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31Y1 - 운동용 에어발판 - Google Patents

운동용 에어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31Y1
KR200385431Y1 KR20-2005-0006821U KR20050006821U KR200385431Y1 KR 200385431 Y1 KR200385431 Y1 KR 200385431Y1 KR 20050006821 U KR20050006821 U KR 20050006821U KR 200385431 Y1 KR200385431 Y1 KR 200385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ercise
body portion
buff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선
Original Assignee
박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선 filed Critical 박희선
Priority to KR20-2005-0006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내부가 빈 튜브형상으로써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공기통공과;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용 에어발판{Exercising air footboard}
본 고안은,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운동용 발판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은, 사각판으로 된 디딤판(110)과, 디딤판(110)의 하부 네 모서리에 마련되는 탄성재질의 지지대(130)를 갖는다. 디딤판(110)의 상면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부착판(1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운동용 발판(100)을 평평한 지면에 배치한 후, 디딤판(110)의 부착판(120) 위에 올라가거나(도약하거나) 지면으로 내려오는(착지하는) 행위를 반복하거나, 혹은 부착판(120) 위에 올라가서 뛰면, 사용자의 하중이 부착판(120) 및 디딤판(110)을 경유하여 지지대(130)를 통해 지면에 전달된다.
이 때, 지지대(130)는 탄성변형되면서 가해진 하중에 대한 충격력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무릎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보호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발판(100)으로 인해 부착판(120) 위로 오르내리는 행위 및 뛰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무릎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에 있어서는, 지지대(130)만이 완충력을 갖는 폴리우레탄만으로 제조되어 있는 바, 전체적으로 운동용 발판(100)이 갖는 완충력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자의 무릎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적절하게 상쇄할 수 없다. 결국,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으로는 무릎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이면서 유쾌한 운동감을 제공하는 데는 그 한계가 따르게 된다.
또한, 지지대(130)만이 완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부착판(120) 및 디딤판(110)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운동용 발판(100)의 지지대(130)는 완충력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체중이 다른 어른이나 아이들의 경우, 각각 그 체중에 맞는 운동용 발판(100)을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 및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출원인은 이미 출원번호 20-2001-33045 및 출원번호 10-2002-8484로 기출원한 바 있다. 기출원된 기술에 의하면 운동용 발판이 갖는 완충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한 운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고, 디딤판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자체적으로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운동용 발판으로도 체중이 서로 상이한 어른이나 아이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바 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출원된 것에 더하여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내부가 빈 튜브형상으로써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공기통공과;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공기체적을 가지고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고정몸체부분과, 상기 고정몸체부분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몸체부분과; 상기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공기통공과; 상기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용 에어발판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은 판상의 디딤판(10)과,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30)를 갖는다.
디딤판(10)의 상면에는 엠보싱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돌기(20)는 운동시 디딤판(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엠보싱돌기(20)는 별도로 제조되어 디딤판(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디딤판(10)의 제조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디딤판(1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혹은 금속재질, 목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써, 디딤판(10)은 적층강화목으로서 합성수지가 첨가된 여려 겹의 박판을 고온고압으로 성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딤판(10)을 제조하면 비교적 단단하고 탄성력 및 탄성변형량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디딤판(10)의 하부 네 모서리 영역에는 디딤판(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지지부재(30)는 디딤판(10)의 하부에 본딩 접착될 수도 있고, 혹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을 주로 참조할 때, 완충지지부재(30)는,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본체부(31)와, 본체부(31)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한다.
본체부(31)는 내부가 빈 튜브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본체부(31)는 서로 다른 공기체적을 가지고 튜브형상으로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32,3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단은 지면에 접촉되고 상단은 디딤판(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부(31)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공기통공(34)이 관통되어 있다. 공기통공(34)의 크기와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딤판(10)에 올라가 걷거나 점핑하면, 복수의 단위부분(32,33)으로 된 튜브형상의 본체부(31)가 압축되거나 팽창된다. 압축시에는 공기통공(34)을 통해 본체부(3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팽창시에는 외부공기가 공기통공(34)을 통해서 본체부(31)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완충지지부재(30)로 인해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완충지지부재(30)의 역할에 더하여 그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수단으로써 완충지지부재(30) 내에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35)를 더 마련하고 있다. 탄성부재(35)는 통상의 압축스프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디딤판(10)에 올라가 걷거나 점핑한다. 사용자의 하중이 지면 측으로 가압되면, 공기통공(34)을 통해 본체부(3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복수의 단위부분(32,33)으로 된 튜브형상의 본체부(31)가 압축된다. 이 때, 본체부(31) 내에 마련된 탄성부재(35)도 압축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딤판(10) 위에서 점핑을 하면, 디딤판(10)으로 가해졌던 하중이 해제된다. 그러면, 이번에는 외부공기가 공기통공(34)을 통해서 본체부(31) 내로 유입되면서 복수의 단위부분(32,33)으로 된 튜브형상의 본체부(31)는 팽창되어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 때, 그 내부의 탄성부재(35) 역시 압축이 해제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완충지지부재(30)는 공기압축방식 외에도 스프링 방식이 가미되어 그 탄성완충력이 배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탄성완충력에 의해 그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서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a)에서 완충지지부(30a)의 본체부(31a)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서로 동일한 공기체적을 가지고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32a)을 갖는다. 공기통공(34a) 및 탄성부재(35a)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렇다 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달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서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1b)의 경우, 완충지지부재(30b)의 구조가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도 5를 참조할 때, 완충지지부재(30b)는 고정몸체부분(31b)과, 고정몸체부분(31b)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몸체부분(32b)과,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31b,32b)에 형성된 공기통공(34b)과,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31b,32b)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35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디딤판(10)에 올라가 걷거나 점핑한다. 사용자의 하중이 지면 측으로 가압되면, 공기통공(34b)을 통해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31b,32b)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고정몸체부분(31b)에 대해 가동몸체부분(32b)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줄어든다. 이 때, 탄성부재(35b)는 압축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딤판(10) 위에서 점핑을 하면, 디딤판(10)으로 가해졌던 하중이 해제된다. 그러면, 이번에는 외부공기가 공기통공(34b)을 통해서 공기통공(34b)을 통해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31b,32b) 내로 유입되면서 고정몸체부분(31b)에 대해 가동몸체부분(32b)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늘어난다. 그러면서 탄성부재(35b)는 압축이 해제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완충지지부재(30b)는 공기압축방식 외에도 스프링 방식이 가미되어 그 탄성완충력이 배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탄성완충력에 의해 그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디딤판은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었으나, 원형상을 포함하여 기타 다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디딤판의 판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면 도시 않은 콘트롤부에 연결되어 디딤판으로 오르내리는 운동의 도약횟수, 시간 및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과 운동횟수 등을 설정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완충지지부재에 복수개의 공기통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적당한 위치에 하나의 공기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용 에어발판에 따르면, 공기 압축방식 및 스프링 압축방식의 복합작용에 의해 그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유쾌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용 에어발판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서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서 완충지지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운동용 발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딤판 30,30a,30b : 완충지지부재
31,31a : 본체부 34,34a,34b : 공기통공
35,35a,35b : 탄성부재

