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955Y1 - 세탁기용 세탁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세탁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955Y1
KR200299955Y1 KR20-2002-0028982U KR20020028982U KR200299955Y1 KR 200299955 Y1 KR200299955 Y1 KR 200299955Y1 KR 20020028982 U KR20020028982 U KR 20020028982U KR 200299955 Y1 KR200299955 Y1 KR 200299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water
overfl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 및 세탁수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세탁조에 관한 것으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상부에는 장방형의 절개공(5)을 갖는 저수공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공간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주연부 내측에는 상부에 중량추(15)가 구비된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절개공(5)의 내측으로는 돌출부(25)를 수직으로 연속형성한 마찰부재(30)를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다량의 세탁물이 투입될 경우 오버플로우에 의해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마찰부재(30)가 돌출됨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세탁효율을 높인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세탁조{Washing chamber for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내측에 결합되어 세탁물 및 세탁수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세탁 및 탈수가 이루어지는 세탁조에 오버플로우에 의해 세탁조의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찰부재를 결합하여 세탁조의 상부에 위치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세탁효율을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세탁기의 세탁방식에는 세탁조의 회전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물과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조 내벽면과의 마찰이나 낙하에 따른 충격에 의해 세탁효과가 발생하는 드럼방식의 세탁기와, 세탁조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회전하는 한편, 세탁조 내부의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류의 형성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세탁 및 탈수가 하나의 수조에서 이루어지는 1조식 세탁기에서 펄세이터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로서, 이와 같은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200)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세탁조(150)의 외부에 저수조(160)가 결합됨으로써 세탁에 필요한 물을 세탁조(150)로 공급하는 한편, 탈수시에는 세탁조(150)로부터 배출된 세탁수의 배출경로를 제공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저수조(160)의 외주면 일측에는 저수조(160)의 만수위 상부와 연통되는 오버플로우 유로(145)가 형성되며, 세탁조(150)의 저부에는 하부에 결합된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키는 펄세이터(110)가 결합된다.
상기한 펄세이터(110)는 통상적으로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부에 날개차를 방사상으로 돌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은 펄세이터(110)는 정역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내에 수류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수압에 의해 세탁수의 일부가 오버플로우 유로(145)를 경유하여 세탁조(150)로 토출되는 과정에서발생한 낙차에너지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펄세이터(110)와 근접한 위치에서는 강한 수류의 작용과 함께 상기한 펄세이터(110)의 직접 접촉에 따른 마찰력의 증대에 따라 우수한 세탁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서 상부에 위치한 세탁물은 수류의 전달이 미약한 동시에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 관계로 세탁력이 저하되며, 세탁물의 원활한 교반을 위해 펄세이터(110)의 구동력을 증대시킬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한 세탁물에 과도한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세탁물이 손상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오버플로우에 의해 세탁조의 내벽 상부로부터 세탁조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찰부재를 구비하여 다량의 세탁물이 투입될 경우 상기한 마찰부재의 작용에 따라 세탁물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벽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의 상부에는 장방형의 절개공을 갖는 저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의 주연부 내측에는 상부에 중량추가 구비된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절개공의 내측으로는 돌출부를 수직으로 연속 형성한 고무재의 마찰부재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세탁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세탁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세탁기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한 세탁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버플로우 유로 5 : 절개공
10 : 저수공간부 15 : 중량추
20 : 커버 25 : 돌출부
30 : 마찰부재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세탁기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세탁조(50)는, 저수조의 내측에 결합되어 세탁물과 세탁수가 저장되는 한편, 세탁행정시에는 세탁공간을 제공하고, 탈수행정시에는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탈수가 이루어지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펄세이터의 동작에 따라 유입된 세탁수가 하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낙차에너지에 의해 세탁 효율을 높이도록 한 오버플로우 유로(1)가 내벽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펄세이터의 동작에 따라 발생한 수압에 의해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A)가 수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상부에는 하부의 유입구(1A)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공간부(10)가 형성되며, 상기한 저수공간부(10)의 정면으로는 마찰부재(30)가 결합되도록 장방형의 절개공(5)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저수공간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주연부 내측으로는 오버플로우 유로(1)의 상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세탁수의 순환을 단속하는 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한 커버(20)는 오버플로우 유로(1)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힌지결합되며, 상부에는 탈수시 원심력이 작용하는 중량추(15)가 부착됨으로써 본 고안의 고속회전과정에서 상기한 중량추(15)의 작용에 따라 커버(2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저수공간부(10)의 절개공(5) 내측에 결합되는 마찰부재(30)는 표면에 돌출부(25)를 수직으로 연속 형성한 것으로, 수압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고무재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마찰부재(30)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저수공간부(10)의 내부방향으로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나 수압이 작용할 경우에는 각 돌출부(25)가 전방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세탁물에 대한 세탁률을 높인다.
