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313Y1 - 대기상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상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313Y1
KR200299313Y1 KR2020020030301U KR20020030301U KR200299313Y1 KR 200299313 Y1 KR200299313 Y1 KR 200299313Y1 KR 2020020030301 U KR2020020030301 U KR 2020020030301U KR 20020030301 U KR20020030301 U KR 20020030301U KR 200299313 Y1 KR200299313 Y1 KR 200299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iting
unit
standby stat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용
신현용
Original Assignee
정준용
신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용, 신현용 filed Critical 정준용
Priority to KR2020020030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313Y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의 제1 실시예는,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제1감지부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통해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유원지의 놀이 기구, 박람회 또는 전시장 등의 전시시설이나 스키장의 리프트 및 대기라인이 존재하는 기타의 시설물 등을 이용하려는 고객에게 현재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유원지의 놀이기구나 스키장의 리프트 및 박람회장의 전시 시설물 등과 같이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시설이 복수인 경우에는 고객을 분산시킬 수 있고, 고객에게 보다 많은 자유시간을 줄 수 있어 타 판매시설의 추가적인 이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상태 안내장치{ Apparatus to show customers the waiting states }
본 고안은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원지의 놀이기구, 박람회 또는 전시장 등의 전시시설, 스키장 등의 서비스 시설, 매표소 및 대기라인이 존재하는 기타의 시설물 등과 같이 입장 순서대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서비스 시설에 적용되어, 현재 대기인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대기시간 등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고객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유원지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기구들을 이용하려 할 때, 스키장의 리프트를 이용하고자 할 때, 혹은 여러가지 전시회를 관람하고자 할 때 등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장 순서에 따라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인원이 하나의 서비스 시설을 이용하여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인원보다 적을 경우에는 고객들은 기다리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순위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고객들에게 불편을 주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고, 고객들의 시간 낭비로 이어져 개인뿐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고객들이 대기하는 공간이 안락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불편이 더욱 가중된다. 또한, 사업자의 입장에서도 고객들을 의미없이 일정 장소에 묶어두게 되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스키장에서는 각 리프트마다 길게는 한시간씩 서서 기다려야 하는 것이 다반사이어서 고객불만의 중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스키장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고객들을 대기 라인에 묶어 놓고 있는 것이 되므로 주변 판매시설들의 이용율을 저하시키게 되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하나의 예를 들자면 유원지의 놀이시설 중 인기 놀이기구에는 긴 대기라인이 형성되어 다양한 놀이기구 이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그러므로,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고객 대비 서비스 시설이 고객들의 대기시간을 없앨 수 있을만큼 충분치 못하여 대기시간이 불가피한 경우라 할지라도, 고객들을 서비스 시설별로 분산시켜 대기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고객들의 입장에서도 아까운 시간을 덜 낭비하게 되어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려는 고객들에게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어, 고객들이 서비스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대기상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의 제1 실시예는,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대기인원의 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대기상태에 관한 일정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서비스 시설이 있는 사업장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비스 시설에 대한 현재 대기상태 정보를 통합관리 하고 이를 고객들에게 알려주어 고객들이 가장 적은 대기시간을 갖는 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실시예는,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인원의 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현재 대기인원의 수를 일정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컬 장치; 하나 이상의 상기 로컬 장치로부터 해당 로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 시설의 대기인원 수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고, 각 로컬 장치별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각 서비스 시설의 대기상태에 관한 일정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실시예,
도 3은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에 관한 일 실시예,
도 4는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설치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디스플레이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1: 제1감지부 12,21-2: 제2감지부
13: 제어부 14,23: 디스플레이부
15-1: 적외선 송출부 15-2: 적외선 수신부
21: 로컬 장치 21-3: 로컬 제어부
22: 중앙 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1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 서비스 시설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고객의 수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1감지부(11)는 입구에 설치되어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2감지부(12)는 출구에 설치되어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감지부(11)와 제2감지부(12)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특정 물체의 이동(존재)을 감지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각종 방식(예: RF 방식, 적외선 방식, 열감지 방식, 터치방식, 기계식, 광학식, CC-TV식, 카메라켑쳐식, 움직임 감지식, 초음파 감지식, 진동발생식, 중량감지식, 광센서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감지부(11)와 제2감지부(12)를 통합하여 대기구역 내의 사람을 카메라로 켑쳐(capture)하고 대기인원을 계수하는 방식도 결국 대기구역 내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는 위의 방식의 일부로 포함됨은 물론이다.
