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47Y1 - 운동용 에어발판 - Google Patents

운동용 에어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47Y1
KR200298847Y1 KR2020020029872U KR20020029872U KR200298847Y1 KR 200298847 Y1 KR200298847 Y1 KR 200298847Y1 KR 2020020029872 U KR2020020029872 U KR 2020020029872U KR 20020029872 U KR20020029872 U KR 20020029872U KR 200298847 Y1 KR200298847 Y1 KR 200298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exercise
scaff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선
Original Assignee
박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선 filed Critical 박희선
Priority to KR2020020029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47Y1/ko
Priority to US10/491,968 priority patent/US7160229B2/en
Priority to JP2003539784A priority patent/JP4169695B2/ja
Priority to EP02781974.7A priority patent/EP1455903B1/en
Priority to PCT/KR2002/001979 priority patent/WO2003037445A1/en
Priority to DE20221820U priority patent/DE20221820U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47Y1/ko
Priority to US11/603,248 priority patent/US8328699B2/en
Priority to US12/468,527 priority patent/US20090227427A1/en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를 갖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가지며, 하단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출입유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에 끼워져 상기 본체부 내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와;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운동용 에어발판{Exercising air footboard}
본 고안은,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동용 발판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은, 사각판으로 된 디딤판(110)과, 디딤판(110)의 하부 네 모서리에 마련되는 탄성재질의 지지대(130)를 갖는다. 디딤판(110)의 상면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부착판(1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운동용 발판(100)을 평평한 지면에 배치한 후, 디딤판(110)의 부착판(120) 위에 올라가거나(도약하거나) 지면으로 내려오는(착지하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혹은 부착판(120) 위에 올라가서 뛰면, 사용자의 하중이 부착판(120) 및 디딤판(110)을 경유하여 지지대(130)를 통해 지면에 전달된다.
이 때, 지지대(130)는 탄성변형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한 충격력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무릎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보호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발판(100)으로 인해 부착판(120) 위로 오르내리는 행위 및 뛰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무릎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에 있어서는, 지지대(130)만이 완충력을 갖는 폴리우레탄만으로 제조되어 있는 바, 전체적으로 운동용 발판(100)이 갖는 완충력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자의 무릎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하게 상쇄할 수 없다. 결국,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으로는 무릎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이면서 유쾌한 운동감을 제공하는데는 그 한계가 따르게 된다.
또한, 지지대(130)만이 완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운동용발판(100)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부착판(120) 및 디딤판(110)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의 지지대(130)는 완충력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체중이 다른 어른이나 아이들의 경우, 각각 그 체중에 맞는 운동용 발판(100)을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 및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출원인은 이미 출원번호 20-2001-33045 및 출원번호 10-2002-8484로 기출원한 바 있다. 기출원된 기술에 의하면 운동용 발판이 갖는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고, 디딤판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자체적으로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운동용 발판으로도 체중이 서로 상이한 어른이나 아이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운동용 발판의 경우, 공기압축 방식으로 지지대에 가해지는 완충력을 조절하다보면, 완충력의 조절에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나, 공기압축시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소음은 운동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운동용 발판이 갖는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디딤판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동용 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완충지지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공기량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딤판 30 : 완충지지부재
31 : 본체부 31b : 제1단위부분
31b : 제2단위부분 33 : 개방부
34 : 커버부재 35,35' : 공기량조절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를 갖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가지며, 하단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출입유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에 끼워져 상기 본체부 내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와;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영역에 형성된 중앙관통부분과; 상기 중앙관통부분과 연통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측면관통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는, 상기 중앙관통부분에 끼워지는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관통부분에 각각 끼워지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 내로 출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본체의 판면에는 상기 본체부 내로 출입하는 공기량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복수의 단위부분은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인접한 제1단위부분과 상기 제1단위부분의 상단에 층상배열되는 제2단위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단위부분의 반지름이 상기 제2단위부분의 반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하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하단이 압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디딤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엠보싱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은 판상의 디딤판(10)과,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30)를 갖는다.
