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499Y1 -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 Google Patents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499Y1
KR200297499Y1 KR2020020025564U KR20020025564U KR200297499Y1 KR 200297499 Y1 KR200297499 Y1 KR 200297499Y1 KR 2020020025564 U KR2020020025564 U KR 2020020025564U KR 20020025564 U KR20020025564 U KR 20020025564U KR 200297499 Y1 KR200297499 Y1 KR 200297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ncy
shape
pattern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이템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이템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이템뱅크
Priority to KR202002002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499Y1/ko

Link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팬시용품은 사람이 착용하는 윗도리를 축소시킨 형상이고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특정한 문양으로 장식되는 장식부재;와 소형으로된 미니옷걸이;와 상기 미니옷걸이에 고리로 연결되는 흡착구;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방향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반발 티셔츠(T-shirt) 형상, 팔부분이 제거된 민소매 형상이고, 상기 장식부재의 문양은 캐릭터, 마크, 사진, 로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전사, 전사발포, 나염, 자수, 십자수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윗도리 형상을 한 본체에 다양한 캐릭터, 마크, 사진, 문양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여러층의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팬시용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팬시용품은 차량의 유리창이나 실내의 벽면에 흡착구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므로 팬시용품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T-shirt-Shaped Fancy Goods}
본 고안은 팬시용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윗옷을 축소한 형상이면서 전면에 여러가지 캐릭터가 형성되어서, 차량의 유리창이나 실내의 벽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팬시용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들이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의복은 기후변화에 부응하여 한서(寒暑)를 조절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장애를 막아 신체를 보호하는 실용성에서 발생하여 점차로 장식성과 사회성이 가미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18세기 후반에 방적기계나 직물기계가 발명되어 수공업에서 기계공업으로 이행되었으며, 19세기 말인 1884년에는 인조견사가 발명되었고, 다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나일론을 비롯하여 기타 여러 종류의 합성섬유가 발명되어 공업화되었다. 섬유공업은 현재도 발전의 일로를 걷고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염색이나 마무리 가공도 발전되어 의복 재료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 재료가 자유로이 선택되며, 보다 아름답고 기능적인 의복의 창조가 계속되고 있다.
본 고안은 고대로 부터 인간과 필수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의복을 팬시용품에 활용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복의 형상을 팬시용품에 적용하는 것이고, 또한 캐릭터, 마크, 사진, 문양 등을 팬시용품에 장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팬시용품을 차량의 유리창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팬시용품의 분해 사시도.
도3a, 3b는 전사발포를 형성하는 전사발포지와 이를 이용하여 전사발포된 단면도.
도4는 장식부재의 문양이 십자수에 의한 형성된 도면.
도5는 방향제가 내장된 상태의 상태도.
도6a 내지 도6c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도1에 따른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이 차량에 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팬시용품, 20:본체,
30:장식부재, 31:십자수,
33:전사발포, 40:미니옷걸이,
41:걸림홈, 50:흡착구,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사람이 착용하는 윗도리를 축소시킨 형상이고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특정한 문양으로 장식되는 장식부재;와 소형으로된 미니옷걸이;와 상기 미니옷걸이에 고리로 연결되는 흡착구;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방향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본체는 반발 티셔츠(T-shirt) 형상, 팔부분이 제거된 민소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장식부재의 문양은 캐릭터, 마크, 사진, 로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전사, 전사발포, 나염, 자수, 십자수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팬시용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은 티-셔츠(T-shirt) 형상의 본체(10),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장식되는 장식부재(30) 및 옷걸이를 소형화한 미니옷걸이(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캐릭터 등의 문양이 부착되는 장식부재(3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0)의 형상은 티셔츠의 형상이고, 이러한 변형예는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팔 티셔츠(T-shirt) 형상으로 할수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면에는 여러문양의 장식부재(30)가 형성되는데, 도3a과 3b에는 입체로 전사 발포되는 프린팅 전사지의 층단면도와, 전사지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발포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전사지의 베이스 인쇄지(331)로는 양질의 종이가 사용될 수 있고, 이형제(332)가 상기 인쇄지(331)의 일면에 도포된다. 상기 이형제(332)는 상기 본체(20)에 문양이 형성되는 상기 전사발포(33)가 부착된 후, 상기 전사발포(33)에서 상기 인쇄지(331)가 용이하게 박리(剝離)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형제(332)의 상층부에는 강막제(333)가 얇게 도포되는데, 상기 강막제(333)는 백색 또는 투명페인트로서, 그 위에 인쇄되는 문양을 보호하며 인쇄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형제(332)와는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가지 캐릭터 등의 문양을 무늬층(334)에 의하여 인쇄한다. 상기 무늬층(334)은 공지기술인 옵셋인쇄방식에 의하여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무늬층(334)의 상층부에는 입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발포층(335)이 형성된다. 