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67Y1 - 관개용수용 수로관 - Google Patents

관개용수용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67Y1
KR200297667Y1 KR2020020021608U KR20020021608U KR200297667Y1 KR 200297667 Y1 KR200297667 Y1 KR 200297667Y1 KR 2020020021608 U KR2020020021608 U KR 2020020021608U KR 20020021608 U KR20020021608 U KR 20020021608U KR 200297667 Y1 KR200297667 Y1 KR 200297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rrigation
water pipe
communication hole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
경상남도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 경상남도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
Priority to KR2020020021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67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개지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어류 및 파충류 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관개용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면이 홈 형상으로 양측면과 저면을 갖는 수로관의 전후단에 수로관들을 연이어 밀착 배열하여 수로관들의 양측면과 저면을 일치하는 수단으로 수로관 전단의 둘레면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함과 이 돌출부의 내측모서리에 후단이 진입하여 맞추어지는 진입홈을 형성하고, 토양과 연통하는 연통공들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들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그릴망이 나사로 체결되어 덮여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관개용수용 수로관{Water pipe for irrigation water}
본 고안은 관개용수를 유입하기 위한 관개용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개지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어류 및 파충류 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관개용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관개용수용 수로는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거나 논두렁들 밭두렁들 간에 배수를 이루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관개용수용 수로는 관개지의 토양 자체를 단면이 홈형상으로 한 구조를 이루거나, 이 토양형 수로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관을 연이어 배치하여 콘크리트형 수로를 이루는 구조이다.
그러나 토양형 수로는 관개용수가 토양에 스며들거나, 수로의 틀이 허물어지는 등의 관개용수의 공급 및 유지보수에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형 수로는 토양 내의 미생물을 포함한 관개지에 자생하는 어류, 파충류 등과의 습지대 조성을 차단하여 생태계의 파손 및 관개지에 자생하는 농작물에 유익한 미생물이 관개용수로의 유입이 차단되어 농산물의 증산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개지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어류 및 파충류 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관개용수용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수로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수로관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로관 104 : 걸이홈
120 : 전단 122 : 돌출부
124 : 진입홈 140 : 후단
160 : 양측면 182 : 연통공
200 : 그릴망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면이 홈 형상으로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갖는 수로관(100)의 전후단(120)(140)에 수로관(100)들을 연이어 밀착 배열하여 수로관(100)들의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일치하는 수단으로 수로관(100)의 전단(120) 둘레면으로 돌출한 돌출부(122)를 형성함과 이 돌출부(122)의 내측모서리에 후단(140)이 진입하여 맞추어지는 진입홈(124)을 형성하고, 토양과 연통하는 연통공(182)들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182)들에 다수의 구멍(220)을 형성한 그릴망(200)이 나사(50)로 체결되어 덮여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연통공(182)들을 저면(180)에 형성함과, 이 저면(180)을 물의 흐름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물의 흐름방향으로 반복적인 곡률들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부호 100 본 고안의 관개용수용 수로관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관개용수형 수로관(100)은 단면이 홈 형상인, 즉 전단(120)과 후단(140)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갖춘 형상으로서, 수로관(100) 전후단(140)에 수로관(100)들을 연이어 밀착 배열하여 수로관(100)들의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일치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수단은 수로관(100)의 전단(120) 둘레면으로 돌출한 돌출부(122)를 형성함과 이 돌출부(122)의 내측모서리에 후단(140)이 진입하여 맞추어지는 진입홈(1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로관(100)은 토양과 연통하는 연통공(182)들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182)들에 다수의 구멍(220)을 형성한 그릴망(200)이 나사(50)로 체결되어 덮여지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그릴망(200)과 연통공(182)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나, 이러한 이격거리는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연통공(182) 전체를 그릴망(200)으로 덮어도 그릴망(200)에 다수의 구멍(220)을 형성함과 이 구멍(220)의 직경을 조절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이때 그릴망(200)은 물의 흐름에 간섭물로 작용하여 물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서, 연통공(182)을 통한 어류 등의 출입 및 서식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한편 도4와 도5에 나타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관개용수용 수로관(100)은 단면이 홈 형상인, 즉 전후단(140)과 상부가 개방된 양측면(160)과저면(180)을 갖춘 형상으로서, 연통공(182)들을 저면(180)에 형성함과, 이 저면(180)을 물의 흐름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물의 흐름방향으로 반복적인 곡률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아울러 다른 구성, 즉 수로관(100)들을 연이어 밀착 배열하여 수로관(100)들의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일치하는 수단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수로관(100) 전단(120)의 둘레면으로 돌출한 돌출부(122)를 형성함과 이 돌출부(122)의 내측모서리에 후단(140)이 진입하여 맞추어지는 진입홈(1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로관(100)의 양측 전후면에는 크레인을 사용한 인양시에 수로관(10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들어 올려지도록 크레인의 인양걸이가 끼워지는 걸이홈(104)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관개지에 연이어 배치되어 관개용수의 수로를 이루는 수로관(100)들은 수로관(100)들이 연이어 배치되는 과정에서 수로관(100)의 후단(140)이 다른 수로관(100)의 전단(120)에 형성한 진입홈(124)에 진입하는 순으로 간단하게 조립 배치된다.
그리고 수로관(100)에 형성한 연통공(182)을 통해 관개지의 어류와 파충류의 서식공간이 제공되어 생태계가 유지됨과 관개지의 미생물이 연통공(182)을 통해 유입되어 관개용수의 공급과 더불어 농작물의 증산에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은 관개용수의 유로를 이루는 수로관과 수로관이 놓여지는 관개지와 연통하는 구조로 하여 수로관 내에 관개지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어류 및 파충류 등의 서식공간을 제공함과 관개지에 자생하는 농작물에 유익한 미생물이 관개용수로의 유입이 이루짐으로서, 생태계 유지 및 농산물의 증산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로관을 연이어 배치하기 위한 조립이 용이함과 수로관의 연통공을 통해 관개용수가 토양으로 스며드는 양을 최소화한 상태로 하여 수로간 내에 서식공간을 마련하면서도 관개용수의 공급이 원할이 이루어지는 잇점도 있다.

