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247Y1 - 제침기 - Google Patents

제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247Y1
KR200299247Y1 KR20-2002-0027520U KR20020027520U KR200299247Y1 KR 200299247 Y1 KR200299247 Y1 KR 200299247Y1 KR 20020027520 U KR20020027520 U KR 20020027520U KR 200299247 Y1 KR200299247 Y1 KR 200299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needle
height
flat por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선
Original Assignee
박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선 filed Critical 박경선
Priority to KR20-2002-0027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25C11/02Pi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심의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집게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집게부와 연속적으로 상부평탄부를 구비한 상부제침부재와, 상기 상부제침부재의 상부집게부와 이맞춤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집게부가 구비되고 이 하부집게부보다 낮은 높이의 하부평탄부를 구비한 하부제침부재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와 상기 상부제침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제침부재의 상부집게부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의 하부집게부가 상기 철심을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상부제침부재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의 사이에 내재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탄부 혹은 하부평탄부에는, 상기 철심을 다수의 종이로부터 제거할 경우 상기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하여 상기 철심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상기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거된 상기 철심이 상기 상부평탄부 혹은 상기 하부평탄부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평탄부의 높이(X)와 상기 철심의 직경(T)을 더한 높이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Y)를 갖는 지지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제침기에 관한 것으로, 평탄부에 지지부재가 고착되므로서 철심을 제거할 경우 철심에 균등한 힘이 가해져 철심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은 물론이고 종이로부터 제거된 철심은 바닥에 떨어짐 없이 지지부재에 내재되어 주위를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침기 {staple remover}
본 고안은 다수의 종이를 호치키스(staple)을 이용하여 철심으로 제본된 철심을 종이로부터 분리 및 제거시키는 제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심을 종이로부터 분리 및 제거시킬 경우 철심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거된 철심은 제침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제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혹은 사무실등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로부터 양측이 90도로 벤딩된 벤딩부(12)를 구비한 철심(10)을 호치키스에 내장하여 다수의 종이를 제본하게 된다.
즉, 다수의 종이를 상기 벤딩부(12)가 통과된 후 종이를 통과한 상기 벤딩부(12)가 절곡되어 절곡부(13)를 형성시키므로서 다수의 종이가 제본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철심(10)에 의해 제본된 종이들은 사용자가 다시 제본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제침기로서 상기 철심(10)을 종이로부터 제거시키게 된다.
다음은 일반적인 제침기를 이용하여 상기 철심(10)을 제거시키는 과정을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일반적인 제침기는,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집게부(21)가 구비된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이맞춤되며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집게부(31)가 구비된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제침부재(21)가 서로 이맞춤되도록 상기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재(40)와, 상기 힌지부재(40)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가 상기 철심(10)을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사이에 내재된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상부제침부재(20) 및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상부손잡이부(22) 및 하부손잡이부(3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제침기는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를 종이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손잡이부(32)와 상기 상부손잡이부(22)를 압압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가 이맞춤되면서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가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침기를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철심(10)의 벤딩부(12)에 절곡된 절곡부(13)가 펼쳐지면서 상기 철심(10)이 종이로부터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침기는,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가 이맞춤되어서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침기를 화살표 A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의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몸체부(11)를 지지하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서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에 가해지는 힘이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철심(10)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침기에 의해 제거된 상기 철심(10)은 바닥으로 흩트러지게 되어 주위가 지저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제침기는 철심을 종이로부터 제거시킬 경우 제침기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아 철심을 용이하게 제거시키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침기에 의해 제거된 철심이 주위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주위가 지저분해진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침기로서 철심을 제거시킬 경우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하여 철심이 보다 용이하게 종이로부터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거된 철심이 제침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주위를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제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제침기로서 철심을 제거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제침기의 상부집게부 및 하부집게부가 철심의 몸체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의 상부집게부 및 하부집게부가 철심을 제거하기 위해 종이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의 상부집게부와 하부집게부가 철심의 몸체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에 의해 철심이 종이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부재가 상부제침부재에 고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철심 11...몸체부
12...벤딩부 13...절곡부
20...상부제침부재 21...상부집게부
22...상부손잡이부 23...상부평탄부
30...하부제침부재 31...하부집게부
32...하부손잡이부 33...하부평탄부
40...힌지부재 50...탄성부재
60...지지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침기는, 철심의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집게부가 구비되고 이 상부집게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상부집게부와 연속적으로 상부평탄부를 구비한 상부제침부재와, 상기 상부제침부재의 상부집게부와 이맞춤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집게부가 구비되고 이 하부집게부보다 낮은 높이의 하부평탄부를 구비한 하부제침부재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의 하부집게부와 상기 상부제침부재의 상부집게부가 서로 이맞춤되도록 상기 하부제침부재와 상기 상부제침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제침부재의 상부집게부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의 하부집게부가 상기 철심을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상부제침부재와 상기 하부제침부재의 사이에 내재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탄부 혹은 하부평탄부에는, 상기 철심을 다수의 종이로부터 제거할 경우 상기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하여 상기 철심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상기 철심의 몸체부를 지지함과동시에 제거된 상기 철심이 상기 상부평탄부 혹은 상기 하부평탄부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평탄부의 높이(X)와 상기 철심의 직경(T)을 더한 높이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Y)를 갖는 지지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제침기에 의하면, 평탄부에 지지부재가 고착되므로서 철심을 제거할 경우 철심에 균등한 힘이 가해져 철심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은 물론이고 종이로부터 제거된 철심은 바닥에 떨어짐 없이 지지부재에 내재되어 주위를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의 상부집게부 및 하부집게부가 철심을 제거하기 위해 종이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의 상부집게부와 하부집게부가 철심의 몸체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침기에 의해 철심이 종이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부호 10은 다수의 종이를 호치키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종이를 제본하는 철침으로서, 직경이 T로 이루어져 몸체부(11)의 양측에 벤딩된 벤딩부(12)가 구비된다.
