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673Y1 - 휴대폰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673Y1
KR200296673Y1 KR2020020027274U KR20020027274U KR200296673Y1 KR 200296673 Y1 KR200296673 Y1 KR 200296673Y1 KR 2020020027274 U KR2020020027274 U KR 2020020027274U KR 20020027274 U KR20020027274 U KR 20020027274U KR 200296673 Y1 KR200296673 Y1 KR 200296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cker
bushing
spr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수
Original Assignee
정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수 filed Critical 정도수
Priority to KR2020020027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673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설치되어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캠과,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의 소경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동캠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싱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부싱을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끼움 결합시키는 로커로 구성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힌지장치 { The apparatus of opening and shutting for cellular-phone }
본 고안은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을 샤프트의 끝단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용 휴대폰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휴대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다이얼 버튼(2)이 설치되고 송화구(3)가 구비된 본체(1)와, 수화구(5)가 형성된 커버(4) 및 상기 본체(1)와 커버(4)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부(7)는 본체(1) 또는 커버(4)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나 도면에서는 커버(4)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커버(4)는 상기 본체(1)를 덮어 다이얼 버튼(2) 등을 보호하며, 폴더(folder)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은 커버(4)를 연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화가 끝나면 커버(4)를 닫아 오프 후크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와 커버(4)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힌지핀(10)과 개폐용 힌지(20)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1)로부터 커버(4)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용 힌지(2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가 열리고 닫힐 때 본체(1)와 커버(4) 사이에 서로 캠방식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의 돌출턱(1a)과 상기 커버의 통체부(5a)에 설치되는 고정캠(22)과 가동캠(24)과, 상기 고정캠(22)이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통체부(5a)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23)와, 상기 가동캠(24)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23)의 외주에 설치되는 스프링(26)과, 상기 스프링(26)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23)의 끝단에 억지 끼움되는 부싱(2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폐용 힌지(20)의 작동을 살펴보면, 커버(4)가 열리면서 커버(4) 하단의 통체부(5a) 및 가동캠(24)이 일체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캠(24)은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캠(24)과 습동되며 힘을 교환하므로 사점이 지나면 상기 커버(4)는 본체(1)로부터 완전히 열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는 상기 가동캠(2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6)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싱(28)이 상기 샤프트(23)의 끝단에 억지 끼움되기 때문에 조립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조립시 상기 부싱(28)이 파손되어 불량률이 높고, 나아가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샤프트의 끝단에 부싱이 파손되지 않도록 조립할 수 있는 휴대폰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용 휴대폰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로커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본체 51a : 돌출턱
54 : 커버 54a : 통체부
70 : 개폐용 힌지 72 : 고정캠
73 : 샤프트 74 : 가동캠
76 : 스프링 78 : 부싱
79 : 로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는 본체에 설치되어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캠과,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의 소경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동캠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싱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부싱을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끼움 결합시키는 로커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로커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는 일반 전화기나 플립형 또는 폴더 형 휴대폰에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버(54)가 휴대폰의 본체(51)로부터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힌지핀(60)과 개폐용 힌지(7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51)와 커버(54)는 상기 본체(51)의 양측 상단에 돌출된 돌출턱(51a)과 상기 커버(54)의 하측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공의 통체부(54a)가 각각 힌지핀(60)과 개폐용 힌지(7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용 힌지(70)는 상기 본체(51)의 돌출턱(51a)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54)가 본체(51)로부터 수동으로 열고 닫히도록 해 준다.
상기 개폐용 힌지(70)의 제1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의 돌출턱(51a)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캠(72) 및 상기 커버의 통체부(54a)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캠(74)과, 상기 고정캠(72)이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돌출턱(51a) 및 상기 커버의 통체부(54a)에 걸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73)와, 상기 샤프트(73)의 외주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가동캠(74)을 지지하여 상기 가동캠(7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76)과, 상기 샤프트(73)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76)의 타단을 지지하는 부싱(78)과, 상기 샤프트(73)와 부싱(78) 사이에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싱(78)을 상기 샤프트(73)의 타단에 고정시키는 로커(7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73)는 일단에 상기 고정캠(72)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소경부(73a)가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타단 즉 끝단에는 돌출부(73b)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고정캠(72)은 일측에 상기 본체(51)의 돌출턱(51a)에 끼움될 수 있도록 압입부(72a)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가동캠(74)과 캠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고정캠부(72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캠부(72b)는 물론 상기 샤프트(73)의 외둘레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가동캠(74)은 일측에 상기 고정캠부(73b)와 캠방식으로 접촉되어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54)가 열리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가동캠부(74a)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샤프트(73)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74h)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상기 커버의 통체부(54a)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54)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태이다.
다음, 상기 스프링(76)은 상기 샤프트(73)의 외주에 설치되되, 상기 가동캠(74)과 샤프트(73)에 지지되어 상기 가동캠(7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다음, 상기 부싱(78)은 상기 로커(79)를 압축시키는 원통 형상의 부싱 직선부(78a)와, 상기 부싱 직선부(78a)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76)을 지지하도록 상기 부싱 직선부(78a)보다 직경이 큰 부싱 플랜지부(78b)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 플랜지부(78b)에는 상기 로커(79)가 안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싱 안착홈(78c)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로커(79)는 상기 샤프트의 소경부(73a)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로커 직선부(79a)와, 상기 로커 직선부(79a)와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싱 안착홈(78c)에 안착되도록 상기 로커 직선부(79a)보다 직경이 큰 로커 플랜지부(79b)로 구성되며, 상기 로커 플랜지부(79b)에는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가 안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로커 안착홈(79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커(79)는 일반적으로 수지로 제작되되, 수지는 비교적 탄성력이 작기 때문에 상기 로커(7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절개단(79a',79b') 사이에 소정 폭(a)을 가지도록 상기 샤프트(73)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다.
