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94B1 -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 Google Patents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94B1
KR101930794B1 KR1020170080681A KR20170080681A KR101930794B1 KR 101930794 B1 KR101930794 B1 KR 101930794B1 KR 1020170080681 A KR1020170080681 A KR 1020170080681A KR 20170080681 A KR20170080681 A KR 20170080681A KR 101930794 B1 KR101930794 B1 KR 10193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rt
connector
insertion groove
movable block
sli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7008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4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피검사용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커넥터의 각각의 단자부를 향하도록 경사지는 복수의 포고핀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JIG FOR TESTING FEMALE CONNECTOR}
본 발명은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용 커넥터에 대한 양부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검사용 지그는 커넥터 제조 후, 커넥터의 단자 핀 접속 상태, 커넥터와 연결된 배선의 단락 상태 및 커넥터의 단자 핀과 하우징의 결합 상태 등의 양부를 최종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암형 커넥터를 검사하는 경우 암형 커넥터는 복수의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삽입홀 내측에 각각 단자가 배치되되, 수형 커넥터가 결합되면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각각은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자 접촉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암형 커넥터의 양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홀에 반복적으로 수형 커넥터 지그를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암형 커넥터의 양부 검사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로 인하여 단자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0170호(2015.10.0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형 커넥터의 양부 검사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측면으로부터 검침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피검사용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커넥터의 각각의 단자부를 향하도록 경사지는 복수의 포고핀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는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는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의 단자부의 1/2 개수로 대응되는 포고핀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의 횡단면 형상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횡단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안내 블록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 블록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동 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소 관통되고, 양단이 몸체부의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가동 블록의 일면과 상기 지지 블록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홈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동 실린더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형성되고, 공기가 공급되는 제1 에어 포트 및 제2 에어 포트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에어 포트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호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에어 포트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가압하는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을 통해 제3 에어 포트 및 제4 에어 포트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3 에어 포트는 상기 제1 에어 포트 및 단동 실린더에 분기되어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통되고, 상기 제4 에어 포트는 상기 제2 에어 포트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형 커넥터의 양부 검사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측면으로부터 접촉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단자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용 커넥터가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동 블록에 의해 고정되므로 피검사용 커넥터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이동이 방지되어 포고핀과 단자부의 접촉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실린더 어셈블리 부분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포고핀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슬라이더가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슬라이더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실린더 어셈블리 부분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포고핀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는 베이스(100), 몸체부(200), 삽입홈(311), 슬라이더(203) 및 실린더 어셈블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몸체부(200)의 바닥에는 몸체부(200)의 횡단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베이스(10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몸체부(200)를 별도의 평탄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홀 등의 결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200)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에 지지 블록(210, 22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블록(210, 22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 부재(320)가 상호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가동 블록(30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20)는 일 예로,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동 블록(300)의 적어도 2개소를 관통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가동 블록(300)의 왕복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320)의 일단 외주면에는 가동 블록(3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경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블록(300)은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슬라이딩되되, 가동 블록(3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 블록(3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동 블록(300)이 가이드 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 안내 블록(3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가이드 부재(3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가동 블록(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부가 관통 형성되는 삽입홈(311)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311)은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되도록 피검사용 커넥터(4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블록(300)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삽입홈(311)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삽입홈(311)에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 블록(300)의 이동에 의해 삽입홈(311)의 일부가 폐쇄됨으로써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홈(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동 블록(300)이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왕복운동하되, 사용자가 가동 블록(300)을 손으로 파지하여 가동 블록(300)을 삽입홈(31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동 블록(300)의 일면이 탄성 지지되도록 탄성 부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확경부(321)의 가이드 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가이드 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지지 블록(210)과 가동 블록(300)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가동 블록(300)이 삽입홈(31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가동 블록(3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삽입홈(31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력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가동 블록(30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제거하게 되면 가동 블록(300)이 재차 삽입홈(31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블록(300)의 피검사용 커넥터(400)측 일면에는 걸림홈(30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302)은 가동 블록(300)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라운드부(301)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파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홈(302)의 두께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32)와의 걸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토퍼(232)는 가동 블록(300)이 삽입홈(311)의 개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탄성력을 부여받음과 동시에 가동 블록(300)의 폐쇄측으로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몸체부(200)의 내부에는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203)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03)는 삽입홈(311)을 통하여 안착 고정된 피검사용 커넥터(400)의 단자부(401)를 향하도록 경사지는 복수의 포고핀(20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8핀 암형 커넥터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8개의 포고핀(204)이 형성된 슬라이더(203)를 도시하고 있으나, 포고핀(204)의 개수는 피검사용 커넥터(400)의 암형 단자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피검사용 커넥터로서 8핀 암형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슬라이더(203)에는 4개의 포고핀(204)이 형성될 수 있다.
포고핀(pogo pin: 204)은 슬라이더(20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검침용 핀을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더(203)에는 다양한 개수의 포고핀(204)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암형 커넥터의 단자 개수의 1/2 개수로 대응되도록 각각의 슬라이더(203)에 구비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203)는 하측에 설치되는 실린더 어셈블리(202)의 제어에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 어셈블리(202)는 외부로부터 공기압을 공급받는 제1 에어 포트(202a) 및 제2 에어 포트(20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에어 포트(202a)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면 슬라이더(203)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에어 포트(202b)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면 슬라이더(203)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어 포트(202a) 및 제2 에어 포트(202b)에 따른 한 쌍의 슬라이더(203)의 작동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린더 어셈블리(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에어 실린더(미도시)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되는 링크 부재(미도시)가 각각의 슬라이더(203)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203)의 하단에 위치하는 안내 레일(203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실린더 어셈블리(202)는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에 따른 복동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외에도 다양한 실린더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가동 블록(300)의 걸림홈(302)의 두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32)는 그 하단에 설치되는 단동 실린더(2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동 실린더(230)는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231)가 공기압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후에 공기압이 제거되면 외력이나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실린더를 의미할 수 있다.
단동 실린더(230)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단동 실린더 에어 포트(230a)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단동 실린더(230)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231)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플런저(231)의 단부에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스토퍼(232)가 상승함으로써 가동 블록(300)의 걸림홈(30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32)의 직경은 걸림홈(30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몸체부(200)의 일면에는 단동 실린더 에어 포트(230a)와 제1 에어 포트(202a)에 동시에 분기되어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3 에어 포트(201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에어 포트(201a)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로는 단동 실린더 에어 포트(230a) 및 제1 에어 포트(202a) 동시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분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에어 포트(201a)에 근접한 위치에 제4 에어 포트(201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4 에어 포트(201b)는 제2 에어 포트(202b)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에어 포트(201a)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한 쌍의 슬라이더(203)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단동 실린더(230)의 플런저(231)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232)가 동시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4 에어 포트(201b)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이전의 슬라이더(203)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슬라이더가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의 슬라이더가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가동 블록(300)이 개방측으로 이동된 후 제3 에어 포트(201a)로 공기압이 공급되면 제1 에어 포트(202a) 및 단동 실린더 에어 포트(230a)로 동시에 공기압이 공급되므로 스토퍼(232)가 상승되어 가동 블록(300)의 걸림홈(302)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슬라이더(203)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홈(311)을 통해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제4 에어 포트(201b)를 통해 공기압이 공급되면 스토퍼(232)가 하강됨과 동시에 가동 블록(300)이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피검사용 커넥터(400)가 삽입홈(311)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에어 포트(201b)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이 제2 에어 포트(202b)로 공급됨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더(203)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각각의 슬라이더(203)에 설치된 복수의 포고핀(204)이 피검사용 커넥터(400)의 단자부(401)에 접촉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는 암형 커넥터의 단자홀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암형 커넥터의 단자홀에 대하여 단자홀의 길이 방향으로 포고핀이 반복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단자 파손 및 탈락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케이블(미도시)선을 매개로 검사장치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 측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
200: 몸체부
202: 실린더 어셈블리
203: 슬라이더
311: 삽입홈