디딤판(10)의 상면에는 엠보싱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돌기(20)는 운동시 디딤판(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엠보싱돌기(20)는 별도로 제조되어 디딤판(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디딤판(10)의 제조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디딤판(10)은 소위, 적층강화목으로서 합성수지가 첨가된 여려겹의 박판을 고온고압으로 성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딤판(10)을 제조하면비교적 단단하고 탄성력 및 탄성변형량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이점을 가질 수 잇다.
디딤판(10)의 판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있다면 도시 않은 콘트롤부에 연결되어 디딤판(10)으로 오르내리는 운동의 도약횟수, 시간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과 운동횟수 등을 설정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는 디딤판(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지지부재(30)는 디딤판(10)의 하부에 접착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완충지지부재(30)는,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31b,31c)을 가지며 하단(31a)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31d)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출입유로를 형성하는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상단(31d) 개방부(33)에 끼워져 본체부(31) 내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35)와, 공기량조절부재(35)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31)의 상단(31d)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4)를 포함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의 상단(31d) 개방부(33)는, 본체부(31)의 상단(31d) 중앙영역에 형성된 중앙관통부분(33a)과, 중앙관통부분(33a)과 연통되며 본체부(31)의 상단(31d)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측면관통부분(3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면관통부분(33b)은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여러 개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결국, 사용자가 디딤판(10)에 올라가 걷거나 뛰면, 본체부(31)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중앙관통부분(33a)을 통해 측면관통부분(33b)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이어 복수의 단위부분(31b,31c)이 상호 압착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본체부(31)의 상단(31d)에 단지 개방부(33)만 형성되어 있다면 너무 쉽게 공기가 출입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완충작용이 일어날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 개방부(33)에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재질의 공기량조절부재(35)를 장착하고 있다.
공기량조절부재(35)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통부분(33a)에 끼워지는 조절본체(35a)와, 조절본체(35a)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측면관통부분(33b)에 각각 끼워지는 플랜지부(35b)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량조절부재(35)가 본체부(31)의 상단(31d) 개방부(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딤판(10)에 올라가 걷거나 뛰면, 본체부(31)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중앙관통부분(33a)의 조절본체(35a)를 통해 측면관통부분(33b)의 플랜지부(35b)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복수의 단위부분(31b,31c)이 상호 압착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공기량조절부재(35)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과정에서도 소음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a와는 다르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량조절부재(35')의 조절본체(35a) 판면에는 본체부(31) 내로 출입하는 공기량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관통공(35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관통공(35c)은 그 형상 및 개수에 있어서 도면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b와 같이 조절본체(35a)의 판면에 복수의 관통공(35c)을 형성할 경우, 도 5a에 도시된 공기량조절부재(35)를 장착한 완충지지부재(30) 보다 그 완충작용이 더 크다. 따라서, 도 5a의 공기량조절부재(35)를 적용한 완충지지부재(30)는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어른에게 유리하고, 도 5b의 공기량조절부재(35')를 적용한 완충지지부재(30)는 여성이나 어린이에게 유리할 것이다.
본체부(31)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부분(31b,31c)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본체부(31)의 하단(31a)에 인접한 제1단위부분(31b)과 제1단위부분(31b)의 상단에 층상배열되는 제2단위부분(31c)인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부분(31b)의 반지름(R1)이 제2단위부분(31c)의 반지름(R2)에 비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높은 완충력을 유지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31)의 하단(31a), 상단(31b), 제1단위부재(31c) 및 제2단위부재(31d) 사이의 공간은 원활한 압착을 위해 내측으로 라운딩 처리("A" 참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제1단위부분(31b)의 반지름(R1) 및 제2단위부분(31c)의 반지름(R2), 그리고 이들의 체적 등은 디딤판(10)의 크기 및 하중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함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부(31)의 하단(31a)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에 의해 본체부(31)의 하단(31a)이 압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32)가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트부(32)는 사각블럭 형상을 가지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용 에어발판(1)을 평평한 지면에 평평한 지면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지면으로부터 디딤판(10) 위로 오르내리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혹은, 디딤판(10) 위에 올라가 정위치에서 뛰면, 디딤판(10)에 가해진 하중이 디딤판(10)과 완충지지부재(30)를 거쳐 지면으로 전달된다.