Claims (4)

  1.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내부가 빈 튜브형상으로써 공기압축방식으로 완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공기통공과;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공기체적을 가지고 층상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4. 판상의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딤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는 복수의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고정몸체부분과, 상기 고정몸체부분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몸체부분과; 상기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공기통공과; 상기 고정 및 가동몸체부분 내에 마련되어 압축 및 압축해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KR20-2005-0006821U 2005-03-14 2005-03-14 운동용 에어발판 KR200385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21U KR200385431Y1 (ko) 2005-03-14 2005-03-14 운동용 에어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21U KR200385431Y1 (ko) 2005-03-14 2005-03-14 운동용 에어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31Y1 true KR200385431Y1 (ko) 2005-05-27

Family

ID=4368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21U KR200385431Y1 (ko) 2005-03-14 2005-03-14 운동용 에어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85Y1 (ko) 2008-09-04 2011-03-07 안병일 충격 및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운동용 발판
KR20220050334A (ko) * 2020-10-16 2022-04-25 (주)스파인시스템 페달형 운동기구용 하지부동 보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85Y1 (ko) 2008-09-04 2011-03-07 안병일 충격 및 소음방지기능을 가진 운동용 발판
KR20220050334A (ko) * 2020-10-16 2022-04-25 (주)스파인시스템 페달형 운동기구용 하지부동 보정장치
KR102517547B1 (ko) * 2020-10-16 2023-04-04 (주)스파인시스템 페달형 운동기구용 하지부동 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286A (en)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JP5591542B2 (ja) 運動器具
US7131934B2 (en) Impact absorbing exercise platform
EP1455903B1 (en) Exercising air footboard
KR200466087Y1 (ko)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US20140051553A1 (en) Modular exercise platform
KR200385431Y1 (ko) 운동용 에어발판
WO2011105419A1 (ja) スローステップ運動用踏み台
US2011007407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cushioning element
KR200456524Y1 (ko) 다용도 체육기구
KR100848353B1 (ko) 운동용 에어보드
KR200298847Y1 (ko) 운동용 에어발판
KR100446588B1 (ko)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200395706Y1 (ko) 점핑유희구
KR101348382B1 (ko) 점핑 보드
KR100574199B1 (ko) 운동용 메모리폼 완충발판
KR200187969Y1 (ko) 가정용 방진 무대장치
KR200363988Y1 (ko) 다용도 조립식 발판
EP4067601B1 (en) Flooring-material system
KR200421118Y1 (ko) 에어발판용 완충부재
KR20120065843A (ko) 보드용 상판완충부재
KR200298601Y1 (ko) 신체체력 단련용 보드
KR200492206Y1 (ko) 층간소음 완화매트
CN213449311U (zh) 一种体育馆用木质减震地板结构
KR200265396Y1 (ko) 운동용 에어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