Claims (11)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피검사용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커넥터의 각각의 단자부를 향하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되되, 상기 커넥터의 단자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하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포고핀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되, 상기 포고핀이 상기 각각의 단자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는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는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의 단자부의 1/2 개수로 대응되는 포고핀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의 횡단면 형상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횡단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안내 블록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 블록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동 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피검사용 커넥터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소 관통되고, 양단이 몸체부의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가동 블록의 일면과 상기 지지 블록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홈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동 실린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형성되고, 공기가 공급되는 제1 에어 포트 및 제2 에어 포트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에어 포트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호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에어 포트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가압하는 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을 통해 제3 에어 포트 및 제4 에어 포트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3 에어 포트는 상기 제1 에어 포트 및 단동 실린더에 분기되어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통되고,
    상기 제4 에어 포트는 상기 제2 에어 포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KR1020170080681A 2017-06-26 2017-06-26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KR10193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81A KR101930794B1 (ko) 2017-06-26 2017-06-26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81A KR101930794B1 (ko) 2017-06-26 2017-06-26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794B1 true KR101930794B1 (ko) 2019-03-20

Family

ID=6603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81A KR101930794B1 (ko) 2017-06-26 2017-06-26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6117B2 (ja) * 2000-10-11 2007-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検査器
KR20150110170A (ko) 2014-03-24 2015-10-02 양기선 커넥터 검사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6117B2 (ja) * 2000-10-11 2007-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検査器
KR20150110170A (ko) 2014-03-24 2015-10-02 양기선 커넥터 검사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929B1 (ko) 프로브 핀
KR20010021425A (ko) Bga 패키지와 같은 복수 개의 전도성 단자를 구비한전자 부품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소켓
KR20010062623A (ko) 전기 소켓 장치
KR102148438B1 (ko) 테스트 소켓
KR101786831B1 (ko) B to B 컨넥터 모듈 및 반도체 테스트용 멀티 컨택이 가능한 테스트 소켓
KR101245837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장치
KR101281693B1 (ko) 엘이디 바 검사 장치
KR20080042732A (ko) 중계 커넥터
KR102029400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20200080922A (ko) 테스트 소켓용 컨택트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1940677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101930794B1 (ko) 암형 커넥터 검사용 지그
KR102013175B1 (ko) 교체 가능한 더블타입 프로브 핀
KR20060125452A (ko) 컨넥터 검사장치
KR102222140B1 (ko) 제품 테스트 소켓
KR101944693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bga 소켓장치
KR101709946B1 (ko) 일체형 진공 라인을 구비한 테스트 소켓
KR102080592B1 (ko) S-타입 탄성편을 이용하여 3개의 플런저 상호 간의 콘택 특성이 개선되는 데스트 핀
US20030190828A1 (en) Connector
JPH10144438A (ja) Lsiの試験用治具
KR20130063347A (ko) 컨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테스트 장치
KR101345816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
KR20230067178A (ko) 검사장치
US10826217B2 (en) Horizontal clamp electrical contact assembly
KR20200092078A (ko) 커넥터 검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