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001Y1 -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001Y1
KR200295001Y1 KR2020020023627U KR20020023627U KR200295001Y1 KR 200295001 Y1 KR200295001 Y1 KR 200295001Y1 KR 2020020023627 U KR2020020023627 U KR 2020020023627U KR 20020023627 U KR20020023627 U KR 20020023627U KR 200295001 Y1 KR200295001 Y1 KR 200295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stepping motor
screw
spheric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희
조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슬라
(주)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슬라, (주)신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슬라
Priority to KR2020020023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001Y1/ko

Link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OA기기, FDD 및 HDD등에 사용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모터 케이스(150)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120)와, 상기 리드 스크류(120)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130)는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는 결합구(190)의 구형 결합홈(200)내에 상기 구형단턱(1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따라서, 스테핑 모터의 구동시 리드 스크류를 일체의 사출물로 구성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토록 하며, 특히 리드 스크류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스크류 절삭가공등이 필요 없도록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키고, 리드 스크류의 칫수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A Device for combine lead screw of stepping motor}
본 고안은 OA기기, FDD 및 HDD등에 사용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광픽업 엑츄에이터등을 직선 이송시키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를 일체의 사출물로 성형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을 형성하여 결합구의 구형 결합홈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토록 함으로써, 스테핑 모터의 구동시 리드 스크류를 일체의 사출물로 구성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토록 하며, 특히 리드 스크류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스크류 절삭가공등이 필요 없도록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키고, 리드 스크류의 칫수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한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DD 또는 HDD등에 설치되는 광픽업장치에 있어서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에 레이져 빔을 조사함으로써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시키기 위한 픽업장치로서, 상기 광픽업장치는 베이스에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송하면서 픽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픽업장치의 이송은, 스테핑 모터의 축인 리드 스크류에 가이드 부재가 연결되어 광픽업장치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광픽업장치를 이송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는, 원통상의 축상에 나사홈을 절삭 가공하여 광픽업 장치를 좌우 직선운동 시키는 관계로, 장기간 사용시 가이드 부재와 연설된 리드 스크류의 나사홈부가 간섭에 의한휨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따라 광픽업장치의 직선운동이 매끄럽게 일어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테핑 모터의 모터축인 리드 스크류의 양측에 소정의 텐션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광픽업장치와 연결된 가이드부재의 간섭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한 스테핑 모터가 제안된바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0778호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테핑 모터(10)와 연설된 리드 스크류(20)에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나사홈부(30)에 광픽업장치(40)의 가이드 부재(50)가 연설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2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20)를 고정하는 플랜지(60)내에 스프링(70)을 개재하여 회동보올(80)이 상기 리드 스크류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20)의 타측단부인 스테핑 모터(10) 후방에도 회동보올(80')을 개재하여 판스프링(90)이 탄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의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는, 리드 스크류(20)의 양측단부에 별도의 회동보올(80)(80')을 개재하여 스프링 및 판스프링(70)(90)을 탄설함으로써, 가이드 부재(50)의 좌우 직선운동에 따른 간섭 저항력을 상기 스프링 및 판스프링이 흡수토록 함으로써, 광픽업장치의 원활한 이송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리드 스크류(20)는 그 주면에 별도의 절삭가공을 통해 가이드 부재(50)가 연설되는 나사홈부(30)를 형성함으로써, 리드 스크류(20) 자체의 강도가 취약하게 됨은 물론, 상기 리드 스크류(20)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회동보올(80)(80')이 그 양측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동보올과 리드스크류(20) 양측단부에 간섭에 따른 응력이 발생하여, 리드 스크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상기 회동보올 후방으로 별도의 스프링을 더 설치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이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FDD 및 HDD등에 설치되는 광픽업 엑츄에이터등을 직선 이송시키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및 그 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를 일체의 사출물로 구성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토록 하면서도, 나사홈부의 절삭가공에 따른 리드 스크류의 강도 저하를 방지토록 함은 물론, 특히 리드 스크류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스크류 절삭가공등이 필요 없도록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키고, 리드 스크류의 칫수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하며, 리드 스크류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단턱이 결합구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테핑 모터 리드 스크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인 스테핑 모터에 연설되는 리드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리드 스크류의 결합상태 요부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10..스테핑 모터 120...리드 스크류
130...나사홈부 140...가이드 부재
150...모터 케이스 160...구형단턱
170...지지대 180...절곡단턱
190...결합구 200...구형 결합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스테핑 모터와 연설된 리드 스크류의 나사홈부에 가이드 부재가 연설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단부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를 고정하는 플랜지가 설치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리드 스크류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절곡단턱에 설치되는 결합구의 구형 결합홈내에 상기 구형단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스테핑 모터에 연설되는 리드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인 리드 스크류의 결합상태 요부 구조도로서, 스테핑 모터(110)와 연설된 리드 스크류(120)의 나사홈부(130)에 가이드 부재(140)가 연설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단부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고정하는 플랜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 케이스(150)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120)와, 상기 리드 스크류(120)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130)는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는 결합구(190)의 구형 결합홈(200)내에 상기 구형단턱(1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토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120)의 구형단턱(160)이 결합되는 결합구(190)는, 탄발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 케이스(150)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110)는, 그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리드 스크류(120)가 연설되며,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외면에는 나사홈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부(130)에 광픽업장치(미도시)의 가이드 부재(140)가 연설됨으로써, 상기 스테핑 모터의 구동에 의해 리드 스크류(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0)를 직선 왕복운동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 케이스(150)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120)는, 상기 리드 스크류(120)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130)를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함으로써, 나사홈부(130)의 가공을 위한 별도의 절삭가공이 필요없게 되며, 항상 균일한 각도 및 피치를 갖는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이에 연설되는 광픽업장치의 위치 정밀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160)이, 역시 상기 리드 스크류(120)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토록 됨으로써,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고정시, 상기 구형단턱(160)이 절곡단턱(180)의 결합구(190)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결합구(190)의 구형 결합홈(200)내에 상기 구형단턱(160)을 단순히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120)가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120)의 구형단턱(160)이 결합되는 결합구(190)는 탄발성 합성수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나사홈부(130)와 연설되는 가이드 부재(140)의 간섭에 따른 응력을 상기 결합구(190)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리드 스크류(120)의 수명을 가일층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에 의하면, FDD 및 HDD등에 설치되는 광픽업 엑츄에이터등을 직선 이송시키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및 그 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를 일체의 사출물로 구성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토록 하면서도, 나사홈부의 절삭가공에 따른 리드 스크류의 강도 저하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특히 리드 스크류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스크류 절삭가공등이 필요 없도록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증대시키고, 리드 스크류의 칫수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하며, 리드 스크류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형단턱이 탄발성 결합구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가이드 부재의 간섭에 따른 응력을 상기 결합구가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2)

