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767A -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767A
KR20030003767A KR1020027015905A KR20027015905A KR20030003767A KR 20030003767 A KR20030003767 A KR 20030003767A KR 1020027015905 A KR1020027015905 A KR 1020027015905A KR 20027015905 A KR20027015905 A KR 20027015905A KR 20030003767 A KR20030003767 A KR 2003000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ata
link
divided
unit
lin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유키
다케우치순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7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06F16/94Hyper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이 링크 정보에 다른 페이지의 표제, 다른 페이지에서의 선두 어구, 또는 다른 페이지를 대표하는 어구를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부여된 링크 정보의 어구의 길이, 문자의 색 또는 문자의 크기 등을,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및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DOCUMENT DATA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DOCUMENT PROCESSING SYSTEM}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동시에, WWW(World Wide Web)에 따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등의 구조 기술 언어에 의해서 기술된 컨텐츠(문서, 화상 및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유통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HTML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가 표준화되어 있고, HTML4.01의 규격에 관해서는 W3C의 WWW 페이지 내의 http://www.w3.org/TR/htm1401/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HTML의 기술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HTML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TML은, HEAD 태그, TITLE 태그, HTML 태그, 및BODY 태그 등을 정의하여 문서를 구조화한다. 또한, HTML은 도면 내에서 420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HREF>로 표시되는 하이퍼텍스트 링크 태크(HYPERTEXT LINK TAG)(이하, 간단히 링크 태크라 칭함)를 이용하여, 다른 HTML 파일, 화상 파일, 또는 음성 파일에 링크시키는 하이퍼텍스트를 실현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WWW는 HTML로 기술된 컨텐츠(문서, 화상 및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취득을 요구하는 클라이언트가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된 시스템에 대응하는 메카니즘이다. 그리고, WWW는 이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의 데이터 요구의 송신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의 송신을,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하에서 실행하는 메카니즘이다. 또, HTTP의 규격에 관해서는, RFC2616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서버, 클라이언트와 함께 워크스테이션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한, 서버가 되는 컴퓨터 상에서는 HTTP의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상에서는 HTTP를 이용해서 통신하고, HTML을 해석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HTML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다.
다음에, WWW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WWW를 실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우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4320)의 입력부(4321)에 의해 소망하는 HTML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을 지정하여 HTML 컨텐츠를 요구한다. URL은 네트워크 상의 자원(resource)의 식별자에 관한 규격이며, RFC1738에 기재되어 있다.
입력부(4321)로부터 입력된 요구는, 데이터 요구 송신부(4322)에 의해 네트워크(4330)를 통하여 서버(4310)에 송신된다. 서버(4310)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4311)에서, 클라이언트(4320)로부터 송신되어 온 요구를 수신한다. 다음에, 서버(4310)는, 데이터 취득부(4312)에서, 요구되고 있는 HTML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4313)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데이터 취득부(4312)는 취득한 HTML 컨텐츠를 데이터 송신부(4314)로 송신한다. 문서 데이터 송신부(4314)는 수신한 HTML 컨텐츠를 네트워크(4330)를 경유하여 클라이언트(4320)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4320)는, 데이터 수신부(4323)에서, 요구한 HTML 컨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4320)는, 데이터 표시부(4324)에서, 수신한 HTML 컨텐츠를 표시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4320)가 도 1에 나타낸 HTML 컨텐츠를 수신했다고 하면, 데이터 표시부(4324)는 <BODY>(4218)과 </BODY>(4220)로 둘러싸인 "안녕하세요"라는 문자열(4219)을 표시할 내용으로서 번역한다. 그리고, 데이터 표시부(4324)는, "안녕하세요"라는 문자열(4219)을 표시한다. 또한, 데이터 표시부(4324)는 도면 내에 4201로 표시되는 <A HREF>와 </A>로 둘러싸인 "2"라는 문자열을 링크된 텍스트로서 번역한다. 그리고, 데이터 표시부(4324)는 "2"라는 문자열을 표시한다. 데이터 표시부(4324)가 도 1의 HTML 컨텐츠를 번역하여 표시한 예를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WWW의 보급과 함께 휴대 전화나 PHS 등에 의한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보급도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그와 같은 배경에 앞서, 휴대 전화라는, 자원이 한정된 장치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로서, NTT 도코모가 운영하는 "i 모드"나 KDDI가 운영하는 "EZweb"이나 J-PHONE가 운영하는 "J-SKY 웹" 등이 출현되어 있다.
"i 모드", "EZweb" 및 "J-SKY 웹"에 관한 정보는, 각각, http://www.nttdocomo.co.jp/i/index.html, http://www.au.kddi.co.jp/ezweb/index.html, http://www.j-phone-east.com/p_and_s/sds/jskyweb/start.htm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서비스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정보의 표시 가능 사이즈나 해상도 등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는 정보의 취득이나 정보의 표시에 제한이 생긴다. 그 때문에, 서버는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로 분할하여, 분할한 컨텐츠와 같이 분할한 컨텐츠 사이를 관련된 링크를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이러한 컨텐츠 제공 수법이 몇 가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10-143498호 공보에는, HTML을 이용하여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링크 정보라 함)에 다른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를 부가하는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 11-175426호 공보에는, 원래(original) 컨텐츠를 복수의 페이지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전후 페이지 및 선두 페이지와 최후미 페이지를 부가하는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공보에는, 사용자가 표시한 페이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을 표시 화면에 마련하거나, 또는 스크롤 바를 표시하여 스크롤 바에 의해서 표시하는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하는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공개 제2000-76473호 공보에는, 문서 데이터를 섹션 단위로 페이지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의 표제만을 모은 인덱스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인덱스 페이지에 기술된 표제에서 소망하는 표제를 선택함으로써 소망하는 내용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 10-143498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11-175426호 공보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링크 정보에 다른 페이지의 내용에 관한 정보가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내용의 페이지를 링크 정보로부터 선택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공개 제2000-76473호 공보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섹션마다 분할된 페이지의 표제에 의해서 각 페이지의 내용에 관한 정보는 얻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덱스 페이지를 표시해야 하여, 조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수법에서도,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처의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는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 페이지를 표시하려고 했을 때에, 그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링크 정보로부터 알 수 없고, 그 페이지의데이터량이 사용자의 단말 능력에 적합한지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소정 페이지가 표시되는 데 적절한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하는 데 적절한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및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HTML의 기술(記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WWW를 실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서버 장치 및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6은 실시예 1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HTML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낸 HTML 문서를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래의 HTML 문서와 분할된 HTML 문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HTML 문서의 단말 장치측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실시예 2의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HTML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HTML 문서를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2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2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a)는 도 20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b)는 도 20에 나타낸 HTML 문서의 기타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c)는 도 20에 나타낸 HTML 문서의 기타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3은 실시예 3의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HTML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HTML 문서를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3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HTML 문서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도 24에 나타낸 HTML 문서를 분할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실시예 3에 따라 분할한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도 30에 나타낸 HTML 문서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를 부가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실시예 