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13Y1 -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 Google Patents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13Y1
KR200263813Y1 KR20010034425U KR20010034425U KR200263813Y1 KR 200263813 Y1 KR200263813 Y1 KR 200263813Y1 KR 20010034425 U KR20010034425 U KR 20010034425U KR 20010034425 U KR20010034425 U KR 20010034425U KR 200263813 Y1 KR200263813 Y1 KR 200263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ghting device
present
lamp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4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20010034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나 음료수 또는 차 종류를 담아 마실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한 부분에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컵내부로부터 빛을 발하여 컵전체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컵을 사용하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을 갖게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컵본체의 어느 일부분에 수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15)에, 한 개 이상의 조명등(21)을 포함하는 조명장치(2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로부터 빛을 발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CUP HAVING ILLUMIN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맥주나 음료수 또는 차 종류를 담아 마실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어느 한 부분에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컵내부로부터 빛을 발하여 컵전체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컵을 사용하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을 갖게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나 음료수 또는 차나 물을 음용하는 데 사용되는 컵은 합성수지, 금속, 유리, 도자기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되고, 그 형태도 내용물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그리고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된 대부분의 컵은 투명 또는 약간의 엷은 색상을 갖는 반투명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컵들은 단순히 맥주나 음료수 등을 따라 음용하는 기능을 할 뿐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독특한 느낌을 주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호프집, 까페, 나이트클럽 등에서는 생맥주를 임시 저장한 대용량의 컵을 고객의 테이블에 올려놓고 음용시 작은 컵에 따라 음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대용량의 컵은 시각적으로 호프집, 까페, 나이트 클럽 등의 어둡고 낭만적인 분위기에 어울리는 아무런 시각적인 효과를 주지 않는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컵의 단순성을 탈피하여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을 갖게 하기 위하여 드라이아이스의 기화작용을 이용하여 주위의 열을 빼앗아 컵을 급속냉각시킴과 기포와 연무를 발생시켜 시각적인 효과를 주는 냉각컵을 개발하여 이를 실용신안등록 제242023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등록의 냉각컵(10)은 도 1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맥주 컵의 벽체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 사이에 중공부(11)가 형성되고, 내부 벽체 일측으로 상기 중공부(11)와 연통되도록 수직통로(12)가 형성되며, 내부 벽체 하단으로 상기 수직통로(12) 및 중공부(11)와 연통되도록 환형통로(13)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통로(12)의 상단 투입구(12a)에 배출공(14a)이 형성된 마개(14)가 구비된다. 상기 중공부(11)는 컵의 전체벽에 형성되고 상단이 폐쇄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은 드라이아이스이고, 2는 물이며, 3은 내용물인 생맥주이다.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냉각컵(10)을 사용할 때에는 마개(14)를 열고 수직통로(12)의 투입구(12a)를 통해 소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드라이아이스(1)를 투입시켜 그 드라이아이스가 상기 수직통로(12) 및 이와 연통된 하단의 환형통로(13)에 충진되도록 하고, 동시에 투입구(12a)를 통해 적당량의 물(2)을 채워 넣는다.
그러면 드라이아이스(1)는 수직통로(12) 및 환형통로(13)에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물은 서로 연통된 수직통로(12), 환형통로(13), 및 중공부(11)에 까지 채워지게 된다.
수직통로(12)의 투입구(12a)를 마개(14)로 막은 상태에서 냉각컵(10)에 생맥주(3)를 따르는데, 드라이아이스의 기화작용에 의해 주위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컵이 냉각을 하여 내부에 부어진 생맥주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드라이아이스와 물의 작용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고 동시에 연무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냉각컵은 생맥주를 차갑게 유지하면서 기포와 연무발생에 의해 생맥주를 마시는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의 냉각컵은 어둡고 낭만스러운 호프집, 까페, 나이트 클럽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또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호프집, 까페, 나이트 클럽와 같은 어둡고 낭만스러운 장소의 분위기에 보다 잘 어울리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컵은 컵본체의 어느 일부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한 개 이상의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내부로부터 빛이 발하여 컵 전체에 분산하도록 함으로써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을 갖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A-A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B-B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C-C 평단면도,
도 5는 종래 냉각컵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컵의 조명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드라이아이스 2: 물
3: 생맥주 10: 냉각컵
11: 중공부 12: 수직통로
12a: 투입구 13: 환형통로
14: 마개 14a: 배출공
15: 수납부 15a: 홈
20: 조명장치 21: 조명등
22: 건전지 23: 회로판
24: 온/오프 스위치 25: 설치대
25a: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컵의 조명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은 컵본체의 어느 일부분에 수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15)에, 한 개 이상의 조명등(21)을 포함하는 조명장치(2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로부터 빛을 발하게 하고 있다.
