멍(41)을 설치함과 동시에, 선단(39a)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볼트 삽입 구멍(36)을 통해 볼트 나사 구멍(41)에 각각 볼트핀(42)의 선단을 비틀어 넣게 된다.
결합 부재(35)는 환봉(39)의 선단을, 도 1에 도시하는 피결합 부재(24)의 결합 구멍(27) 위치를 향해, 고정판 조각(26)에 가이드 튜브(37)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의 압축 스프링(40)으로 돌출시킨 환봉(39)의 선단(39a)을 고정판 조각(26)에 있는 삽입 구멍(26b)을 통해, 결합 구멍(27)의 하나에 결합되어 외측 파이프(21)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들 피결합 부재(24)와 결합 부재(35)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토퍼 수단'(47)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측 파이프(21)의 움직임을 규제할 때는 볼트핀(42)은 도 3에 도시하는 볼트 삽입 구멍(36)의 환봉 작용 위치(36a)에 걸려 정지해있고, 환봉(39)을 밀어내는 위치에 있다.
그런데, 도시한 장력 부여 장치(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 조각(26)에 결합 부재(35)와 정렬하여,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상 검지 수단'으로서 리미트 스위치(45)를 장착하고 있다. 리미트 스위치(45)는 외측 파이프(21)가 파이프 조립체(22)의 신장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했을 때, 리미트 키커부(24b)가 접하여 리미트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넘어뜨리면, 디스크 와이어(16)가 분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하여 구동 모터(14)의 구동을 모두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디스크 와이어(16)에 소망 양의 장력을 부여하여 라인 파이프(12)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은, 장력 부여 장치(A)의 라인 파이프(12)로의 장착에 앞서, 결합 부재(35)의 볼트핀(42)을 집어, 환봉(39)를 압축 스프링(40)에 저항하여 가이드 튜브(37)내로 인입하여 환봉 선단(39a)을 결합 구멍(27)으로부터 분리하고, 볼트핀(42)을 일단 볼트 삽입 구멍(36)의 환봉 후퇴 위치(36b)(도 3 참조)에 걸어 둔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조작 레버(28)를 잡고, 나사봉(25)을 한 방향으로 소정량 회동한다. 그러면, T형 너트(29)가 이동하여, 정지판 조각(21a)을 거쳐 외측 파이프(21)를 가압하여 파이프 조립체(22)가 단축하는 방향(S)으로 이동하고, 완충기(23)의 실린더(30) 내부를 피스톤(32)으로 압축한다. 그리고, 완충기(23)를 소정 압력으로 압축한 시점에서, 나사봉(25)의 회동을 멈춘다. 이 때, 나사봉(25)과 너트(29)의 맞물림에 의해 외측 파이프(21)가 신장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규제하여, 완충기(23)의 압축량을 유지한다.
그런 연후에, 장력 부여 장치(A)를 접합부(B1, B2)에서 라인 파이프(12)에 장착하지만, 그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커플링(49)을 이용하여, 라인 파이프(12)에 대하여 내측 파이프(20)를 고정한다. 한편, 외측 파이프(21)는 동일한 커플링(49)을 이용하여 라인 파이프(12)에 이음 결합되지만, 완충기(23)가 개재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라인 파이프(12)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구동 유닛(13)의 유닛 커버(18)를 열어, 디스크 와이어(16)를 파이프 조립체(22)를 통해 라인 파이프(12) 내에 설치한다. 이 경우, 디스크 와이어(16)는 조인트 금구로 이어서 라인 파이프(12)내에 삽입하고, 어느 정도 느슨하게 한 상태로 반송 디스크(16a)를 구동 치차(15)에 맞물리게 하여, 코너의 각 구동 치차(15) 사이에 순환식으로 걸어 걸친다. 이렇게 해서 디스크 와이어(16)를 설치한 후, 유닛 커버(18)를 닫는다.