상기 발포층(335)은 상기 무늬층(334)의 일부면 또는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열에 의하여 발포되어 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포층(335)은 입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도포되는 두께가 결정되며, 사용되는 재질은 저면의 상기 무늬층(334)과 보다 용이하게 융합될 수 있도록 수성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층(335)의 상층부에는 최종적으로 접착제(339)가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339)는 140℃~160℃에서 활성화되어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견고하게 접착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339)의 상측면에서 유통 및 보관시 상기 접착제(339)가 활성화되어 다른 물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사발포지를 이용하여서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특정 문양의 캐릭터를 전사발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3a에 도시된 전사발포지를 상기 본체(20)의 인쇄될 부분에 부착한다. 이때에 상기 접착제(339)가 상기 본체(20)에 점착되도록 위치한다. 즉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339)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지(331)는 최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발포전사기(미도시)에 의하여 압착하면서 가열을 하게 된다. 상기 가열온도는 상기 발포층(335)이 충분히 발포되고, 또한 상기 접착제(339)가 용융되어서 상기 본체(20)와 점착될 수 있는 온도인 140℃~160℃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발포전사기를 이용하여서 일정온도를 가하면, 상기 발포층(335)은 발포가 되면서 입체적인 형상이 되고, 상기 접착제(339)는 용융되어서 상기 본체(20)와 점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인쇄지(331)를 제거하는데, 상기 인쇄지(331)는 상기 이형제(332)에 의하여 용이하게 박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전사발포된 본 고안에 의한 팬시용품(10)의 단면도는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재(30)에는 전사 방식으로 특정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데, 특히 서브라이트(Sublite) 전사에 의하여 다양한 캐릭터, 도안,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라이트(Sublite) 전사는 인쇄기술과 염색기술을 복합시킨 디지털 인쇄방식으로 제판과정이 없이 전사잉크로 프리트한 전사지를 피전사물(본체)에 접합시켜 단 한번의 가열과정으로 완성품을 만드는 디지털 인쇄기술이다. 전사는 160℃~220℃의 특정온도와 압력에서 작업이 끝났을 때 프린트된 전사지의 잉크는 피전사물의 표면에 일부가 남게되나, 전사된 표면을 손으로 만져보면 아무것도 느낄 수 없게 된다. 전사 잉크는 고온상태에서 액체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화되며 동시에 피전사물 표면의 구멍이 열리고 기체의 염료가 그 안으로 유입된다. 즉 피전사물의 일부가 된다. 그리고 전사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팬시용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20)의 재질은 100% 면과 같은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없다. 즉 상기 천연섬유에서는 고온의 상태에서 열릴 구멍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브라이트(Sublite) 전사 방법을 사용할 수 없고, 상기 본체(2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장식부재(30)의 문양은 자수(刺繡)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자수(刺繡)는 섬유재질로 된 상기 본체(20)에 바늘 또는 바늘 모양의 도구로 꽃아서 특정문양을 수놓을 수도 있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수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십자수(十字繡, cross stitch)는 한땀 한땀 열십(+)자 모양의 수를 반복해서 놓는 것으로서, 창살 모양으로 나 있는 구멍를 이용해 수를 놓을 수 있게 고르게 짜여진 십자수 전용 원단인 아이다(311)가 제공되고, 상기 아이다(311) 위에 수를 놓아서 특정 문양을 형성하며, 완성된 문양의 상기 아이다(311)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봉제(縫製)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장식부재(30)에 특정문양을 장식하는 방법은 전술한 전사발포, 자수, 십자수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전사, 나염, 실크인쇄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되며, 장식되는 특정 문양도 캐릭터, 인물사진, 풍경사진, 도안, 글자, 숫자 등의 다양한 문양으로 이루어진다.
도5에는 상기 본체(20) 내부에 방향제(60)가 내장된 상태의 부분 절단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팬시용품(10)은 차량이나 실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고 향기를 발산하는 기능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 내부에 방향제(60)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6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팬시용품(10)의 본체(20)는 윗도리를 소형으로형상화 한 것으로, 이러한 본체는 도6a 내지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반팔 티셔츠 형상, 민소매 형상, 목 부분이 V자형으로 된 형상, 목 부분이 라운딩 된 형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미니옷걸이(40)와 이를 창문과 같은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구(50)와 고리(51)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팬시용품(10)은 상기 흡착구(50)에 의하여 벽면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구(50)와 연결된 상기 고리(51)는 상기 미니옷걸이(40)와 결합되고, 상기 고리(51)는 상기 미니옷걸이(4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41)에 의하여 좀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윗도리 형상을 한 본체에 다양한 캐릭터, 마크, 사진, 문양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여러층의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팬시용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팬시용품은 차량의 유리창이나 실내의 벽면에 흡착구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므로 팬시용품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사람이 착용하는 윗도리를 축소시킨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특정한 문양으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식되는 장식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재질은 섬유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반팔 티셔츠(T-shir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티셔츠(T-shirt) 형상에서 팔부분이 제거된 민소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의 문양은 캐릭터, 마크, 사진, 로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의 문양은 전사, 발포전사, 나염, 자수, 십자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소형으로된 미니옷걸이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에는 흡착구가 추가로 형성되어서 외부 물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방향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KR2020020025564U 2002-08-27 2002-08-27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KR200297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64U KR200297499Y1 (ko) 2002-08-27 2002-08-27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64U KR200297499Y1 (ko) 2002-08-27 2002-08-27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499Y1 true KR200297499Y1 (ko) 2002-12-11