4에 따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5는 실시예 4의 중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6은 실시예 4의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8은 실시예 5에 따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9는 실시예 5의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실시예 6에 따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2는 실시예 6의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3은 HTML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도 43에 나타낸 HTML 문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 데이터가 분할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사용자가 문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에, 다른 페이지의 표제, 다른 페이지에서의 선두의 어구, 또는 다른 페이지를 대표하는 어구를 부여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는, 각 페이지에 부여된 링크 정보인 다른 페이지의 표제, 선두의 어구, 또는 다른 페이지를 대표하는 어구로부터,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현재 열람하고 있는 페이지로부터 다른 페이지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문서 데이터가 분할되어 있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부여된 링크 정보의 어구의 길이, 문자의 색, 또는 문자의 크기 등을,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링크 정보의 어구의 길이, 문자의 색, 또는 문자의 크기 등으로부터 분할된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어, 표시하기 적절한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는 문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문서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단말 장치에 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캐시를 마련하여, 분할된 다른 페이지가 캐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캐시에 존재하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의 어구의 길이, 문자의 색, 또는 문자의 크기 등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는, 링크 정보의 어구의 길이, 문자의 색, 또는 문자의 크기 등으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가 캐시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캐시에 축적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문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인 서버 장치(110), 단말 장치(1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 장치(110)에는, 문서 데이터를 관리, 보존하는 데이터베이스(113)가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는, 예컨대 하이퍼텍스트 표시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즉, HTML 등의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이다.
또한, 서버 장치(110)에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는, 수신한 요구를 서버 장치(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는, 수신한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취득하여, 서버 장치(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서버 장치(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할된 문서 데이터와 함께 서버 장치(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여, 서버 장치(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가,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부가하는 링크 정보는,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이다.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링크 정보가 부여된 문서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거쳐서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
한편,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이며,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단말 장치(120)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단말 장치(12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네트워크(130)를 거쳐서 서버 장치(11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120)에는, 서버 장치(110)에 대하여 요구한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화상 표시 수단인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브라우저로서의 기능을 갖고,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는 서버 장치(110) 및 단말 장치(120)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 장치(110)를 컴퓨터로 실현한 경우,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의 기능을 한다. 또한,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 및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203)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로서의 기능을 한다.
메모리(201)는 ROM, RAM 등의 몇 개 정도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그램은 ROM에 기억된다. RAM은 CPU(200)가 프로그램의 기술에 근거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이 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를 이용한 단말 장치(120)는, CPU(210)가 메모리(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3)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 및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210)가 메모리(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표시부(214)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메모리(211)는 ROM, RAM 등의 몇 개 정도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그램은 ROM에 기억된다. RAM은 CPU(210)가 프로그램의 기술에 기초를 둔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이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예를 들어, 일관된 자원 위치기(Uniform Resource Locators), 즉, URL 등의 식별자를 지시함으로써, 서버 장치(110)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예컨대, 하이퍼텍스트 표시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즉, HTML 등의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110)가 단말 장치(12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문서 데이터의 정보를 입력부(121)로부터 입력하여 (S301), 입력된 요구를 서버 장치(110)에 송신한다(S302). 그리고, 단말 장치(120)는, 서버 장치(1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문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기다린다(S303).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110)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서,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S304). 다음에,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단말 장치(120)가 요구하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305).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400)는 HTML로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306).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표제 태그인 H1 태그(401a∼401c)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행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307).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도 7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400)는 3개의 페이지(500∼502)로 분할된다. 페이지(500)에는 H1 태그(401a)에서 H1 태그(401b) 사이의 데이터가, 페이지(501)에는 H1 태그(401b)에서 H1 태그(401c) 사이의 데이터가, 페이지(502)에는 H1 태그(401c) 이후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500∼502)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을 추출한다(S308). 실시예 1에서는,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으로서, 각 페이지(500∼502)의 표제를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으로서, <H1>∼</H1> 사이에 기술된 텍스트를 채용한다.
예를 들어,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가, 표제 태그인 H1태그(401a∼401c)의 내용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하면, 도 8의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은, 각각 도면 내에 801a∼801c로 도시되는 "국토", "기후", "인구"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500∼502)와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의해서 추출된 각 페이지의 특징(801a∼801c)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500∼502)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309). 이 때,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인 <A href>∼</A> 사이에, 다른 페이지의 특징(801)을 부가한다.
도 9에, 도 8의 페이지(500)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900)에는 페이지(501)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901a)와, 페이지(502)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901b)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901a)의 내에는, 페이지(501)의 특징인 "기후"(801b)가 링크 정보로서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901b) 내에는, 페이지(502)의 특징인 "인구"(801c)가 링크 정보로서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요구된 문서 데이터와 분할된 각 페이지의 관계를 도시한다. 1001로 표시되는 문서 데이터는 도 7의 문서 데이터(400)에 대응하는 것이고, 1002로 표시되는 문서 데이터는 도 8의 페이지(500)에 대응하는 것이고, 1003으로 표시되는 문서 데이터는 도 8의 페이지(501)에 대응하는 것이며, 1004로 표시되는 문서 데이터는 도 8의 페이지(502)에 대응하는 것이다. 문서 데이터(1002)에는,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004a)에 더하여, 링크 정보로서 문서 데이터(1003)로 링크된 텍스트(1004b) 및 문서 데이터(1004)에 링크된 텍스트(1004c)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문서 데이터(1003)에는,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005b)에 더하여, 링크 정보로서 문서 데이터(1002)에 링크된 텍스트(1005a) 및 문서 데이터(1004)에 링크된 텍스트(1005c)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문서 데이터(1004)에는,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006c)에 더하여, 링크 정보로서 문서 데이터(1002)에 링크된 텍스트(1006a) 및 문서 데이터(1003)에 링크된 텍스트(1006b)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순차적으로 보낸다. 우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선두 페이지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문서 데이터(900)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310).
