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465Y1 - 일회용 즉석면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즉석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465Y1
KR200294465Y1 KR2020020022787U KR20020022787U KR200294465Y1 KR 200294465 Y1 KR200294465 Y1 KR 200294465Y1 KR 2020020022787 U KR2020020022787 U KR 2020020022787U KR 20020022787 U KR20020022787 U KR 20020022787U KR 200294465 Y1 KR200294465 Y1 KR 200294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nt noodles
deformation portion
disposable
deformation
noodle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민호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경훈
차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훈, 차민호 filed Critical 이경훈
Priority to KR2020020022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465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이 트이고 즉석면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트인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2)는, 즉석면이 담겨, 유통시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시 변형되지 않는 비변형부(16)와;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져, 유통시 접혀져 상기 비변형부의 하부에 내장되는 한편 조리시 하측으로 펴져서 탁자 등의 바닥면에 안착하여 세워지는 변형부(18)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부피가 절감되어 상품진열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박스 포장시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즉석면 용기 {a one time receptacle for an impromptu vermicelli}
본 고안은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일회용 즉석면 용기는 상측이 트이고 즉석면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트인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컵이나 그릇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일회용 즉석면 용기는 그 부피가 커서 생산공장에서는 한정된 수량만 박스에 적재할 수 있으며, 특히 소비자들이 등산이나 야외로 휴대하고 나갈 때 불필요하게 부피가 커서 여러 개를 가져갈 때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0-2409호로 개시된 라면 용기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0-2409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몸체(2)에 삽설된 고정몸체(1)의 일측 양단의 상부에는 돌출턱(3)(3')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중심부에는 받침턱(4)(4')이 형성되며, 연결몸체(2)에 있어 일측 하단 내측으로는 걸림턱(5)(5')이 형성되고, 내측의 네모서리에는 라면이 담긴 비닐봉지(도시 안됨)가 접착 고정되고 상부엔 밀폐뚜껑(7)을 형성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 라면 용기는, 고정몸체(1)에 형성된 돌출턱(3)(3')이 연결몸체(2)의 걸림턱(5)(5')에 걸릴 수 있도록 고정몸체(1)를 삽설한 뒤 두개의 몸체(1)(2)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연결몸체(2)를 상부로 인출하면 연결몸체(1)의 걸림턱(5)(5')이 고정몸체(1)의 돌출턱(3)(3')에 걸리어 더 이상 인출을 제한하며 또한 연결몸체(2)가 다시 내려움을 받쳐주기 위해서 형성된 고정몸체(1)의 받침턱(4)(4')이 연결몸체(2)의 내벽에 압축되어 있다가 연결몸체(2)를 인출함으로써 받침턱(4)(4')이 원형대로 복귀되어 연결몸체(2)의 하단부 양 모서리 턱을 받쳐 주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라면용기는 돌출턱(3)(3'), 받침턱(4)(4') 및 걸림턱(5)(5)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형상이 복잡하고, 고정몸체(1)와 연결몸체(2)를 원통형으로 하면 서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걸림턱(5)(5')이 돌출턱(3)(3')에 맞추어지기 위해 고정몸체(1) 및 연결몸체(2)를 사각 등의 각진 형상으로 하여야 하는 등 제조상의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부피가 절감되어 상품진열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박스포장시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예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도2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로 조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2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몸체의 변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 내지 도7은 도3에 따라 조리한 즉석면을 먹는 상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도8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몸체의 변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도10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몸체의 변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3는 도12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몸체의 변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5는 도14의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몸체의 변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14 : 커버
16 : 비변형부 18 : 변형부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는, 상측이 트이고 즉석면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트인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즉석면이 담겨, 유통시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시 변형되지 않는 비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어, 유통시 접혀져 상기 비변형부의 하부에 내장되는 한편 조리시 하측으로 펴져서 탁자 등의 바닥면에 안착하여 세워지는 변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변형부의 상단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걸려 접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부의 펴진 상태의 높이는 비변형부의 높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접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형부의 원주면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노치홈이 형성되어 꺽여짐에 상기 비변형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변형부의 베이스부 외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변형부를 용이하게 꺼집어 내어 펴지게 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트이고 라면 등의 즉석면(R)이 내장되는 몸체(12)의 상단에는 커버(14)가 접착되어 내부를 밀폐한다. 상기 몸체(12)는 상부에 형성된 비변형부(16)와 하부에 형성된 변형부(18)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변형부(16)는 통 형상으로서 일반 즉석면 용기의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제품으로 유통시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조리시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변형부(18)는 상기 비변형부(16)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어, 유통시 접혀져 상기 비변형부(16)의 하부에 내장되는 한편 조리시에는 하측으로 펴져서 탁자등의 바닥면에 안착하여 세워지게 된다.
