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200Y1 -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200Y1
KR200293200Y1 KR2020020020764U KR20020020764U KR200293200Y1 KR 200293200 Y1 KR200293200 Y1 KR 200293200Y1 KR 2020020020764 U KR2020020020764 U KR 2020020020764U KR 20020020764 U KR20020020764 U KR 20020020764U KR 200293200 Y1 KR200293200 Y1 KR 200293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individual
door
sensor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신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화 filed Critical 신동화
Priority to KR2020020020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200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1)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화장실(10)에 대하여 사용중에만 점등되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화장실(10)의 문틀 역할을 하는 수직판넬(12)과 도어(14)측에 도어(14)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22)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22)가 장착된 도어(14)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각각의 개별화장실(1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30)을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각각의 개별화장실(10)마다 센서(22)에 의하여 도어(14)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각각 점등이 되도록하여 개별화장실(10)에 불필요하게 전등(30)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모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별화장실(10)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30)의 점등 유무에 따라 개별화장실(10)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APPARATUS FOR AUTO- LIGHTING AT THE TOILE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화장실에 대하여 사용중에만 점등되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로 구획되어진 개별화장실의 문틀 역할을 하는 수직판넬과 도어측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가 장착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각각의 개별화장실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각각의 개별화장실마다 센서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각각 점등이 되도록하여 개별화장실에 불필요하게 전등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모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별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의 점등 유무에 따라 개별화장실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과 같은 관공서나 학교 또는 공원과 같은 장소에는 필수적으로 화장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운영되는 공중화장실은 남자 또는 여자화장실의 내부에는 칸막이로 구획되어진 다수개의 개별화장실과 다수개의 소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중화장실에는 개별화장실이나 소변기의 설치 위치와 상관 없이 천장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등이 설치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칸막이로 구획된 개별화장실의 상부 천장에 전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변보다 어두워 개별화장실을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화장실 천장에는 전등을 설치하는데, 편리함은 있지만 각각의 개별화장실마다 전등을 설치하여 항상 켜 놓다 보니 전력의 소모가 월등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중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개별화장실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등이 설치되어 있거나 각각의 개별화장실마다 전등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개별화장실의 사용 유무에 상관 없이 항상 전등이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불필요한 전력소모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가져왔던 것으로 경제적이지 못했던 것이다.
본 고안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중화장실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화장실에 대하여 사용중에만 점등되도록 도어와 문틀 역할을 하는 수직판넬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가 장착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각각의 개별화장실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을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전등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모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별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의 점등 유무에 따라 개별화장실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공중화장실의 개략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공중화장실의 전등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3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공중화장실 10; 개별화장실
12; 수직판넬 14; 도어
16; 프레임 22; 센서
24; 반사판 30; 전등
31; 전선 40; 실내등
50; 제어박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공중화장실의 개략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공중화장실의 전등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3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중화장실(1)의 내부에 형성된 개별화장실(10)을 구성하는 수직판넬(12)과 상기 수직판넬(12)에 이웃하여 회전 개폐되는 도어(14)로 구성된 개별화장실(10)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넬(12)의 상단부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동시에 갖는 센서(22)를 부착 형성하고, 상기 센서(22)에 대응하여 도어(14)의 상단부에 반사판(24)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판넬(12)에 부착 형성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동시에 갖는 센서(22)는 도어(14)에 부착 형성된 반사판(24)과 일직선상으로 일치를 하였을 때, 상기 센서(22)의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반사판(24)에 닿아 반사되어 돌아 오는 신호를 센서(22)의 수광부에서 감지함으로써 스위치 동작을 하여 전등(30)에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센서(22)는 각각의 개별화장실(10)의 상부 천장에 형성된 각각의 전등(30)마다 연결되어 수직판넬(12)에 부착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센서(22)의 적용상태를 보인 공중화장실(1)의 개략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개별화장실(10)을 구성하는 수직판넬(12)과 도어(14)에 센서(22)와 반사판(24)이 부착 고정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각의 센서(22)와 개별화장실(10) 및 공중화장실(1)내에 설치된 각각의 전등(30)과 실내등(40) 및 제어박스(50)의 결선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센서(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화장실(10)을 구성하는 수직판넬(12)에 부착 고정되어 상부로 형성된 프레임(16) 내측으로 전선(31)에 의해 전등(30)측과 결선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각각의 센서(22)와 전등(30) 및 실내등(40)들은 공중화장실(1)의 적정 장소에 설치된 제어박스(50)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개별화장실(10)의 상부에 설치된 전등(30)이나 공중화장실(1)의 실내의 상부에 설치된 실내등(40)을 제어하는 것으로, 평상시에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없는 시간대 예로써, 새벽시간에는 제어박스(50)에 설치된 타임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자동 소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중화장실(1)은 평상시에는 항상 실내등(40)만 켜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개별화장실(10)의 도어(14)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하지 않는 한 개별화장실(10)을 구성하는 수직판넬(12)과 도어(14)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상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개별화장실(10)의 내부에 들어가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닫아야만 수직판넬(12)과 도어(14)가 일직선상으로 맞추어져 닫히게 된다.
따라서, 개별화장실(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공중화장실(1)에 들어와 각각의 개별화장실(10)의 상부 천장에 위치한 전등(30)이 점등되어 있는지 또는 소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전등(30)이 소등되어 있는 칸의 개별화장실(10)을 들어가서 사용을 한다.
이때, 사용자가 개별화장실(10)의 내부에 들어가 잠금을 행할 경우 도어(14)와 수직판넬(12)은 일직선상이 유지되게 되며, 이때, 상기 수직판넬(12)에 형성된 센서(22)와 도어(14)에 형성된 반사판(24) 역시 일직선 상태가 됨과 동시에 센서(22)가 발광과 수광의 스위치작동을 함으로써 천장에 설치된 전등(30)이 자동으로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점등된 상태로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개별화장실(10) 밖으로 나가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면 수직판넬(12)과 도어(14)는 일직선 상태가 되지 않고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어긋난 상태가 됨으로 센서(22)의 스위치작동이 멈추어 전등(30)이 자동으로 소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개별화장실(10)을 사용할 때만 전등(30) 점등이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소등이 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화장실(10)에 사용자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천장에 설치된 각각의 전등(30)이 점등되어 있어 공중화장실(1)의 실내에서 개별화장실(10)을 이용하기 위하여 일일이 노크를 하거나 열어 볼 필요가 없이 천장에 설치된 전등(30)들에 의해 개별화장실(10)의 사용 유무를 판별하여 비어 있는 개별화장실(10)을 사용함으로써 노크를 할 필요가 없어 이미 사용중인 사용자에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공중화장실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화장실에 대하여 사용중에만 점등되도록 도어와 문틀 역할을 하는 수직판넬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는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가 장착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각각의 개별화장실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을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전등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모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별화장실의 천장에 설치된 전등의 점등 유무에 따라 개별화장실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인 것이다.