이것에 대하여, 단말 장치(120)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서, 서버 장치(1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페이지를 수신한다(S311). 그리고,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가, 수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송신되어 온 HTML로 기술된 페이지를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312).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요구한 문서 데이터의 선두 페이지를 표시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120)의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도 9에 나타낸 페이지를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1000)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1001)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002a)에 더하여, 페이지(501)에 링크된 텍스트(1002b) 및 페이지(502)에 링크된 텍스트(1002c)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의 열람을 희망하여,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페이지의 표시를 요구하면(S313),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가 서버 장치(110)에 대하여 다른 페이지의 요구를 송신한다(S302).
여기서는, 사용자가 링크 정보로서 "기후"(1002b)라는 페이지(501)에 대한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다른 페이지를 요구한 경우의 서버 장치(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110)는, 그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 의해서 수신하여(S304),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요구되고 있는 페이지의 소스로 되어있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305).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306). 분할은, 시작과 마찬가지로 표제 태그인 H1 태그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하여, 분할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307). 도 8에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된 페이지(500∼502)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페이지(500∼502)의 특징을 추출한다(S308). 여기서도,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표제 태그인 H1 태그(401a∼401c)의 내용을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은, 각각 도면 내의 801a∼801c로 나타내는 "국토", "기후", "인구"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된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801a∼801c)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부가한다(S309).
도 12에, 도 5의 501의 페이지에 링크(901∼902)를 부가한 문서(1200)를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1200)에는, 페이지(500)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201a)와, 페이지(502)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201b)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201a) 중에는, 링크 정보로서 페이지(500)의 특징인 "국토"(1202)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20lb) 중에는, 페이지(502)의 특징인 "인구"(801c)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 문서 데이터(1200)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요구된 분할된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310).
단말 장치(120)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서, 서버 장치(1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페이지를 수신한다(S311).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내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사용자가 요구한 페이지를 표시한다(S312).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가, 도 12에 나타낸 페이지를 표시한 화면을 도 13에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1300)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1301)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302b)에 더하여, 링크 정보로서 페이지(500)에 링크된 텍스트(1302a) 및 페이지(502)에 링크된 텍스트(1302c)가 기술된다.
또한,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인구"나, "국토"를 선택한 경우이더라도, S310∼S313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다른 페이지를 마찬가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는 각 페이지에 부여된 링크 정보로부터,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열람하고 있는 페이지로부터 다른 페이지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문서 데이터가 분할되어 있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하면, 링크 정보에 채용하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다른 페이지의 표제를 이용할 수 있다. 표제는, 각 페이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링크 정보가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나타내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링크 정보에 채용하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다른 페이지의 표제를 사용했지만, 다른 페이지에 있어서의 실체의 선두 어구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실체를 나타내는 태그인 <body>∼</body> 사이에 기술된 텍스트의 선두 어구를 추출하면 좋다.
또한, 링크 정보로서, <body>∼</body> 사이에 기술된 텍스트의 선두로부터 소정수의 문자를 추출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링크 정보에 채용하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다른 페이지의 표제를 사용했지만, 다른 페이지에서의 내용의 키워드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실체를 나타내는 태그인 <body>∼</body> 사이에 기술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어구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어구를 내용의 키워드로서 사용한다. 내용의 키워드는, 각 페이지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어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링크 정보가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나타내게 된다.
또, 실시예 1에서는, 문서 데이터를 기술하는 언어로서 HTML을 사용했지만,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할 수 있는 언어라면 어느 언어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사용자가 링크처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링크 정보의 기술을 대응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바꾸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서버 장치(1110), 단말 장치(1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에 접속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2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서버 장치(1110)의 구성이 실시예 1의 문서 데이터 시스템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장치(1110)는, 분할한 각 페이지 데이터량에 따른 수의 문자열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태그 이외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추출하여, 이 특징을 링크 정보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분할된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링크 정보로부터 파악할 수 있어, 어느 페이지를 표시할지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서버 장치(1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서버 장치(1110)에는,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확인하는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는, 확인한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서버 장치(1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에 출력한다.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할된 문서 데이터와 함께 서버 장치(11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특징으로서 추출하는 문자열의 길이를 바꾼다. 구체적으로는,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이 많을수록 특징으로서 추출하는 문자열의 길이를 길게 한다.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는, 분할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가,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부가하는 링크 정보는,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이다.
단말 장치(120)는, 실시예 1의 단말 장치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서버 장치(1110) 및 단말 장치(120)를 컴퓨터로 실현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컴퓨터를 이용한 단말 장치(120)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예를 들어 URL 등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것에 의해, 서버 장치(1110)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HTML 등의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1110)가 단말 장치(12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2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버 장치(1110)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서,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S1201). 다음에,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단말 장치(120)가 요구하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1202).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는 HTML로 기술되어 있다. 또, 도 16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문자열에 기호를 쓰고 있지만, 실제로는 의미가 있는 문자열이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1203).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단락 태그인 P 태그(1601a∼1601c)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1204).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도 16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6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는 3개의페이지(1400∼1402)로 분할된다. 도면에서 14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1400)에는 P 태그(1601a)의 데이터가, 도면에서 1404∼140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1401)에는 P 태그(1601b)의 데이터가, 도면에서 1408, 140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1402)에는 P 태그(1601c)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1400∼1402)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5)가, 각 페이지(1400∼1402)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량을 확인한다(S1205).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각 페이지(1400∼1402) 안에서, 1403, 1404, 1405, 1406, 1407, 1408, 1409가, S1205에서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가 데이터량을 확인하는 조건에 일치하는 부분이다. 이 예에서는, 1 문자를 2 바이트로 하고, 페이지(1400)에는 44 바이트 분량의 데이터량의 문자열, 페이지(1401)에는 224 바이트 분량의 데이터량의 문자열, 페이지(1402)에는 116 바이트 분량의 데이터량의 문자열이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확인한 각 페이지(1400∼1402)의 데이터량을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각 페이지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데이터량에 따른 문자열을 각 페이지(1400∼1402)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S1206).
구체적으로는,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각 페이지(1400∼1402)의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각 페이지(1400∼1402)에서의 데이터량의 10분의 1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바이트수에 상당하는 문자열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17의 페이지(1400∼1402)의 특징은, 각각 4 바이트 분량의 문자열 ""(1501), 22 바이트 분량의 문자열 ""(1502), 12 바이트 분량의 문자열 ""(1503)이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1400∼1402)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1501∼1503)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는, 분할된 각 페이지(1400∼1402)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1207). 이 때,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로서,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인 <A href>∼</A> 사이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가 추출한 다른 페이지의 특징을 부여한다.
