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155Y1 -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155Y1
KR200293155Y1 KR2020020021635U KR20020021635U KR200293155Y1 KR 200293155 Y1 KR200293155 Y1 KR 200293155Y1 KR 2020020021635 U KR2020020021635 U KR 2020020021635U KR 20020021635 U KR20020021635 U KR 20020021635U KR 200293155 Y1 KR200293155 Y1 KR 200293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noise
sound absorbing
soundproof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상
Original Assignee
이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상 filed Critical 이건상
Priority to KR202002002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15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이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소음을 일정부분 흡음하는 흡음효과까지 뛰어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방음판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 사각패널 형상의 차음부 및 이 차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경사진 투명 삼각면체 형상이며 상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음공이 타공되고 내부에는 흡음공으로 유입된 소음이 진동되면서 흡음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이 형성된 흡음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종래와 같이 차음효과는 동일하면서도 흡음효과까지 부가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 중 일부를 흡음할 수 있어 우회음과 지면반사음 등이 방음벽 뒤에서 다시 합쳐져서 발생되는 2차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차도의 맞은편으로 확산되는 반사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Sound proof panel and sound proof wall used to thereof}
본 고안은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이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소음을 일정부분 흡음하는 흡음효과까지 뛰어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되는 차도 주변이나 기차가 통행되는 기차길 주변 등에는 차량이나 기차가 통행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택가나 학교 등에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방음벽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방음벽은 통상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음판이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된 형태로 설치되며, 대부분 상호간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택가에서나 학교 등에서는 차량 등의 통행을 보지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공해에서 다소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불투명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한편으로 차량이나 주택가 등을 보지않게 되는 잇점이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바라보면 상호간 시야가 확보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밀폐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불투명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발생되는 소음의 전달경로를 차단하는 차음효과만 있기 때문에 방음벽이 높게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방음벽을 우회하는 우회음과 지면에서 반사되는 지면반사음 등이 방음벽 뒤에서 다시 합쳐져서 발생되는 2차소음에 대해서는 전혀 차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불투명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흡음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방음벽이 설치된 차도의 맞은편으로 소음을 반사시키게 되므로 발생되는 소음은 방음벽이 설치된 맞은편으로 확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이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소음을 일정부분 흡음하는 흡음효과까지 뛰어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방음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음판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음판을 이용한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방음판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 사각패널 형상의 차음부 및 이 차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경사진 투명 삼각면체 형상이며 상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음공이 타공되고 내부에는 흡음공으로 유입된 소음이 진동되면서 흡음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이 형성된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흡음부의 상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방음벽은 기둥 형상이며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된 지주와, 이 지주 사이에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되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 사각패널 형상의 차음부와 이 차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경사진 투명 삼각면체 형상이며 상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음공이 타공되고 내부에는 흡음공으로 유입된 소음이 진동되면서 흡음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이 형성된 흡음부로 구성된 방음판 및 지주와 방음판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흡음부의 상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방음판(100)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방음판(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방음판(100)은 전체적으로 보아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부(120)와,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14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음부(120)는 방음판(100)이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각패널(Panel)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차음부(120)는 내충격성과 채광성 등이 뛰어나며 투명재질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차음부(120)의 각변 가장자리부분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25)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결합공(125)은 방음판(100)이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될 경우 방음판(100) 상호간 또는 후술될 지주(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흡음부(1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생되는 소음을 흡읍하는 역할을 하는 바, 차음부(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일측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중공의 삼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음부(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흡음부(140)의 완만하게 경사진 상면은 전체적으로 물결이 술렁이는 듯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흡음공(141)이 타공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는 흡음공(141)을 통해 유입되는 음파가 일정거리 진동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미도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일부 이 흡음공(141)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후에는 진동수가 같게 되었을 때 발생되는 공명현상에 의해 