조명장치(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조명등(21), 상기 조명등(21)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22), 상기 조명등(21)이 설치되고 조명등(21)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회로판(23), 상기 건전지(22)의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24), 그리고 상기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컵본체의 수납부(15)에 설치되는 설치대(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등(21)은 LED, 꼬마전구, EL(Electronic Luminescence) 램프,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색상은 설치되는 각각의 조명등에 동일한 색상을 갖게 할 수 있고 초록, 노랑, 빨강 등 다양한 색상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건전지(22)는 일반건전지 또는 충전건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건전지 대신에 외부에서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전선을 컵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컵의 이동시 불편하므로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판(23)은 다수의 조명등(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온/오프 스위치(24)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조명등(21)을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제어하거나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설치대(25)는 상기 조명등(21), 건전지(22), 회로판(23), 온/오프 스위치(24) 등 조명장치(20)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컵본체의 수납부(1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설치대(25)와 컵본체의 수납부(15)의 결합구조는 여러 형태로 할 수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5)의 외측면에 돌기(25a)를 형성하고 수납부에 상기 돌기(25a)가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홈(15a)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조명장치(20)를 컵본체에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장치(20)는 컵본체의 바닥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빛이 컵 전체에 분산되므로 시각적으로 좋은 느낌을 갖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은 통상의 생맥주 컵 등에 적용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선등록 고안의 냉각컵에 적용할 수 도 있다. 선등록 고안의 냉각컵에 적용할 경우 기포 및 연무발생과 함께 빛이 컵 전체에 분산되므로 더욱 시각적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되며, 이는 어둡고 낭만스러운 호프집, 까페, 나이트 클럽 등의 분위기와 잘 어울려 컵이 놓여 있는 테이블 주위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은 빛이 컵내부로부터 발하여 컵 전체에 분산되므로 시각적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되며, 어둡고 낭만스러운 호프집, 까페, 나이트 클럽 등의 분위기와 잘 어울려 컵이 놓여 있는 테이블 주위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음용자의 기분을 좋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맥주나 음료수 또는 차 종류를 담아 마실 수 있는 컵에 있어서,
    컵본체의 어느 일부분에 수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15)에, 한 개 이상의 조명등(21)을 포함하는 조명장치(2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컵 내부로부터 빛을 발하여 컵 전체에 분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20)는 한 개 이상의 조명등(21), 상기 조명등(21)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전지(22), 상기 조명등(21)이 설치되고 조명등(21)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회로판(23), 상기 건전지(22)의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24), 그리고 상기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컵본체의 수납부(1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KR20010034425U 2001-11-09 2001-11-09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KR200263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4425U KR200263813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4425U KR200263813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13Y1 true KR200263813Y1 (ko) 2002-02-09

Family

ID=5774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4425U KR200263813Y1 (ko) 2001-11-09 2001-11-09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40A1 (ko) * 2015-05-12 2016-11-17 엔피씨㈜ 음료주입장치 및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40A1 (ko) * 2015-05-12 2016-11-17 엔피씨㈜ 음료주입장치 및 음료주입장치의 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362B2 (en) Flasher liquid container vessel
US5119279A (en) Lighted drinking vessel
US20080158857A1 (en) Lighted items
US8011816B1 (en) Lighted bottle cap apparatus
CA2593253A1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US20040001332A1 (en) Lighted wine and drinking glass base
KR200263813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컵
KR200434901Y1 (ko) 엘이디 발광형 받침대
KR100768537B1 (ko) 컵홀더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
KR20160138728A (ko) 공병을 이용한 조명장치
US20200158328A1 (en) Compact device for illuminating bottles
JP3216988U (ja) 容器発光装飾具
WO2019196772A1 (zh) 一种led发光杯垫
US20060176683A1 (en) Outdoor light
KR200454325Y1 (ko) 냉각 테이블 발광장치
KR20050100507A (ko) 발광컵
KR200267409Y1 (ko) 발광컵
JP3113452U (ja) 液体容器を備えるled式装飾灯
CN201273554Y (zh) 酒杯灯
EP1053708A1 (en) A beverage receptacle
KR200357972Y1 (ko) 발광컵
CN219154132U (zh) 内设灯条的层雕玻璃制品
CN2930498Y (zh) 新型电子烛光燃烧杯
KR200288408Y1 (ko) 발광음료용기
KR200312555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