도 18에, 도 17의 1400의 페이지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1800)에는, 페이지(1400)의 특징인 ""(1501)에 더하여, 페이지(1401)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504)와, 페이지(1402)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505)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504) 중에는, 페이지(1401)의 특징인 ""(1502)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505) 중에는, 페이지(1402)의 특징인 ""(1503)이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부가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1208). 이 경우에,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선두의 문서 데이터(1800)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
한편, 단말 장치(120)는 서버 장치(1110)로부터 송신된 선두의 페이지의 문서 데이터(1800)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한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1800)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1800)를 해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한다.
도 19에, 도 18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1800)를 단말 장치(120)의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서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1601)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1604)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1605)에 더하여, 페이지(1401)에 링크된 텍스트(1602) 및 페이지(1402)에 링크된 텍스트(1603)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페이지의 표시를 요구하면,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는 서버 장치(1110)에 대하여 다른 페이지의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라는 링크(1602)를 선택하여 페이지를 요구했다고 한다.
서버 장치(1110)는, 그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하여(S1201), 요구되고 있는 페이지의 소스로 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1202).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1203). 분할은, 개시와 마찬가지로 표제 태그인 P 태그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하여, 분할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1204). 도 17에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1400∼1402)를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는, 각 페이지(1400∼1402)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량을 확인한다(S1205). 도 17에 나타낸 페이지(1400)의 데이터량은 44 바이트, 페이지(1401)의 데이터량은 224 바이트, 페이지(1402)의 데이터량은 116 바이트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량 확인부(1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확인한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데이터량에 따른 문자열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각 페이지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추출한다(S1206). 여기서도,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각 페이지(1400∼1402)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각 페이지(1400∼1402)에서의 데이터량의 10분의 1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바이트 수에 상당하는 문자열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 도 17의 페이지(1400∼1402)의 특징은, 각각 ""(1501), ""(1502), ""(1503)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1400∼1402)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1501∼1503)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로서, 각 페이지의 특징(1501∼1503)을 부가한다(S1207).
도 20에, 도 17의 1401의 페이지에 링크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도 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2000)에는, 페이지(1401)의 특징인 ""(1702)에 더하여, 페이지(1400)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704)와, 페이지(1402)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1705)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704) 중에는, 페이지(1400)의 특징인 ""(1701)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1705) 중에는, 페이지(1402)의 특징인 ""(1703)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17)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요구된 분할된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1208).
단말 장치(120)는, 서버 장치(11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페이지의 문서 데이터(2000)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한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2000)를 해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한다.
도 21(a)에, 도 20에 나타낸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가 표시한 표시예를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2101)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2102)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2104)에 더하여, 페이지(1400)에 링크된 텍스트(2103) 및 페이지(1402)에 링크된 텍스트(2105)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하면,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의 기술을,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링크 정보의 기술로부터 분할된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소정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어, 표시하기 적절한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는 문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하면, 링크 정보로서 기술하는 문자열의 길이를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링크 정보의 문자열의 길이로부터, 시각적으로 다른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서는, 링크 정보로서 기술하는 문자열의 길이를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했지만, 링크 정보로서 기술하는 문자열의 폰트의 크기를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기술을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는, 도 21(b)에 나타내는 페이지(2106)와 같이,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2107∼2109)의 폰트의 크기를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크기를 봄으로써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서버 장치(1110)로부터 단말 장치(120)에 링크처의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120)측에서 이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에 따라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표시사이즈를 바꾸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링크 정보로서 기술하는 문자열의 색이나 농담을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기술을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는, 도 21(c)에 나타내는 페이지(2110)와 같이,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2111∼2113)의 색 또는 농담을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색 또는 농담을 봄으로써 대응하는 페이지의 데이터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서버 장치(1110)로부터 단말 장치(120)에 링크처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120)측에서 이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에 따라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색 또는 농담을 바꾸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실시예 2에서는,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링크처의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이용했지만,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링크처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좋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문서 데이터의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는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를 부가하여,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페이지의 분할 크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3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예 3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의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부여한다.
도 22에 있어서, 서버 장치(1910), 단말 장치(1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예 3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서버 장치(1910)의 구성이 실시예 1의 문서 데이터 시스템과 다르다.
이하, 서버 장치(19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1910)에는, 요구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보내져오는 분할 변경의 지시에 따라 분할의 변경도 실행한다.
또한, 서버 장치(1910)에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에, 문서 데이터를 새롭게 분할하여 고치는 경우에 분할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는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 장치(12)는 실시예 1의 단말 장치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서버 장치(1910) 및 단말 장치(120)를 컴퓨터로 실현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 및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컴퓨터를 이용한 단말 장치(120)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예컨대 URL 등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것에 의해, 서버 장치(1910)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HTML 등의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1910)가 단말 장치(12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버 장치(1910)는 단말 장치(120)로부터의 문서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 의해서 수신한다(S2001). 다음에, 문서 데이터 요구 취득부(112)가, 단말 장치(120)가 요구하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2002).
도 24에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2400)는, HTML로 기술되어 있다. 또, 도 24에서는, 설명의 간략화하기 위해서 문자열에 기호를 쓰고 있지만, 실제로는 의미가 있는 문자열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1 문자는 2 바이트의 데이터량을 갖는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분할한다(S2003).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예컨대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를 고정된 바이트수마다 구분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분할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2004). 도 25에, 도 24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를 상술한 조건으로 128 바이트마다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4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2400)는 3개의 페이지(2200∼2202)로 분할된다. 도면 내에 22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2200)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부분(2401)을 128 바이트로 분할한 선두 데이터(2203)가, 도면 내에 22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지(2201)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부분(2401)을 128 바이트로 분할한 2번째의 데이터(2204)가, 도면 내에 2205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지(2203)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부분(2401)을 128 바이트로 분할한 세번째 데이터(2205)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분할한 각 페이지(2200∼2202)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2200∼2202)의 특징을 추출한다(S2005).
예를 들어,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가, 각 페이지(2200∼2202)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8 바이트의 문자열을 각 페이지(2200∼2202)의 특징으로서 추출하면, 각 페이지(2200∼2202)의 특징은 각각""(2301), ""(2302), ""(2303)이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한 각 페이지(2200∼2202)의 특징(2301∼2303)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실시예 1의 처리와 같이, 분할된 각 페이지(2200∼2202)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2006).
