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063A -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063A
KR20030000063A KR1020010035681A KR20010035681A KR20030000063A KR 20030000063 A KR20030000063 A KR 20030000063A KR 1020010035681 A KR1020010035681 A KR 1020010035681A KR 20010035681 A KR20010035681 A KR 20010035681A KR 20030000063 A KR20030000063 A KR 2003000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nchorage
substrate
tendon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철
양인환
어준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063A/ko
Publication of KR2003000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표면에 요철을 성형하고, 상기 요철면을 거푸집으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치합을 도모하여 텐돈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는, 콘크리트 면과 접하여 마찰 저항을 제공하고, 가설용 인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부착된 리브 플레이트, 및 상기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단부에 부착되어 텐돈을 정착하기 위한 지지편을 포함하는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콘크리트 면과 접하는 표면에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를 마련하여,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 설치방법은, 콘크리트 교량 등의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텐돈을 인장하여 정착시키는데 사용하는 정착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착구의 기판이 거푸집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정착구의 기판에서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쪽을 향하도록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가설용 인장재와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둘러싸는 덕트도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관통하여 설치된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인장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Attachable anchorage block with developed shear friction and attaching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교량 등의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텐돈을 인장 정착시키는데 사용하는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탈착이 가능한 부착형 정착구에 있어서, 기판의 외측면에 요철부를 마련하여 전단 마찰 저항을 향상시킨 부착형 정착구와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착형 정착구(1)는 통상 강재로 제작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외판을 갖는 정착구(1)는 콘크리트(2) 면과 접하여 마찰 저항을 제공하고, 가설용 인장부재(3)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판(11)과, 상기 기판(11)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부착된 리브 플레이트(12)와, 상기 리브 브레이트(12)에 수직으로 부착되며, 상기 가설용 인장부재(3)가 관통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외판(13), 및 상기 리브 플레이트(12) 사이의 단부에 부착되어 텐돈(5)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1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정착구의 설치 과정을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2)을 관통하여 성형한 구멍(4)을 통하여 가설용 인장부재(3)를 삽입하고, 상기 가설용 인장부재(3)의 단부가 정착구(1)의 기판에 성형한 구멍으로 돌출되도록 정착구(1)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설용 인장재(3)를 인장하여, 기판(11)에 직접 정착시키거나 기판(11)과 구조적으로 일체인 외판(13)에 정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판(11)과 콘크리트 표면을 밀착시켜 여기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에 의해 텐돈(5)을 인장, 정착시킬 때, 정착구(1)가 텐돈(5) 방향으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부착형 정착구(1)는 이미 경화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기판(11)의 표면이 편평하여, 콘크리트 표면과 접촉하였을 경우 마찰 계수가 약 0.3정도이므로, 가설용 인장재(3)의 총 인장력의 0.3배만큼의 마찰저항밖에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텐돈(5) 인장 시에 정착구가 끌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가설용 인장재(3)의 총 인장력을 텐돈 인장력의 약 3배 이상으로 해야 하므로,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가설용 인장재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표면에 요철을 성형하고, 상기 요철면을 거푸집으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치합을 도모하여 텐돈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외판이 있는 부착형 정착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부착형 정착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부착형 정착구의 마찰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전단 마찰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판12 : 리브 플레이트
13 : 외판15 : 요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면과 접하여 마찰 저항을제공하고, 가설용 인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부착된 리브 플레이트, 및 상기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단부에 부착되어 텐돈을 정착하기 위한 지지편을 포함하는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콘크리트 면과 접하는 표면에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를 마련하여,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착구 설치방법은, 콘크리트 교량 등의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텐돈을 인장하여 정착시키는데 사용하는 정착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착구의 기판이 거푸집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정착구의 기판에서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쪽을 향하도록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가설용 인장재와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둘러싸는 덕트도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인장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의 전단 마찰 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착구에 있어서, 기판(11)의 표면에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긴 홈 모양의 요철부(15)를 다수 성형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요철부(15)는 기판(11)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도 있고, 반대로 기판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1)에는 기존의 정착구와 같이 가설용 인장재(3)를 관통시킬 수 있는 구멍(16)도 성형한다. 이하의 구조는 종래의 부착형 정착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정착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6)을 설치하는데, 상기 거푸집(6)의 설치 시, 상기 정착구가 위치할 부분에는 거푸집 대신 정착구를 설치하며, 이때 정착구의 기판 요철부(15)가 콘크리트 쪽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설용 인장재(3)와 가설용 인장재를 둘러싸는 덕트(8)도 함께 설치하며, 가설용 인장재(3)를 폼타이처럼 사용하여 정착구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고, 거푸집(6)을 제거하되, 정착구는 제거하지 않고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에서 가설용 인장부재(3)를 인장하여 정착시킨 후, 텐돈(5)을 인장 정착시킴으로써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설치한 정착구는 그 기판의 요철부가 콘크리트와완전히 치합된 상태이며, 가설용 인장재를 인장, 정착시킴으로써, 도입된 압축 응력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외판을 갖는 부착형 정착구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외판이 없는 부착형 정착구에도 본 발명의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마찰저항에만 의존하는 정착구에 비해 텐돈의 인장에 대한 정착구의 저항이 크게 증가되며, 이에 따라서 가설용 인장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면과 접하여 마찰 저항을 제공하고, 가설용 인장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부착된 리브 플레이트, 및 상기 리브 플레이트 사이의 단부에 부착되어 텐돈을 정착하기 위한 지지편을 포함하는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콘크리트 면과 접하는 표면에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를 마련하여,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정착구.
