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84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84Y1
KR200297684Y1 KR2020020023030U KR20020023030U KR200297684Y1 KR 200297684 Y1 KR200297684 Y1 KR 200297684Y1 KR 2020020023030 U KR2020020023030 U KR 2020020023030U KR 20020023030 U KR20020023030 U KR 20020023030U KR 200297684 Y1 KR200297684 Y1 KR 200297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illow
outer shell
head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열
Original Assignee
유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열 filed Critical 유금열
Priority to KR202002002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84Y1/ko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속피에 의하여 외피를 양측의 공간부로 나누며 그 일측에는 구획봉재선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충진되는 숯이 고르게 분산되어 머리의 하중을 분산하게 하며 상기 숯을 감싸는 부직포를 구비함으로써 숯의 마찰에 의하여 숯가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타측 공간부에는 오리털을 충진하여 오리털의 보온 효과 및 쿠션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외피의 일측 외부에 소정간격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도트(dot)를 구비함으로써 머리를 지압하고, 이로 인해 머리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머리를 맑게하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피 내부의 중앙부에 양측으로 공간부가 구획되도록 속피를 형성하고, 외피와 속피사이의 공간에 숯을 감싸는 부직포를 구비하며 외피 외측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도트(dot)를 포함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베개피와 심재로 구성되며 심재는 내부에 메밀, 왕겨, 플라스틱칩 등의 부재를 넣어서 수면시에 안락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료를 부재로 사용한 베개의 경우에는 머리부분에서 발생하는 땀이 베개 속으로 스며들어 곰팡이 및 잡균등이 서식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자주 세탁을 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숯, 맥반석 등을 심재로 많이 사용하는데 특히, 숯의 경우에는 음이온이 발생되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원적외선 방사가 뛰어나 인체세포의 활성을 주며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특성이 있으며 또한, 숯은 땀과 냄새를 흡수하여 쾌적한 습도를 유지하고, 목과 머리부분에 섭씨 20도-25도의 체온을 유지시키며 숯 내부에 포함된 초산성분에 의하여 살균작용도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숯은 자체의 특성상 마찰에 의하여 숯이 미세가루의 형태로 부서지기 쉬우며, 이로인해 숯가루가 베개 외부로 유출되어 청결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숯과 다른 부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숯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거나 숯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와 같은 건강에 유익한 내부부재들의 효과가 인체에는 간접적으로 나타나므로써 그 효능이 미비한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 위한 것으로서, 숯과 오리털을 충진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여 일측 공간부내에 숯을 감싸는 구획된 부직포를 구비함으로써 숯가루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청결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숯과 오리털을 충진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여 타측 공간부내에 오리털을 충진함으로써 오리털의 쿠션감 및 보온효과에 의해 항상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게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피 외측에 플라스틱 재질의 도트(dot)를 구비함으로써 머리부분을 지압하고 머리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인체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직포 및 숯을 나타내는 도면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개 20, 20` : 외피
30 : 속피 40 : 부직포
50 : 숯 60 : 오리털
70 : 도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개 외피가 양단으로 구획되어 일측에는 속피 및 부직포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맞대어 밭고랑 형태로 박음질된 다수개의 구획재봉선이 구비되고, 타측은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내용물을 각각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외피가 맞닿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피의 외주연을 따라 박음질되는 속피; 상기 외피와속피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담는 부직포; 상기 구획재봉선에 형성된 외피 일측 공간부상의 부직포내에 충진되는 숯; 상기 외피 타측과 속피 사이의 공간부상의 부직포내에 충진되는 오리털; 및 상기 외피 일측 외면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된 원형 또는 사각형상 합성 플라스틱 재질의 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는 외피(20, 20`), 속피(30), 부직포(40), 숯(50), 오리털(60) 및 도트(70)(dot)를 포함한다.
외피(20, 20`)는 양단으로 구획되어 그 일측(20)에는 후술하는 숯(50) 및 부직포(40)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재봉선(21)을 구비하며 상기 일측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후술하는 도트(70)(dot)를 구비한다.
상기 구획재봉선(21)은 상기 외피(20), 속피(30) 및 부직포(40)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맞대어 밭고랑 형태로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며, 머리의 하중에 의하여 숯(50) 및 부직포(40)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속피(30)는 상기 외피(20, 20`) 내부에 숯(50)과 오리털(60)을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31, 31`)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피(20, 20`)의 외주연을 따라 박음질된다. 즉, 상기 속피(30)는 상기 외피(20, 20`)가 맞닿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공간부(31, 31`)의 균형을 유지하여 베개의 안정감을 높인다.
부직포(40)는 상기 외피(20)와 상기 속피(30) 사이의 공간부(31, 31`)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숯(50)을 충진시키며, 상기 숯(50)의 가루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숯가루의 알갱이 크기보다 더 세밀하게 구성된다.
숯(50)은 상기 부직포(40)의 내부에 충진되며, 마찰에 의한 숯가루의 발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원형을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숯(50)은 땀과 냄새를 흡수하여 쾌적한 습도를 유지하고, 목과 머리부분에 일정한 체온을 유지시키며 숯 내부에 포함된 초산성분에 의하여 살균작용도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오리털(60)은 상기 외피(20`)와 속피(30) 사이에 충진되며, 오리털의 쿠션에 의해 머리의 하중을 완충해주는 쿠션역할을 하여 취침시 안락한 숙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리털(60)의 외부유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오리털(60)을 감싸는 부직포(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70)(dot)는 폴리에스테르(P.E)와 같은 합성 플라스틱으로서, 상기 외피(20)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형 또는 사각모양 형상으로 부착된다.
상기 도트(70)(dot)는 머리의 하중에 의하여 소정간격으로 머리를 지압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머리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머리를 맑게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한다. 즉, 인체에 직접적인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끼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트(70)(dot)의 대용으로서 자석, 옥 또는 바이오세라믹 같은 인체에 유익하면서도 딱딱한 구조를 갖는 대체물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숯 및 부직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피(120, 120`)는 베개의 제일 바깥측 재질로서 그 일측(120)에는 상기 숯(150) 및 부직포(140)를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재봉선(121)을 구비하며 상기 일측(120)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도트(170)(dot)를 구비한다.
상기 구획재봉선(121)은 상기 외피(120) 및 속피(130)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맞대어 밭고랑 형태로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며, 머리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숯(150) 및 상기 부직포(140)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부직포(140)는 상기 구획재봉선(121)에 의해 밭고랑 형태로 형성된 각각의 공간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숯(150)을 각각 충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부직포에 충진된 숯(150)은 착탈이 용이하며 베개의 청소 및 관리에 간편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양측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봉재구획선을 구비하여 구획을 나누어 숯을 충진하고 타측에는 오리털을 충진함으로써, 오리털의 쿠션감을 그대로 느끼게하고 숯으로부터는 음이온이 발생되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땀과 냄새를 흡수하여 쾌적한 습도를 유지하게한다.
또한, 상기 베개는 숯을 감싸는 부직포를 구비하여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숯가루의 외부유출을 방지함으로써 베개를 더욱 청결하게 관리하게 하며 상기 외피 외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도트(dot)를 구비하여 인체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여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Claims (1)