도 26에, 도 25의 페이지(2200)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도 2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2300)에는, 페이지(2200)의 특징인 ""(2301)에 더하여, 페이지(2201)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2304)와, 페이지(2202)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2305)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2304) 중에는, 페이지(2201)의 특징인 ""(2302)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2305) 중에는, 페이지(2202)의 특징인 ""(2303)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새롭게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경우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2007).
도 26에 나타낸 페이지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2401, 2402)를 부가한 문서 데이터 예를 도 27에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2400)는, 도 26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2300)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2401, 2402)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링크 정보(2401)에는, 분할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술(2403)과, 링크 정보(2401)의 내용을 나타내는 "분할을 작게"라는 기술(2405)이 되어 있다. 또한, 링크 정보(2402)에는, 분할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술(2404)과, 링크 정보(2402)의 내용을 나타내는 "분할을 크게"라는 기술(2406)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크 정보(2401, 2402) 중에 각기의 내용을 나타내는 기술(2405, 2406)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들의 링크 정보(2401, 2402)가 어떠한 분할을 하는 것인지 알 수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는,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선두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2008).
한편, 단말 장치(120)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서, 서버 장치(19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선두 페이지의 문서 데이터(2300)를 수신한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2300)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2300)를 해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한다.
도 27에 나타낸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서 표시한 표시예를 도 28에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2500)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2501)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2502)에 더하여, 페이지(2201)에 링크된 텍스트(2503) 및 페이지(2202)에 링크된 텍스트(2503)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페이지(2500)에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의 변경을 작게 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2505)와, 문서 데이터의 분할의 변경을 크게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2506)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2505, 2506)를 선택함으로써 분할 크기의 변경을 요구하면,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는 서버 장치(1910)에 대하여 분할 크기 변경의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분할을 크게"(2505)라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분할 크기의 변경을 요구했다고 한다.
서버 장치(1910)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서, 그 요구를 수신한다(S2001). 그리고,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요구되고 있는 페이지의 소스로 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2002).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2003). 분할은, 개시와 마찬가지로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를 고정의 바이트수마다 구분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는,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사용자로부터의 분할의 크기의 변경 요구에 근거한 고정 바이트수로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를 분할한다. 여기서는, 사용자로부터 분할의 크기의 변경 요구에 의해, 고정 바이트수가 200 바이트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200 바이트마다 분할한 후에, 분할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부가한다(S2004).
도 24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를 상술한 조건으로 200 바이트마다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도 29에 나타낸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4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2400)는 2개의 페이지(2600, 2601)로 분할된다. 도면에서 26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2600)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부분(2401)을 200 바이트로 분할한 선두의 데이터(2602)가 기술되어 있고, 도면에서 24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2601)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부분(2401)을 200 바이트로 분할한 2번째의 데이터(2603)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914)는 분할한 각 페이지(2600, 2601)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2600, 2601)의 특징을 추출한다(S2005). 여기서도,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2600, 2601)의 BODY 태그의 내용으로부터 태그를 제외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8 바이트의 문자열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 예컨대, 도 26의 2600, 2601의 각 페이지의 특징은, 각각 ""(2701), ""(2702)이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9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916)는 분할된 각 페이지(2600, 2601)의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에 이 특징(2701, 2702)을 부가한다(S2006).
도 30에, 도 29의 2600 페이지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도 3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2700)에는, 페이지(2600)의 특징인 ""(2701)에 더하여, 페이지(2601)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태그(2703)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2703) 중에는, 페이지(2601)의 특징인 ""(2702)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7)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는, 상술한 처리와 같이, 분할된 각 페이지로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2007).
도 31에, 도 30에 나타낸 페이지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2801, 2802)를 부가한 문서 데이터의 예(2800)를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2800)는, 도 30에 나타내는 문서 데이터(2700)에,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2801, 2802)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링크(2801)에는, 분할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술(2803)과, 링크(2801)의 내용을 나타내는 "분할을 작게"(2805)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2802)에는, 분할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술(2804)과, 링크(2802)의 내용을 나타내는 "분할을 작게"(2806)라고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 변경 링크 부가부(1917)는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는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새롭게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선두의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2008). 한쪽, 단말 장치(120)는 서버 장치(19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선두의 페이지의 문서 데이터(2800)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한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2800)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2800)를 해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한다.
도 32에, 도 31에 나타낸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서 표시한 표시예를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페이지(2900)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2901)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2902)에 더하여, 페이지(2601)에 링크된 텍스트(2903) 및 페이지(2602)로 링크된 텍스트(2903)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페이지(2900)에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 변경을 작게 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2905)와, 문서 데이터의 분할의 변경을 크게 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2906)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페이지(2900)를 보고, 소망하는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텍스트를 지시하거나, 소망하는 분할을 하는 텍스트를 지시하여, 소망하는 문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분할의 변경을 지시하는 분할 변경 링크 정보에 분할 방법의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분할 변경 링크 정보의 기술로부터 분할 방법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적절히 문서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문서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하는 서버 기능을 가지는 장치와,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을 분할한 문서 데이터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부가하는 문서 데이터 편집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4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실시예 4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의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부여한다.
도 33에 있어서, 중계 장치(3010), 서버 장치(3020), 단말 장치(1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 장치(3010)에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11)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11)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중계 장치(301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3012)에 송신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3012)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서버 장치(3020)에 전송한다.
또한, 중계 장치(3010)에는 서버 장치(30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보낸다.
또한, 중계 장치(3010)에는,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 및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관해서는, 실시예 1에 설명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서버 장치(3020)에는, 중계 장치(3010) 또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보내어져 온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21)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21)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서버 장치(302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의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하여, 서버 장치(302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에 보낸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3)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는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중계 장치(3010) 또는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120)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것으로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중계 장치(3010)에 대하여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송신하고, 요구한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문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4는 중계 장치(3010)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도시하는 도면이다.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추출부(115),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의 기능을 한다. 또한,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11),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3012),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 및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로서의 기능을 한다.
실시예 4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예를 들어 URL 등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것에 의해 중계 장치(3010)에 대하여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계 장치(3010)가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서버 장치(3020)로부터 획득하고, 이 문서 데이터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단말 장치(120)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4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35, 도 3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중계 장치(3010)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며, 도 36은 서버 장치(3020)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중계 장치(3010)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11)에 의해서 수신하여(S3201), 수신한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3012)에 의해서 서버 장치(3020)에 전송한다(S3202).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3020)는, 중계 장치(3010)로부터 송신된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21)에 의해서 수신하고(S3301),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가 요구되고 있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3302).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가 데이터베이스(3023)로부터 취득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는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는 문서 데이터를 중계 장치(3010)에 송신한다(S3303).