이때, 상기 로커(79)는 양측 절개단(79a',79b')이 서로 맞추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로커(79)의 내경과 외경이 정의될 때,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 직경과 상기 로커 플랜지부(79b)의 내경은 동일하며, 상기 로커 플랜지부(79b)의 외경과 상기 부싱 플랜지부(78b)의 내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부싱 직선부(78a)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커(79)는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탄성재질은 비교적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상기 로커(79)는 단차진 원통 형상으로만 제작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에서 개폐용 힌지(90)의 제2실시예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방식으로 접촉되는 고정캠(92) 및 가동캠(94)과, 상기 고정캠(92)이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돌출부(93a)가 형성되는 샤프트(93)와, 상기 샤프트(93)의 외주에 일단이 상기 가동캠(94)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캠(9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96)과, 상기 스프링(96)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93)와 가동캠(94)과 스프링(96)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98)와, 상기 샤프트(93)와 케이스(98) 사이에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98)를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93a)에 고정시키는 로커(9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98)는 일단이 개방된 중공축 형상의 케이스 본체(98a)와, 상기 케이스 본체(98a)의 타단을 막아주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96)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98b)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98b)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93)가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로커(99)를 압축시키는 홀(98c)로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로커(99)는 상기 샤프트(93)에 결합되어 상기 홀(98c) 내둘레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로커 직선부(99a)와, 상기 로커 직선부(99a)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부(99b) 외측에 안착되도록 상기 로커 직선부(99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원통 형상의 로커 플랜지부(99b)로 구성되고, 상기 로커 플랜지부(99b)에는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93a)가 안착되는 로커 안착홈(99c)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커(99)는 수지 또는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수지로 제작되는 경우 탄성 압축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로커(99)는 상기 샤프트(93)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며, 양측의 절개단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로커 수직부(99a)의 직경은 상기 홀(98c)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캠(72)이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73)에는 상기 가동캠(74)과 스프링(76) 및 부싱(78)이 순차적으로 끼움되되, 상기 고정캠부(72b)와 가동캠부(74a)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76)의 끝단은 상기 부싱 플랜지부(78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다음, 상기 부싱(78)이 상기 스프링(76)을 압축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소경부(73a)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싱(78)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커(79)가 상기 샤프트의 소경부(73a)에 끼움된다.
물론, 상기 로커(79)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상기 샤프트(73)에 조립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부싱(78)을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76)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부싱(78)을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 측으로 밀어줌으로 상기 부싱(78)은 상기 로커(79)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로커(79)는 상기 샤프트의돌출부(73b)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부싱(78)은 상기 부싱 직선부(78a)가 상기 로커 직선부(79a)를 압축하여 양측 절개단(79a',79b')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커 플랜지부(79b)가 상기 부싱 안착홈(78c)에 안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가 상기 로커 안착홈(79c)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79)가 상기 부싱(78)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에 걸림되고, 상기 부싱(78)이 상기 로커(79)에 걸림됨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부싱(78)이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73b)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힌지장치는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과 샤프트의 끝단 사이에 로커가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싱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시키거나,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샤프트의 끝단 사이에 로커가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성이 개선됨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조립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줄일 뿐 아니라 나아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본체에 설치되어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캠과,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의 소경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동캠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샤프트 사이에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싱을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끼움 결합시키는 로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로커를 압축시키는 부싱 직선부와, 상기 부싱 직선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싱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싱 플랜지부에는 상기 로커가 안착되는 부싱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커는 상기 샤프트의 소경부에 결합되는 로커 직선부와, 상기 로커 직선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싱 안착홈에 안착되는 로커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커 플랜지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끝단이 안착되는 로커 안착홈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3. 본체에 설치되어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캠과,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 돌출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동캠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가동캠과 스프링 외둘레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샤프트 사이에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고정시키는 로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중공축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단에 상기 스프링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로커를 압축시키도록 형성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로커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홀 내둘레에 설치되는 로커 직선부와, 상기 로커 직선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안착되는 로커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커 플랜지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로커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양측 절개단 사이에 소정 폭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장치.
KR2020020027274U 2002-09-11 2002-09-11 휴대폰 힌지장치 KR200296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74U KR200296673Y1 (ko) 2002-09-11 2002-09-11 휴대폰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74U KR200296673Y1 (ko) 2002-09-11 2002-09-11 휴대폰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673Y1 true KR200296673Y1 (ko) 2002-11-30

Family

ID=731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74U KR200296673Y1 (ko) 2002-09-11 2002-09-11 휴대폰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6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063A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KR950014618B1 (ko)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CN1138280A (zh) 具有自含枢轴铰链的无线电话机
GB2328711A (en) Upper hinge fixing frame for a refrigerator.
KR200296673Y1 (ko) 휴대폰 힌지장치
EP4001561A1 (en) Door hinge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6276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431558B1 (ko) 휴대폰 개폐장치
KR200405894Y1 (ko) 탄성부재용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개폐장치
JP2009253968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ドモジュール
KR1006923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200342536Y1 (ko) 휴대폰 힌지 어셈블리
KR20019640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0674728B1 (ko) 오븐의 도어 힌지
KR20030085202A (ko) 휴대폰 개폐장치
KR10035047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436818Y1 (ko) 탄성부재용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개폐장치
KR20038745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00005989U (ko) 이동전화 단말기용 덮개 개폐장치
KR200422895Y1 (ko) 핸드폰 힌지장치의 단속부재
KR100273452B1 (ko) 토출밸브 조립체
KR100593541B1 (ko) 토크량 조절이 가능한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힌지장치의 토크량 조절방법
KR101930794B1 (ko)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KR101042549B1 (ko)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