Family

ID=7312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64U KR200297499Y1 (ko) 2002-08-27 2002-08-27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4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5257B2 (en) Heat activated applique with upper stretch fabric layer
WO1997003578A1 (en) Ornamental feature with apparel or carrying article
US20120060283A1 (en) Bed Sheet with Indicia and Method
TW202031155A (zh) 用於裝飾時尚物品或飾品之可紋身元件
US6106022A (en) System for decorating textile or paper material
KR200297499Y1 (ko) 윗도리를 형상화한 팬시용품
US4439202A (en) Embroidered transf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251460A1 (en) Apparatus, kit and method for embellishing and forming apparel
JPWO2006087807A1 (ja) 刺繍アップリケ並びに刺繍アップリケ製造方法並びに刺繍製品製造方法
JP3189719U (ja) 刺繍製品
KR200364753Y1 (ko) 메모란이 구비된 윗도리 형상의 팬시용품.
JP6242531B1 (ja) 力布、およびそれを有するシャツ
US20170173994A1 (en) Textile Article Having A Surface For Receiving Removable Indicia And A Method Of Manufacture
KR20010095342A (ko) 입체 누비직물
JP7178463B1 (ja) 刺繍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刺繍装飾品の製造システム
CN109703123A (zh) 一种环保刺绣毛呢复合面料及其制造工艺
KR100346501B1 (ko) 디자인이 인쇄되고 접착물과 코팅된 직물지가 단일시트와바탕물질에 접착되는 제조방법
US20100319107A1 (en) Method of decorating a fabric article
KR200303085Y1 (ko) 신발을 형상화한 팬시용품
CN2485986Y (zh) 纳纱绣工艺服装
CN2445910Y (zh) 双绒面保暖面料
KR200341269Y1 (ko) 입체감이 있는 발포 무늬를 지닌 원단
KR200331680Y1 (ko) 배경문양이 인쇄된 아이다 천.
KR200331679Y1 (ko) 전사인쇄된 아이다 천.
KR100540167B1 (ko) 배경문양이 인쇄된 아이다 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4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notification of invalidation of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812

Effective date: 200508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174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22

Effective date: 2006021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22

Effective date: 200602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231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22

Effective date: 2006021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