이것에 대하여, 중계 장치(3010)는, 서버 장치(3020)로부터 송신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에 의해서 수신하여(S3203),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가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3204).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실시예 1과 같이, 예를 들어 표제 태그인 H1 태그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각 페이지에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3205). 도 7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한다(S3206). 예를 들어, 표제 태그인 H1 태그의 내용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하면, 도 8의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은, 각각 "국토", "기후", "인구"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3207). 도 9에, 도 8의 페이지(500)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선두의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3208).
이것에 대하여, 단말 장치(120)는 중계 장치(30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는 수신된 페이지를 해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한다.
도 11에, 도 9에 나타낸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서 표시한 표시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의 입력부(121)로부터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페이지의 문서 데이터를 요구하면,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는 중계 장치(3010)에 대하여 다른 페이지의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기후"라는 링크를 선택하여 페이지를 요구했다고 한다.
중계 장치(3010)는, 그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11)에 의해서 수신하고(S3201), 수신한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3012)에 의해서 서버 장치(3020)에 전송한다(S3202). 서버 장치(3020)는, 중계 장치(3010)로부터 송신된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3021)에 의해서 수신하고(S3301),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가 요구되고 있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S3302).
다음에, 문서 데이터 취득부(3022)는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에 보내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3024)는 문서 데이터를 중계 장치(3010)에 송신한다(S3303).
중계 장치(3010)는 서버 장치(3020)로부터 송신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3013)에 의해서 수신하여(S3203),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의해 분할한다(S3204).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표제 태그인 H1 태그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3205). 도 8에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한다(S3206).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의 특징을,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표제 태그인 H1 태그의 내용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한다. 도 8의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은, 각각 "국토", "기후", "인구"가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3207). 도 12에 도 8의 페이지(501)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요구된 분할된 페이지를 단말 장치(120)에 송신한다(S3208).
단말 장치(120)는 중계 장치(3010)로부터 송신된 분할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한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123)는 수신한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 보내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가 사용자에 대하여 수신한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13에, 도 12에 나타낸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124)에서 표시한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문서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하는 서버 기능을 가지는 서버 장치(3020)와,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며, 그리고 추출한 특징을 분할한 문서 데이터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부가하는 문서 데이터 편집기능을 가지는 중계 장치(3010)를나눌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입력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한 특징을 분할한 문서 데이터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부가하여 출력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5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실시예 5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의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부여한다.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에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는 입력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보낸다.
또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에는,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관해서는, 실시예 1에 설명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에는,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로부터 출력된 문서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출력하는 문서 데이터 출력부(3405)가 마련되어 있다.
도 38은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 문서 데이터 추출부(115), 및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의 기능을 한다. 또한, CPU(200)가 메모리(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501)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 및 문서 데이터 출력부(3405)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하, 실시예 5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39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3400)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에 의해서 문서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S3601). 도 7에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가 입력을 접수한 문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입력부(3401)는 입력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입력을 접수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S3602).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는 문서 데이터의 분할을, 예컨대 표제 태그인 H1 태그를 구획 절단으로 하여 실행하고, 분할된 각 페이지가 HTML의 문법에 맞도록 모자라는 태그를 부가한다(S3603). 도 7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다음에, 분할 데이터 분할부(114)는 분할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특징추출부(11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한다(S3604). 예컨대, 표제 태그인 H1 태그의 내용을 각 페이지의 특징으로서 추출하면, 도 8의 각 페이지(500∼502)의 특징은, 각각 "국토", "기후", "인구"가 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는, 분할된 각 페이지와 추출한 각 페이지의 특징을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를 부가한다(S3605). 도 9에, 도 8의 페이지(500)에 링크 정보를 부가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요구된 문서 데이터와 분할된 각 페이지의 관계를 도시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6)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부가된 각 페이지를 문서 데이터 출력부(3405)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출력부는 분할된 문서 데이터의 선두의 페이지를 다른 장치에 대하여 출력한다(S360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의하면,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한 특징을 분할한 문서 데이터에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로서 부가하여, 다른 장치에 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문서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에 문서 데이터를저장하는 캐시부를 마련하여, 분할된 페이지가 캐시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의 기술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6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6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4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실시예 6에 따른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서버 장치(110), 단말 장치(37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 장치(110)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장치(3720)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범용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단말 장치(3720)에는, 입력부(121)와,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말 장치(3720)에는, 서버 장치(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서 데이터 수신부(3723)가 마련되어 있다. 문서 데이터 수신부(372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3720)에 마련된 캐시부(3724) 및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에 보낸다.
캐시부(3724)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억 수단이다.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서 데이터의 링크 정보 등을얻는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는 해석 결과를 단말 장치(3720)에 마련된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 및 캐시 확인부(3726)에 보낸다.
캐시 확인부(3726)는,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가 얻은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가 캐시부(3724)에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캐시 확인부(3726)는 이 확인 결과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에 송신한다.
또한,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는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로부터 보내져 오는 문서 데이터를 캐시 확인부(3726)의 확인 결과에 따라서 표시한다.
도 41은 단말 장치(3720)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한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단말 장치(3720)는, CPU(210)가 메모리(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3)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요구 송신부(122), 문서 데이터 수신부(3723),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 및 캐시 확인부(3726)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210)가 메모리(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표시부(214)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의 기능을 실현한다.
이하, 단말 장치(3720)의 동작에 대하여, 도 4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단말 장치(3720)의 입력부(121)로부터 예컨대 URL 등의 식별자를 지시함으로써, 서버 장치(110)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예컨대 HTML 등의 구조 기술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요구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요구송신부(122)는 입력된 요구를 서버 장치(110)에 대하여 송신한다(S3901).
이것에 대하여, 서버 장치(110)는 단말 장치(3720)로부터 송신되어 온 요구를 문서 데이터 요구 수신부(111)에 의해서 수신하고, 문서 데이터 취득부(112)가 요구되고 있는 문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가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특징 추출부(115)가 분할한 문서 데이터의 각 페이지의 특징을 추출한다. 다음에, 문서 데이터 이동 링크 부가부(117)는, 분할된 각 페이지에, 추출된 다른 페이지의 특징을 링크 정보로서 부가하여,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에 보낸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가 이 링크 정보가 부가된 문서 데이터를 단말 장치(3720)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송신부(117)가 송신하는 문서 데이터의 예를 도 43에 나타낸다. 도 4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4300)에는, 다른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인 링크 태그(4301a, 4301b)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링크 태그(4301a, 4301b) 중에는, 다른 페이지의 특징인 "기후"(4302a), "인구"(4302b)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단말 장치(3720)는, 서버 장치(110)로부터 송신된 문서 데이터를 문서 데이터 수신부(3723)에 의해 수신한다(S3902).