제어부(13)는 제1감지부(11)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제2감지부(12)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연산하여,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인원의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된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란 고객들에게 현재 대기상태가 어떠한지를 알려줄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입장인원의 수에서 퇴장인원의 수를 뺀 값인 현재 대기인원의 수, 혹은 현재 대기인원의 수를 기 규정된 서비스 일회당 탑승인원과 소요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되는 서비스 이용시까지의 대기시간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일회당 소요시간은 유원지 놀이기구의 일회 동작시간이나 스키장 리프트의 일회 가동 시간등을 의미하며, 대기시간이란 대기예상시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4)는 제어부(13)에서 산출한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 전광판의 형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예(14-1)를 도시하였으며, 현재 예상되는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시계와 온도 등을 함께 표시해주면 더욱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부(11)와 제2감지부(12)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사람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15-1) 및 적외선 송출부(15-1)가 송출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15-2)가 위치한다. 즉, 적외선 송출부(15-1)는 적외선 수신부(15-2)를 향해 적외선을 송출하는데, 적외선 수신부(15-2)는 사람이 입구 혹은 출구를 통과하면 적외선이 차단되어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외선 수신부(15-2)에서 적외선 차단이 한번 발생한 경우에 한사람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스키장의 리프트 탑승 시설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자면, 입구의 각 이동경로상에 광센서를 이용한 적외선 송출부(15-1)와 적외선 수신부(1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를 통해 입장한 고객들은 대기공간(A)을 경유하여 출구로 진행한 후 출구를 통해 퇴장하여 리프트에 탑승한다. 출구의 각 이동경로상에도 광센서를 이용한 적외선 송출부(15-1)와 적외선 수신부(15-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여러개의 입구를 통과하는 고객이 각각 감지되어 더해져서 총 입장인원이 산출되고, 리프트에 승차하기 위하여 출구를 통해 나간 고객이 각각 감지되어 더해져서 총 퇴장인원이 산출된다. 그러면 총 입장인원에서 총 퇴장인원을 감한 고객의 수가 현재 입구와 출구 사이의 대기공간(A)에 남아있는 대기 인원의 수가 된다. 여기서 통상의 대기라인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수의 입구와 단수의 출구로 구성된 대기라인이 포함됨은 자명하다.
한편, 유원지나 스키장의 예처럼 하나의 사업장에는 복수의 서비스 시설(예: 유원지의 각종 놀이시설 또는 스키장의 각 스키 슬로프코스에 대한 리프트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서비스 시설에 대한 대기상태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것이 사용현황의 파악과 고객의 분산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기상태 안내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각 서비스 시설마다 로컬 장치(21)가 구비된다. 로컬 장치(21)는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21-1)와,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21-2)와, 제1감지부(21-1)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제2감지부(21-2)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연산하여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인원의 수를 계수하고, 계수된 현재 대기인원의 수를 일정 통신경로를 통해 중앙 서버(22)로 전송하는 로컬 제어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경로란 유선 또는 무선의 랜(LAN)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로컬 장치와 중앙 서버(22)가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중앙 서버(22)는 각 로컬 장치로부터 해당 로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 시설의 현재 대기인원 수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고, 각 로컬 장치별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각 서비스 시설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각 로컬 장치가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산출하여 중앙 서버(22)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23)는 중앙 서버(22)에서 산출한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고객들이 각 서비스 시설에서의 대기상태를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6에 전광판의 형태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예(23-1)를 도시하였으며, 현재 예상되는 각 서비스 시설별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시계와 온도 등을 함께 표시해주면 더욱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에서의 '스패로우', '팽귄', '도브', '밸리코스' 등은 스키장의 각 스키코스에 부여된 임의의 명칭으로서, 각 서비스 시설에 부여된 명칭이다. 이러한 명칭은 서비스 사업자가 임의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는 복수로 운영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는 동일한 또는 각각의 상이한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내용과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명한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유원지의 놀이 기구나 스키장의 리프트 등 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려는 고객에게 현재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해 줄 수 있다. 