  1. 베개에 있어서,
    베개 외피가 양단으로 구획되어 일측에는 속피 및 부직포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맞대어 밭고랑 형태로 박음질된 다수개의 구획재봉선이 구비되고, 타측은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내용물을 각각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외피가 맞닿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피의 외주연을 따라 박음질되는 속피;
    상기 외피와 속피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담는 부직포;
    상기 구획재봉선에 형성된 외피 일측 공간부상의 부직포내에 충진되는 숯;
    상기 외피 타측과 속피 사이의 공간부상의 부직포내에 충진되는 오리털; 및
    상기 외피 일측 외면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된 원형 또는 사각형상 합성 플라스틱 재질의 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20023030U 2002-08-01 2002-08-01 베개 KR200297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030U KR200297684Y1 (ko) 2002-08-01 2002-08-01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030U KR200297684Y1 (ko) 2002-08-01 2002-08-01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84Y1 true KR200297684Y1 (ko) 2002-12-12

Family

ID=7307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030U KR200297684Y1 (ko) 2002-08-01 2002-08-01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85Y1 (ko) 2008-02-04 2010-02-11 이태천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85Y1 (ko) 2008-02-04 2010-02-11 이태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101021347B1 (ko)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100015034A (ko)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080000106U (ko) 기능성 건강베개
KR200397431Y1 (ko) 기능성 매트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JP5366267B2 (ja)
KR200297684Y1 (ko) 베개
KR101730806B1 (ko) 구획정리와 높낮이조절을 겸비한 기능성 베개
JP2003235708A (ja) 機能性枕
KR200297685Y1 (ko)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JP3050776U (ja)
JP4706035B2 (ja)
KR102482492B1 (ko) 기능성 두피 베개
KR20150007398A (ko) 기능성 베개
JP3052822U (ja)
JP2003010022A (ja)
KR200291633Y1 (ko) 건강패드 삽입형 베개
RU53546U1 (ru) Подушка под голову
KR20220133673A (ko) 한방 건강베개
JP3137890U (ja) 檜材入りの枕
KR200431384Y1 (ko) 기능성 소재가 도포된 침구
JP2003189979A (ja) 座布団
JP3066102U (ja) 加工石を配置した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