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453Y1 - 곡물승강기 - Google Patents

곡물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453Y1
KR200298453Y1 KR2020020027679U KR20020027679U KR200298453Y1 KR 200298453 Y1 KR200298453 Y1 KR 200298453Y1 KR 2020020027679 U KR2020020027679 U KR 2020020027679U KR 20020027679 U KR20020027679 U KR 20020027679U KR 200298453 Y1 KR200298453 Y1 KR 20029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upright body
upright
heigh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중
Original Assignee
김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중 filed Critical 김원중
Priority to KR2020020027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453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립본체의 하단에 높낮이 겸 수평조절을 위한 조절볼트를 마련하여 설치바닥을 파내지 않고 기초바닥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직립본체 상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곡물배출구를 마련하여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에 맞춤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는 직립본체(10)의 내부에 곡물을 퍼 올리도록 소정간격으로 버킷(13)이 장착된 이송벨트(12)가 설치되고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단엔 이송벨트(12)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직립본체(10)의 하부엔 그 내부로 곡물이 공급되도록 상단에 격자망(22)을 갖는 호퍼(20)가 마련되고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부엔 곡물배출구(30)가 마련된 곡물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직립본체(10)는 높이에 대하여 균등길이를 갖고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됨과 동시에 최 하단의 직립본체(10)바닥엔 직립본체(10)보다 넓게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은 물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3개 이상의 조절볼트(16)가 마련되며, 상기 곡물배출구(30)는 회전이 자유롭게 한 쌍의 링형 걸림돌기(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승강기{grain elevator}
본 고안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승강기는 곡물운송차 등에 의해 운반된 곡물을 수용하여 높은 위치에 있는 사일로 등에 저장하거나 건조기 등에 퍼 올려서 건조하는 기계로서 크게 버킷타입과 스크루타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버킷타입의 곡물승강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3406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구동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에 다수의 버킷을 설치한 것이며 상기 버킷의 외측면을 2단 이상으로 각이진 형태로 형성하고 입구에는 경사격부를 설치하여 저속으로 이동되는 이송벨트에 연속해서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공보는 이송벨트에 버킷을 근접되게 설치하여 이송효율이 상대적으로 증대될 뿐만 아니라 버킷에 의해 이송된 곡물이 하강하는 버킷에 의해 배출구로 안내되어 전량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버킷타입의 곡물승강기에 있어서는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고정되어 있어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와 일치시킴이 어렵고 이에 따라서 작업을 위한 세팅작업시간이 길어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57897호에는 스크루타입의 곡물승강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트랙터 운반용 체결구 및 단거리 이동용 바퀴를 구비한 장치대와, 이송슈트 내부의 이송스크루에 구동력이 제공됨에 의하여 이송스크루가 회전하면서 이송슈트 하부의 호퍼에 채워진 곡물을 상부의 배출구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승강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장치대와 이송슈트의 하부를 체결한 힌지를 축으로하여 이송슈트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이송슈트 경사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낮은 곳의 곡물을 높은 곳으로 옮길 수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등록특허공보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곡물 승강기를 쉽게 운반할 수 있으며 낮은 곳의 곡물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높이 올릴 수 있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공보에 있어서는, 곡물승강기의 이동을 위한 단거리 이동용 바퀴가 장치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곡물승강기를 지면에 고정시킬 때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고정시켜야 하며,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작업 중에 유동이 발생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곡물을 엉뚱한 곳으로 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직립본체의 하단에 높낮이 겸 수평조절을 위한 조절볼트를 마련하여 설치바닥을 파내지 않고 기초바닥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직립본체 상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곡물배출구를 마련하여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에 맞춤이 용이하도록 한 곡물승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직립본체 하단부분을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직립본체의 상단부분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에 대한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직립본체 12: 이송벨트
13: 버킷 14: 모터
15: 곡물받이 16: 판재
18: 조절볼트 20: 호퍼
22: 격자망 24: 지주
30: 곡물배출구 32: 링형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는 직립본체의 내부에 곡물을 퍼 올리도록 소정간격으로 버킷이 장착된 이송벨트가 설치되고 상기직립본체의 상단엔 이송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직립본체의 하부엔 그 내부로 곡물이 공급되도록 상단에 격자망을 갖는 호퍼가 마련되고 상기 직립본체의 상부엔 곡물배출구가 마련된 곡물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직립본체는 높이에 대하여 균등길이를 갖고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됨과 동시에 최 하단의 직립본체바닥엔 직립본체보다 넓게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은 물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3개 이상의 조절볼트가 마련되며, 상기 곡물배출구는 회전이 자유롭게 한 쌍의 링형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직립본체 하단부분을 나타낸 상세 사시도면이고, 도 3은 직립본체의 상단부분을 나타낸 상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본체(10)의 내부에는 곡물을 퍼 올리도록 소정간격으로 버킷(13)이 장착된 이송벨트(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단에는 이송벨트(1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14)와 구동벨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본체(10)의 하부엔 그 내부로 곡물이 공급되도록 상단에 격자망(22)을 갖는 호퍼(20)가 마련되어 있고 이 호퍼(20)의 가장자리에는 호퍼(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지주(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립본체(10)의 하부에는 이송벨트(12)의 버킷(13)에 대한 수리나 직립본체(10) 내부의 관찰을 위하여 개방시킬 수 있는 감시창(1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부엔 곡물받이(15)가 형성되고 이 곡물 받이(15))의하단엔 회전이 자유롭게 한 쌍의 링형 걸림돌기(32)를 통해 연결된 곡물배출구(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직립본체(10)의 하단바닥엔 직립본체(10)보다 넓은 판재(16)가 형성되고 이 판재(16)의 가장자리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은 물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3개 이상의 조절볼트(1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직립본체(10)는 그 높이가 대략 240㎝이므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로 분할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작의 용이성 및 자재의 활용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는 콘크리트 등의 기초바닥에 직립본체(10)하단의 판재(16)에 체결된 조절볼트(18)를 조절하여 직립본체(10)의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직립본체(10)를 설치한 후 모터(14)에 전원을 연결하고 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구동시키면 모터(14)와 구동벨트를 통해 이송벨트(12)가 연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벨트(12)가 연동되는 상태에서 직립본체(10) 하부의 호퍼(20)나 지면 위에 곡물포대 또는 가마니 등을 올려놓고 쏟아 부으면 격자망(22)을 통과하여 호퍼(20)하단과 연통된 직립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되며 이렇게 직립본체(10)하부로 이송된 곡물은 이송벨트(12)의 버킷(13)에 담겨져 상승되게 된다. 상기 호퍼(20)는 크레인 등의 작업기가 없는 경우 호퍼(20)옆의 지면에 포대나 가마니를 놓으면 포대나 가마니 등의 중간부분 위치에 호퍼(20)의 상단이 위치되므로 곡물을 쏟아 붓기에 용이하다.
이렇게 직립본체(10)의 상단부분으로 상승된 이송벨트(12)의 버킷(13)이 상사점에 이르러 회전되면서 버킷(13)내의 곡물이 쏟아지게 되고 이렇게 쏟아진 곡물은 먼저 회전하여 하부로 내려가는 버킷(13)의 볼록한 외면을 타고 낙하되면서 곡물받이(15)로 안내되게 된다.
이렇게 곡물받이(15)로 안내된 곡물은 곡물배출구(30)를 통해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곡물배출구(3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에 일치시키기가 쉬운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에 대한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면으로서, 직립본체(10a)가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크루날개(42)를 갖는 스크루 축(40)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때에는 파이프 내면과 스크루 축의 스크루날개(42)간의 간극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곡물이 손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승강기는 직립본체의 하단에 높낮이 겸 수평조절을 위한 조절볼트를 마련하여 설치바닥을 파내지 않고 기초바닥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직립본체 상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곡물배출구를 마련하여 사일로나 건조기 등의 투입구에 맞춤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립본체(10)의 내부에 곡물을 퍼 올리도록 소정간격으로 버킷(13)이 장착된 이송벨트(12)가 설치되고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단엔 이송벨트(12)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직립본체(10)의 하부엔 그 내부로 곡물이 공급되도록 상단에 격자망(22)을 갖는 호퍼(20)가 마련되고 상기 직립본체(10)의 상부엔 곡물배출구(30)가 마련된 곡물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직립본체(10)는 높이에 대하여 균등길이를 갖고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됨과 동시에 최 하단의 직립본체(10)바닥엔 직립본체(10)보다 넓게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은 물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3개 이상의 조절볼트(16)가 마련되며, 상기 곡물배출구(30)는 회전이 자유롭게 한 쌍의 링형 걸림돌기(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승강기.
KR2020020027679U 2002-09-14 2002-09-14 곡물승강기 KR20029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79U KR200298453Y1 (ko) 2002-09-14 2002-09-14 곡물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79U KR200298453Y1 (ko) 2002-09-14 2002-09-14 곡물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453Y1 true KR200298453Y1 (ko) 2002-12-16