  1. 스테핑 모터(110)와 연설된 리드 스크류(120)의 나사홈부(130)에 가이드 부재(140)가 연설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단부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120)를 고정하는 플랜지가 설치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150)에 지지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120)와, 상기 리드 스크류(120)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130)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일단부에는 구형단턱(160)이 일체로 형성되어, 리드 스크류(120)를 지지하는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는 결합구(190)의 구형 결합홈(200)내에 상기 구형단턱(1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70)의 절곡단턱(180)에 설치되어, 리드 스크류(120)의 구형단턱(160)이 결합되는 결합구(190)는, 탄발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KR2020020023627U 2002-08-07 2002-08-07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KR200295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27U KR200295001Y1 (ko) 2002-08-07 2002-08-07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27U KR200295001Y1 (ko) 2002-08-07 2002-08-07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569A Division KR100456328B1 (ko) 2002-08-07 2002-08-07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001Y1 true KR200295001Y1 (ko) 2002-11-13

Family

ID=7312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27U KR200295001Y1 (ko) 2002-08-07 2002-08-07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426B1 (ko) 2005-11-14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이송모터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426B1 (ko) 2005-11-14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이송모터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891A (en) Method of preparing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objective lens suspension body
US7223001B2 (en) Headlight positioning device
US7682045B2 (en) Linear actuator of the screw-nut type
CN100392288C (zh) 信息记录和/或再现装置
US5313334A (en) Objective lens moving actuator
CN1202528C (zh) 光碟记录和播放装置
KR200295001Y1 (ko)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KR100456328B1 (ko)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US7574716B2 (en) Guide mechanism and optical drive utilizing the same
US10852486B2 (en) Adaptor with built-in shutter for optical connector
CN101261848A (zh) 传动机构及具有传动机构的光盘读/写装置
US7127730B2 (en) Optical pickup head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disc drive
CN106233595B (zh) 步进电机
US6912722B2 (en) Disk drive and beam angle adjusting structure
JP7380000B2 (ja)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の調芯方法
CN111975814A (zh) 一种过线盘及带过线盘的工业机器人
US20030202457A1 (en) Spring for motors and optical disk driver with such spring
CN1298088C (zh) 旋转式连接器
JPH10123399A (ja) レンズ駆動機構
CN1220193C (zh) 光栅构件及光拾波装置
CN219684533U (zh) 一种浮动伸缩式螺帽旋拧装置
JP4418637B2 (ja) ネジ送り機構及び光空間伝送装置
CN102035348B (zh) 步进电机
JP4917145B2 (ja) モータの制振取付構造
JP304987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のモータ側圧付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