그 후, 나사봉(25)을 이번에는 반대의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T형 너트(29)의 정지판 조각(21a)에 대한 접합을 해제하여, 나사봉(25)을 내측 파이프(20)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완충기(23)의 복귀 규제가 해제되고, 그 완충기(23)의 압력에 의해 외측 파이프(21)가 도 1에서 화살표(T)로 나타내는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만큼 파이프 조립체(22)가 신장한다. 파이프 조립체(22)가 길어지면 그에 따라 라인 파이프(12)가 도 7에 도시하는 각 접합부(Bl, B2)에서 'ㄷ'자 형상 라인부(L) 쪽으로 신장한다. 이와 같이 라인 파이프(12)가 신장하면, 이 신장에 연동하여 구동 치차(15)와 맞물리는 디스크 와이어(16)가 라인 파이프(12)가 신장하는 양만큼 늘어나 디스크 와이어(16)에 장력이 부여된다.
그런 연후에, 각 장력 부여 장치(A)에 의해 디스크 와이어(16)에 적절한 양의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 있어서, 구동 유닛(13)을 공구동(空驅動)시켜, 각 접합부(Bl, B2)에서의 장력 부여량을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밸런스를 갖도록 한다.
장력 부여량의 밸런스 조정을 종료하면, 스토퍼 수단(47)의 볼트 핀(42)을 볼트 삽입 구멍(36)의 환봉 후퇴 위치(36b)로부터 분리하고,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환봉(39)을 돌출시켜 선단(39a)을 결합 구멍(27) 중의 하나에 결합되게 하여,외측 파이프(21)가 복귀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시동 시, 도 7에 도시하는 각 구동 유닛(13)을 구동했을 때에, 그들 구동 유닛(13)의 각 설치 위치보다 와이어 이동 방향(X)의 상류측에서 디스크 와이어(16)에 인장력이 작용하며, 이에 연동하여 각 장력 장치(A)의 외측 파이프(21)가 단축 방향(S)으로 움직여 완충기(23)를 압축하려고 해도, 그 완충기(23)의 복귀를 스토퍼 수단(47)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가동 중에, 예컨대 사료 탱크(1Oa)로부터 고형의 이물 등이 라인 파이프(12)내로 침입한 경우도, 이것이 와이어 구동의 부하로 되어, 역시 마찬가지로 구동 유닛(13)의 각 설치 위치보다 와이어 이동 방향(X)의 상류측에서 디스크 와이어(16)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때, 각 장력 장치(A)의 외측 파이프(21)가 단축 방향(S)으로 움직여 완충기(23)를 압축하려고 해도, 그 완충기(23)의 복귀를 스토퍼 수단(47)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력의 부여 후에는, 항상 같은 소망 장력이 디스크 와이어(16)에 부여되고, 전체적으로 느슨함 없이 팽팽하게 걸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서는, 가동 중에 디스크 와이어(16)가 단선되거나, 조인트가 분리되거나 하여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한 경우, 외측 파이프(21)가 파이프 조립체(22)의 신장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리미트 키커부(24b)가 상기 리미트 레버에 접촉하면, 리미트 스위치(45)로 디스크 와이어(16)가 분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한다. 그러면, 검지 신호를 받아 구동 모터(14)의 구동을 모두 정지하여, 와이어 분단 문제의 원인 해소에 대비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은 상술한 장력 부여 장치(A)를 대신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다른 장력 부여 장치(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이 장력 부여 장치(A')를 구비한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과 구성을 같이 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장력 부여 장치(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파이프(21)의 다른 쪽 단부 외주면상에 톱니부를 상향으로 하여 래크(50)의 기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래크(50)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2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다. 래크(50)는 선단부를 L형상으로 만들고, 그 선단부에 리미트 키커부(50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측 파이프(20)에는 외주면상에 한 쌍의 지지판 조각(51, 52)을 래크(50)를 사이에 두고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 조각(51, 52) 사이에 있어서, 래크(50)에 피니언(53)을 맞물리게 하고 있다. 피니언(53)은 평치차로 이루어지고, 기어 조작 핸들(54)과 동축으로 지지판(51, 5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며 기어 조작 핸들(54)을 회동 조작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어 조작 핸들(54)은, 그립부(54a)와 'ㄷ'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부(54b)를 갖고,지지 프레임(54b)내에서 기어 전동 클로(55)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다. 기어 전동 클로(55)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56)에 감겨지며 한쪽 단이 그립부(54a)에 걸린 비틀림 코일 용수철(57)의 다른 쪽 단이 선단 클로부(55a)에 걸리고, 이 용수철 가압력으로 평상시는 피니언(53)으로부터 떨어진 도시된 후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기어 전동 클로(55)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단 클로부(55a)가 피니언(53)의 톱니부에 맞물린다.