Family

ID=7307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679U KR200298453Y1 (ko) 2002-09-14 2002-09-14 곡물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679B1 (en) Large volume twin shaft compulsory mixer
CN209937292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CN109366726A (zh) 可升降液压翻斗搅拌机
CN211389533U (zh) 一种用于混凝土搅拌楼的下料装置
US4832498A (en) Mobile concrete mixer
CN106426564B (zh) 一种建筑工程用碎石搅拌一体机
CN209737987U (zh) 一种可筛选建筑用砂浆机
CA2156567C (en) Cement mixer
KR200298453Y1 (ko) 곡물승강기
CN207591693U (zh) 一种湿式双轴搅拌系统
US4752134A (en) Mobile concrete mixer
CN214394743U (zh) 一种混凝土上料搅拌一体机
CN212738549U (zh) 一种混料出料一体化的包装设备
CN208915927U (zh) 一种建筑工程用均匀下料料斗
CN210589937U (zh) 一种混凝土原料上料装置
CN208802605U (zh) 一种浅基坑给料装置
CN112407788A (zh) 一种斗式提升机的防卡阻方法
CN214082154U (zh) 一种混凝土搅拌站
JP3375573B2 (ja) 土質改良材供給装置及び自走式土質改良機械
JP3344711B2 (ja) 攪拌・混合式土質改良機械
CN220411725U (zh) 一种用于干混砂原料的提升机
CN213737078U (zh) 水泥出库装置
CN219235702U (zh) 一种倾斜式搅拌筒
JPH08246475A (ja) 深礎坑内壁ライニ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3375558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