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588B1 -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588B1
KR100446588B1 KR10-2002-0008484A KR20020008484A KR100446588B1 KR 100446588 B1 KR100446588 B1 KR 100446588B1 KR 20020008484 A KR20020008484 A KR 20020008484A KR 100446588 B1 KR100446588 B1 KR 10044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e
main body
buffe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839A (ko
Inventor
박희선
Original Assignee
박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2216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465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선 filed Critical 박희선
Priority to KR10-2002-000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588B1/ko
Priority to EP02781974.7A priority patent/EP1455903B1/en
Priority to DE20221820U priority patent/DE20221820U1/de
Priority to JP2003539784A priority patent/JP4169695B2/ja
Priority to PCT/KR2002/001979 priority patent/WO2003037445A1/en
Priority to US10/491,968 priority patent/US7160229B2/en
Publication of KR2003006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39A/ko
Publication of KR10044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1/603,248 priority patent/US8328699B2/en
Priority to US12/468,527 priority patent/US20090227427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높여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디딤판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member for air footboard}
본 발명은,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에 완충력을 부여하도록 발판의 하부에 완충부재를 마련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으로 된 탄성체인 디딤판(110)과 디딤판(1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 부착되는 지지대(130)를 갖는다.
디딤판(110)의 상면에는 사각형상을 갖는 부착판(120)이 마련되어 있다. 부착판(120)은 탄성체인 고무로 제조된다.
지지대(130)는 폴리우레탄(PU)으로 제조된다. 폴리우레탄은 탄성체로 넓은 범위의 경도를 갖는다. 이러한 콜리우레탄은 내마모성, 연신율 및 충격강도 등에 있어서 고무나 일반 플라스틱에 비하여 2 내지 5배의 높은 기계적 물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을 평평한 지면에 놓고 사용자가 디딤판(110)의 부착판(120) 위에 올라가 걷거나 뛰면, 부착판(120)에 가해진 힘이 디딤판(110)과 지지대(130)를 통해 지면에 전달된다. 이 때, 부착판(120), 디딤판(110) 및 지지대(130)가 탄성변형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한 충격력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무릎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보호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발판(100)으로 인해 부착판(120) 위로 오르내리는 행위 및 뛰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하체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은 지지대(130)를 폴리우레탄만으로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딤판(110)으로 도약하였다가 착지하는 경우를 반복할 경우, 발판(100)이 갖는 완충력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쾌한 운동감을 느끼는데 부족할 뿐 아니라 높게 도약하거나 반복적으로 도약할 경우 사용자의 무릎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하게 상쇄할 수 없어 무릎에 손상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작용을 높여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디딤판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약 횟수 및 운동 시간 등을 체크하면서 반복적인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동용 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부재가 디딤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부분 분해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재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평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딤판 14 : 디스플레이부
20 : 부착판 30 : 완충부재
40 : 본체부 50 : 공기배출조절부
51 : 차폐부 52 : 개폐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적어도 삼각구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의 본체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삼단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를 갖는다.
상기 공기배출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판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딤판과 상기 완충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딤판의 판면에 마련되어 운동 도약횟수, 시간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더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로 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상의 디딤판(10)과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완충부재(30)를 갖는다. 디딤판(10)의 상면에는 사각형상을 갖는 부착판(20)이 마련되어 있다. 부착판(20)은 탄성체인 고무로 제조되어 접촉감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소량의 완충작용을 도모한다.
디딤판(10)은 소위, 하이팩 의자의 소재인 적층강화목으로서 합성수지가 첨가되어 압착된 여려겹의 밤나무 박판을 고온고압으로 성형시켜 제조된다. 따라서, 디딤판(10)은 단단하고 탄성력 및 탄성 변형량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디딤판(10)의 판면에는 디스플레이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4)는 도시 않은 콘트롤부에 연결되어 디딤판(10)의 부착판(20)으로 오르내리는 운동의 도약횟수, 시간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과 운동횟수 등을 설정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볼트(10a)가 마련되어 있으며, 완충부재(30)에는 볼트(10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도 4a 참조). 이에, 완충부재(30)의 볼트체결부(30a)를 디딤판(10)의 볼트(10a)에 체결함으로써 디딤판(10)에 완충부재(3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볼트(10a) 및 볼트체결부(30a)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완충부재(30)에 볼트(10a)를 마련하고 디딤판(10)의 하면에 볼트체결부(30a)를 마련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디딤판(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부재(30)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체부(40)와, 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본체부(40)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50)를 갖는다.
이 때, 본체부(40)는 높이방향을 이단 혹은 사단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본체부(40)는 높이방향을 따라 삼단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재(40a,40b,40c)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폴리우레탄은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 생성물을 칭하는 것으로 DuPont의 나일론 66의 특허권을 피하기 위해 독일 화학자들에 의해 초기에 섬유재료로 개발되었다. 그 이후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포리올(polyol)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등장으로 물성영역이 매우 광범위한 제품이 개발되었다. 특히, 폴리우레탄은 넓은 범위의 경도에서 탄성체의 성질을 나타내며, 내마모성, 연신율 및 충격강도 등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고무나 일반 플라스틱에 비하여 2 내지 5배의 높은 기계적 물성을 지니고 있어 많은 산업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중 탄성 섬유로서 스포츠 의류 등에 사용되는 스판덱스(spandex)와 합성피혁은 열가소성이나 나머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대부분 열경화성으로서 가교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에 비하여 경도 60부터 74 사이에서 내마모성, 탄성, 내완충성, 저온에서의 유연성, 탄성변형량이 뛰어나고, 오랜 시간동안 힘이 가해진 후의 영구적인 변형량이 적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30)의 본체부(40)의 재질로는 탄성, 내완충성, 유연성, 탄성변형량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영구변형량이 적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기배출조절부(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판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공기배출공(51a,51b)이 형성된 차폐부(51)와, 차폐부(5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배출공(51a,51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52)를 포함한다. 이 때, 개폐부(52)에는 파지용 손잡이부(52a)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을 비교적 하중이 큰 어른이 사용할 경우에는 개폐부(52)를 회전시켜 크기가 가장 작은 공기배출공(51a)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하중이 작은 어린이가 에어발판(1)을 이용할 경우에는 크기가 큰 공기배출공(51b)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하중에 맞추어 적절한 운동량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용 에어발판(1)을 평평한 지면에 평평한 지면에 배치한다. 그런다음, 사용자가 지면으로부터 디딤판(10)의 부착판(20) 위로 오르내리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혹은, 부착판(20) 위에 올라가 정위치에서 뛰면, 부착판(20)에 가해진 하중이 디딤판(10)과 완충부재(30)를 거쳐 지면으로 전달된다.
