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675Y1 - 난연성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난연성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675Y1
KR200311675Y1 KR20-2003-0001475U KR20030001475U KR200311675Y1 KR 200311675 Y1 KR200311675 Y1 KR 200311675Y1 KR 20030001475 U KR20030001475 U KR 20030001475U KR 200311675 Y1 KR200311675 Y1 KR 20031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lame retardant
block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이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20-2003-0001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연성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을 형성하고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난연블록으로 난연보드를 마련한 후 그 양측표면에 난연처리된 섬유(또는 종이)나 철판, 아연강판의 외측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초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저밀도로 제조된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12a)이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블록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다수의 난연블록(12); 이 난연블록(12)의 강성증대층(12a)이 연속하여 하나의 평탄면을 이루도록 다수의 난연블록(12)들을 맞닿는 상태로 접착배열한 난연보드(10); 이 난연보드(10)의 양측표면에 접착되고 종이, 섬유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되거나 철판, 아연강판 등으로 마감한 외측시트(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성 복합패널{Fire retardant compound panel}
본 고안은 난연성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고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난연블록으로 이루어진 난연보드의 양측표면에 난연처리된 섬유(또는 종이) 등의 외측시트를 부착하여 초경량이라는 폴리에스터섬유 특유의 장점을 살리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난연성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정된 건축법 시행령 제61조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내부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건축물의 복합패널의 경우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시험방법인 KS F 2271에 합격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도록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다중이용시설 및 공장의 외벽 등에 주로 사용되었던 스티로폴, 우레탄 등은 연소시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특히 글라스 울의 경우에는 준발암물질이 나오므로 특별한 조치 없이 샌드위치패널의 내부마감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8-34097호의 '경량화 난연성 내장용 규소보드의 가공방법 및 규소보드'는 합판, 하드보드, MDF 등 목재나 목분을 주제로 하는 경량합판을 묽은 소다용액에 침적하여 가열 건조한 후, 이에 다시 규산소다 등의 무기질 충전제와 강알칼리성 수지안료를 혼합하여 미립화한 다음 이를 묽은 규산소다 용액에 함침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있어서는, 규산소다 자체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마감코팅을 별도로 않는 이상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난연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량합판의 주재료가 목재나 목분인 합판, 하드보드, MDF 이므로 경량화에 한계가 있으며 이들 재료들은 흡음성을 갖지 않는 것이어서 방음효과를 기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저밀도로 제조된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요철, 엠보싱, 니들 등으로 강성증대층을 형성하고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난연블록으로 난연보드를 마련한 후 그 양측표면에 난연처리된 섬유(또는 종이)나 철판, 아연강판 등의 외측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초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한 난연성 복합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난연처리된 폴리에스터섬유인 난연보드와 이 난연보드의 외면에 섬유 또는 종이의 외측시트로 마련한 것이어서 이들의 조화로 효율적인 흡음이 이뤄지고 이로 인한 방음 내지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한 난연성 복합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복합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서리부분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에서 요부인 난연블록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연보드
12: 난연블록
12a: 강성증대층
14: 외측시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저밀도로 제작된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이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블록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된 다수의 난연블록; 이 난연블록의 강성증대층이 연속하여 하나의 평탄면을 이루도록 다수의 난연블록들을 맞닿는 상태로 패널사이즈로 접착배열한 난연보드; 상기 난연보드의 양측표면에 접착된 외측시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블록의 강성증대층은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강성증대를 위한 수단 내지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통상 요철, 엠보싱, 니들 등이 있다.
상기 외측시트는 섬유, 종이 또는 섬유합판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것이나 철판, 아연강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복합패널을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모서리부분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면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에서 요부인 난연블록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난연블록(12)의 강성증대층(12a)이 양측에 위치되도록 다수의 난연블록(12)들이 연속하여 맞닿게 패널사이즈로 접착배열한 난연보드(10)와, 이 난연보드(10)의 양측표면에 접착되는 외측시트(14)로 구성된다.
상기 난연보드(10)의 난연블록(12)은 저밀도로 제조된 소정두께의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이며, 그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12a)의 하나인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블록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되어 있다. 또 상기 난연블록(12)은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키지 않고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양측표면에 요철무늬(12a)를 형성시킨 후 양측표면에만 도포 내지 분사시켜 난연 처리하여도 난연효과를 얻음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또 상기 강성증대층(12a)은 도 3b에서 요철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 엠보싱이라든가 니들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연블록(12)은 난연보드(10)의 폭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난연보드(10)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난연보드(10)의 길이방향으로만 난연블록(12)을 접착하는 과정으로 난연보드(1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시트(14)는 난연보드(10)의 양측표면에 접착되는 것이며, 섬유, 종이 또는 섬유합판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시트(14) 또한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키지 않고 섬유 또는 종이의 양측표면에만 도포 내지 분사시켜 난연 처리함이 가능하다.
