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118Y1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5118Y1 KR200295118Y1 KR2020020025123U KR20020025123U KR200295118Y1 KR 200295118 Y1 KR200295118 Y1 KR 200295118Y1 KR 2020020025123 U KR2020020025123 U KR 2020020025123U KR 20020025123 U KR20020025123 U KR 20020025123U KR 200295118 Y1 KR200295118 Y1 KR 2002951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flower
- supply pipe
- water
- tow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미화를 위해 거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형의 급수관을 꽃탑의 각 단에 설치하여 최상단의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하위의 급수관으로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각 급수관의 상위에 위치한 화분의 저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흡수포의 일단을 해당 급수관 내부에 저장된 물속에 침지되도록 함으로써 일종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은 최상단에 위치한 급수관으로 저수탱크부터 펌프와 제어기 등을 구비한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급수를 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각 급수관으로 자동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급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종래의 꽃탑의 급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꽃탑의 구조 형성을 단순화시켜 제조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도시의 조경과 미화를 위하여, 또는 행사의 기념이나 안내를 위하여 도로의 곳곳에는 꽃탑, 꽃벽 등의 조형물(이하 '장식용 꽃탑'이라 함)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미화를 위한 장식용 꽃탑은 사용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서 화초에 의한 것과 조화에 의한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화초 또는 조화를 이용한 장식용 꽃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꽃탑에 설치되는 화초가 심겨진 화분의 높이에 맞춰 다단의 급수관을 각각 설치하여 각 화분으로 자동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급수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꽃탑 구조를 단순화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에 관한 것이며, 이와 함께 화초를 재배할 수 없는 시기에는 조화보드를 이용하여 조화를 결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식용 꽃탑에 관한 것이다.
화초가 심겨진 화분을 이용하여 꽃탑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주로 꽃탑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둘레로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화분받이를 높이에 따라 배열시키고, 배열된 각 화분받이상에 화분을 얹어 높음으로써 꽃탑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꽃탑에 있어서는, 꽃탑의 구조물 외부벽으로 놓여진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살수차를 동원하거나 작업자가 받침대를 놓고 직접 화초에 물을 뿌려 주어야 한다.
살수차를 이용한 살포법의 경우에는, 조형물 꽃탑의 화초가 성장하게 되면, 외부에서 물을 살포하여도 화초의 꽃잎들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뿌리부분까지 수분의 침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수작업에 의한 살수는 작업자가 높이에 따라 받침대 등의 별도 도구를 이용하여 살수를 해야 하는 것과,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사하지 못할 경우 화초가 손상될 위험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꽃탑은 화초가 심겨진 화분을 이용하므로 화분의 이동에 따른 화초의 뿌리 자체가 상하거나 이식에 따른 어려움이 없는 반면, 꽃탑 구조물을 형성한 후 화초에 물을 공급하는 면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화초를 이용한 종래의 꽃탑에 있어서, 화초를 재배할 수 없는 시기에는 조화를 결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꽃탑 구조물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그대로 방치해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꽃탑에 설치되는 화초가 심겨진 화분의 높이에 맞춰 다단의 급수관을 각각 설치하여 각 화분으로 자동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이 구비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화를 결착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화초의 재배시기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화초 또는 조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측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분받이에 화분이 일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꽃탑, 꽃벽에 적용되는 자동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하 단을 형성하고 있는 다단 급수관에서의 급수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는 상기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b 는 급수관과 화분 사이에 연결되어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흡수포의 결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블록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상기 도 6 의 꽃탑, 꽃벽 시스템에 조화보드를 결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8a 는 상기 도 7 에 도시된 조화보드의 사시도,
도 8b 는 상기 도 6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골조프레임 11 : 수직 프레임
12 : 횡프레임 13 : 받침대
20, 60 : 화분받이 21 : 화분받이 측면 지지부
22 : 화분받이 하부 지지부 23a∼23c : 화분받이 저부관통공
30 : 급수 시스템 31a∼31d : 급수관
32 : 상부 관통공 33 : 결착끈
34a∼34c : 급수관 연결배관
40 : 자동급수장치 41 : 저수탱크
42 : 펌프 43 : 제어기
44 : 이송배관
