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12Y1 -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12Y1
KR200298012Y1 KR2020020023831U KR20020023831U KR200298012Y1 KR 200298012 Y1 KR200298012 Y1 KR 200298012Y1 KR 2020020023831 U KR2020020023831 U KR 2020020023831U KR 20020023831 U KR20020023831 U KR 20020023831U KR 200298012 Y1 KR200298012 Y1 KR 200298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p container
thermoelectric element
cooling
b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학
Original Assignee
홍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학 filed Critical 홍종학
Priority to KR2020020023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1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예; 맥주가 담아지는 500cc 또는 1000cc의 맥주컵)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를 지속적으로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성하므로서, 특정장소(특히 호프집)에서 컵 용기를 통해 맥주를 음용(飮用)할 때 컵 용기내의 맥주가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Cooling device for using 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of a cup vessel}
본 고안은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예; 맥주가 담아지는 500cc 또는 1000cc의 맥주컵)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맥주와 같은 내용물이 채워진 컵 용기를 지속적으로 냉각시켜 특정장소(특히 호프집)에서 컵 용기를 통해 맥주를 음용(飮用)할 때 컵 용기내의 내용물이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호프집에서 판매되는 맥주의 경우 병과 같은 용기에 담아진 경우, 또는 500cc와 1000cc와 같은 컵 용기에 맥주를 담아 음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호프집을 운영하는 주인은 맥주가 시원하게 냉각된 상태로 손님에게 제공될수 있도록 별도의 냉장시설을 가게내에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맥주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되어 있어야만 그 음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맥주를 냉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음용할 경우에는 그 음용에 상당한 지장불편함이 따랐다.
그러나, 종래 호프집의 경우 한번 컵 용기내에 맥주를 담아 손님의 테이블에전달될 때 손님이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를 한번에 모두 음용하면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만약 손님이 대화를 하면서 장시간 동안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를 여러번에 걸쳐 음용하는 경우에는 그 냉각된 맥주의 냉기가 모두 공기중으로 빠져나가면서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의 온도가 상승하여 손님의 맥주 음용이 상당히 어렵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를 지속적으로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성하므로서, 특정장소(특히 호프집)에서 컵 용기를 통해 맥주를 음용(飮用)할 때 컵 용기내의 맥주가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수납하는 냉각본체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수납하는 냉각본체의 부분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냉각본체에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손잡이가 없는 컵 용기를 냉각본체에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각본체 11; 냉열용기
11a; 개구부 12; 열전소자
13; 방열판 14; 환풍팬
15; 환풍구 16; 단열재
17; 받침대 18; 발광소자
20; 작동스위치 100,100'; 컵 용기
100a; 손잡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수납하는 냉각본체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수납하는 냉각본체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측면에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를 냉각본체에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에 손잡이(100a)를 가지면서 소정량의 맥주가 담아지는 투명재질의 컵 용기(100)를 냉각하는 냉각본체(10)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본체(10)에는 측면에 손잡이(100a)를 가지는 컵 용기(100)가 수납되어 냉각될수 있도록 일면에 개구부(11a)를 가지는 여러개의 냉열용기(11)를 결합하고,
상기 냉각본체(10)내에는 냉열용기(11)로 냉기를 전달하도록 구동하는 열전소자(12)는 물론, 상기 열전소자(12)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 그 열교환기능을 증대시키는 방열판(13)과, 상기 방열판(13)에 의해 열교환된 온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환풍팬(14) 및 환풍구(15)를 형성하며,
상기 냉열용기(11)의 내측 둘레면과 바닥면에는 수납된 컵 용기(10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단열재(16)를 형성하고,
상기 냉열용기(11)의 바닥면에는 원형링 형태의 받침대(17)를 안착시키되, 상기 받침대(17)의 평면에는 컵 용기(100)를 받쳐주면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때 발광하여 투명재질의 컵 용기(100)를 통해 소정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예; LED)(18)를 배열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냉각본체(10)에는 콘센트에 꽂아지는 전원코드를 가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원코드에 의한 열전소자(12) 및 환풍팬(14)과 발광소자(18)로의 전원공급은 작동스위치(20)의 온/오프 스위칭으로 결정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열전소자(12)와 환풍팬(14)은 물론, 다수개의 발광소자(18)와, 상기 작동스위치(20)는 모두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각본체(10)에 형성된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꽂은 후, 사용자가 상기 냉각본체(10)에 형성된 냉열용기(11)의 내부로 맥주가 담아진 컵 용기(100)를 집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냉열용기(11)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상기 컵 용기(10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00a)가 안내되면서, 상기 냉열용기(11)의 내부로 컵 용기(100)의 수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열용기(11)의 바닥면에는 평면상에 다수개의 발광소자(18)를 배열시킨 원형링 형태의 받침대(17)가 안착되어 있는 바, 상기 컵 용기(100)의 바닥면은 다수개의 발광소자(18) 위에 올려진다.
이후, 사용자가 냉각본체(10)에 형성된 작동스위치(20)를 온 스위칭시키면, 상기 작동스위치(20)의 온 스위칭에 따라 냉각본체(10)내에 형성된 열전소자(12)는 물론 환풍팬(14)과, 상기 받침대(17)의 평면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발광소자(18)로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서 그 작동이 동시에 개시된다.