한편, 통상적인 세탁기에서는 좌우 무게의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을 각각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세탁조의 양측에 오버플로우 유로를 각각 형성시킨 구조를 갖게 되며, 이와 함께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세탁조(50)에서도 양측이나 방사상으로 오버플로우 유로(1) 및 저수공간부(1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한 저수공간부(10)의 절개공(5) 내측으로 마찰부재(30)를 각각 결합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는 범위를 넓히는 동시에 좌우 무게편차를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세탁조(50)는, 세탁기의 저수조 내측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세탁물과 세탁수가 저장된다.
또한, 세탁행정시에는 기어 조립체를 경유하여 전달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하부에 결합된 펄세이터가 정역회전함으로써 수류에 의한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탈수행정시에는 모터의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세탁행정시 펄세이터의 회전과정에서 펄세이터(60)의 작용에 따라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A)를 통해 세탁수의 일부가 오버플로우 유로(1)로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소량의 세탁물이 투입된 저수위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지지 않아 저수공간부(10)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반면, 다량의 세탁물이 투입된 고수위 상태에서는 대기압에 의해 오버플로우 유로(1)에 세탁수가 충전되는 관계로 펄세이터(6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가 원활히 진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지면 수압에 의해 커버(20)가 개방되는 한편, 저수공간부(10)를 통해 세탁수의 저수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펄세이터(60)의 회전이 정지되면 커버(20)의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커버(20)가 초기의 상태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펄세이터(60)의 회전이 재개되면 전술한 과정과 같이 저수공간부(10)로 저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수압에 의해 도 4a와 같이 마찰부재(30)가 팽창하는 동시에 돌출부(25)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25)가 전방으로 돌출되면 세탁물과의 접촉빈도가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세탁효과를 높인다.
계속해서 세탁행정의 완료에 따라 탈수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용 세탁조(5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중량추(15)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오버플로우 유로(1)를 밀폐시킨 커버(20)가 초기의 위치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버플로우 유로(1)를 개방시킴으로써 저수공간부(10)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버플로우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마찰부재(30)를 구비하여 다량의 세탁물이 투입될 경우 상기한 마찰부재(30)의 작용에 따라 세탁물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내벽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상부에는 장방형의 절개공(5)을 갖는 저수공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공간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로(1)의 주연부 내측에는 상부에 중량추(15)가 구비된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절개공(5)의 내측으로는 돌출부(25)를 수직으로 연속 형성한 고무재의 마찰부재(30)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세탁조.
KR20-2002-0028982U 2002-09-27 2002-09-27 세탁기용 세탁조 KR200299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82U KR200299955Y1 (ko) 2002-09-27 2002-09-27 세탁기용 세탁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82U KR200299955Y1 (ko) 2002-09-27 2002-09-27 세탁기용 세탁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955Y1 true KR200299955Y1 (ko) 2003-01-08

Family

ID=4939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82U KR200299955Y1 (ko) 2002-09-27 2002-09-27 세탁기용 세탁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82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90097681A (ko) 세탁기 필터장치
JP446649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7014678A5 (ko)
JP200711116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133182A (ja) 洗濯機
KR200299955Y1 (ko) 세탁기용 세탁조
JP2000014966A (ja) 洗濯機
JP7050939B2 (ja) ドラム式洗濯機用攪拌器及びそれを含むドラム式洗濯機
JPH0956985A (ja) 全自動洗濯機
KR100478875B1 (ko) 마찰롤러를 갖는 세탁기
KR20140120549A (ko) 세탁기
JP2001347095A (ja) 洗濯機
TW201410936A (zh) 洗衣機
KR200308653Y1 (ko) 펄세이터 세탁기용 세탁조
KR200299954Y1 (ko) 세탁기용 세탁조
CN217127807U (zh) 一种洗衣机
KR0152138B1 (ko) 순환수류세탁기
KR100244204B1 (ko) 세탁기의밸런서
JP2004121588A (ja) 洗濯機
KR200327068Y1 (ko) 보조 펄세이터를 갖는 세탁기
JPH0810494A (ja) 洗濯機
WO2020063493A1 (zh) 一种平衡环安装结构及具有该结构的内桶和洗衣机
KR20030080733A (ko) 세탁기용 세탁수 분사장치
KR200170345Y1 (ko) 세탁기의 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