50 : 화초가 심겨진 화분 51 : 화분
52 : 화초 53 : 흙
54 : 흡수포 삽입공 61 : 환봉
70 : 조화보드 75 : 조화 꽃이부
80 : 조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용 꽃탑은 환경미화를 위한 장식용 꽃탑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꽃탑의 외형을 이루고 전체를 지탱하는 골조프레임과, 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프레임의 외주면 전체에 부착되어있으며, 화분이 놓이는 저부면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있는 화분받이와, 상기 화분받이에 적재되며 저부면에 흡수포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흡수포의 타측단은 상기 화분받이 저부의 관통공으로 빠져 나오도록 연장되어 나온 화분과, 상기 골조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층을 이루며, 상부에 상기 각 화분에 연결된 흡수포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다단의 급수관과,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각 급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위의 급수관에서 하위의 급수관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배관을 포함하여, 종래의 꽃탑의 급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과 불편을 해결할 수 있고, 급수의 자동화와 흡수포를 이용한 화분받이의 구성으로 꽃탑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자동급수장치의 제어기를 통해 급수여부와 급수시간 및 급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급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식용 꽃탑은 최 상측에 위치한 급수관으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급수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급수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 올려 최상위의 급수관으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 및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급수관들을 연결해주는 배관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화분받이는 화분이 꽃탑의 전면을 향하도록 일정 기울기로기울어지고, 화분의 저부면이 하부에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화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급수관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화분의 저부에 결착된 흡수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장식용 꽃탑의 외형은 원통형, 원뿔형, 각종 캐릭터나 동물의 모양 등 매우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사각 육면체형의 꽃탑을 토대로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측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분받이에 화분이 일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프레임(10)이 대략 사각 육면체 형상으로 전체 모양의 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프레임(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화분받이(20)가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층을 이루며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화분(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받이(20)의 상부에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얹히게 된다.
본 고안의 꽃탑을 형성하는 골조프레임(10)은 사각 형상으로 세워지는 수직 프레임(11)과 상기 각 수직프레임(11)간을 연결시키는 횡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수직프레임(11)의 외측에 횡프레임(12)의 양측단부가 결착되는 구조로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1)과 횡프레임(12)의 결착부에서의 결착방법은 두 구성부재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외의 다른 재질, 예컨데 FRP나 플라스틱, PVC 와 같은 합성수지의 경우 볼트와 너트 및 체결나사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결착시킨다.
상기 횡프레임은(12) 또한 상하로 세워진 수직프레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1)의 저부에는 골조프레임(10)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받침대(13)를 형성한다.
골조프레임(10)에 거치되는 본 고안의 급수관(31a∼31d)은 상기 수직프레임(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직경의 파이프가 배열된, 대략 사각형상의 배열구조를 이루며,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다단의 층을 이룬다. 상기 급수관(31a∼31d)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로는 꽃탑에 적재되어 있는 화초에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일정 직경의 파이프를 사용하며, 특히 예시된 사각형상의 구조를 이루기 위해 굴곡부에서는 별도의 이음관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각 급수관(31a∼31d)은 꽃탑을 형성하는 골조프레임(10) 중 횡프레임(1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결착끈(33)을 이용하여 상기 횡프레임(12)과 인접한 급수관(31a∼31d)을 함께 묶음으로써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31a∼31d)과 횡프레임(12)의 길이를 따라 결착끈(33)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두 구성부재간의 결착이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급수관(31a∼31d)을 본 고안의 골조프레임(10)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결착끈(33)을 이용하지 않고 수직프레임(11)에서 상기 급수관(31a∼31d)을 결착시킬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한 방법이나 별도의 고정 브래킷(미도시)을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한 방법으로 결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각 급수관(31a∼31d)의 상부에는 관통공(3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2)은 외부로부터 직접 물이 공급되는 통로로 사용되기도 하며, 화분(50)의 저부에서 연결되어 나온 흡수포(53)가 삽입되는 통로로도 사용된다.