Claims (2)

  1. 단면이 홈 형상으로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갖는 수로관(100)의 전후단(120)(140)에 수로관(100)들을 연이어 밀착 배열하여 수로관(100)들의 양측면(160)과 저면(180)을 일치하는 수단으로 수로관(100)의 전단(120) 둘레면으로 돌출한 돌출부(122)를 형성함과 이 돌출부(122)의 내측모서리에 후단(140)이 진입하여 맞추어지는 진입홈(124)을 형성하고, 토양과 연통하는 연통공(182)들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182)들에 다수의 구멍(220)을 형성한 그릴망(200)이 나사(50)로 체결되어 덮여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용수용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연통공(182)들을 저면(180)에 형성함과, 이 저면(180)을 물의 흐름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물의 흐름방향으로 반복적인 곡률이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용수용 수로관.
KR2020020021608U 2002-07-19 2002-07-19 관개용수용 수로관 KR200297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08U KR200297667Y1 (ko) 2002-07-19 2002-07-19 관개용수용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08U KR200297667Y1 (ko) 2002-07-19 2002-07-19 관개용수용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67Y1 true KR200297667Y1 (ko) 2002-12-12

Family

ID=7312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08U KR200297667Y1 (ko) 2002-07-19 2002-07-19 관개용수용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7667Y1 (ko) 관개용수용 수로관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CN216865235U (zh) 一种悬臂式生态挡墙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20630Y1 (ko) 관개용수용 수로관
JP2001172941A (ja) 環境に配慮した水路用u形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20631Y1 (ko) 관개용수용 수로관
JP3668725B2 (ja) 魚巣水路
KR101811348B1 (ko) 삼각구조 블럭
JP4020270B2 (ja) 水路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水路
KR20090012296A (ko)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CN209836941U (zh) 一种鱼稻共生田灌溉水渠用过滤装置
CN210828082U (zh) 一种装配式建筑型绿化装置
KR200361732Y1 (ko) 식생 옹벽블록
JPH11172653A (ja) コンクリ−ト製水路擁護壁の組立て構造
KR20100010212U (ko) 농수로용 생태측구
CN213603550U (zh) 一种鱼、青蛙、水稻种植生态共养系统
KR200316370Y1 (ko) 침수 라이닝
KR200364448Y1 (ko) 수로용 식생 측벽블록
JPH0156207B2 (ko)
KR200246783Y1 (ko) 물고 수로관
JPH06330550A (ja) 水質浄化水路
KR200266705Y1 (ko) 로터베이터의 비닐하우스 가장자리용 고랑형성장치
CN115176623A (zh) 一种池塘立体种植装置及种植方法
KR100564328B1 (ko) 도로 구조물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