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958Y1 - 난연성 패널 - Google Patents

난연성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958Y1
KR200298958Y1 KR20-2002-0028578U KR20020028578U KR200298958Y1 KR 200298958 Y1 KR200298958 Y1 KR 200298958Y1 KR 20020028578 U KR20020028578 U KR 20020028578U KR 200298958 Y1 KR200298958 Y1 KR 200298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lame retardant
water
soluble inorganic
honeycomb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20-2002-0028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04C2/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E04C2/16 and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열성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단열, 흡음 및 방음이 이뤄지며, 화재 발생시 용융 및 연소 등으로 인한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 소재로 만들어져 환경오염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난연성 패널은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두꺼운 종이로 형성된 벌집형 부재(10); 이 벌집형 부재(10)의 양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종이인 제1시트(12); 이 제1시트(12)의 외측표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제2시트(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성 패널{Fire resistant panel}
본 고안은 난연성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강도보강이 이뤄지고 경량이며 천장용 보드, 벽용 보드 등과 같은 건축자재로 적합한 난연성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용 패널은, 강판, 목재합판, MDF, 칩 보드, 밤 라이트, 석고보드, 스티로폴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구조적 강도와 단열 효과를 동시에 겸비할 수 없는 것이므로 거의 대부분이 글라스 울, 암면, 스티로폴등이 외부의 패널들 사이에 내장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최근에 개정된 건축법 시행령 제61조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내부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시험방법인 KS F 2271에 합격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도록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다중이용시설 및 공장의 외벽 등 주로 내장재료로 사용되었던 울, 암면, 스티로폴 등은 연소시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특히, 글라스 울의 경우에는 준발암물질이 나오므로 특별한 조치 없이 샌드위치패널의 내부마감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흡음성이 낮아 외부의 소음이 건물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8-34097호의 '경량화 난연성 내장용 규소보드의 가공방법 및 규소보드'는 합판, 하드보드, MDF 등 목재나 목분을 주제로 하는 경량합판을 물은 소다용액에 침적하여 가열 건조한 후, 이에 다시 규산소다 등의 무기질 충전제와 강알칼리성 수지안료를 혼합하여 미립화한 다음 이를 묽은 규산소다 용액에 함침시킨 것이므로, 규산소다 자체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마감코팅을 별도로 않는 이상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따라서 난연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종이로 된 벌집형 부재의 양면에 종이인 제1시트가 부착되고 이 제1시트의 표면에 섬유인 제2시트가 부착됨으로써 초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단열, 흡음 및 방음이 이뤄지도록 한 난연성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벌집형 부재와 그 양면에 부착된 제1시트를 난연처리된 종이로 마련하고 상기 제1시트의 표면에 부착된 제2시트를 난연처리된 섬유시트나 글라스 울 또는 난연멜라민시트로 마련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용융 및 연소 등으로 인한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 소재로 만들어져 환경오염이 방지되도록 한 난연성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벌집형 부재
12: 제1시트
14: 제2시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난연성 패널은,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두꺼운 종이로 형성된 벌집형 부재; 이 벌집형 부재의 양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종이인 제1시트; 이 제1시트의 외측표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제2시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패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연성 패널은 벌집형 부재(10)의 양면에 제1, 제2시트(12,14)가 부착되되 상기 벌집형 부재(10)와 제1시트(12)는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종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2시트(14)는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섬유로 마련된다.
상기 벌집형 부재(10)와 제1시트(12) 및 제2시트(14)는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단계 후 외측표면에만 도포 내지 분사시켜 난연 처리하여도 난연효과를 얻음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제2시트(14)는 섬유로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글라스 울로 된 시트나 난연처리된 멜라민시트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C.M.C) 50~55중량%, 제1인산나트륨 30~40중량%, 제1인산암모늄 15~25중량%의 혼합물 100g을 물 2ℓ에 용해시켜 용제를 조성하고 이 용제에 실리콘 400∼1200g를 넣어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만든 후 상기 혼합용액에 규산 소다용액 2000~3200g로 혼합한 혼합용액이다.
상기 규산 소다용액은 20℃에서의 밀도(Be') 52~54이며, 물불용분 0.2중량%이하, 산화나트륨(Na2O) 14~15중량%, 이산화규소(SiO2) 34~35중량%, 산화제이철(Fe2O3) 0.05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현재 시판중인 액상 규산 소다 제2호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규산 소다용액은 제2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호나 제3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규산 소다는 패널이 난연성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은 80℃이상의 온도에서는 셀룰로오스 막을 형성함으로써 물에 대하여 불용성이 되어 습기에 약한 규산 소다의 단점을 보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1인산암모늄은 난연기능을 부가시키며, 제1인산나트륨은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강성보강작용을 한다. 또한, 실리콘은 난연성 뿐만 아니라 발수성이 있으며, 변성실리콘인 Polyvinyl Methyle Silicon Rubber로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난연성 패널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종이인 벌집형 부재(10)와 제1시트(12)는 물론 섬유인 제2시트(14)가 불에 잘 타지 않아 불을 차단하며 화재가 건물의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온의 열에 의해 타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패널은 규산 소다 및 실리콘의 방염, 난연성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의 불용성을 이용하여 벌집형 부재(10), 제1시트(12) 및 제2시트(14)를 무기질의 수용성 난연제가 함침 및 가열건조 처리된 상태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벌집형 부재(10)의 양면에 종이인 제1시트(12)가 부착되어 있어 구조적인 특성상 충분한 강도보강이 이뤄지며, 특히 벌집형 부재(10)의 양면에 제1시트(12)로 막힘으로써 확실한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확실한 단열효과를 얻음은 물론 흡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벌집형 부재(10)의 제1시트(12) 외면에 제2시트(14)인 섬유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흡음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인 제1시트(12)와섬유인 제2시트(14)가 조화를 이루어 단열과 흡음은 물론 방음이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패널은 벌집형 부재의 양면에 제1, 제2시트가 부착되어 있어 구조적인 특성상 강도보강이 이뤄지고 단열, 흡음 및 방음이 이뤄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벌집형 부재와 제1, 제2시트에 수용성 무기질의 난연제가 함침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용융 및 연소 등으로 인한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화재의 번짐을 방지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 소재인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난연성 패널은 상기에서 언급한 건축용뿐만 아니라 차량 또는 선박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두꺼운 종이로 형성된 벌집형 부재(10); 이 벌집형 부재(10)의 양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종이인 제1시트(12); 이 제1시트(12)의 외측표면에 부착되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제2시트(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14)가 섬유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14)가 멜라민시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패널.
KR20-2002-0028578U 2002-09-24 2002-09-24 난연성 패널 KR200298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78U KR200298958Y1 (ko) 2002-09-24 2002-09-24 난연성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78U KR200298958Y1 (ko) 2002-09-24 2002-09-24 난연성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958Y1 true KR200298958Y1 (ko) 2003-01-03