또, 상기 철심(10)은 다수의 종이를 제본할 경우 상기 벤딩부(12)가 절곡된 절곡부(13)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부호 100은 다수의 종이를 제본한 상기 철심(10)을 제거하는 제침기이다.
또, 상기 제침기(100)는,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집게부(21)가 구비되고 이 상부집게부(21)보다 낮은 높이(X)로 상기 상부집게부(21)와 연속적으로 상부평탄부(23)를 구비한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이맞춤되며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집게부(31)가 구비되고 이 하부집게부(31)보다 낮은 높이(X)로 하부평탄부(33)를 구비한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가 서로 이맞춤되도록 상기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재(40)와, 상기 힌지부재(40)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가 상기 철심(10)을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사이에 내재된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침기(100)의 상부평탄부(23) 혹은 하부평탄부(33)에는, 상기 철심(10)을 다수의 종이로부터 제거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를 지지하여 상기 철심(10)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거된 상기 철심(10)이 상기 상부평탄부(23) 혹은 상기 하부평탄부(33)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평탄부(23,33)의 높이(X)와 상기 철심(10)의 직경(T)을 더한 높이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Y)를 갖는 지지부재(60)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철심(10)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 및 이탈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 혹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평탄부(23,33)와 상기 집게부(21,31)의 경계위치에 고착되어서 상기 철심(10)을 지지 및 이탈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상부제침부재(20) 및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상부손잡이부(22) 및 하부손잡이부(3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침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를 종이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손잡이부(32)와 상기 상부손잡이부(22)를 압압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집게부(21)가 이맞춤되면서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는 상기 집게부(31,21) 및 지지부재(50)에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균등하게 된다.
또,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가 상기 집게부(31,21) 및 지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철심(10)의 벤딩부(12)에 절곡된 절곡부(13)가 펼쳐지면서 상기 철심(10)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는 상기 지지부재(6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이 가해져 상기 철심(10)이 제거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철심(10)이 종이로부터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또, 종이로부터 제거된 상기 철심(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에 지지되므로서 종래와 같이 제침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침기에 의하면 평탄부에 지지부재가 고착되므로서 철심을 제거할 경우 철심에 균등한 힘이 가해져 철심이 종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은 물론이고 종이로부터 제거된 철심은 바닥에 떨어짐 없이 지지부재에 내재되어 주위를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철심(10)의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집게부(21)가 구비되고 이 상부집게부(21)보다 낮은 높이(X)로 상기 상부집게부(21)와 연속적으로 상부평탄부(23)를 구비한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이맞춤되며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집게부(31)가 구비되고 이 하부집게부(31)보다 낮은 높이(X)로 하부평탄부(33)를 구비한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가 서로 이맞춤되도록 상기 하부제침부재(30)와 상기 상부제침부재(2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재(40)와, 상기 힌지부재(40)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제침부재(20)의 상부집게부(21)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하부집게부(31)가 상기 철심(10)을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상부제침부재(20)와 상기 하부제침부재(30)의 사이에 내재된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탄부(23) 혹은 상기 하부평탄부(33)에는,
    상기 철심(10)을 다수의 종이로부터 제거할 경우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를 지지하여 상기 철심(10)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상기 철심(10)의 몸체부(1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거된 상기 철심(10)이 상기 상부평탄부(23) 혹은 상기 하부평탄부(33)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평탄부(23,33)의 높이(X)와 상기 철심(10)의 직경(T)을 더한 높이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Y)를 갖는 지지부재(60)가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철심(10)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 및 이탈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 혹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KR20-2002-0027520U 2002-09-13 2002-09-13 제침기 KR200299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20U KR200299247Y1 (ko) 2002-09-13 2002-09-13 제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20U KR200299247Y1 (ko) 2002-09-13 2002-09-13 제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247Y1 true KR200299247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20U KR200299247Y1 (ko) 2002-09-13 2002-09-13 제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2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7Y1 (ko) 2009-03-10 2011-05-19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제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7Y1 (ko) 2009-03-10 2011-05-19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제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9247Y1 (ko) 제침기
GB0005605D0 (en) Device for retaining a stack of papers in a file
KR200476270Y1 (ko) 제침기
US5803435A (en) Staple Remover
JP3116262B2 (ja)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KR20010096089A (ko) 스테플러의 철침지지판 구조
KR940011355B1 (ko)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KR200342743Y1 (ko) 티슈 케이스 내장용 탄성부재
JP3074155U (ja) ステープル用リムーバ
KR200240341Y1 (ko) 사무기구
CN217086261U (zh) 一种铜线辅助浸锡装置
KR200279785Y1 (ko) 제침기
JPH0724570U (ja) 磁石付ステープル
JP2002101513A (ja) ケーブルクリーナー
JP2000042998A (ja) 用紙とじ具付き用紙穴開け具
KR20100053379A (ko) 북 홀더
JP3008065U (ja) 綴じたステープラー針の抜き取り器、及びステープラー針の挟持・抜き取り機構付きステープラー
KR200333798Y1 (ko) 봉투를 이용한 오물 집게장치
JPH036458Y2 (ko)
KR200307761Y1 (ko) 제침기
KR900000130Y1 (ko) 압압식 지철구
JPH0414230Y2 (ko)
KR200453607Y1 (ko) 제침기
KR200228855Y1 (ko) 바인더의 씨디롬 디스크 보관장치
JP3049363U (ja) ホッチキス針・クリップ廃棄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