이 때, 디딤판(10) 및 부착판(20)에서도 어느 정도의 완충이 행해지나, 주로 완충부재(30)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1차적으로는 본체부(40)를 이루는 각 단위부재(40a,40b,40c) 들이 상호 압착되면서 완충이 이루어지고 2차적으로는 본체부(40) 내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공기배출공(51a,5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완충이 이루어진다.
만일, 비교적 하중이 큰 어른이 에어발판(1)을 사용할 경우에는 개폐부(52)를 회전시켜 크기가 가장 작은 공기배출공(51a)이 개방되도록 하고 하중이 작은 어린이가 에어발판(1)을 이용할 경우에는 크기가 큰 공기배출공(51b)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하중에 맞추어 적절한 운동량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에 에어발판(1)에 의하면, 완충부재(30)에 의해 완충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디딤판(10)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과 운동횟수 등을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한편, 공기배출조절부(50)로는 도 4b의 방법만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트부재(30')의 본체부(40')의 개방부를 분리되는 두 개의 커버부분(42,43)으로 구획하고 이들이 중첩되는 영역에 조절볼트(44)를 마련하여두 개의 커버부분(42,43)이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측부에 공기배출공(45)을 형성하고 소위, 미닫이식의 도어(46)를 마련하여 공기배출공(45)의 개방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체부(40',40")의 하면에 소정의 푸트부재(32)를 더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본체부(40)의 측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여러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40)의 상부에 마련된 차폐부(151)에 복수의 공기배출공(151a)을 관통형성시키고, 개폐부(152)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공기배출공(151a)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을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도 7b에 대해서는 도 7a와 대응하는 참조부호만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체부(140,240)의 상부에 공기배출공(151a,252a)들을 마련하고 있지만 도 7c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체부(340)의 하면에 복수의 공기배출공(353a)들을 마련하고 소위, 미닫이식의 도어(346)로 여닫으면서 공기배출공(353a)들을 적절하게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c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푸트부재(342)를 본체부(34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30)가 본체부(40)와 공기배출조절부(50)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부(40)가 삼단의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고 비교적 탄성력이 뛰어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재질을 가지므로, 완충부재(30)는 본체부(40)만으로도 운동용 에어발판(1)에서 요구되는 정도 이상의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완충부재(30)가 본체부(40)와 함께 공기배출조절부(50)를 갖는다면 운동용 에어발판(1)의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딤판(10)을 적층강화목으로 하고 있으나, 디딤판(10)은 기타의 탄성을 갖은 목재이거나 기타의 탄성체로 될 수 있다. 또한, 디딤판(10)을 사각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원판이거나 기타의 모양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딤판(10)에 부착판(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부착판(20)을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30)를 디딤판(10)의 하부에 결합시켜 운동시 완충작용을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30)는 반드시 디딤판(10)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즉, 예를 들어 침대나 의자와 같은 소정의 지지부(미도시)의 다리들에 완충부재(30)를 결합시키게 되면 또 다른 완충 효과를 거둘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3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개시된 완충부재(30)로 대체한다.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본체부의 양측에 공기유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각각 마련하고 공기배출구에 공기배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마련한다면 이 역시 하나의 공기배출조절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작용을 높여 사용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디딤판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도약 횟수 및 운동 시간 등을 체크하면서 반복적인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이 제공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적어도 삼각구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의 본체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삼단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4.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배출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판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6.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디딤판과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7.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를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디딤판의 판면에 마련되어 운동 도약횟수, 시간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8. 소정의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이단으로 층상배열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로 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본체부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KR10-2002-0008484A 2001-10-29 2002-02-18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44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84A KR100446588B1 (ko) 2002-02-18 2002-02-18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PCT/KR2002/001979 WO2003037445A1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DE20221820U DE20221820U1 (de) 2001-10-29 2002-10-23 Gymnastik-Luftstepbrett und Dämpfer für Luftstepbrett
JP2003539784A JP4169695B2 (ja) 2001-10-29 2002-10-23 運動用空気入り踏み板及び空気入り踏み板用緩衝材
EP02781974.7A EP1455903B1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US10/491,968 US7160229B2 (en) 2001-10-29 2002-10-23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US11/603,248 US8328699B2 (en) 2001-10-29 2006-11-22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US12/468,527 US20090227427A1 (en) 2001-10-29 2009-05-19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484A KR100446588B1 (ko) 2002-02-18 2002-02-18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39A KR20030068839A (ko) 2003-08-25
KR100446588B1 true KR100446588B1 (ko) 2004-09-04

