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097A -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 Google Patents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097A
KR20030005097A KR1020020072431A KR20020072431A KR20030005097A KR 20030005097 A KR20030005097 A KR 20030005097A KR 1020020072431 A KR1020020072431 A KR 1020020072431A KR 20020072431 A KR20020072431 A KR 20020072431A KR 20030005097 A KR20030005097 A KR 20030005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secretase
disease
alzheimer
k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권
변희국
친리린
김용태
박표잠
Original Assignee
김세권
변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권, 변희국 filed Critical 김세권
Priority to KR102002007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5097A/ko
Publication of KR2003000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0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유발시키는 효소중의 하나인 β-secretase(β-site Amyloid precursor protein Cleaving Enzyme, BACE)의 촉매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1 kDa이하, 1~3 kDa, 3~5 kDa, 5~10 kDa)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얻고자 이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검토하였다.
본 발명에서 β-secretase에 대한 키토산의 저해활성은 90% 탈아세틸화(deacetylation, DA)된 키토산이 80.3%로 가장 높았으나 키토산의 경우 고분자 물질로서 체내흡수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들 중에서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의 효소분해물 중에서 분자량 3~5 kDa 범위의 분획물이 74.8%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3~5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키토산올리고당은 β-secretase에 대해 저해활성이 높고, 저분자 물질로 생체내에서 흡수율도 높아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 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Chitosan and its oligosaccharides as beta-secretase inhibitor against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유발시키는 효소중의 하나인 β-secretase의 촉매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의 올리고당(분자량 3~5k Da)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IC50값, 0.126 mg/ml)을 나타내어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치료 및 예방과 관련된 의약품 및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과 새로운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연장이 실현되고 있어 고령화 사회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노인복지 정책은 국가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퇴행성신경질환인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인 부담은 점점 증가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치료제의 개발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노인성 치매는 알쯔하이머성과 혈관성 질환으로 크게 대별되며, 현재 치매질환자의 절반이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으로 밝혀져 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자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노인반점(senile plaques)의 주요 요소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 펩타이드는 그 전구대사단백질인 amyloid precursorprotein(APP) 695, 751, 770으로부터 유래한다. 이 APP는 대부분의 경우, α-secretase와 γ-secretase라고 불리우는 proteases에 의하여 절단되어 P3 펩타이드와 세포의 바깥쪽으로 sAPPα라는 수용성 단백질을 방출하게 된다. 특이적으로 알쯔하이머성 치매 질환자에서는 β-secretase와 γ-secretase가 활성화되어 Aβ 펩타이드와 sAPPβ라는 단백질이 세포밖으로 방출이 된다(도 1). 알쯔하이머성 치매 질환자들 중에서 APP 유전인자의 돌연변이의 경우를 보면 대부분이 α, β, γ-secretase들의 인지부분에 돌연변이가 생긴 경우로 이러한 돌연변이가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켜서 β와 γ-secretase에 노출이 더 잘 되어 정상인의 경우보다 많은 양의 Aβ 펩타이드가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Aβ 펩타이드는 42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기억 및 인식과 관련된 뇌 영역에 침착되어 뇌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APP 유전인자의 돌연변이가 caspase-6와 caspase-3라는 apoptotic protease의 기질로 작용하여 절단이 되며, 이렇게 절단되어진 APP는 β-, γ-secretase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Aβ를 형성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알쯔하이머성 치매 질환자에서 보이는 APP 돌연변이 유전인자를 과량 발현하는 APP 과다발현 형질전환쥐의 경우, 치매 질환자에서 보이는 노인반점과 특이적 증상인 공간지각 학습능력이 저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보고들을 종합하여 볼 때 알쯔하이머성 치매 질환자에서 보이는 APP 유전인자의 변이는 Aβ 펩타이드의 생성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방법의 개발에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뚜렷한 효과가 확립된 치료소재 개발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유발시키는 관련 효소들 중에서 Aβ펩타이드의 생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β-secretase에 대한 저해물질은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유발시키는 효소중의 하나인 β-secretase의 촉매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1 kDa이하, 1~3 kDa, 3~5 kDa, 5~10 kDa)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아세틸화도가 서로 다른 키토산 중에서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탈아세틸화도가 높은 키토산이 높게 나타났으나 키토산의 경우는 체내 흡수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N-아세틸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들 중에서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분자량 3~5 kDa 분획물이 74.8%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고, 저분자 물질로서 생체내에서 흡수율이 우수한 분자량 3~5 kDa 범위인 키토산 올리고당을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활용하는데 있다.
