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03Y1 -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03Y1
KR200296703Y1 KR2020020020547U KR20020020547U KR200296703Y1 KR 200296703 Y1 KR200296703 Y1 KR 200296703Y1 KR 2020020020547 U KR2020020020547 U KR 2020020020547U KR 20020020547 U KR20020020547 U KR 20020020547U KR 200296703 Y1 KR200296703 Y1 KR 200296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oor
external air
toxic gas
shi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20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03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문의 하단에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를 고압으로 토출하는 덕트의 출구가 화재발생 장소를 향하도록 내설되어 바닥면에 대한 방화문과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장소에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방화문틀 일측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소화공급원과 연통되는 외부공기 공급관과, 상기 방화문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방화문의 하단에 내설되며 입구가 상기 외부공기 공급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출구가 상기 방화문 바닥면을 통하여 화재발생장소로 향하는 외부공기 또는 소방수 토출용 덕트를 구비하는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poisonous gas shielding device of having fire door}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배출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방화문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피난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하단에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를 고압으로 토출하는 덕트(duct)의 출구가 화재 발생장소를 향하도록 내설되어 바닥면에 대한 방화문과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장소에 연기 및 유독가스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건물에는 화재 발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천정에 자동 소화장치(sprinkler)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건물의 화재감지기에서 이를 감지할 때 살수기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소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화재 발생 구역에서 인접한 다른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구역마다 방화셔터 또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그 구역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화재 발생구역의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인접한 다른 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불에 의한 직접적인 사고사(事故死)보다는 건물의 각종 단열재 및 마감재 연소시 배출되는 유독성 가스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가 보편적이며, 각종 자동 소화장치 및 방화문은 화재의 초기 진압 및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화재로 인한 주요 사고사를 초래하는 유독성 가스 및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를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및 유독성 가스는 방화문과 이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피난실에 유입되는 경우 대형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방화문의 하단을 통하여 화재발생 장소로 토출되는 고압의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消防水)에 의해 바닥면에 대한 방화문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장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물에 설치된 기존 소화설비를 활용하도록하여 구조를 간단화시켜 조작이 용이하고, 적은 비용으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의 장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방화문틀
2; 외부공기 공급관
3; 방화문
4; 입구
5; 출구
6; 덕트(duct)
7; 패킹(packing)
8; 버튼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문틀 일측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소화공급원과 연통되는 외부공기 공급관과, 상기 방화문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방화문의 하단에 내설되며 입구가 상기 외부공기 공급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출구가 상기 방화문 바닥면을 통하여 화재발생장소로 향하는 외부공기 또는 소방수 토출용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물의 방화문틀(1) 일측면에 설치되어 건물에 설치된 통상의 소화공급원과 연통되는 외부공기 공급관(2)과, 방화문틀(1)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방화문(3)의 하단에 내설되며 입구(4)가 외부공기 공급관(2)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출구(5)가 방화문(3)의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화재발생 장소로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를 고압으로 토출시킴에 따라, 사람이 대피하는 피난실(D)에 방화문(3)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G)를 통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덕트(6)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7은 외부공기 공급관(2)과 대응되는 덕트(6)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이들의 결합부를 밀봉시키는 패킹, 8은 화재 발생시 가압됨에 따라 외부공기 공급관(2)을 개방시키는 버튼 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파트 또는 빌딩 등의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건물의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 발생됨을 자동으로 감지하게되므로 건물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자동 소화장치가 작동되어 해당 장소의 화재를 소화,진화하게되며, 동시에 화재가 발생된 해당 층의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에 의해 화염, 연기 및 중독가스가 다른 장소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로 인해 물적,인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화문(3)의 하단에 내설된 덕트(6)를 통하여 화재 발생장소를 향하여 토출되는 고압의 외부공기 또는 소방수에 의해 사람이 대비하는 피난실(D)에 연기 또는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방화문틀(1) 일측에 설치된 버튼(8)을 터치함에 따라 건물의 소화공급원과 연통되도록 방화문틀(1)에 설치된 외부공기 공급관(2)의 출구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외부공기 공급관(2)을 통과하는 고압의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는 외부공기 공급관(2)과 연통되는 입구(4)를 통하여 덕트(6)에 이동한 후, 방화문(3)에 이의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내설된 출구(5)를 통하여 화재 발생장소를 향하여 고압으로 토출되므로(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됨), 방화문(3)과 이와 대향되는 바닥면 사이의 틈새(G)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피난실(D)에 연기 또는 유독가스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덕트(6)를 통하여 토출되는 외부 공기 또는 소방수의 압력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공기압보다 높게 되므로 피난실(D)과 화재 발생장소의 경계부위인 방화문(3) 하단부에 공기층(air curtain)을 형성함에 따라, 방화문(3)의 바닥면 틈새(G)를 통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피난실(D)에 모인 대피자들은 비상구 또는 비상용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건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바닥면에 대한 방화문의 틈새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하는 피난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설치된 기존 소화설비를 활용하도록하여 구조를 간단화시켜 조작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1)

  1. 방화문틀 일측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소화공급원과 연통되는 외부공기 공급관; 및
    상기 방화문틀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방화문의 하단에 내설되며, 입구가 상기 외부공기 공급관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출구가 상기 방화문 바닥면을 통하여 화재발생장소로 향하는 외부공기 또는 소방수 토출용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KR2020020020547U 2002-07-09 2002-07-09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KR200296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47U KR200296703Y1 (ko) 2002-07-09 2002-07-09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47U KR200296703Y1 (ko) 2002-07-09 2002-07-09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03Y1 true KR200296703Y1 (ko) 2002-11-30

Family

ID=7307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547U KR200296703Y1 (ko) 2002-07-09 2002-07-09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89A1 (ko) * 2020-11-02 2022-05-05 김정규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KR20220059430A (ko) * 2020-11-02 2022-05-10 김정규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89A1 (ko) * 2020-11-02 2022-05-05 김정규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KR20220059430A (ko) * 2020-11-02 2022-05-10 김정규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KR102563537B1 (ko) * 2020-11-02 2023-08-07 김정규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2154848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0757575B1 (ko)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KR200296703Y1 (ko) 방화문을 이용한 유독가스 차폐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211714968U (zh) 一种新型安全的建筑防火门
KR102128021B1 (ko) 터널의 내부 화재 진압을 위한 연기배출 방법 및 장치
CN211524609U (zh) 一种具有逃生疏散功能的超大防火门
JP3917340B2 (ja) 排煙システム併用火災煙制御装置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KR102089216B1 (ko)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KR20110082277A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CN210342770U (zh) 一种具有火灾报警功能的建筑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JP2023548159A (ja) 建物内出入通路設置型除煙システム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216398B1 (ko) 피난문의 방화,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20622A (ko) 제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3537B1 (ko) 건물내 출입통로 설치형 제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