문서 데이터 수신부(3723)는, 수신한 문서 데이터를 캐시부(3724)에 보내어, 문서 데이터의 식별자와 대응 첨부하여 보존하는(S3903) 동시에,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에 보낸다.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는, 송신되어 온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S3904), 문서 데이터 내에 다른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905) .
그리고,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는, S3905에서, 문서 데이터 내에 다른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링크되어 있는 다른 문서 데이터의 식별자를 캐시 확인부(3726)에 보낸다.
다음에, 캐시 확인부(3726)는, 송신되어 온 식별자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가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906, S3907).
그리고, S 3907에서, 캐시 확인부(3726)가 캐시부(3724)에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식별자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에 통지한다(S3908).
다음에,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는,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로부터 보내어진 문서 데이터와 캐시 확인부(3726)로부터 보내어진 확인의 결과에 따라서, 링크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크게 표시한다(S3909).
한편, S 3907에서, 캐시 확인부(3726)가 캐시부(3724)에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문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에 통지한다.
그리고,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는, 문서 데이터 해석부(3725)로부터 보내어진 문서 데이터와 캐시 확인부(3726)로부터 보내어진 확인의 결과에 따라서, 링크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보통의 크기로 표시한다(S3910).
도 44에, 도 43에 나타낸 페이지를 단말 장치(3720)의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에 표시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문서 데이터 표시부(3727)에 표시되는 페이지(4102)에는, 자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4104)과, 자신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4103)에 더하여, 다른 페이지로 링크 첨부된 텍스트(4100, 4101)가 표시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텍스트(4100)는 통상의 크기로 표시된 텍스트(4101)보다 크게 표시되어 있다.
즉, 텍스트(4100)에 링크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는 캐시부(3724)에 존재하고, 텍스트(4101)에 링크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는 캐시부(3724)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에 의하면, 분할된 페이지가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경우에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의 기술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사용자는, 링크 정보의 기술 형태의 차이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가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캐시부(3724)에 축적되어 있는 다른 페이지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서 데이터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서는,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캐시부(3724)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보다도 크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부터, 시각적으로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실시예 6에서는,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캐시부(3724)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보다도 크게 했지만,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길이를 캐시부(3724)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보다도 길게 해도 좋다. 또한,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색이나 농담을 바꾸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캐시부(3724)에 존재하는 페이지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에 음영 표시를 하더라도 좋다.
또, 실시예 6에서는,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링크처의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이용했지만,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링크처의 페이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6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3)에 분할되어 있지 않은 문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문서 데이터 분할부(114)에서 분할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데이터베이스(113)에 미리 소정의 크기로 분할된 문서 데이터를 축적해 두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는, 2001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1-84803호 및 제2002년 3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2-61132에 근거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 전화 등의 자원이 한정된 단말 장치로부터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에 문서 데이터를 요구한 경우에,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가 요구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다른 페이지로부터 추출한 표제 등의 특징을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링크된 다른 페이지의 특징을 바탕으로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는 유리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 전화 등의 자원이 한정된 단말 장치로부터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에 문서 데이터를 요구한 경우에,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가 요구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서 다른 페이지로부터 추출한 표제 등의 특징을 각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링크된 다른 페이지의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쾌적하게 한다는 유리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 전화 등의 자원이 한정된 단말 장치로부터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에 문서 데이터를 요구한 경우에,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가 요구된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각 페이지로 분할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링크를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분할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쾌적하게 한다는 유리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취득한 문서 데이터를 캐시에 보존하고, 또한 취득한 문서 데이터에 링크되어 있는 다른 문서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문서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의 표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링크처의 문서 데이터를 열람하는 경우에, 링크를 나타내는 텍스트로부터, 서버 장치 또는 중계 장치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취득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문서 데이터의 열람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는 유리한 결과가 얻어진다.

Claims (30)

  1.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와,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특징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선두 어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내용에 가장 많이 기재되어 있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5.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에서의 각각의 데이터량을 확인하는 데이터량 확인부와,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데이터량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가부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가부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가부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상기 문자열의 폰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9. 문서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와,
    상기 분할부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재분할하는 것을 지시하는 분할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분할 링크 정보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는 분할 링크 부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10.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와,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와,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특징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와,
    상기 링크 정보가 부가된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1.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와,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 각각에서의 데이터량을 확인하는 데이터량 확인부와,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데이터량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와,
    상기 링크 정보가 부가된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2.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와,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는 링크 부가부와,
    상기 분할부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재분할하는 것을 지시하는 분할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분할 링크 정보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는 분할 링크 부가부와,
    상기 링크 정보 및 상기 분할 링크가 부가된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상기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접수하는 입력부와,
    청구항 10에 기재된 서버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요구를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의 내용과 함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특징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4.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접수하는 입력부와,
    청구항 11에 기재된 서버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요구를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의 내용과 함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특징을상기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5. 사용자로부터의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접수하는 입력부와,
    청구항 12에 기재된 서버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요구를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의 내용과 함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 및 상기 분할 링크 정보에 부여된 상기 소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6.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문서 데이터를 작성하여,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한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 장치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된 상기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를 유지하는 캐시부와,
    상기 송신된 링크 첨부 문서 데이터에 링크하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가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캐시 확인부와,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문서 데이터 표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의 색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의 길이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링크처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의 폰트의 크기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20. 청구항 10에 기재된 서버 장치와,
    청구항 13에 기재된 단말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21. 청구항 11에 기재된 서버 장치와,
    청구항 14에 기재된 단말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22. 청구항 12에 기재된 서버 장치와,
    청구항 15에 기재된 단말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23.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방법.
  24.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에서의 각각의 데이터량을 확인하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방법.
  25. 문서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로 분할하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고,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분할부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재분할하는 것을 지시하는 분할 링크 정보를 부가하며, 상기 분할 링크 정보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데이터 처리 방법.
  26. 문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문서 데이터를 작성하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여 송신하는 서버 장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된 분할 문서 데이터에 링크하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 중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서 데이터 처리 방법.
  27. 컴퓨터에,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시키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시키고,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특징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로그램.
  28. 컴퓨터에, 하나의 문서 데이터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에서의 각각의 데이터량을 확인시키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시키고,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량에 따라 변화시켜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로그램.