즉, 상기 작동스위치(20)의 온 스위칭으로 부터 열전소자(12)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소자(12)의 열교환으로 부터 냉열용기(11)에는 소정온도의 냉기가 전달되는 바,
상기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냉열용기(11)내에 수납된 컵 용기(100)는 항상 맥주를 음용하기 좋은 온도로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사용자가 컵 용기(100)내의 맥주를 음용한 후 다시 상기 냉각본체(20)의 냉열용기(11)로 컵 용기(100)를 수납하면, 상기 컵 용기(100)내에 담아진 맥주는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항상 사용자가 음용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그 냉각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열용기(11)의 내측 둘레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단열재(16)는 컵 용기(100)의 냉각이 이루어질 때 그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냉각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방열판(13)은 열전소자(12)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 냉기와 온기의 교환기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으며, 상기 방열판(13)에 의해 열교환된 온기는 환풍팬(14)의 구동으로 부터 환풍구(15)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였다.
즉, 상기 환풍팬(14)은 작동스위치(20)의 온 스위칭으로 부터 열전소자(12)와 동시에 그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방열판(13)을 통해 발생된 열교환의 온기를 환풍구(15)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열용기(11)의 바닥면에 안착된 받침대(17)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18)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발광소자(18)는 작동스위치(20)의 온 스위칭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그 점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소자(18)의 점등으로 발생되는 빛이 수납된 투명재질의 컵 용기(100)를 투과하므로서, 컵 용기(100)를 냉각시킬 때 그 외관의 수려함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냉각장치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보다 쉽게 식별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손잡이(100a)가 없는 컵 용기(100')를 수납하는 냉각장치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즉, 냉열용기(11)는 그 일면에 개구부(11a)를 형성하지 않은 완전한 원형모양을 이루도록 한 후, 손잡이가 없는 컵 용기(100')를 상부에서 하부의 방향으로 진행시켜 냉열용기(11)내로 수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는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컵 용기내에 담아진 맥주를 지속적으로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성하므로서, 특정장소(특히 호프집)에서 컵 용기를 통해 맥주를 음용(飮用)할 때 컵 용기내의 맥주가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손잡이를 가지면서 소정량의 맥주가 담아지는 투명재질의 컵 용기를 냉각하는 냉각본체를 구성하되,
    상기 냉각본체에는 손잡이를 가지는 컵 용기가 수납되어 냉각될수 있도록 일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여러개의 냉열용기를 결합하고,
    상기 냉각본체내에는 냉열용기로 냉기를 전달하도록 구동하는 열전소자는 물론, 상기 열전소자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 그 열교환기능을 증대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의해 열교환된 온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환풍팬 및 환풍구를 형성하며,
    상기 냉열용기의 내측 둘레면과 바닥면에는 수납된 컵 용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단열재를 형성하고,
    상기 냉열용기의 바닥면에는 원형링 형태의 받침대를 안착시키되, 상기 받침대의 평면에는 컵 용기를 받쳐주면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때 발광하여 투명재질의 컵 용기를 통해 소정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배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KR2020020023831U 2002-08-09 2002-08-09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KR200298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31U KR200298012Y1 (ko) 2002-08-09 2002-08-09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31U KR200298012Y1 (ko) 2002-08-09 2002-08-09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12Y1 true KR200298012Y1 (ko) 2002-12-18

Family

ID=7312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31U KR200298012Y1 (ko) 2002-08-09 2002-08-09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725A (ko) * 2003-04-07 2004-10-15 유수남 냉동용 기기
KR100943668B1 (ko) * 2007-09-18 2010-02-23 주식회사 피디케이 압력 미세 안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725A (ko) * 2003-04-07 2004-10-15 유수남 냉동용 기기
KR100943668B1 (ko) * 2007-09-18 2010-02-23 주식회사 피디케이 압력 미세 안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665B2 (en) Food chiller with optimized air flow
US9890993B1 (en) Cooler with secondary lid
JP4744242B2 (ja) 冷却装置
AU781467B2 (en) Fruit chiller
US10234131B2 (en) Bottle hold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LED light source
US9909789B2 (en) Heating and cooling unit with canopy light
US6732533B1 (en) Combined bott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KR200298012Y1 (ko)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 용기의 냉각장치
KR200438436Y1 (ko) 게임 기능을 가지는 냉각테이블
KR200285179Y1 (ko) 와인 냉장기
KR200298011Y1 (ko)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용기의 냉각장치
KR20210025227A (ko) 스마트 음료용기
KR100744174B1 (ko) 캐터링 카트
CN210220290U (zh) 一种冷热切换的加工器具
KR200183463Y1 (ko) 병류 냉온 장치
KR200251824Y1 (ko) 냉장용기
US20150276303A1 (en) Beverage Organizer
WO2003105640A1 (en) "apparatus for alt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of a co ntainer"
WO2006077678A1 (ja) ケーキ搬送容器
EP3219228B1 (en) Hanging device for displaying and storing foodstuffs
KR200309791Y1 (ko) 휴대용 냉온장고
US20240148183A1 (en) Heating and cooling beverage container
JP2001178635A (ja) 温冷装置
KR200263813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KR101100702B1 (ko) 식품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