또한, 장력 부여 장치(A')는 피니언(53)의 도면의 좌우 양측에 제 1 및 제 2의 래칫 클로(58, 59)를 배치하여, 각각 지지판 조각(51, 52)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있다. 또한, 지지판 조각(51, 52) 사이에는 이들 래칫 클로(58, 59)의 선단 클로부(58a, 59a)의 반대측에 각각 래칫 클로를 수용하는 지지부(60, 6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래칫 클로(58)에는, 용수철 걸이 핀(58b)에, 지지판 조각(51)에 구비된 용수철 걸이 핀(51a)에 한쪽 단이 걸린 인장 스프링(62)의 다른 쪽 단이 걸려 있다. 따라서, 제 1 래칫 클로(58)는 지지점 축(63)의 위치를 넘어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단 클로부(58a)가 인장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피니언(53)의 톱니부에 맞물린다. 한편, 제 1 래칫 클로(5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단 클로부(58a)가 피니언(53)으로부터 분리되지만, 지지점 축(63)의 위치를 넘은 시점에서, 이번에는 인장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60)에 가압 접촉시켜, 피니언(53)으로부터 떨어진 후퇴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는, 이상과 같이, 기어 전동 클로(55)을 갖는 기어 조작 핸들(54) 외에 래크(50)와 피니언(53) 및 제 1 래칫 클로(58)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압축량 조정 수단'(46)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래칫 클로(59)는, 용수철 걸이 핀(59b)에, 지지판 조각(51)의 용수철걸이 핀(51a)에 한쪽 단이 걸린 인장 스프링(64)의 다른 쪽 단이 걸리고, 평상시는 인장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61)에 가압 접촉되고, 선단 클로부(59a)가 피니언(53)으로부터 떨어진 후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제 2 래칫 클로(59)는,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점축(65)의 위치를 넘은 시점에서 이번에는 인장 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선단 클로부(59a)가 피니언(53)의 톱니부에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장 스프링(64) 등의 가압 수단과 제 2 래칫 클로(59)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토퍼 수단'(47)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와이어(16)에 소망 양의 장력을 부여하여 라인 파이프(12)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장력 부여 장치(A')의 라인 파이프(12)로의 장착에 앞서서, 압축량 조정 수단(46)의 제 1 래칫 클로(58)를 피니언(53)에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기어 전동 클로(55)를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가압 회전시켜 피니언(53)에 맞물리게 함과 동시에, 기어 조작 핸들(54)을 같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피니언(53)을 인장 스프링(62)에 저항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후, 이번에는 기어 전동 클로(55)의 가압을 해제하고, 비틀림 코일 용수철(57)의 가압력으로 기어 전동 클로(55)를 피니언(53)으로부터 분리하며, 기어 조작 핸들(5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직립 위치로 되돌린다. 그리고나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기어 전동 클로(55)를 가압 회전시켜 피니언(53)에 맞물리게 하고, 기어 조작 핸들(54)을 회동하여 피니언(53)을 회전한다.
이렇게 해서 피니언(53)의 회전 동작을 몇 번 반복한다. 그러면 이피니언(53)의 회전량에 따라, 래크(50)는 파이프 조립체(22)가 단축하는 방향(S)으로 이동하고, 외측 파이프(21)를 밀면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완충기(23)의 실린더(30) 내부를 피스톤(32)으로 압축한다. 그리고, 완충기(23)를 소정 압력으로 압축시킨 시점에서 피니언(53)의 회전 동작을 중지한다.
이 때, 인장 스프링(62)의 가압력으로 피니언(53)에 맞물린 제 1 래칫 클로(58)에 의해서, 외측 파이프(21)가 신장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움직임을 규제하여 완충기(23)의 압축량을 유지한다.