도 1은 인체내에서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을 유발시키는데 관여하는 β-secretase의 작용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β-secretase에 대해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각 키토산들의 저해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β-secretase에 대해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키토산올리고당들의 저해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이 갖는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β-secretase에 대한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올리고당과 황산화된 키토산올리고당의 저해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β-secretase에 대한 N-아세틸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분자량별 분획물의 저해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분자량 3~5 kDa 범위인 키토산올리고당이 β-secretase의 저해활성을 50% 억제할 때의 농도(IC50값)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β-secretase의 반응속도 상수 및 분자량 3~5 kDa 범위인 키토산올리고당의 저해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틴으로부터 탈아세틸화도가 각각 50%, 75% 및 90%인 키토산을 얻었으며, 이들 키토산을 효소로 분해한 다음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1 kDa이하, 1~3 kDa, 3~5 kDa, 5~10 kDa)로 분획하여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발병과 관련된 효소인 β-secretase에 대한 각 분획물의 저해활성을 검토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키틴으로부터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키토산은 전과 김(2000)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알칼리성키틴의 제조시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키토산을 얻었다.
키토산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된 chitosanase는Bacilllus pumilusBN-262 유래이며, pH 5.5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는 효소이다. 1%(w/v) 키토산 용액(pH 5.5) 500 ㎖에 50 units의 효소를 혼합한 후 일정한 온도조건에서 6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100℃의 끓는 물에서 10분간 효소 불활성화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종료 후 일정량을 취하여 Blix법으로 환원당의 함량을 mg/g chitosan으로 표시하였다. 키토산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은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1 kDa이하, 1~3 kDa, 3~5 kDa, 5~10 kDa)별로 분획한 후, 동결건조된 분획물을 활성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과 관련된 효소인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Ermolieff 등(2000)의 방법을 다소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즉, 기질용액은 일정량의 합성기질 (MCA)Ser-Glu-Val-Asn-Leu-Asp-Ala-Glu-Phe-Lys(DNP)을dimethylsulfoxide(DMSO)에 녹여 만들었으며, 효소용액은 일정량의 β-secretase를 0.1M sodium acetate buffer(pH4.0)에 녹여 사용하였다. 저해반응은 일정량의 효소용액과 시료용액을 취하여 0.5 mL cell에 넣고 37℃로 조절된 형광광도기에서 10분 동안 유지시킨 후, 일정량의 기질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시키면서 시간에 따라 excitation 파장 328 nm 및 emission 파장 393 nm에서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용액을 넣지 않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저해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저해활성(%)=(대조구의 초기반응속도-시료의 초기반응속도)×100/(대조구의 초기반응속도)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아세틸화도에 따른 키토산의 β-secretase 저해활성
본 발명에서 키틴으로부터 키토산의 제조시 탈아세틸화도가 50%, 75%, 90%인 키토산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합성기질에 대한 β-secretase의 초기 반응속도는 대조구에서와 같이 0.9708 UF/sec로 나타났으며, 50%, 75% 및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의 초기 반응속도는 각각 0.3609 UF/sec, 0.3108 UF/sec 및 0.899 UF/sec로 나타났다. 이들 초기반응속도를 기준으로 50%, 75% 및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 61.8%, 67.9% 및 80.3%로 나타났는데, 이것은탈아세틸화도가 높은 키토산이 β-secretas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3).
