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931A - 목재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931A
KR20030002931A KR1020010039241A KR20010039241A KR20030002931A KR 20030002931 A KR20030002931 A KR 20030002931A KR 1020010039241 A KR1020010039241 A KR 1020010039241A KR 20010039241 A KR20010039241 A KR 20010039241A KR 20030002931 A KR20030002931 A KR 2003000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ood
drying chamber
timb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찬
김상봉
Original Assignee
안영찬
김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찬, 김상봉 filed Critical 안영찬
Priority to KR102001003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2931A/ko
Publication of KR2003000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과 히팅장치를 갖고 목재를 건조하는 목재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건조실에 목재가 잠길 수 있는 량의 건조매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히팅장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건조매체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생 목재와 제재된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건조실에 적재한 후 덮개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여 소정시간 동안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을 개방하고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목재가 적재된 파래트를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기타 증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목재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코팅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목재의 건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목재의 건조방법{Timber drying method}
본 발명은, 목재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기타 증발성 물질을 신속하게 증발시켜 목재를 건조함과 동시에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코팅효과가 있도록 한 목재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 목재의 수분 함유량은 중량에 대해 28%~60%로서 이는 목재의 종류 및 절단시의 계절적인 조건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목재를 유융한 제품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된 여러 건조공정에 걸쳐 목재의 변형 및 크기가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생 목재의 수분함유량을 중량에 대해 가급적 5%~10% 범위 이내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목재의 수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목재의 건조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생 목재 또는 제재 목을 노천에 적층한 후 공기 또는 햇볕에 수년 동안 노출시키는 자연건조방법과, 고온의 열을 이용한 로(爐) 건조법이나 터널(tunnel)공기 건조법으로서 목재를 건조하는 한편 진공건조방법이나 심지어 목재의 표면을 태워서 탄화시키는 방법도 시도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목재의 건조방법 중 자연건조방법은, 목재를 수년동안 노천에 방치하기 때문에 자금운영 관계로 경제성이 없는 한편 지면에 접촉된 목재를 자주 이동시켜야 한다는 불편함과 아울러 특히 목재에 벌래가 발생하여 목재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로(爐) 건조방법은, 장기간 동안 고온의 열을 분사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건조비용의 증가에 따라 경제성이 없으며 목재의 건조시 목재의 균열 또는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진공방법은 생 목재를 균일하게 가열시키는데 있어 난관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난관이 발생하는 것은 고 진공도를 부가하여 생 목재로부터 증발성 물질을 제어하지 않고 급속하게 수분을 추출하고 또한 불 균일하게 추출함으로서 외곡, 만곡 또는 균열된 틈 및 표면과열과 같은 목재에 국부적으로 물리적인 파괴나 변질을 초래하는 단점과 아울러 진공 시간이 10일~20일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없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건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목재를 사용하여 주택을 시공할경우 수년에 한번씩 방수 및 방부처리를 하지 않으면 급격히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기타 증발성 물질을 신속하게 증발시켜 빠른 시간 내에 목재를 건조할 수 있는 목재의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시 또는 건조 완료된 상태에서 균열 및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목재의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의 내부 깊숙이 까지 침투한 건조매체에 의한 코팅으로 인하여 세균으로 인한 부패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목재의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스팀파이프 30 : 건조실
40 : 덮개 50 : 파래트
60 : 호이스트 70 : 건조매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조실과 히팅장치를 갖고 목재를 건조하는 목재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목재가 잠길 수 있는 량의 건조매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히팅장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건조매체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생 목재와 제재된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건조실에 적재한 후 덮개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여 소정시간 동안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을 개방하고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목재가 적재된 파래트를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매체의 가열은 건조실의 바닥면에 배설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매체는 무색, 무취, 무미의 파라핀(Paraffin)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건조매체를 용융시키기 위한 용융온도는 120~1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재의 건조시간은 2~9시간인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는 상기 건조매체의 량은 상기 건조매체가 상기 스팀파이프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파래트에 적재된 목재가 잠겨 노출되지 않는 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목재는 파래트에 적재한 후 체인을 이용하여 유동됨이 없이 긴장시키는 것이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건조방법은, 히팅장치인 스팀파이프(20)가 배설된 건조실(30)이 필요하며 건조실은 덮개(40)를 가지고 있고 건조실(30)에 목재를 넣기 위해서는 목재를 적재하기 위한 파래트(50)와 파래트를 건조실(30) 내부에 수용 및 인출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60)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건조장치에 의한 건조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히팅장치를 가동시켜 스팀파이프(2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함으로서 건조실(30) 내부에 수용된 건조매체(70)인 파라핀을 용융시켜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생 목재 또는 제재 목을 파래트(50)에 적재한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유동됨이 없이 목재를 고정하여 호이스트(60)를 이용 건조실(30) 내부에 수용시킨 후 덮개(40)를 덮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체인을 이용하여 목재를 묶는 것은 건조실(30) 내부에서 목재가 건조될 때 비틀림과 같은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가능하면 목재가 수축되는 것과 동시에 파래트(50)의 목재를 자동으로 긴장시킬 수 있는 가압장치(도시치 않음)를 적층된 목재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건조실(30) 내부의 온도를 120℃~160℃가 되도록 세팅한다.
그리고, 120℃~160℃로 세팅된 온도는 목재의 수종에 따라 2~9시간 동안 유지시켜 목재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 및 증발물질을 증발시켜 목재를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이 되면 건조실(30)을 개방하고 호이스트(60)를 사용하여 목재가 적재된 파래트(50)를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에 의해 목재의 건조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의 건조방법에 의하면, 120℃~160℃에서 건조매체(70)인 파라핀을 액상으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건조매체(70)에 잠긴 목재는 목재의 수종에 따라 2~9시간 동안 목재에 함유된 수분 및 증발물질을 증발시킨다.