그런 연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부여 장치(A')를 접합부(Bl, B2)에서 라인 파이프(12)에 장착하고 나서, 디스크 와이어(16)를 파이프 조립체(22)를 통해 라인 파이프(12)내에 설치한다.
이어서, 제 1 래칫 클로(58)를 피니언(53)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장 스프링(62)의 가압력으로 지지부(60)에 접하여 후퇴 위치에 유지시킨다. 그러면, 완충기(23)의 복귀 규제가 해제되고, 그 완충기(23)의 압력에 의해서, 래크(50)와 피니언(53)의 맞물림을 통해 외측 파이프(21)가 도 8의 화살표(T)로 나타내는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 조립체(22)를 신장하고, 그에 따라 라인 파이프(12)가 신장한다. 이와 같이 라인 파이프(12)가 신장하면, 그 신장에 연동하여 구동 치차(15)와 맞물리는 디스크 와이어(16)가 라인 파이프(12)가 신장하는 양만큼 늘어나게 되고, 디스크 와이어(16)에 장력이 부여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접합부(Bl, B2)에서의 장력 부여량의 밸런스 조정을 종료하면, 스토퍼 수단(47)의 제 2 래칫 클로(59)를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회전시켜 피니언(53)과 맞물리게 하여, 외측 파이프(21)가 복귀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시동 시, 도 7에 도시하는 각 구동 유닛(13)을 구동했을 때, 혹은 가동 중에, 사료 탱크(10a)로부터 고형의 이물 등이 라인 파이프(12)내에 침입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구동 유닛(13)의 각 설치 위치보다 와이어 이동 방향(X)의 상류측에서 디스크 와이어(16)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에 연동하여 각 장력 장치(A)의 외측 파이프(21)가 단축 방향(S)으로 움직여 완충기(23)를 압축하려고 해도 그 완충기(23)의 복귀를 제 2 래칫 클로(59)을 갖는 스토퍼 수단(47)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의 부여 후에는 항상 같은 소망 장력이 디스크 와이어(16)에 부여되고, 전체적으로 느슨하지 않게 팽팽하게 걸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판 조각(51)에 리미트 스위치(45)를 장착하고,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했을 때, 리미트 키커부(50a)가 리미트 레버(45a)에 접촉하면, 리미트 스위치(45)에 의해 디스크 와이어(16)가 현재 분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상 검지 수단은 리미트 스위치(45)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광학식, 자기식 등 적절한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양돈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디스크 와이어를 이용한 다른 사육용 동물의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과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라인 길이에 따라 몇 개의 코너에 구동 유닛을 설치하고, 그들 복수의 구동 유닛으로 나누어 디스크 와이어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므로, 라인의 길이에 관계없이 종래와 같이 대형의 구동 모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그 결과 디스크 와이어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것이 원인인 고장도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그만큼 유지 사이클이 길어지고, 그만큼 작업상의 노동력도 적어져 완료, 유지 비용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를 완충기로 연결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파이프 조립체를 구비한 장력 부여 장치를 라인 파이프에 내장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1) 장력 부여 위치가 종래와 같이 구동 장치가 있는 1곳에 한정되지 않고, 라인 도중에 설치하는 접합부에 임의로 장력 부여 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더구나, (2) 스프링식과 달리, 장력에 가하는 가압력이 시간이 경과해도 조금도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소망 장력을 장기간에 걸쳐 항상 디스크 와이어에 부여할 수 있고, 그 결과 항상 안정된 디스크 와이어에 의한 사료의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파이프가 파이프 조립체의 신장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이상 검지 수단으로 와이어 분단 상태를 검지하여 구동 치차의 구동을 전부 정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가동 중에 디스크 와이어가 단선되거나 조인트가 분리되는 와이어 분단 문제가 발생해도, 종래와 달리 이것을 조기에 검지하여 문제 발생을 신속하게 별 수고 없이 해소할 수 있으며, 더욱이 라인 전체의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동 유닛의 와이어 이동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 근처에 접합부를 설치하고, 그 접합부에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동 유닛의 와이어 이동 방향 하류측에서 특히 발생하여 쉬운 느슨함을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디스크 와이어를 확실히 팽팽하게 걸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라인 파이프에 설치하는 'ㄷ'자 형상 라인부의 양 코너 근처에 각각 접합부를 설치하여 각 접합부에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ㄷ'자 형상 라인부에서 라인 전체의 밸런스를 붕괴하지 않고, 디스크 와이어에 효과적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4 및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완충기의 압력에 의해 외측 파이프가 신장되어 디스크 와이어에 소정 양의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 스토퍼 수단으로 외측 파이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망 장력의 부여 후에는 항상 디스크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어 디스크 와이어를 전체적으로 느슨하지 않게 팽팽하게 걸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량 조정 수단으로서 나사봉과 그에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이용하여 외측 파이프를 이동하고, 완충기를 압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완충기의 압축을 간단히 소망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압축량을 확실히 유지할 