상기 변형부는 내열성과 접히는 성질을 가진 단일층 또는 2층 내지 4층으로 적층된 복합층을 이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된 베이스층에 7~9㎛ 두께의 알루미늄 포일로 된 가스차단층이 적층되고 이 가스차단층의 상측에 CPP(Casting Polypropylene)로 된 내열봉합재가 적층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T로 된 베이스의 두께는 6~38㎛ 이고, 상기 CPP로 된 내열봉합재는 18~150㎛ 로서, 전체 변형부의 두께는 24~150㎛ 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변형부는 내열성이 우수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NY(Nylon), CPP(Casting Polypropylene), OPP(Oriented Polypropylene) 등의 단일층 구조, PET/CPP, NY/CPP 등의 2층구조, PET/NY/CPP, NY/PVDC/CPP, NY/EVOH/CPP, PET/Al/CPP, NY/PE/LLDPE, NY/Al/CPP 등의 3층구조, PET/Al/NY/CPP등의 4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3층구조에서 PVDC는 PolyVinyliDeneChloride를 나타내고, 상기 EVOH는 Ethylene-vinyl Alcohol을 나타내며, PE는 Polyethylene을 나타내고, LLDPE는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3층구조 및 4층구조에서 Al은 알루미늄(aluminium)을 나타낸다.
상기 두께의 재질로 된 변형부는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접히거나 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강성을 가지므로 유통시에 변형부가 하측으로 빠지지 않고 조리시에는 바닥면에 용이하게 세워진다.
상기 변형부(18)는 상기 비변형부(16)의 하단 가장자리의 내면을 따라 열접착으로 접착되어 있으나, 비변형부(16)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부(18)의 펴진 상태의 높이(H2)는 비변형부(16)의 높이(H1)보다 작게 되어 있는데, 이는 변형부(18)가 그 내부의 물(W)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통형태를 유지하기는 하지만 상기 비변형부(16)보다 강성이 작으므로 조리시 안정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14)의 일부가 몸체(12)의 상단에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커버(14)를 떼어 제낀 후 물을 부우면, 물의 압력에 의해 변형부(18)가 하측으로 펴지면서 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나무젓가락 등의 스틱으로 즉석면(R)을 눌려주면 변형부(18)는 더욱 용이하게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4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변형부(18)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과 그 강성에 의해 변형부(18)는 탁자 등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안착되어 세워진다.
다음에 커버(14)의 떼어낸 부분을 다시 몸체(12)의 상단에 밀착시켜 온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게 하여 소정시간를 기다리면 즉석면(R)이 용이하게 풀리게 되는데, 젓가락으로 휘젓어 주면 즉석면의 조리가 완료된다. 스프는 조리 과정중 적절한 시기에 몸체(12)의 내부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조리된 즉석면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접 손(U)으로 몸체(12)의 비변형부(16)를 잡고 조리된 즉석면을 먹거나,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자기 컵, 유리컵, 플라스틱 컵 등 다양한 종류의 컵(C)의 내부에 몸체(12)의 변형부(18)를 수용되게 끼워 조리된 즉석면을 먹거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의 판촉용 받침대(S)의 내부에 몸체(12)의 변형부(18)를 수용되게 끼워 조리된 즉석면을 먹는다.