  2. 콘크리트 교량 등의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텐돈을 인장하여 정착시키는데 사용하는 정착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착구의 기판이 거푸집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정착구의 기판에서 상기 텐돈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철부가 콘크리트 쪽을 향하도록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가설용 인장재와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둘러싸는 덕트도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기 가설용 인장재를 인장하여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구의 설치방법.
KR1020010035681A 2001-06-22 2001-06-22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0000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81A KR20030000063A (ko) 2001-06-22 2001-06-22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81A KR20030000063A (ko) 2001-06-22 2001-06-22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063A true KR20030000063A (ko) 2003-01-06

Family

ID=2771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681A KR20030000063A (ko) 2001-06-22 2001-06-22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06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010U (ko) * 1985-12-26 1987-07-08
US5088142A (en) * 1988-02-05 1992-02-18 Societe Anonyme Dite Societe Centrale D'etudes Et De Realisations Routieres Device for securing a cable to the concrete platform of a bridge, and bridge equipped with such devices
KR970015946A (ko) * 1995-09-28 1997-04-28 신흥우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US5671572A (en) * 1994-02-11 1997-09-30 Siller-Franco; Jose Luis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girders
KR20010064555A (ko) * 1999-12-29 2001-07-09 박재만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및 그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010U (ko) * 1985-12-26 1987-07-08
US5088142A (en) * 1988-02-05 1992-02-18 Societe Anonyme Dite Societe Centrale D'etudes Et De Realisations Routieres Device for securing a cable to the concrete platform of a bridge, and bridge equipped with such devices
US5671572A (en) * 1994-02-11 1997-09-30 Siller-Franco; Jose Luis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girders
KR970015946A (ko) * 1995-09-28 1997-04-28 신흥우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KR20010064555A (ko) * 1999-12-29 2001-07-09 박재만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및 그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1146B2 (ja) 引張り部材を支持フレームに取り付け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20030000063A (ko) 전단 마찰저항이 증가된 부착형 정착구 및 이의 설치방법
JP3022514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板体の取り付け方法
JP7186670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KR200342806Y1 (ko) 거푸집 고정기구
JP2001521090A (ja) ソリッドな走行路に鉄道レー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エレメント
JPH07180110A (ja) 平行に架設した桁材を有する構造物のプレストレス導入補強方法
KR101025648B1 (ko)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0371057B1 (ko) 유로폼용 탈형공구
KR20020064254A (ko) 외부 강선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 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강재정착물
JP2011099206A (ja) 繊維強化樹脂プレートの定着具及び構造物補強工法
JP2954582B1 (ja) 既設部材への板材設置方法
KR200342781Y1 (ko)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200342780Y1 (ko)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JP7388703B2 (ja) 拡幅用接続具及び定着方法
US20200277788A1 (en) Anchor block method for reanchoring live tendons
KR100570270B1 (ko)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KR200193241Y1 (ko) 벽체 마감구조물
JP2922789B2 (ja) 型枠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斜面安定化工法
KR200145968Y1 (ko) 거푸집용 패널 고정구
JP2719991B2 (ja) 法面保護構造物の施工法
KR200304660Y1 (ko) 커튼 월 고정장치의 장착구조
JPH0584203B2 (ko)
JPH084245Y2 (ja) コンクリート枕木用型枠の金具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