수도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여 외측 파이프를 이동하고, 완충기를 압축하는 한편, 피니언에 대하여 제 1 래칫 클로를 단지 탈착시키는 것만으로 외측 파이프의 복귀를 규제하고, 또한 그 복귀 규제를 해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압축량 조정 수단의 구조를 보다 간략화함과 동시에 그 조작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 수단을 피니언에 대하여 제 2 래칫 클로를 단지 탈착시키는 것만의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 스토퍼 수단에 필요한 부품수를 삭감하여, 구조를 보다 간략화하여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부를 같은 피결합 부재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만큼 부품수를 삭감하여 전체적으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부를 동일한 래크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부품수를 삭감하여 전체적으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코너를 설치하여 굴곡시켜 배관한 라인 파이프에 디스크 와이어를 삽입함과 동시에, 라인 길이에 따라 상기 코너에 구동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 치차에 반송 디스크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디스크 와이어를 순환식으로 걸어 걸치는 한편, 상기 라인 파이프 도중의 접합부에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장치는,
    내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를 삽입하고 그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와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하는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압력 변동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완충기와,
    상기 외측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기의 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 조립체가 소망하는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를 규제하는 압축량 조정 수단과,
    상기 외측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신장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상기 디스크 와이어의 분단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구동 치차의 구동을 전부 정지시키는 이상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와이어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내로 통과시켜 상기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한 후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 규제를 해제하면, 상기 완충기의 압력으로 상기 외측 파이프를 신장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의 와이어 이동 방향 하류측에서, 상기 구동 유닛 근처에 상기 접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합부에 상기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파이프에 'ㄷ'자 형상 라인부를 설치하여 배관하고, 상기 'ㄷ'자 형상 라인부의 양 코너 근처에 상기 접합부를 각각 설치하며, 각 접합부에 상기 장력 부여 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 장치에, 상기 완충기의 압력으로 상기 외측 파이프를 신장시켜 상기 디스크 와이어에 소정 양의 장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외측 파이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에, 선단에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게 되고, 한 방향으로 구동하면 그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너트를 상기 외측 파이프에 가압 접촉시켜, 상기 외측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기의 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는 나사봉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가 소망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나사봉과 상기 너트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 규제를 해제할 때는 상기 나사봉을 다른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내측 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량 조정 수단을,
    상기 외측 파이프에 기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래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외측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조립체 길이가 단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완충기의 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파이프 조립체가 소망 길이로 단축했을 때,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를 규제하는 한편, 상기 외측 파이프의 복귀 규제를 해제할 때는, 상기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후퇴하게 되는 제 1 래칫 클로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을,
    복수의 결합 구멍을 갖는 피결합 부재를 상기 내측 파이프의 외주 길이 방향으로 장착하는 한편, 상기 완충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조립체가 신장되어 상기 디스크 와이어에 소망 양의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 상기 피결합 부재의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결합 부재를 상기 외측 파이프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에,