상기 각 급수관(31a∼31d)의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공을 이용하여 상위 급수관에서 하위 급수관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화분받이(20)는 골조프레임(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적으로 나란하게 층을 이루며 다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화분(50)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분받이(20)는 그 양측 단부가 수직프레임(11)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골조프레임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직프레임(11)과 화분받이(20)의 재질에 따라 상기 결착부에서의 결착방법을 달리한다. 즉 금속인 경우 용접이나 볼트와 너트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나 목재 등의 재질을 사용할 경우 나사결합에 의한 방법이나 못으로 결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받이(20)는 화분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2)와 화분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21)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하부 지지부(22)상에화분이 놓였을 경우 적재되는 화분이 가능한 전면으로 많이 기울어져 화분에 식재된 화초가 꽃탑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화분받이의 하부 지지부(22)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화분(50)은 화분받이(20)의 측면 지지부(21)가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화분받이(20)의 각 하부 지지부(22) 상에는 화분(50)의 적재시 적재된 화분(50)의 저부면이 하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저부 관통공(23a∼23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부 관통공(23a∼23c)은 화분(50)의 저부에 결착되어 있는 흡수포(53a∼53c)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화분받이(20)의 전체구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공정을 통해 조립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꽃탑에 적용되는 자동급수 시스템의 다단 급수관에서의 급수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31a∼31c)의 하부에는 배출공(35a∼35c)이 형성되어 급수관(31a∼31c)에서 한단계 아래의 각 급수관(31b∼31d)으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35a∼35c)의 형성위치는 연결배관(34a∼34c)이 설치되는 해당위치에만 형성하면 되고, 그 외 상기 연결배관(34a∼34c)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다수개 형성해도 무방하다.
급수관(31a∼31c)에서 하위 급수관(31b∼31d)으로 물을 공급하는 상기 연결배관(34a∼34c)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31a∼31c)의 하부에 형성된배출공(35a∼35c)과 각 급수관(31b∼31d)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32a∼34d)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각 연결배관(34a∼34c)의 상측 단부는 상위 급수관(31a∼31c)의 하부 배출공(35a∼35c) 내부로 삽입되고, 하측 단부는 하위 급수관(31b∼31d)의 상부 관통공(32b∼32d)으로 삽입된다. 이때 각 연결배관(34a∼34c)의 상측 단부는 상위의 급수관(31a∼31c)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되, 일정길이가 급수관의 저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올라오도록 결착한다. 이는 상부 관통공(32a∼32d)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해당 급수관내에서 일정량 이상 물이 고인 상태에서, 그 하위의 급수관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배관(34a∼34c)의 하측 단부는 그 하위의 급수관 상부 관통공(32b∼32d) 하부로 삽입되어 들어가되,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할 필요가 없이 급수관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각 연결배관(34a∼34c)의 상, 하측 부위와 상위 급수관(31a∼31c)의 하부 배출공(35a∼35c) 및 하위 급수관(31b∼31d)의 상부 관통공(32b∼32d)과 결합되는 결합부에는 급수관내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패킹물질(36a∼36c)을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보다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급수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수탱크(41)에 저장된 물을 펌프(42)로 압송하여 이송배관(43)을 따라 이송시키면 이송배관(43)을 따라 물이 이동하여 꽃탑의 최 상부에 위치한 제1 급수관(31a)으로 공급된다.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제1 급수관(31a)으로 물이 공급되면 먼저 제1 급수관(31a)의 저면으로부터 물이 점점 차오르며, 높이(h1) 이상으로 물이 차게 되면 물은 제1 급수관(31a)의 저부에 연결된 제1 연결배관(34a)을 통해 그 하부의 제2 급수관(31b)으로 공급되어 이 급수관(31b)의 저면으로부터 점차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높이(h2) 이상으로 차게 되면 물은 제2 연결배관(34b)을 통하여 제3 급수관(31c)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급수관(31a∼31c)에서의 연속적인 물공급에 의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다단에 걸친 급수관으로 물을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물이 급수관(31a∼31d)을 다 채우면 물은 상부 관통공(32)을 통하여 유출되므로 육안으로 물공급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 물 공급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급수관(31a∼31d)을 투명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상기에서 각 급수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급수관(31a, 31b) 내에서 물의 일정높이(h1 또는 h2)까지 차기 전에는 그 하부 급수관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는데, 하부 급수관으로의 이동하기 전까지의 수위(h1 또는 h2)에서도 흡수포(53)의 침전이 충분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꽃탑 골조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각 급수관(31a∼31d)에서 상기 화분받이(20)에 적재된 화분(50)으로 급수되는 상태를 도 4a 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는 상기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 는 급수관과 화분 사이에 연결되어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흡수포의결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급수관(31a∼31d) 내로 흐르는 물을 화분(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흡수포(53a∼53c)를 이용한다. 