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21Y1 -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21Y1
KR200294521Y1 KR2020020024566U KR20020024566U KR200294521Y1 KR 200294521 Y1 KR200294521 Y1 KR 200294521Y1 KR 2020020024566 U KR2020020024566 U KR 2020020024566U KR 20020024566 U KR20020024566 U KR 20020024566U KR 200294521 Y1 KR200294521 Y1 KR 200294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nsing
shaft
key
dire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환
박진해
Original Assignee
이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환 filed Critical 이태환
Priority to KR202002002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21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키를 정확인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키의 회동과 동시에 연동되는 장치를 더 부가하고 여기에 센싱장치를 더 부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향키의 상부로 연장되는 키샤프트와; 상기 키 샤프트 외주연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밸트걸이 홈이 형성된 키샤프트 롤러; 상기 키 샤프트 롤러와 벨트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벨트걸이 홈이 형성된 감지용 롤러; 상기 감지용 롤러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감지용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감지용 샤프트와; 상기 감지용 샤프트 끝단에 연결되며 감지용 샤프트의 회전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을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은 방향키의 각도를 정확히 감지할 뿐만 아니라 만각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타수가 선박을 운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A Position Identify Unit of A Ship Direction Key}
본 고안은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키를 정확인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키의 회동과 동시에 연동되는 장치를 더 부가하고 여기에 센싱장치를 더 부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어선은 조타실에서 어선을 운전하게 되므로, 어선을 항구에 접안시킬때나 접안 상태에서 배를 빼낼때 선수 또는 선미에 보조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조타실에서는 선수 또는 선미의 하부가 보이지 않고, 어선은 급제동이 되지 않으므로 조타실에서 혼자 운전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하고 충돌 또는 파손의 위험이 따르는 것이었다. 그리고, 소형어선의 어로작업은 1인에 의해 가능할 정도로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위험때문에 1인 작업을 하지 않고 2인 이상이 승선하게 되므로 조업비용이 많이 들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자동 운전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게 되면 1사람이 리모트 콘트롤러만을 조작하여 선박을 운행할 수 있으므로 한사람이 운행하면서도 선박의 부두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운전실에 꼭 탑재하지 않고도 운행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콘트롤러 및 조타실에는 방향키의 각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는바, 종래에는 방향키에 유도봉을 설치하여 간접적인 체크방법으로 방향키의 각도를 검출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간접체크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며, 또한 타각이 심한 오차가 발생할 경우 만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유사시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도봉 등이 염분에 노출되어 산화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3개월을 넘기기가 힘들어 조타수의 감에 의지하여 운행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방향키에 연동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장치를 더 장착하여 보다 정밀한 방향각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더불어 만각을 정확히 알려주도록 하여 필요 이상으로 방향키를 회전시키는 것을 막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방향키의 상부로 연장되는 키샤프트와; 상기 키 샤프트 외주연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밸트걸이 홈이 형성된 키샤프트 롤러; 상기 키 샤프트 롤러와 벨트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벨트걸이 홈이 형성된 감지용 롤러; 상기 감지용 롤러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감지용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감지용 샤프트와; 상기 감지용 샤프트 끝단에 연결되며 감지용 샤프트의 회전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을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감지용 롤러의 하부에는 볼 스프링이 일정개수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볼 스프링 바로 밑에 설치되어 볼 스프링이 일정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이를 감지하는 만각 센신용 센서 및, 상기 감지용 센서와 케이스 사이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설치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측에 상기 만각 센싱용 센서가 탑재되는 센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센서롤러는 일정한 각으로 센서를 3개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향키 확인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만각롤러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향키 롤러 20: 고정볼트
30: 방향키 샤프트 40: 밸트
50: 점검용 롤러 51: 볼 스프링
60: 센싱용 롤러 61: 센서
70: 점검용 샤프트 80: 가변저항
90: 점검용 케이스 100: 조타박스
200: 유압장치 300: 방향키
400: 엔진룸 500: 콘트롤 박스
600: 리모트 콘트롤러 700: 프로펠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도로서, 도 2는 본 고안의 조타박스 외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타박스(100)와; 상기 조타박스(100)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제어신호에 따라 방향키를 움직이기 위한 유압 시스템(200)과; 상기 유압 시스템의 작동유 순환에 따라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서 선박의 순항 방향을 결정하는 키(300)와; 상기 조타박스(100)로부터 속도제어 및 클러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엔진룸(400)과; 상기 조타박스(100)에 연결되어 유선에 의한 자동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콘트롤 박스(500)와; 상기 콘트롤 박스(50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리모트 콘트롤러(600)와; 상기 엔진룸(4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조타박스(100)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방향 및 속도를 달리함으로서 선박의 속도 및 전후진 방향을 결정하는 프로펠러(70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조타박스(100)에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레버(2)가 조타박스(100)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또한 전후진을 조절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4)가 조타박스(100) 외부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 핸들(800)이 위치한다.