    평상시는 상기 피니언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후퇴되는 한편, 상기 완충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조립체가 신장되어 상기 디스크 와이어에 소망 양의 장력이 부여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2 래칫 클로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을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부를 상기 피결합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을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키커부를 상기 래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KR1020020000166A 2001-07-17 2002-01-03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KR20030006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7031 2001-07-17
JPJP-P-2001-00217031 2001-07-17
JP2001238390A JP3604361B2 (ja) 2001-07-17 2001-08-06 給餌用パイプライン
JPJP-P-2001-00238390 2001-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12A true KR20030006912A (ko) 2003-01-23

Family

ID=2661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166A KR20030006912A (ko) 2001-07-17 2002-01-03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04361B2 (ko)
KR (1) KR20030006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78B1 (ko) * 2011-11-08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US9493311B1 (en) * 2015-10-01 2016-11-15 Jang Chun Park Fodder-feeding disc wire driving device having tension management uni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7063A (ko) * 1971-12-24 1973-09-13
JPS51120481U (ko) * 1975-03-28 1976-09-30
KR900019651U (ko) * 1989-05-30 1990-12-12 진달만 가축급이용 사료운반 콘베이어의 동력전달장치
JPH0769423A (ja) * 1993-09-01 1995-03-14 Honda Motor Co Ltd パイプコンベアにおけるチェーンの張力矯正装置
KR19990006799U (ko) * 1997-07-30 1999-02-25 안광덕 가축사료 제한 급이시스템의 2차 안전장치
KR19990015306U (ko) * 1997-10-15 1999-05-15 신홍종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US6290434B1 (en) * 1999-12-30 2001-09-18 Hylsa, S.A. De C.V. Expansion joint for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pneumatic transport of DRI or other abrasive particles
KR20010090420A (ko) * 2000-03-24 2001-10-18 가즈미 후지이 사료 반송 장치 및 디스크 케이블 장력 조정 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7063A (ko) * 1971-12-24 1973-09-13
JPS51120481U (ko) * 1975-03-28 1976-09-30
KR900019651U (ko) * 1989-05-30 1990-12-12 진달만 가축급이용 사료운반 콘베이어의 동력전달장치
JPH0769423A (ja) * 1993-09-01 1995-03-14 Honda Motor Co Ltd パイプコンベアにおけるチェーンの張力矯正装置
KR19990006799U (ko) * 1997-07-30 1999-02-25 안광덕 가축사료 제한 급이시스템의 2차 안전장치
KR19990015306U (ko) * 1997-10-15 1999-05-15 신홍종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US6290434B1 (en) * 1999-12-30 2001-09-18 Hylsa, S.A. De C.V. Expansion joint for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pneumatic transport of DRI or other abrasive particles
KR20010090420A (ko) * 2000-03-24 2001-10-18 가즈미 후지이 사료 반송 장치 및 디스크 케이블 장력 조정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78B1 (ko) * 2011-11-08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US9493311B1 (en) * 2015-10-01 2016-11-15 Jang Chun Park Fodder-feeding disc wire driving device having tension managemen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92941A (ja) 2003-04-02
JP3604361B2 (ja)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4595C2 (ru)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рычага механизма натяжения шпагата
CA2043609C (en) Twist tie feed device
KR20030006912A (ko)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
CN201010665Y (zh) 喷粉枪的链条自动张紧装置
US4269369A (en) Power driven dereeler with strand tension-sensing device
JP382212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製造工程中の逆振動撚り(rol)のコンシステンシを高め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6009512B2 (ja) 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を備える振動溶着装置、並びに引張手段張力調節装置の製造方法
EP1709862B1 (en) Twine tensioning device for a baler.
JPS5810288B2 (ja) コンポウシバリツケ ソウチ
US6837155B2 (en) Method of baling and binding using wire-tie pull pins
JP6017661B1 (ja) 飼料供給用ディスクワイヤーの弾力計付き駆動装置
US5070779A (en) Tying mechanism
GB2267075A (en) Guide for binding material
KR102381876B1 (ko) 전선터미널 압착시스템
KR20200056841A (ko) 파이프 포장장치
MY134830A (en) Device for monitoring cables of a lift
KR100384976B1 (ko) 사료 반송 장치
KR200282597Y1 (ko) 사료 공급용 파이프라인의 장력유지장치
JP2003070371A (ja) 給餌用パイプライン
RU2303564C1 (ru)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ягового органа конвейера
US20020078896A1 (en) Feed conveying system
CN113835180A (zh) 一种用于调节传感光缆张紧的拉力机
CN102428237A (zh) 用于捆绑加强杆的机器
CN208810832U (zh) 一种自动涨紧式收线装置
EP1325677B1 (en) Knotter driv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