이 흡수포(53a∼53c)는 일종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하위에 있는 급수관(31a∼31d)으로부터 상위의 화분으로 물을 빨아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실타레나 헝겊 뭉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수포(53a∼53d)는 일정 크기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급수관(31a∼31d)과 화분(50) 사이에 물전달 통로로 사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의 흡수포(53a∼53c)의 일측 단부를 화분(50)의 저부에 형성된 흡수포 삽입홈(54)을 통해 흙 속으로 삽입하고, 타측 단부를 화분받이(20)의 하부 지지부(22)상에 형성된 저부 관통공(23a∼23c)을 통과하여 그 하위에 있는 해당 급수관(31b∼31d)내로 삽입시켜 물속에 침전되도록 한다. 이렇게 할 경우 다단으로 구비된 각 급수관(31b∼31d)으로부터 해당 급수관의 상부에 위치한 화분(50)으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급수관(31a∼31d)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32a∼32d)의 배열간격은 화분(50)이 배열되는 간격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흡수포(54)가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물 공급 시스템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급수장치(4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41)와, 상기 저수탱크(41)로부터 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배관(44)과, 상기 이송배관(44)과 저수탱크(41)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펌프(42) 및 상기 펌프(42)의 작동간격과 작동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기(43)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배관(44)의 단부는 최상위 급수관인 제1 급수관(31a)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32a)으로 연결되며, 이송배관(44)의 단부와 상기 관통공(32a)의 사이에는 별도의 노즐을 장착시킬 경우 이송배관(44)으로의 물의 유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한편, 저수탱크(41)로부터 꽃탑의 최상위에 위치한 급수관(31a)의 상부 관통공(32a)에 연결되는 급수장치의 물 공급노즐(45)에 이르기까지 전체 이송배관(44)의 형성을 골조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송배관(44)의 노출로 인한 꽃탑의 외부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수도관의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한 경우 저수탱크를 대신하여 수도관을 직접 펌프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골조 프레임(10)의 외측 둘레로 설치된 화분받이(60)를 환봉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은 상기 도 6 에 도시된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화분받이(60)의 최외측 단부에 조화보드(70)를 결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a 는 상기 도 7 에 도시된 조화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8b 는 상기 도 6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예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꽃탑, 꽃벽 시스템에서는 화초를 재배하거나 보존할 수 없는 환경 하에서 골조시스템(10)의 외측에 설치된 화분받이(60)를 환봉으로 형성하고, 이 환봉으로 형성된 상기 화분받이(60)의 외측 단부에 조화보드(70)를 결착시킨 예이다. 이때 상기 조화보드(70)는 상기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보드(70)의 전면에 걸쳐 조화(80)의 줄기부를 삽착할 수 있는 조화 꽃이부(75)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화보드(7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화분받이(60)에 조립,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착부(73)에 의해 상기 조화보드(70)를 임의의 상측 화분받이와, 상기 상측 화분받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화분받이의 사이로 밀어 넣을 경우 간단히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조화보드(73)의 상,하측단에 형성되는 결착부(73)는 결착되는 화분받이(60)의 구조물이 환봉으로 된 경우에는 반원구 형상으로 형성되나 환봉이 아닌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그에 맞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조화보드(73)는 화분받이의 외측 단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조립결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위에서 예시한 본 고안의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형은 골조프레임의 형상을 달리하여 원통형, 원뿔형, 각종 캐릭터나 동물의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은 파이프형의 급수관을 꽃탑의 각 단에 설치하여 최상단의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그 하위에 있는 급수관으로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급수관의 상부 관통공과 해당 급수관의 상부에 위치한 화분의 저부홈으로 흡수포를 연결시켜 급수관으로부터 화분으로 상기 흡수포를 통해 급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화초로 형성되는 꽃탑의 급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 및 불편을 해결할 수 있고, 급수의 자동화와 흡수포를 이용한 화분받이의 구성으로 꽃탑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동급수장치의 제어기를 통해 급수여부와 급수시간 및 급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급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나아가 화초를 재배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환경하에서는 조화보드를 화분받이의 외측단부에 결착시켜 조화를 이용한 꽃벽, 꽃벽 시스템을 이룰 수도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6)