상기에서 콘트롤 박스(500)와 조타박스(100)에는 통합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조타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가 조타실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속도를 리모트 콘트롤러(600)로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방향키의 각도를 판독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키(300)의 외주연에 벨트걸이 홈이 형성된 방향키 롤러(10)를 설치한다. 상기 방향키 롤러(10)와 방향키(300)의 샤프트(30)는 볼트(20)에의해 고정되어 방향키(300)가 회전함과 동시에 방향키 롤러(10)가 회전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키(30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방향키의 회전 점검장치가 설치되는바, 밸트(40)를 통해 방향키 롤러(1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벨트걸이홈이 형성된 점검용 롤러(50)가 설치되고, 상기 점검용 롤러(50)의 하부에는 센싱용 롤러(60)가 설치되며, 상기 점검용 롤러(50)와 센신용 롤러(60)의 중앙은 샤프트(70)가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샤프트(70)의 하부는 가변저항(80)이 설치되어 샤프트(70)의 회전에 따른 각도변화를 점검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저항(80)은 점검용 케이스(9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점검용 롤러(50)의 하부에는 볼 스프링(51)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점검용 롤러(60)의 상부에는 센서(61)가 일정개수 설치된다. 그리고, 센싱용 롤러(60)의 하부에는 베어링(71)이 설치되어 점검용 롤러(50)와 샤프트(70)가 회전하더라도 센싱용 롤러(6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물론, 상기 센싱용 롤러(60)가 회전하지 않토록 별도의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센신용 롤러(60)의 상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센서(61)가 설치되는 구조로서, 양 사이드의 센서는 만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만약 방향키의 회전이 만각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더이상의 방향이 회전이 되지 않토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62는 콜트롤 박스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다.
상기에서 제어신호는 경보음 내지는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방향키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토록 하는 방법등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출력상황은 여러가지로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작상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타박스(100)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600)에 의해서 방향키(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방향키(300)의 샤프트(30)가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향키 롤러(10)가 회동하게 되고, 또한 방향키 롤러(10)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40)가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벨트(40)가 걸쳐져 있는 점검용 롤러(50)가 회전하게 되고, 점검용 롤러(50)의 중심부에 설치된 샤프트(70)가 회전하게 되어 하부의 가변저항(80)을 통해 방향키(30)의 회전각이 정확히 검출된다.
이와 더불어 점검용 롤러(50)의 하부에 설치된 볼 스프링(51)이 회전하게 되며, 이는 센신용 롤러(60)에 설치된 센서(61)에 의해 감지되어, 방향키(300)의 방향이 만각에 이를때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향키의 각도 뿐만 아니라 만각의 각도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무리한 운행을 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방향키의 각도를 정확히 감지할 뿐만 아니라 만각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타수가 선박을 운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방향키의 상부로 연장되는 키샤프트와;
    상기 키 샤프트 외주연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밸트걸이 홈이 형성된 키샤프트 롤러;
    상기 키 샤프트 롤러와 벨트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벨트걸이 홈이 형성된 감지용 롤러;
    상기 감지용 롤러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감지용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감지용 샤프트와;
    상기 감지용 샤프트 끝단에 연결되며 감지용 샤프트의 회전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을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용 롤러의 하부에는 볼 스프링이 일정개수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볼 스프링 바로 밑에 설치되어 볼 스프링이 일정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이를 감지하는 만각 센신용 센서 및, 상기 감지용 센서와 케이스 사이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설치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측에 상기 만각 센싱용 센서가 탑재되는 센서롤러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롤러는 일정한 각으로 센서를 3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KR2020020024566U 2002-08-17 2002-08-17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KR200294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566U KR200294521Y1 (ko) 2002-08-17 2002-08-17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566U KR200294521Y1 (ko) 2002-08-17 2002-08-17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21Y1 true KR200294521Y1 (ko) 2002-11-11

Family

ID=7312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566U KR200294521Y1 (ko) 2002-08-17 2002-08-17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19B1 (ko) 2011-10-26 2013-03-04 (주) 해리아나 마그네틱 모듈을 이용한 선박의 방향타 각도 측정장치
KR20160071896A (ko) 2014-12-12 2016-06-22 (유) 레오텍해운 러더의 회전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19B1 (ko) 2011-10-26 2013-03-04 (주) 해리아나 마그네틱 모듈을 이용한 선박의 방향타 각도 측정장치
KR20160071896A (ko) 2014-12-12 2016-06-22 (유) 레오텍해운 러더의 회전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1628B2 (ja) 船舶推進装置の操舵装置および船舶
US20050199169A1 (en) Steering assist system for boat
US7028804B2 (en) Steering angle neutral position detection error protecting method and detection error protecting apparatus
US7258072B2 (en) Multiple steer by wire helm system
US6978729B2 (en) Control system for boats
JP4836621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船舶
KR101690080B1 (ko) 러더의 회전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KR100700057B1 (ko) 소형 선박용 전동식 조타 모듈 및 장치
JP5107091B2 (ja) 船舶の推進制御装置
AU691302B2 (en) Auto-pilot water craft
US4762079A (en) Trim tab actuator for marine propulsion device
KR200294521Y1 (ko) 선박의 방향키 위치 확인장치
US20170274973A1 (en) Boat
US8408953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opeller drive on a boat
US8015935B2 (en) Watercraft control apparatus
WO2012020585A1 (ja) 船外機の操舵装置
US10647398B2 (en) Boat engine for propelling a boat
JP2000095184A (ja) 曳船の針路横振れ防止装置
CN206615378U (zh) 一种带限位装置的舵机
CN206155732U (zh) 一种用于空气动力艇的停靠装置
JP2005233131A (ja) 小型船舶用電子遠隔操作装置
JP4303260B2 (ja) 船舶の操舵装置
Furlong et al. Moving vessel profiler (MVP) real time near vertical data profiles at 12 knots
US6302046B1 (en) Steering sensor system for a marine vessel
KR102039179B1 (ko) 이중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선박용 조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