이와 같이 건조매체(70)가 목재에 함유된 수분 및 증발물질을 신속하게 증발시키는 것은 건조매체(70)인 파라핀 액이 고온의 상태에서 목재의 기공을 통하여 목재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는 동안 고온의 파라핀 액이 목재에 함유된 수분 및 증발물질을 증발시키기 때문이다. 여기서 목재의 종류에 따라 건조시간은 소폭으로 변화될 수 있으나 큰 폭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건조매체(70)인 파라핀은 무색, 무취, 무미로서 목재의 색상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특히 목재의 기공을 통하여 파라핀이 스며들어 목재의 코팅효과를 준다.
한편, 건조실(30) 내부에 수용된 목재는 파래트(50)에 긴장상태로 묶여 있는 관계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건조매체(70)인 파라핀이 신속하게 기공을 통과하는 것을 반복하므로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된 목재를 제재하여 주택을 시공할 경우에는 별도의 방수제를 피복 할 필요가 없으며 건조 중에 벌래 등과 같은 것을 박멸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방부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의 건조방법은 건조실(30)의 고온 분위기가 건조매체(70)인 파라핀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균일 또는 안정화되게 목재의 기공에 전달되어 수분 및 증발성 물질을 신속하게 증발시키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고품질의 건조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기타 증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목재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코팅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목재의 건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건조실과 히팅장치를 갖고 목재를 건조하는 목재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목재가 잠길 수 있는 량의 건조매체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히팅장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건조매체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생 목재와 제재된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건조실에 적재한 후 덮개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여 소정시간 동안 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실을 개방하고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목재가 적재된 파래트를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매체의 가열은 건조실의 바닥면에 배설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매체는 무색, 무취, 무미의 파라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매체를 용융시키기 위한 용융온도는 120~16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건조시간은 2~9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는 상기 건조매체의 량은 상기 건조매체가 상기 스팀파이프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파래트에 적재된 목재가 잠겨 노출되지 않는 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는 파래트에 적재한 후 체인을 이용하여 유동됨이 없이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의 건조방법.
KR1020010039241A 2001-07-02 2001-07-02 목재의 건조방법 KR20030002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41A KR20030002931A (ko) 2001-07-02 2001-07-02 목재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41A KR20030002931A (ko) 2001-07-02 2001-07-02 목재의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31A true KR20030002931A (ko) 2003-01-09

Family

ID=2771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241A KR20030002931A (ko) 2001-07-02 2001-07-02 목재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29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50B1 (ko) * 2014-08-29 2014-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
KR20170141481A (ko) 2016-06-15 2017-12-26 인태근 초단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4382A (ja) * 1989-12-21 1991-08-26 Kaneko Mokkosho:Kk 木材の乾燥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木材乾燥補助装置
JPH06137757A (ja) * 1992-04-10 1994-05-20 Eiwa:Kk 木材処理装置及び方法
JPH1123150A (ja) * 1997-07-04 1999-01-26 Junko Harashima 木材乾燥装置
JPH1177616A (ja) * 1997-09-01 1999-03-23 Eiji Yanagida 木材の人工乾燥法
JP2000037708A (ja) * 1998-07-23 2000-02-08 Nikku Ind Co Ltd 木材の液相乾燥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4382A (ja) * 1989-12-21 1991-08-26 Kaneko Mokkosho:Kk 木材の乾燥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木材乾燥補助装置
JPH06137757A (ja) * 1992-04-10 1994-05-20 Eiwa:Kk 木材処理装置及び方法
JPH1123150A (ja) * 1997-07-04 1999-01-26 Junko Harashima 木材乾燥装置
JPH1177616A (ja) * 1997-09-01 1999-03-23 Eiji Yanagida 木材の人工乾燥法
JP2000037708A (ja) * 1998-07-23 2000-02-08 Nikku Ind Co Ltd 木材の液相乾燥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50B1 (ko) * 2014-08-29 2014-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
KR20170141481A (ko) 2016-06-15 2017-12-26 인태근 초단파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5941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ины
JP2020179675A (ja) 木材の処理方法
BRPI0616681A2 (pt) sistema e método para tratamento de materiais de madeira
CA2290662A1 (en) Process for treating green wood and accelerating drying of green wood
KR20030002931A (ko) 목재의 건조방법
CA2175075C (en) Pit membrane-broken wood drying method and apparatus
AU2004291816B2 (en) Improved treatment process
JP2000102907A (ja) 無機質充填木材の製造方法及び無機質充填木材
US1054597A (en) Method of treating lumber.
KR100453871B1 (ko) 목재건조장치
BRPI0407089B1 (pt) processo de tratamento de peças em madeira.
JPH06213568A (ja) 木材改質装置
US2577453A (en) Method of treating tobacco and treated product
JPH03173604A (ja) 木材の調質処理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圧力容器
US1277619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and drying timber and other material.
JP2009085542A (ja) 木材乾燥方法
JP2006029726A (ja) 木材の乾燥・防腐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CA2591760C (en) Method for treating preservative-treated wood
RU2414346C2 (ru) Способ пропитки под давлением древесины 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консервантом, содержащим растительное масло, и пропитанная древесина
JP2006334913A (ja) 木材の防腐・防蟻処理方法
US3199211A (en) Method of preseasoning green or partially seasoned wood
SU577009A1 (ru) Способ консервировани иц
US2507190A (en) Process for drying lumber
US1025628A (en) Process of treating wood.
SU1720627A1 (ru) Способ ферментации таба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