Claims (1)

  1. 공중화장실(1)의 내부에 형성된 개별화장실(10)을 구성하는 수직판넬(12)과 상기 수직판넬(12)에 이웃하여 회전 개폐되는 도어(14)로 구성된 개별화장실(10)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넬(12)의 상단부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동시에 갖는 센서(22)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센서(22)에 대응하여 도어(14)의 상단부에 반사판(24)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KR2020020020764U 2002-07-11 2002-07-11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KR200293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64U KR200293200Y1 (ko) 2002-07-11 2002-07-11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64U KR200293200Y1 (ko) 2002-07-11 2002-07-11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200Y1 true KR200293200Y1 (ko) 2002-10-25

Family

ID=7312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764U KR200293200Y1 (ko) 2002-07-11 2002-07-11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63B1 (ko) 2015-08-28 2016-07-21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63B1 (ko) 2015-08-28 2016-07-21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화장실 큐비클 조명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280B2 (en) Lavatory with sensor
US7032256B2 (en) Tank toilet with autoflusher
CA2310472A1 (en) Automatic urinal flushing system
US20020172042A1 (en) Lighting fixture
KR200293200Y1 (ko) 공중화장실내의 개별화장실 전등의 자동 점등장치
JP4435996B2 (ja) 照明水栓装置
KR101657007B1 (ko) 화장실용 조명장치
JPS593088Y2 (ja) 洗面化粧台セツト組込み出窓ユニツト
JP5288593B2 (ja) 透光性表示装置
CN210354454U (zh) 一种具有感应灯的浴室柜
JPH05290979A (ja) トイレ自動照明装置
JPH0517675Y2 (ko)
JP2533048B2 (ja) ドア装置
JP2007026973A (ja) 照明システム
JP3879505B2 (ja) 防犯照明装置
JP2020105828A (ja) 戸体
JP2747003B2 (ja) ユニットバス
JPH05123272A (ja) 便所の照明・換気方法
JP7146629B2 (ja) 戸体
JP7139239B2 (ja) 戸体
JP2591471Y2 (ja) 住宅用システムトイレルーム
KR200296227Y1 (ko) 현관등
JP2555824Y2 (ja) トイレルームの照明構造
JPH07106Y2 (ja) フツトライトをつけた下駄箱
JP2517128Y2 (ja) トイレットルーム用間仕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