소멸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흡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방음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기둥형상인 지주(200)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방음벽(300)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지주(200)는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때, 작업자는 방음판(100)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지주(200)를 이격되게 설치한 후 단순히 방음판(100)을 적층 및 수평배열하면 방음벽(300)이 구성되게 되며, 이와 같이 구성한 후에는 별도의 결합볼트(Bolt) 등과 같은 결합부재(250)를 이용하여 각각의 방음판(100)에 형성된 결합공(125)에 지주(200)를 결합시키거나 일방음판(100)에 인접한 방음판(100)을 결합시키게 되면 방음벽(300)의 구성 및 설치는 완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100)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30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간에 시야가 확보되어 종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심리적 밀폐감을 미연에 해소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100)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300)은 종래와 같이 차음효과는 동일하면서도 흡음효과까지 부가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 중 일부를 흡음할 수 있어 우회음과 지면반사음 등이 방음벽 뒤에서 다시 합쳐져서 발생되는 2차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차도의 맞은편으로 확산되는 반사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100)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300)은 흡음부(140)의 상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공간인 공기층의 간격을 여러가지로 형성할 수 있어 발생되는 소음중에서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대부분 공명흡음시킬 수 있게 되고, 소음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이유로는 흡음공(141)에 의한 공명음이 공기층의 간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100)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300)은 흡음부(140)에 다수개의 흡음공(141)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공기층으로 형성된 빈공간인 진동공간(143)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특정한 일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지만,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한 일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기술적 사상 내에서 일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간에 시야가 확보되어 종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의 심리적 밀폐감을 미연에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종래와 같이 차음효과는 동일하면서도 흡음효과까지 부가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 중 일부를 흡음할 수 있어 우회음과 지면반사음 등이 방음벽 뒤에서 다시 합쳐져서 발생되는 2차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차도의 맞은편으로 확산되는 반사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흡음부의 상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층의 간격을 여러가지로 형성할 수 있어 발생되는 소음중에서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대부분 공명흡음시킬 수 있게 되고, 소음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은 흡음부에 다수개의 흡음공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공기층으로 형성된 빈공간인 진동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 사각패널 형상의 차음부 및
    상기 차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경사진 투명 삼각면체 형상이며, 상기 상면에 상기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음공이 타공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음공으로 유입된 상기 소음이 진동되면서 흡음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이 형성된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상기 상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
  3. 기둥 형상이며,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된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되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명 사각패널 형상의 차음부와, 상기 차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밑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경사진 투명 삼각면체 형상이며 상기 상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음공이 타공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음공으로 유입된 상기 소음이 진동되면서 흡음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진동공간이 형성된 흡음부로 구성된 방음판 및;
    상기 지주와 상기 방음판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의 상기 상면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2020020021635U 2002-07-19 2002-07-19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293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35U KR200293155Y1 (ko) 2002-07-19 2002-07-19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35U KR200293155Y1 (ko) 2002-07-19 2002-07-19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776A Division KR100465417B1 (ko) 2002-06-05 2002-06-05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155Y1 true KR200293155Y1 (ko) 2002-10-25

Family

ID=7312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35U KR200293155Y1 (ko) 2002-07-19 2002-07-19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5197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US4095669A (en) Sound barrier
KR101708856B1 (ko) 봉형상의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이를 구비한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0465417B1 (ko)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JP2001355210A (ja)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の構築方法
KR200293155Y1 (ko)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405950Y1 (ko) 양면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KR200380479Y1 (ko) 방음터널
KR20200110950A (ko) 가설 방음판
JP5168326B2 (ja) 防音壁および防音ハウス
US5359819A (en) Sound and vibration damping device based on tires
KR101610845B1 (ko) 부상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465960B1 (ko) 흡음형 방음벽
KR100436156B1 (ko) 방음벽 구조
KR200313145Y1 (ko) 양면 흡음형 방음판
JP2831562B2 (ja) 防音壁
KR100378634B1 (ko) 흡음벽
JP2000303412A (ja) 透光性防音板及びこれを用いた防音壁
KR200230651Y1 (ko) 흡음벽
JP3209661B2 (ja) 共鳴型吸音板
KR102578649B1 (ko) 음향확산을 이용한 주파수 대역별 소음에너지 저감 판넬 및 이의 시공 방법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JP4673504B2 (ja) 吸遮音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
JP7454486B2 (ja) 防音壁
KR101019296B1 (ko) 투명 원통 풍도 흡음형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