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985Y1 -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985Y1
KR200293985Y1 KR2020020023560U KR20020023560U KR200293985Y1 KR 200293985 Y1 KR200293985 Y1 KR 200293985Y1 KR 2020020023560 U KR2020020023560 U KR 2020020023560U KR 20020023560 U KR20020023560 U KR 20020023560U KR 200293985 Y1 KR200293985 Y1 KR 200293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access point
wireless
serial bu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상
Original Assignee
(주)이니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니티움 filed Critical (주)이니티움
Priority to KR2020020023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985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시리얼 버스와 시리얼 버스 호스트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모듈들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한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블루투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처리된 무선신호를 네트워크 소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시리얼 버스 및, 상기 다수의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주파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주파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시리얼 버스 각각은 15cm 이상의 간격으로 위치된다.

Description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BLUETOOTH ACCESS POINT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MODULES}
본 고안은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시리얼 버스와 시리얼 버스 호스트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모듈들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한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새로운 표준인 블루투스는 핸드폰, PDA, PC 같은 개인사용자 디바이스간의 선을 없애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된 관계로 하나의 매스터(master) 디바이스가 최대 7개의 스레이브(Slave) 디바이스만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블루투스를 본래의 목적인 개인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선 대체 수단으로 사용할 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블루투스를 통한 네트워크 액세스 모델에서는 최대 7개의 사용자 디바이스 지원이 블루투스를 무선랜(WLAN)과 같이 Hotspot 서비스 용도로 사용할 때 서비스 제공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문제를 야기시킨다. 네트워크 액세스 모델에서 이렇듯 사용자 디바이스 수의 제한으로 그동안 블루투스가 유.무선 통신 사업자들에게 외면되어 왔다.
현재까지 상품화된 블루투스 LAP의 경우 네트워크 액세스를 담당하는 부분과 블루투스 RF를 하나의 박스(Box)형 케이스에 일체화한 스타일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디자인의 경우 하나의 AP로 7개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 시킬 경우 근접모듈간의 RF 간섭 문제로 통신속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10)는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와, 블루투스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이하, RF라 함) 송수신부(12a)와, 물리채널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호핑을 담당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2b)와, 상기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13)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14)과, 상기 처리된 무선신호를 외부의 네트워크 소자로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트 인터페이스(15)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블루투스 RF 송수신부(12a)와베이스밴드 처리부(12b)를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2)라 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2b)와 프로세서(13) 간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 Transmit)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프로세서(13)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LAP(Lan Access Profile)의 경우,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택 중에서 HCL(Host Controller Interface)와, L2CAP(Logical Link Control Adaptation Protocol), RFCOMM(Cable Replacement 프로토콜)로 구성된 블루투스 호스트 스택 부분과, 상기 프로토콜 스택 중에서 상기 블루투스 호스트 스택 부분의 상위 부분에 해당하는 PPP(Point-to-Point Protocol)과, TCP/IP로 구성된 네트워크 부분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저장수단(14)은 램(RAM)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는 이더넷 또는 xDSL 또는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소자로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경우, 하나의 AP(Access Point)로 7개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시킬 경우 근접 모듈 간의 RF 간섭 문제로 통신 속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론적으로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RF 채널 간의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는 모듈 간의 거리가 15cm 이상 떨어져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제약 사항은 실제 하나의 AP 안에 여러 블루투스 모듈을 채용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이러한 이유로 많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LAP의 경우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만을 사용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되는 모듈 간의 RF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22: 시리얼 버스 호스트
23: 프로세서 24: 저장수단
25: 네트워크 소자
본 고안인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블루투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처리된 무선신호를 네트워크 소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시리얼 버스 및, 상기 다수의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주파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주파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시리얼 버스 각각은 15cm 이상의 간격으로 위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블루투스 RF 송수신수단(21a)과, 베이스밴드 처리부(21b)와, 프로세서(23)와, 저장수단(2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개시된 각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본 고안인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20)는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 (21_N)와 각각 연결되어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는 시리얼 버스들과, 상기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전송받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22)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시리얼 버스는 버스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시리얼 통신 방식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USB, IEEE1394, 전력선, HomePNA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시리얼 버스가 각각 연결된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21_N)는 상기 시리얼 버스와 시리얼 버스 호스트 부분(22)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 (21_N)가 상기 블루부트 액세스 포인트장치(20) 내부에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 (21_N) 각각은 상기 시리얼 버스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15cm 이상의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 (21_N)의 분리를 통하여 다중 모듈 채택으로 인한 간접 채널 간의 간섭현상이 없도록 한다. 또한, 원하는 간격으로 상기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21_1) 내지 (21_N)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다양한 급의 전송 전력을 가지는 블루투스 모듈을 하나의 AP에 혼용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전파음영지역을 해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향성 안테나를 탑제한 모듈과 무지향성 안테나를 탑제한 모듈을 하나의 블루투스 AP에 같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리얼 버스가 제공하는 통신거리만큼 블루투스 모듈을 띄어서 배치가 가능하므로 하나의 AP로 넓은 지역에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수의 서비스 면적에 따라 유연한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블루투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와 블루투스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처리된 무선신호를 네트워크 소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무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시리얼 버스 및;
    상기 다수의 시리얼 버스들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무선주파수 간섭현상을 감소시키는 시리얼 버스 호스트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시리얼 버스 각각은 15cm 이상의 간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20020023560U 2002-08-06 2002-08-06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0293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60U KR200293985Y1 (ko) 2002-08-06 2002-08-06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60U KR200293985Y1 (ko) 2002-08-06 2002-08-06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985Y1 true KR200293985Y1 (ko) 2002-11-04

Family

ID=7307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60U KR200293985Y1 (ko) 2002-08-06 2002-08-06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9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N111669739B (zh) * 2020-06-04 2023-08-04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8029B (zh) 无线网络中通信的设备和方法
CN1358003B (zh) 无线网络中的发送协调设备
CN102036410B (zh) Mmwave无线系统中可配置的基于竞争的时期
US8606182B2 (en) Bluetooth® and wireless LAN coexistence
JP5198247B2 (ja) 無線lanネットワークとの共存を強化するオーバレイプロトコルを使用して無線pan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装置
EP1199842B1 (en)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P18608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priority of slave frames in Bluetooth/WLAN coexistence
US8693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device
CN102917374B (zh) 根据802.11规范运行的扇区化的无线通信网络
CN101026521B (zh) 无线通信的方法及系统
KR10065446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05529549A (ja) 無線技術の共存
CN104853358A (zh) 共存操作方法及无线系统
EP17097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2608424B1 (en) Digital wireless intercom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50453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装置、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045368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の制御方法
JP2010537587A (ja) 無線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アダプタ
US20020172177A1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43295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93985Y1 (ko) 다중 모듈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JP20110826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機器、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JP2020526047A (ja) 高密度ネットワーク環境のためのWiFi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2790452B1 (en) Techniques enabling dynamic bandwidth reservation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20090060050A (ko) 이중 광대역 무선 접속 장치 및 그의 접속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