실시예 2. 키토산 효소분해물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
탈아세틸화도가 각각 50%, 75% 및 90%인 키토산을 효소로 분해시킨 후, 분자량별(1 kDa이하, 1~5 kDa 및 5~10 kDa)로 분획된 키토산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4에 나타내었다. 탈아세틸화도가 50%인 키토산을 분해하여 얻어진 분자량별 키토산올리고당은 분자량에 관계없이 β-secretase에 대해 모두 10%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5% 키토산의 경우도 거의 10%내외로 나타났다. 그러나 탈아세틸화도가 90%인 키토산을 분해하여 얻어진 분자량별 키토산올리고당의 경우, 1 kDa이하, 1~5 kDa 및 5~10 kDa범위의 키토산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 46.5%, 50.4% 및 34.1%로 나타났다.
실시예 3. β-secretase와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의 반응 메카니즘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결과를 통하여 키틴 및 분자량별로 분획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모두 탈아세틸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분자량별 분획물의 저해활성차이 보다도 높게 나타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에 키토산의 아세틸화도가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틴으로부터 키토산의 제조시, 키틴의 피란(pyran)환에서 2위치의 2차아민으로부터 아세틸기(CH3CO-)가 제거되어 1차아민이 외부로 노출되는 키토산이 얻어지는데 탈아세틸화도의 증가에 의한 키토산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외부로 노출된 키토산의 1차아민이 β-secretase의 활성부위 또는 보조부위에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키토산의 1차아민을 황산화시킨 황산화키토산을 합성하여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황산화키토산 올리고당은 분자량에 관계없이 합성전의 키토산에 비해 3배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도 5). 따라서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효소인 β-secretase의 저해활성은 키토산의 1차아민의 작용이 주된 원인임을 밝힐 수 있었다.
실시예 4.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 및 반응속도
본 발명에서 90%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올리고당을 분자량별(1 kDa이하, 1~3 kDa, 3~5 kDa, 5~10 kDa)로 더욱 세분하여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6에서와 같이 1 kDa이하, 1~3 kDa, 3~5 kDa 및 5~10 kDa범위의 키토산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 46.5%, 60.6%, 74.8% 및 34.1%로 분자량 3~5 kDa 키토산올리고당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키틴 및 키토산의 monomer인 N-acetylglucosamine과 glucosamine의 21.0%와 28.0% 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분자량 3~5 kDa 범위의 키토산올리고당이 β-secretase의 활성을 50% 저해시킬 때의 농도(IC50값)로 나타낸 결과, IC50값은 0.126 mg/mL였다(도 7).
한편, 합성기질에 대한 β-secretase의 반응속도상수 Km 및 Vmax값을 측정한 결과는 도 8에서와 같이 각각 3.44 μM 및 1.767 UF/sec였다. 그리고 분자량 3~5 kDa 범위인 키토산올리고당의 β-secretase에 대한 저해 방식은 Lineweaver-Burk plot(도 8)에서와 같이 저해제의 농도에 관계없이 1/S축의 절편(-1/Km)이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비경쟁적 저해반응 양식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분자량 3~5 kDa 범위인 키토산올리고당의 2위치의 1차 아민은 β-secretase의 활성부위에 결합하여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부위에 결합하여 활성부위의 촉매작용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토산올리고당 중에서 분자량 3~5 kDa 범위의 키토산올리고당은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β-secretase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작용이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키토산올리고당의 분자량뿐만 아니라 키토산의 탈아세틸화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인체내에서의 안전성이 검정되어 있으며, 특히 키토산 올리고당은 체내 흡수율이 키토산 보다 우수하여 분자량 3~5 kDa 범위의 키토산올리고당을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예방 및 치료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분자량 범위가 10 kDa 미만인 키토산올리고당을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β-secretase의 저해제로 사용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서 키토산올리고당의 제조에 사용된 키토산은 75%이상 탈아세틸화된 키토산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식품조성물 및 의약품 첨가물질로서 분자량 10 kDa 미만인 키토산올리고당을 100% 이하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올리고당이 함유된 조성물
KR1020020072431A 2002-11-20 2002-11-20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KR20030005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31A KR20030005097A (ko) 2002-11-20 2002-11-20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31A KR20030005097A (ko) 2002-11-20 2002-11-20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097A true KR20030005097A (ko) 2003-01-15

