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175Y1 -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 Google Patents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175Y1
KR200296175Y1 KR2019980026231U KR19980026231U KR200296175Y1 KR 200296175 Y1 KR200296175 Y1 KR 200296175Y1 KR 2019980026231 U KR2019980026231 U KR 2019980026231U KR 19980026231 U KR19980026231 U KR 19980026231U KR 200296175 Y1 KR200296175 Y1 KR 200296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pace
oil tank
filter member
power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103U (ko
Inventor
성 부 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26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17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환되는 오일을 저장하기도 하고,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도 하는 오일탱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는 그 내부공간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되고, 하부공간은 다시 구획판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을 이루며, 상기 유입공간의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간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이 상부공간을 경유하여 배출공간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필터부재를 두 번 통과하게 되어 두 번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오일의 여과효과가 크게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
본 고안은 차량용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환되는 오일을 저장하기도 하고,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기도 하는 오일탱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조향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 오일펌프를 구동시켜 작동유압을 발생시키고, 이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시켜 핸들의 조작력을 가볍게 함은 물론 신속한 조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동력조향장치의 오일 순환경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펌프(1), 제어밸브(2), 파워실린더(3), 오일탱크(10), 그리고 다시 오일펌프(1) 순으로 순회를 하게 된다.
여기에서 오일펌프(1)는 작동유압을 발생시키고, 제어밸브(2)는 조향핸들의 조향에 따라 밸브의 개도가 조절되어 파워실린더(3)로 공급되는 오일의 공급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오일탱크(10)는 상기 파워실린더(3)를 거쳐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동시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을 걸러주고 다시 오일펌프(1)로 오일을 공급해주게 된다.
한편, 종래의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10)는 오일이 일시 저장되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이 저장공간 은 오일을 걸러주는 필터부재(11)에 의해 상부공간(12)과 하부공간(13)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공간(12)의 일측에는 파워실린더(3)에서 송출되는 오일이 오일탱크(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파워실린더(3)측의 유압라인과 연결된 유입구(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공간(13)의 일측에는 오일탱크(10)의 오일이 다시 오일펌프(1)로 공급되도록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일탱크(10)의 상부공간(12) 내측에는 오일의 와류를 방지하도록 와류방지막(16)이 설치되는데, 이 와류방지막(16)은 오일탱크(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17)의 내면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오일탱크(10)는 오일펌프(1)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 오일이 오일탱크의 유입구(14)로 귀환되게 되면, 귀환된 오일은 상부공간(12) 쪽에 일시 저장이 된다. 그리고, 상부공간(12)의 오일은 필터부재(11)를 통과하여 하부공간(13)으로 흐르게 되고, 다시 하부공간(13)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5)를 통해 오일펌프(1)로 공급되어 재순환하게 된다. 이때, 순환되는 오일에는 오일펌프(1), 제어밸브(2), 파워실린더(3) 등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이 함유되게 되는데, 이 이물질은 오일이 미세한 격자상으로 구성된 필터부재(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오일탱크(10)는 상부공간(12)으로 유입된 오일이 하부공간(13)으로 흐르면서 필터부재(11)에 의해 걸러지기는 하지만, 오일탱크(10)를 경유하는 오일이 단 한차례만 필터부재(11)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의 여과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일탱크 내부를 경유하는 오일이 필터부재를 두 번 통과하게 함으로써 오일의 여과효과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오일의 와류가 방지되는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동력조향장치의 오일 순환경로와 오일탱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오일 순환경로와 오일탱크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오일펌프, 22: 제어밸브,
23: 파워실린더, 30: 오일탱크,
31: 필터부재, 32: 하부공간,
32a: 유입공간, 32b: 배출공간,
33: 상부공간, 34: 구획판,
35: 유입구, 36: 배출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밀폐된 오일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의 여과효과를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된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의 내부를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공간에 형성된 오일 유입구와,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부공간의 타측공간에 형성된 오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오일탱크가 적용되는 동력조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21)와, 오일펌프(21)의 오일을 공급받아 보조배력을 발생시키는 파워실린더(23)와, 상기 오일펌프(21)와 파워실린더(23)를 연결하는 유압라인(24)의 중도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향에 따라 밸브의 개도가 조절됨으로써 파워실린더(23)로 공급되는 오일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실린더(23)를 거쳐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동시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을 걸러주고 다시 오일펌프(21)로 오일을 공급해주는오일탱크(30)가 구비된다. 즉, 동력조향장치의 오일 순환경로는 오일펌프(21)→제어밸브(22)→파워실린더(23)→오일탱크(30)→오일펌프(21) 순으로 계속 순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탱크(30)는 오일탱크(30)를 경유하는 오일의 여과효과를 높여주도록 그 내부공간이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32a)과, 1차 여과된 오일이 일시 경유하는 상부공간(33), 그리고 2차 여과된 오일이 배출되기 직전에 경유하는 배출공간(32b)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오일탱크(30)의 내부공간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31)에 의해 상부공간(33)과 하부공간(32)으로 구획되고, 하부공간(32)은 다시 좌우를 구획하는 구획판(34)에 의해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32a)과, 오일이 배출되기 직전에 경유하게 되는 배출공간(32b)으로 구획이 된다.