  29. 컴퓨터에, 문서 데이터를 복수의 분할 문서 데이터로 분할시키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시키고,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시키고,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시키고, 상기 분할부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재분할하는 것을 지시하는 분할 링크 정보를 부가시키며, 상기 분할 링크 정보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분할하는 상기 소정의 크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0. 컴퓨터에, 문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기 문서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문서 데이터를 작성하고, 소정의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에 다른 상기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상기 링크 정보에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여 송신하는 서버 장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요구를 송신시켜, 상기 송신된 분할 문서 데이터에 링크하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 중 캐시부에 존재하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과 상기 캐시부에 존재하지 않는 상기 다른 분할 문서 데이터로의 상기 링크 정보에 부가된 상기 문자열을 변화시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로그램.
KR1020027015905A 2001-03-23 2002-03-14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30003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4803 2001-03-23
JPJP-P-2001-00084803 2001-03-23
JP2002061132A JP2002351736A (ja) 2001-03-23 2002-03-06 文書データ処理装置、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文書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JP-P-2002-00061132 2002-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767A true KR20030003767A (ko) 2003-01-10

Family

ID=2661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905A KR20030003767A (ko) 2001-03-23 2002-03-14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79183A1 (ko)
EP (1) EP1372088A1 (ko)
JP (1) JP2002351736A (ko)
KR (1) KR20030003767A (ko)
CN (1) CN1462401A (ko)
WO (1) WO2002077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846A (ja) * 2002-06-27 2004-03-18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区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区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366981B2 (en) * 2002-10-04 2008-04-29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JP3935856B2 (ja) 2003-03-28 2007-06-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レイアウトの定められた文書のダイジェストを作成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14160B2 (ja) * 2003-05-30 2007-11-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94805B2 (en) * 2003-06-25 2015-07-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bile messaging concierge
JP4340483B2 (ja) * 2003-06-27 2009-10-07 富士通株式会社 複合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および配信システム
WO2006123429A1 (ja) * 2005-05-20 2006-11-23 Fujitsu Limited 情報検索方法、装置、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11069B2 (ja) * 2005-10-24 2011-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示処理プログラム
JP4928117B2 (ja) * 2005-11-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管理方法、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771915B2 (ja) * 2006-11-15 2011-09-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Htmlテキストを変換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65581B2 (ja) * 2007-02-08 2012-0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ンテンツ流通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
JP4935396B2 (ja) * 2007-02-09 2012-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Webコンテンツ提供装置、Web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0637B2 (ja) * 2007-02-28 2011-06-15 関西電力株式会社 Web文書分割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1866256A (zh) * 2009-04-16 2010-10-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系统及电子设备用户操作界面显示方法
JP5530217B2 (ja) * 2010-02-24 2014-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文書閲覧システム及びドキュメント変換サーバ
US9001390B1 (en) * 2011-10-06 2015-04-07 Uri Zerni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ctions of documents
US8504827B1 (en) 2013-02-27 2013-08-06 WebFilings LLC Document server and client device document viewer and editor
WO2016036345A1 (en) * 2014-09-02 2016-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External resource identification
CN111291152A (zh) * 2018-12-07 2020-06-16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案例文书的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815243B (zh) * 2019-02-18 2020-03-03 北京仁和汇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文档界面化修改时的结构化存储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498A (ja) * 1996-11-08 1998-05-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ンク付与機能を持つページ分割通信中継装置
JPH10143403A (ja) * 1996-11-12 1998-05-29 Fujitsu Ltd 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6266683B1 (en) * 1997-07-24 2001-07-24 The Chase Manhattan Bank Computerized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6857102B1 (en) * 1998-04-07 2005-02-15 Fuji Xerox Co., Ltd. Document re-auth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vice-independent access to the world wide web
US6037935A (en) * 1998-04-28 2000-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page exploration indicator and method
US6769096B1 (en) * 1998-06-24 2004-07-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table of contents in a frameset
JP2000276471A (ja) * 1999-03-23 2000-10-06 Seiko Epson Corp リンク先情報の概要提示方法およびリンク先情報の概要提示装置ならびにリンク先情報の概要提示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056778A (ja) * 1999-08-18 2001-02-27 Sharp Corp 情報取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754873B1 (en) * 1999-09-20 2004-06-22 Google Inc. Techniques for finding related hyperlinked documents using link-based analysis
US6839702B1 (en) * 1999-12-15 2005-01-0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lighting search results
US6848075B1 (en) * 2000-02-10 2005-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net web browser with memory enhanced hyperlink display
US20040054973A1 (en) * 2000-10-02 2004-03-18 Akio Yamamoto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contents on the web
US6874019B2 (en) * 2001-03-08 2005-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ve caching and highlighting of web 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51736A (ja) 2002-12-06
US20030079183A1 (en) 2003-04-24
WO2002077866A1 (fr) 2002-10-03
CN1462401A (zh) 2003-12-17
EP1372088A1 (en)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3767A (ko) 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서버 장치, 단말 장치, 문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983949B2 (en) Automatic display of web content to smaller display devices: improved summarization and navigation
US6430624B1 (en) Intelligent harvesting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69881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performance of a web crawler
CA2292336C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ailoring web page content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format for display within pervasive computing devices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tools
US20030004984A1 (en) Methods for transcoding webpage and creating personal profile
US80694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while browsing
US200300116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division
US200201290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document format
US20120131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Document Conversion
EP1634183A1 (en) Web content transcoding system and method for small display device
KR20080050627A (ko) 이동 단말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721263A1 (en) A markup language translator system
KR100855997B1 (ko) 전자 문서의 구성 가능한 변환 방법
US20030204573A1 (en) Method of providing a web user with additional context-specific information
US200701436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ocuments to terminals with limited display capabilities, such as mobile terminals
EP1770548A2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program,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WO2008132706A1 (en) A web browsing method and system
WO20020014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information from a network data source
KR100359543B1 (ko) 컨텐츠 표시 및 제공 방법, 그를 이용한 컨텐츠 서버 및단말 장치와 그 컨텐츠 서버에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US7089490B1 (en) Identifying navigation bars and objectionable navigation bars
JP2001229106A (ja) コンテンツ変換システム
KR100919585B1 (ko) 웹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21272A (ja) 多言語翻訳システム、多言語翻訳方法および多言語翻訳プログラム
JP2001147877A (ja) 情報提供装置、情報中継装置、文書データ表示方法、及び文書データを表示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10

Effective date: 2006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