이 때, 디딤판(10)에서도 어느 정도의 완충이 행해지나, 주로 완충지지부재(30)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디딤판(10)을 가압하는 시점에서 본체부(31)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중앙관통부분(33a)의 조절본체(35a)를 통해 측면관통부분(33b)의 플랜지부(35b)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제2단위부분(31c)은 제1단위부분(31b)으로 압착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이 때, 완충지지부재(30)에는 다공성 재질의 공기량조절부재(35)가 마련되어 있는 바, 본체부(31)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 완충이 되는 과정에서도 소음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의 공기량조절부재(35)를 완충지지부재(30)에 적용하면 비교적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어른에게 효과적이고, 도 5b의 공기량조절부재(35')를 완충지지부재(30)에 적용하면 중량이 적은 여성이나 어린이에게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지지부재(30)가 장착된 운동용 에어발판(1)에 의하면,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용 에어발판에 따르면, 완충조절시 발생가능한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한편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Claims (8)

  1.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지지부재를 갖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가지며, 하단은 폐쇄되어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출입유로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에 끼워져 상기 본체부 내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와;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 중앙영역에 형성된 중앙관통부분과; 상기 중앙관통부분과 연통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측면관통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는, 상기 중앙관통부분에 끼워지는 조절본체와; 상기 조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관통부분에 각각 끼워지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 내로 출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본체의 판면에는 상기 본체부 내로 출입하는 공기량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조절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부분은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인접한 제1단위부분과 상기 제1단위부분의 상단에 층상배열되는 제2단위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단위부분의 반지름이 상기 제2단위부분의 반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하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하단이 압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엠보싱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KR2020020029872U 2001-10-29 2002-10-07 운동용 에어발판 KR200298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872U KR200298847Y1 (ko) 2002-10-07 2002-10-07 운동용 에어발판
US10/491,968 US7160229B2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JP2003539784A JP4169695B2 (ja) 2001-10-29 2002-10-23 運動用空気入り踏み板及び空気入り踏み板用緩衝材
EP02781974.7A EP1455903B1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PCT/KR2002/001979 WO2003037445A1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DE20221820U DE20221820U1 (de) 2001-10-29 2002-10-23 Gymnastik-Luftstepbrett und Dämpfer für Luftstepbrett
US11/603,248 US8328699B2 (en) 2001-10-29 2006-11-22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US12/468,527 US20090227427A1 (en) 2001-10-29 2009-05-19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872U KR200298847Y1 (ko) 2002-10-07 2002-10-07 운동용 에어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47Y1 true KR200298847Y1 (ko) 2002-12-31

Family

ID=7307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872U KR200298847Y1 (ko) 2001-10-29 2002-10-07 운동용 에어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88B1 (ko) * 2002-02-18 2004-09-04 박희선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638520B1 (ko) 2006-08-04 2006-10-26 정찬모 헬스 에어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88B1 (ko) * 2002-02-18 2004-09-04 박희선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638520B1 (ko) 2006-08-04 2006-10-26 정찬모 헬스 에어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1542B2 (ja) 運動器具
JP4169695B2 (ja) 運動用空気入り踏み板及び空気入り踏み板用緩衝材
US5544431A (en) Shock absorbing shoe with adjustable insert
KR200466087Y1 (ko)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US7131934B2 (en) Impact absorbing exercise platform
ITMI941423A1 (it) Suola di scarpa
US8105219B1 (en) Cheerleader training device
US20080076638A1 (en) Rebounder
CA2063468A1 (en) Combined exercise platform
US20050124468A1 (en) Simulated cushioned jogging and running mat
US4707934A (en) Jumping shoe attachment
KR200298847Y1 (ko) 운동용 에어발판
US5295932A (en) Stilts
KR200385431Y1 (ko) 운동용 에어발판
KR100848353B1 (ko) 운동용 에어보드
US20110160021A1 (en) Exercise system
KR100446588B1 (ko)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1046619B1 (ko) 점핑보드
KR200395706Y1 (ko) 점핑유희구
KR200290252Y1 (ko) 레져용 롱스틱 스텝퍼
KR200312971Y1 (ko) 유희용 시소
CN209984922U (zh) 游戏滑梯
CN212941262U (zh) 一种儿童高跷玩具
WO2008016202A1 (en) A health air board
KR20110094942A (ko) 덤블링 슈즈 및 덤블링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