이때, 구획판(34)은 오일탱크(10)의 하부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부공간(32)을 유입공간(32a)과 배출공간(32b)으로 구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공간(32a)의 일측에는 파워실린더(23) 쪽에서 유입공간(32a)으로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35)가 형성되고, 배출공간(32b)의 일측에는 배출공간(32b)으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펌프(21)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출구(36)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오일탱크(30)는 필터부재(31)와 구획판(34)에 의해 내부공간이 유입공간(32a), 상부공간(33), 배출공간(32b)으로 구획이 되어, 오일이 유입공간(32a), 상부공간(33), 배출공간(32b)을 순서적으로 경유하면서 여과되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오일탱크(30)의 내부를 흐르는 오일의 경로와 여과작용을 설명한다.
오일펌프(21)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 오일이 파워실린더(23) 측으로부터 오일탱크(30)의 유입구(35)로 유입되면, 유입된 오일은 유입공간(32a) 내부에 일시 저장됨과 동시에, 상측의 필터부재(31)를 통과하여 상부공간(33)으로 흘러가면서 이물질의 1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공간(33)으로 유입된 오일은 상부공간에 일시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필터부재(31)를 통과하여 배출공간(32b)으로 흘러가면서 2차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과가 완료되어 배출공간(32b)으로 유입된 오일은 배출공간(32b)에서 일시 머물다가 배출구(36)를 통해 오일펌프(21) 쪽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오일탱크(30)는 오일탱크를 순회하는 오일이 필터부재(31)에 의해 2회 통과하여 여과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순환되는 오일의 여과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는 그 내부공간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구획되고, 하부공간은 다시 구획판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을 이루며, 상기 유입공간의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간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이 상부공간을 경유하여 배출공간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필터부재를 두 번 통과하게 되어 두 번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오일의 여과효과가 크게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이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상부공간으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유속이 크게 감소되게 되어 오일탱크 내부의 와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밀폐된 오일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의 여과효과를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된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의 내부를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공간에 형성된 오일 유입구와,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부공간의 타측공간에 형성된 오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
KR2019980026231U 1998-12-23 1998-12-23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KR200296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231U KR200296175Y1 (ko) 1998-12-23 1998-12-23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231U KR200296175Y1 (ko) 1998-12-23 1998-12-23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03U KR20000013103U (ko) 2000-07-15
KR200296175Y1 true KR200296175Y1 (ko) 2003-04-03

Family

ID=4939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231U KR200296175Y1 (ko) 1998-12-23 1998-12-23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1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03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123B2 (en) Reservoir tank of a power steering system for a car
KR20110083671A (ko) 벤츄리 구조를 구비한 원심분리기
US4857688A (en) Machining fluid supply controlling system for a wire 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RU2007103346A (ru) Рулевое управление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усилителем с защитой от неконтролируемого движения
KR200296175Y1 (ko)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KR20030084900A (ko) 염분수의 담수화 방법 및 장치
KR200296179Y1 (ko) 동력조향장치의오일탱크
US5386094A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with automatic filtering
CN100398177C (zh) 乳化液分离再生装置
US5769242A (en) Air-pulsed jigging machine with exhaust air removal
JPH11277058A (ja) 流体処理媒体を収容する処理ユニット
KR100212217B1 (ko) 휠로다의 브레이크 및 파일롯콘트롤 시스템
KR20110002229U (ko)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탱크의 와류방지 필터
JP4184103B2 (ja) 気泡除去装置
RU2116526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KR102427482B1 (ko) 소형선박의 유수분리 시스템
JP2565276Y2 (ja) 油圧機器用リザーバ
JPH06156254A (ja) リザーバタンク
KR100229170B1 (ko) 파워스티어링의 공기 및 소음제거장치
KR20220006344A (ko) 정수장치
KR100521191B1 (ko)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JP2578189Y2 (ja) モジュレータユニット及びリザーバの組立体
JPH11303819A (ja) 油圧回路における作動油の気泡除去回路
KR200155443Y1 (ko) 자동차 동력조향장치의 리저버탱크 구조
JP3681709B2 (ja) 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