특히 놀이공원의 놀이시설이나 스키장의 리프트와 같이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시설이 복수인 경우에는 고객을 분산시킬 수 있고, 고객에게 보다 많은 자유시간을 줄 수 있어 타 판매시설의 추가적인 이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대기인원의 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대기상태에 관한 일정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계수된 현재 대기인원의 수, 및 상기 현재 대기인원의 수와 기 규정된 서비스 일회당 이용인원과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서비스 이용시까지의 대기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는 RF센서, 적외선센서, 열감지센서, 터치식센서, 기계식센서, 광학식센서, 카메라켑쳐식센서, 초음파센서, 진동센서, 중량센서, 광센서, 및 이동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는 각각 사람이 통과하는 이동 경로상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 및 상기 적외선 송출부가 송출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5.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의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상태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출구를 통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에서 감지한 입장인원의 수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감지한 퇴장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현재 대기하고 있는 인원의 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현재 대기인원의 수를 일정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컬 장치;
    하나 이상의 상기 로컬 장치로부터 해당 로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 시설의 대기인원 수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고, 각 로컬 장치별 대기인원의 수를 이용하여 각 서비스 시설의 대기상태에 관한 일정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에서 출력하는 대기상태에 관한 정보는, 각 서비스 시설별 현재 대기인원의 수, 및 상기 서비스 시설별 현재 대기인원의 수와 기 규정된 서비스 일회당 이용인원과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서비스 이용시까지의 대기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는 RF센서, 적외선센서, 열감지센서, 터치식센서, 기계식센서, 광학식센서, 카메라켑쳐식센서, 초음파센서, 진동센서, 중량센서, 광센서, 및 이동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는 각각 사람이 통과하는 이동 경로상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 및 상기 적외선 송출부가 송출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상태 안내장치.
KR2020020030301U 2002-10-10 2002-10-10 대기상태 안내장치 KR200299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1U KR200299313Y1 (ko) 2002-10-10 2002-10-10 대기상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01U KR200299313Y1 (ko) 2002-10-10 2002-10-10 대기상태 안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00A Division KR20040032517A (ko) 2002-10-10 2002-10-10 대기상태 안내 시스템 및 대기상태 안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313Y1 true KR200299313Y1 (ko) 2002-12-31

Family

ID=7312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01U KR200299313Y1 (ko) 2002-10-10 2002-10-10 대기상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21B1 (ko) 2012-09-13 2012-12-11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21B1 (ko) 2012-09-13 2012-12-11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WO2014042393A1 (ko) * 2012-09-13 2014-03-20 (주)커누스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2121A1 (en) Virtual queuing system and method
US6865539B1 (en) Electronic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and personal guidance
US7400932B2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via wireless media
US7319966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for elevator users
JP3908137B2 (ja)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4667379B2 (ja) 場所状態管理システム、無線タグ読取装置および管理装置
US20040181424A1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via television control
EP140742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oute planning and virtual queue handling
WO2005038687A1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via priority control
US20040158482A1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via wireless corntrol
US20040172315A1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WO20020845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queue situations and for ranging of queuing clients in service entities
KR20100006975A (ko) 이동식 안내로봇 및 그 시스템
JP2003091678A (ja) 情報配信サーバ、記録媒体及び情報配信方法
MX2007006351A (es) Metodo para el transporte de personas en un edificio.
JP2007048132A (ja) 空港等の大規模施設の客誘導システム
JP2011060059A (ja) 滞留時間を考慮した行動計画情報提供方法
KR20130035824A (ko) Cpa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홍보/마케팅 시스템
KR100887322B1 (ko)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고려한 주차관리방법
KR200299313Y1 (ko) 대기상태 안내장치
EP1140686A1 (en) Display and call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he routing of a user in a passenger conveyance system
KR20040032517A (ko) 대기상태 안내 시스템 및 대기상태 안내방법
JP2000044134A (ja) 建物内総合交通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5189921A (ja) 待ち時間表示システム、待ち時間表示方法
JPH10293792A (ja) 施設情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