Family

ID=3222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484A KR100446588B1 (ko) 2001-10-29 2002-02-18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5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97B1 (ko) * 2005-04-06 2008-03-19 김순만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848353B1 (ko) 2007-07-12 2008-07-25 윤경선 운동용 에어보드
WO2010087607A2 (ko) * 2009-01-28 2010-08-05 Lee Taesu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KR101093617B1 (ko) * 2008-08-29 2011-12-16 (주)케이제이 도약운동용 에어보드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KR101665293B1 (ko) 2016-05-12 2016-10-12 윤임식 실내 운동용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28B1 (ko) * 2007-07-18 2009-05-21 임승엽 다기능 운동 쿠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826A (en) * 1977-08-19 1979-07-03 Hancock John J Pneumatic jogging platform
JPH0994308A (ja) * 1995-04-25 1997-04-08 D Schefferor Tesema 運動用の緩衝ボード
KR200287131Y1 (ko) * 2002-02-20 2002-08-30 이은하 실내점핑운동기구
KR200298601Y1 (ko) * 2002-06-25 2002-12-26 주식회사 쉐브론테크놀러지 신체체력 단련용 보드
KR200298847Y1 (ko) * 2002-10-07 2002-12-31 박희선 운동용 에어발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826A (en) * 1977-08-19 1979-07-03 Hancock John J Pneumatic jogging platform
JPH0994308A (ja) * 1995-04-25 1997-04-08 D Schefferor Tesema 運動用の緩衝ボード
KR200287131Y1 (ko) * 2002-02-20 2002-08-30 이은하 실내점핑운동기구
KR200298601Y1 (ko) * 2002-06-25 2002-12-26 주식회사 쉐브론테크놀러지 신체체력 단련용 보드
KR200298847Y1 (ko) * 2002-10-07 2002-12-31 박희선 운동용 에어발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97B1 (ko) * 2005-04-06 2008-03-19 김순만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848353B1 (ko) 2007-07-12 2008-07-25 윤경선 운동용 에어보드
KR101093617B1 (ko) * 2008-08-29 2011-12-16 (주)케이제이 도약운동용 에어보드
WO2010087607A2 (ko) * 2009-01-28 2010-08-05 Lee Taesu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WO2010087607A3 (ko) * 2009-01-28 2010-11-25 Lee Taesu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KR101665293B1 (ko) 2016-05-12 2016-10-12 윤임식 실내 운동용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39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0001B2 (en) Trampoline system
US6446270B1 (en) Sports helmet
US6945913B2 (en) Cushioned pivoting deck
US5749787A (en) Floor cover, especially sports field cover
KR100446588B1 (ko)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US20060148620A1 (en) Trampoline system with systematically phased spring elements
WO2019181175A1 (ja) 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US20060141231A1 (en) Underpad system
EP1455903A1 (en) Exercising air footboard and buffer for air footboard
KR100815297B1 (ko)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100848353B1 (ko) 운동용 에어보드
KR200265396Y1 (ko) 운동용 에어발판
EP3989765A1 (en) A layered protective structure for protective garments and equipment and an elastic layer
WO2008001828A1 (fr) Semelle intercalaire de chaussure
KR200298847Y1 (ko) 운동용 에어발판
EP3247476B1 (en) Basket swing comprising a seat section having a double/single walled impact surface
KR101665293B1 (ko) 실내 운동용 보드
KR101046619B1 (ko) 점핑보드
KR20120065843A (ko) 보드용 상판완충부재
KR100464911B1 (ko) 복수의 가변식 공기쿠션을 갖는 신발
KR200298601Y1 (ko) 신체체력 단련용 보드
KR200290570Y1 (ko)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421118Y1 (ko)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200289454Y1 (ko) 의자 겸용 다리운동기구
CN112315117A (zh) 一种抗疲劳运动鞋鞋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201

Effective date: 2011072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826

Effective date: 201203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627

Effective date: 201206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2

Effective date: 201206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24

Effective date: 201206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419

Effective date: 20120726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731

Effective date: 2013053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31

Effective date: 20130531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701

Effective date: 20131011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701

Effective date: 201310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025

Effective date: 201311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