도8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2)의 비변형부(116)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16a)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6a)에는 변형부(118)의 상단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걸려 접합된 구조이다. 커버(114) 등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부(118)가 펴진 상태는 도9에 도시되어 있는데, 변형부(118)의 펴진 상태의 변형부 외경은 비변형부(116)의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몸체(112)가 더욱 안정되게 세워진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212)의 변형부(218)는 비변형부(216)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형부(218)의 원주면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노치홈(218a)이 형성되어 꺽여짐에 상기 비변형부(216)의 내부로 삽입된 구조이다. 상기 노치홈(218a)은 변형부의 외면 및 내면에 대응하여 동시에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띠를 이루고 있다. 커버(214)등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부(118)가 펴진 상태는 도11에 도시되어 있는데, 조리시 나무젓가락 등의 스틱으로 즉석면(R)을 눌려주면 상기 변형부(218)는 용이하게 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변형부(218)가 비변형부(21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강성이 높아서 조리시 세울 때에 안정성이 높고 제조가 더욱 간단해진다.
도12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도10)의 구성에 추가하여 몸체(312)의 변형부(318)의 베이스부(318b) 외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변형부(318)를 용이하게 꺼집어 내어 펴지게 하도록 손잡이(320)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손잡이(320)는 상기 베이스부(318b)의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평면상으로 삼각형을 이루며 3개가 배치되거나 사각형으로 이루며 4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커버(314), 비변형부(316) 등 나머지 구성은 도10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손잡이(320)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부(318)가 펴졌을 경우에 다리의 역할도 한다.
도13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도10)의 구성에 추가하여 몸체(412)의 변형부(418)의 베이스부(418b)에는 그 중간부에 리세스부(418c)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418c)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변형부(418)를 용이하게 꺼집어 내어 펴지게 하도록 손잡이(420)가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비하면 손잡이가 탁자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으므로 손잡이가 하나만 형성되어도 된다. 본실시예의 커버(414), 비변형부(416) 등 나머지 구성은 도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15는 변형부(418)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의하면, 제품의 부피가 절감되어 상품진열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박스포장시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구조 및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상측이 트이고 즉석면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트인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일회용 즉석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즉석면이 담겨, 유통시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시 변형되지 않는 비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어, 유통시 접혀져 상기 비변형부의 하부에 내장되는 한편 조리시 하측으로 펴져서 탁자 등의 바닥면에 안착하여 세워지는 변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변형부의 상단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걸려 접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펴진 상태의 높이는 비변형부의 높이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비변형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접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형부의 원주면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노치홈이 형성되어 꺽여짐에 상기 비변형부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베이스부 외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변형부를 용이하게 꺼집어 내어 펴지게 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즉석면 용기.
KR2020020022787U 2002-07-30 2002-07-30 일회용 즉석면 용기 KR200294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87U KR200294465Y1 (ko) 2002-07-30 2002-07-30 일회용 즉석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87U KR200294465Y1 (ko) 2002-07-30 2002-07-30 일회용 즉석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465Y1 true KR200294465Y1 (ko) 2002-11-13

Family

ID=7307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87U KR200294465Y1 (ko) 2002-07-30 2002-07-30 일회용 즉석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4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2472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7373765B2 (en) Shipping carton with pull tabs and tear strip
JP6292456B2 (ja) 円錐形容器
JP2002539043A (ja) 食品用のマイクロ波使用可能容器およびその作製方法
CA2919304C (en) Two compartment plastic containers and food product pack comprising such containers
KR20160019413A (ko) 포장 컨테이너
NZ578160A (en) Multi-layered package with a removable wall section
CN1633380A (zh) 悬挂容器
KR200294465Y1 (ko) 일회용 즉석면 용기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KR101414529B1 (ko) 지기 찬합
US20020033393A1 (en) Food packaging with stabiliser
US11292655B1 (en) Thermally efficient food container
TW450923B (en) Reversibly collapsible/erec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EP2142447B1 (en) Packaging comprising a bottom element and a window element
KR100533774B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및 제조방법
JP2021522125A (ja) 包装容器
JPH0449075Y2 (ko)
RU2733176C1 (ru) Картонная упаковк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CN210942672U (zh) 一种应用于盛放食材的纸盒
KR20050006139A (ko) 식탁보로의 변환가능한 백
CA2824600C (en) Flexible film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0513365B1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JP2022076960A (ja) 紙製容器
JP3011247U (ja) ドリッパー入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