- 환경미화를 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장식용 꽃탑의 외형을 이루고 전체를 지탱하는 골조프레임과,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프레임의 외주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으며, 화분이 놓이는 저부면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있는 화분받이와,상기 화분받이에 적재되며 저부면에 흡수포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흡수포의 타측단은 상기 화분받이 저부의 관통공으로 빠져 나오도록 연장되어 나온 화분과,상기 골조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층을 이루며, 상부에 위치한 화분으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흡수포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다단의 급수관과,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각 급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위의 급수관에서 하위의 급수관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장식용 꽃탑은 최 상측에 위치한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급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자동급수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 올려 최상위의 급수관으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 및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급수관들을 연결해주는 이송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각 급수관의 저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상측단부는 해당 급수관내에서 급수관의 저부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장식용 꽃탑은 상기 화분받이의 외측단에 조화 꽃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조화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조화보드는 그 상측과 하측단에 장식용 꽃탑의 화분받이 외측단에 조립, 결착될 수 있는 결착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꽃탑, 꽃벽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123U KR200295118Y1 (ko) | 2002-08-23 | 2002-08-23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123U KR200295118Y1 (ko) | 2002-08-23 | 2002-08-23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9688A Division KR100540532B1 (ko) | 2002-08-22 | 2002-08-22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118Y1 true KR200295118Y1 (ko) | 2002-11-18 |
Family
ID=7312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5123U KR200295118Y1 (ko) | 2002-08-23 | 2002-08-23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11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721B1 (ko) | 2006-05-03 | 2008-06-09 | 백수곤 |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
-
2002
- 2002-08-23 KR KR2020020025123U patent/KR2002951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721B1 (ko) | 2006-05-03 | 2008-06-09 | 백수곤 |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26375A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KR20170132847A (ko) | 식물의 수직 재배용 장치의 기둥 요소 | |
US20090223126A1 (en) | Vertical plant supporting system | |
US10492377B2 (en) |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 |
US20090000189A1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US20110219689A1 (en) |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 |
EP2885963B1 (en) | Vertical garden | |
KR20150087510A (ko) |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 |
KR101227836B1 (ko) |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 | |
KR200420135Y1 (ko) |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 |
US20120186153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 |
US20130025196A1 (en) | System for displaying plants | |
JP2006129846A (ja) |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 |
KR100540532B1 (ko)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 |
KR100375935B1 (ko) |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 |
JP6998696B2 (ja) | 壁面緑化装置 | |
KR200295118Y1 (ko) |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장식용 꽃탑, 꽃벽 시스템 | |
US5411562A (en) | Topiary watering system | |
JP4936176B2 (ja) | 壁面緑化ユニット | |
JP4604148B2 (ja) | 壁面緑化設備の灌水装置 | |
JPH04135426A (ja) |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 |
JP4657683B2 (ja) | 壁面緑化設備 | |
JP5062560B2 (ja) | 壁面緑化ユニット | |
KR20040017456A (ko) |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