Family

ID=2772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431A KR20030005097A (ko) 2002-11-20 2002-11-20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509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077A (ja) * 1994-10-14 1996-05-07 Daiwa Kasei Kogyo Kk キトサンとイチョウ葉エキスの健康食品組成物
JPH10182469A (ja) * 1996-12-26 1998-07-07 Sanin Kensetsu Kogyo Kk 脳卒中予防用又は治療用薬剤
KR20020073696A (ko) * 2001-03-15 2002-09-28 장태순 키토산을 이용하여 뇌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방법 및 그억제를 위한 키토산 함유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077A (ja) * 1994-10-14 1996-05-07 Daiwa Kasei Kogyo Kk キトサンとイチョウ葉エキスの健康食品組成物
JPH10182469A (ja) * 1996-12-26 1998-07-07 Sanin Kensetsu Kogyo Kk 脳卒中予防用又は治療用薬剤
KR20020073696A (ko) * 2001-03-15 2002-09-28 장태순 키토산을 이용하여 뇌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방법 및 그억제를 위한 키토산 함유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ta-secretase as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J Neurosci Res. 2002 Nov 1;70(3):373-9 *
Water-soluble chitosan inhibit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in human astrocytoma cells activated by amyloid beta peptide and interleukin-1beta. Neurosci Lett. 2002 Mar 15;321(1-2):105-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örle et al. Tamm-Horsfall glycoprotein: role in inhibition and promotion of renal calcium oxalate stone formation studied with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KR100575229B1 (ko)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Mahesh et al. Effect of photo-irradiated curcumin treatmen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FR2747044A1 (fr) Utilisation de graines de vegetaux apres germination comme source de superoxyde dismutas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agroalimentaires contenant une telle superoxyde dismutase vegetale, et procede d'extraction
EA032076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олученные из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карнозина
Orzheshkovskyi et al. Ceruloplasmin: Its role in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HUE033162T2 (en) Preparations containing chondroitin sulfate, nattokinase and sulfhydryl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KR100898528B1 (ko) 포유동물의 외과수술 또는 치료 방법 또는 진단방법에특히 혈장 증량제로서 사용되는 고차분지형 아밀로펙틴
KR20030005097A (ko) 알쯔하이머성 치매질환 유발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의저해제로서 키토산 및 그 올리고당
Zhang et al. Sulforaphane inhibits the production of Aβ partially through the activation of Nrf2-regulated oxidative stress
JP3536138B2 (ja) ヘスペリジンの結晶析出防止法並びにみかん又はみかん果汁を含む液状食品の白濁防止法
RU2456993C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ого гепарина с антикоагулянтными, антитромбоцитарными, фибринолитическими и фибриндеполимериза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Fryer Vitamin E statu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JP2009102247A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に有効な経口摂取用組成物
KR20060130739A (ko) 프로안토시아니딘 수용성 결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EP2504016B1 (en)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JP6562416B2 (ja) 血管新生阻害剤
Windisch et al. N-PEP-12–a novel peptide compound that protects cortical neurons in culture against different age and disease associated lesions
Lee et al. Effect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on glucose oxidation and protein glycation in vitro
JP3527679B2 (ja) ヒートローヤルゼリー、その製法および配合物
JP2691902B2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及びう蝕予防口腔用組成物
JP5761695B2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に有効な経口摂取用組成物
AU2009239775A1 (en) Silicia for the inhinition of a protease
KR102122123B1 (ko) 사이클로세린 등 항생제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JP4304267B2 (ja) 機能性蛋白質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