또 상기 외측시트(14)는 상기의 섬유나 종이 이외에도 글라스 울로 된 시트나 난연처리된 멜라민시트는 물론 철판, 아연강판 등으로 된 금속시트로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는 난연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것으로, 이산화규소와 산화나트륨으로 구성된 난연성의 규산소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C.M.C), 제1인산암모늄, 인산나트륨, 및 실리콘 또는 변성실리콘(Polyvinyl Methyle Silicon Rubber)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에 대한 제조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소정두께를 갖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저밀도의 폴리에스터섬유보드로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보드를 한 쌍인 롤러타입의 철망을 소정온도로 가열시킨 상태에서 통과시키면 폴리에스터섬유보드의 상하표면에 강성증대층(12a)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강성증대층(12a)이 형성된 폴리에스터섬유보드를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을 마련한 후 이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을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담겨진 용기 속에 침전시켰다가 꺼내어 건조시켜 난연블록(12)을 얻는다.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보드는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에 침전시킨 후 폴리에스터섬유블록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폴리에스터섬유보드를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에 침전시켰다가 건조시켜 절단함으로써 난연블록(12)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되고 난연처리된 난연블록(12)을 평탄한 작업대 위에서 난연블록(12)의 강성증대층(12a)이 연속하여 하나의 평탄면을 이루도록 다수의 난연블록(12)들을 맞닿는 상태, 즉 난연블록(12)의 절단면이 서로 연속하여 맞닿게 다수의 난연블록(12)들을 패널사이즈로 접착 배열함으로써 난연보드(10)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난연블록(12)으로 난연보드(10)를 마련한 후 그 상하표면에 섬유 또는 종이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것이나 철판, 아연강판 등의 외측시트(14)를 접착함으로써 완제품인 난연성 복합패널을 얻는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난연성 복합패널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난연처리된 폴리에스터섬유인 난연보드(10)는 물론이고 종이 또는 섬유가 난연처리된 외측시트(14)이므로 불에 잘 타지 않아 불을 차단하며 화재가 건물의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온의 열에 의해 타더라도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규산 소다 및 실리콘의 방염, 난연성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의 불용성을 이용하여 난연보드(10) 및 외측시트(14)에 무기질의 수용성 난연제가 함침 및 가열건조 처리된 상태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난연보드(10)를 이루는 난연블록(12)의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12a)이 형성되어 구조적인 특성상 강도보강이 이뤄지고,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두께를 폭으로 하여 세우고 접착한 것이므로 경량이라는 폴리에스터섬유 특유의 장점을 갖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난연성 복합패널은 내부의 난연보드(10)가 폴리에스터섬유로 제조된 것으로 다공성이고 그 양쪽측면에 섬유 또는 종이인 외측시트(14)가 조화를 이루어 보다 효율적인 흡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연성 복합패널은 저밀도의 폴리에스터섬유블록 양측표면에 강성증대층을 형성하고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난연블록으로 마련된 난연보드의 양측표면에 난연처리된 섬유(또는 종이)나 철판, 아연강판인 외측시트를 부착한 것이어서 초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공성의 폴리에스터섬유인 난연보드와 이 난연보드의 외면에 섬유 또는 종이인 외측시트로 마련하면 이들의 조화로 효율적인 흡음이 이뤄지고 이로 인한 방음 내지 단열성이 향상되며, 상기 난연보드의 외면에 철판, 아연강판 등의 외측시트로 마감한 난연 건축자재로서의 특유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난연성 복합패널은 일반 폐섬유 혹은 섬유로 형성된 보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상기에서 언급한 건축용뿐만 아니라 차량 또는 선박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저밀도로 제조된 폴리에스터섬유블록의 상하표면에 강성증대층(12a)이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블록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를 함침 건조시킨 다수의 난연블록(12); 이 난연블록(12)의 강성증대층(12a)이 연속하여 하나의 평탄면을 이루도록 다수의 난연블록(12)들을 맞닿는 상태로 접착배열한 난연보드(10); 이 난연보드(10)의 양측표면에 접착되는 외측시트(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시트(14)는 섬유, 종이에 수용성의 무기질 난연제가 함침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시트(14)는 철판, 아연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패널.
KR20-2003-0001475U 2003-01-17 2003-01-17 난연성 복합패널 KR20031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75U KR200311675Y1 (ko) 2003-01-17 2003-01-17 난연성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475U KR200311675Y1 (ko) 2003-01-17 2003-01-17 난연성 복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675Y1 true KR200311675Y1 (ko) 2003-05-09

Family

ID=4940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475U KR200311675Y1 (ko) 2003-01-17 2003-01-17 난연성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JP2000077883A (ja) 不燃性ハニカム電波吸収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波吸収体
KR20190054891A (ko)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US20220332106A1 (en) In-line lamin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composite panels with textured film layers
KR10069307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200311675Y1 (ko) 난연성 복합패널
CN210459757U (zh) 一种轻钢房屋多功能墙体
KR200298958Y1 (ko) 난연성 패널
KR102219220B1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1372B1 (ko) 친환경 불연성 컬링방지용 치장마루판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S2929338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materiales compuestos laminados
KR860002059B1 (ko) 건축용 섬유판
KR200419439Y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CN214449159U (zh) 一种具有阻燃结构的阻燃纤维板
KR200279956Y1 (ko) 난연성 단열 패널
CN212957379U (zh) 一种高强度防火隔音复合板
KR200330933Y1 (ko) 내부마감재용 패널
KR102157316B1 (ko) 목재-무기질 적층 복합재
KR102251361B1 (ko) 준불연 케나프 보드 및 제조방법
KR860002058B1 (ko) 건축용 섬유판
KR200361180Y1 (ko) 건축용 내화패널
KR20040080886A (ko) 흡음단열 패널
KR20040100120A (ko) 단열, 내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95265Y1 (ko) 난연성 단열 흡음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