Family

ID=4932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78U KR200298958Y1 (ko) 2002-09-24 2002-09-24 난연성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95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839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하니컴 패널 제조방법 및 하니컴 패널 및 하니컴 코팅장치
KR20170120903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20180089686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해나라 칸막이용 내장 패널, 그리고 칸막이용 내장 패널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8506A (ko) * 2019-06-07 2019-06-18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2019012300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광운기술 통기성 및 차열 차염 성능이 우수한 차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20087875A (ko) * 2020-12-18 2022-06-27 (주)세종이엠씨 허니컴 패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839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하니컴 패널 제조방법 및 하니컴 패널 및 하니컴 코팅장치
KR101596310B1 (ko) * 2014-04-11 2016-02-22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하니컴 코팅장치
KR20170120903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101973665B1 (ko) * 2016-04-22 2019-04-29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20180089686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해나라 칸막이용 내장 패널, 그리고 칸막이용 내장 패널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734B1 (ko) * 2017-02-01 2019-09-04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칸막이용 내장 패널 제조 시스템
KR2019012300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광운기술 통기성 및 차열 차염 성능이 우수한 차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63920B1 (ko) * 2018-04-23 2020-0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통기성 및 차열 차염 성능이 우수한 차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190068506A (ko) * 2019-06-07 2019-06-18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102129848B1 (ko) * 2019-06-07 2020-07-06 주식회사 광스틸 내화 칸막이
KR20220087875A (ko) * 2020-12-18 2022-06-27 (주)세종이엠씨 허니컴 패널
KR102471179B1 (ko) * 2020-12-18 2022-11-25 (주) 세종이엠씨 허니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401Y1 (ko) 난연성의 건축용 내화 단열 패널
KR100875895B1 (ko) 시공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그 단열패널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JP5405349B2 (ja) 耐火被覆構造体
KR200391775Y1 (ko) 발포접착제를 사용한 내화패널
KR100473347B1 (ko) 경량골재를 이용한 내화성 판재조성물
KR101932135B1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200298958Y1 (ko) 난연성 패널
JP3218359B2 (ja) 発泡耐火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KR20170122962A (ko) 샌드위치 판넬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JP2001072930A (ja) 発泡耐火塗料
WO2008127069A2 (en) Incombustible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JP2000169853A (ja) 耐火被覆材組成物
KR102193350B1 (ko) 글라스 울 복합패널
KR200279956Y1 (ko) 난연성 단열 패널
KR200416581Y1 (ko) 난연성 바닥판넬 및 벽판넬
KR20060118997A (ko)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100832141B1 (ko) 수용성 무기질 난연제
KR200296022Y1 (ko) 기능성 내·방화 복합패널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JP2005133387A (ja) 鋼板・発泡材一体形成による外装用サイディング材
KR860002059B1 (ko) 건축용 섬유판
KR20120007438U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KR200311675Y1 (ko) 난연성 복합패널
KR200361180Y1 (ko) 건축용 내화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