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077Y1 -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077Y1
KR200293077Y1 KR2020020021676U KR20020021676U KR200293077Y1 KR 200293077 Y1 KR200293077 Y1 KR 200293077Y1 KR 2020020021676 U KR2020020021676 U KR 2020020021676U KR 20020021676 U KR20020021676 U KR 20020021676U KR 200293077 Y1 KR200293077 Y1 KR 200293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cover
back cover
portable termina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2002002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07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백 커버(20)와, 백 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53a, 53b)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후크(50)와, 프론트 커버(10)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후크(5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걸림돌기(53a, 53b)가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걸림홈(13a, 13b)과, 걸림돌기(53a, 53b)가 걸림홈(13a, 13b)에 로킹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후크(50)를 상시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10)를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바꿀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을 바꾸는 데에 따른 경제적인 낭비와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Changeable Front Cover}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프론트 커버를 갖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와 문자 등의 입력을 위한 키 패드(1a)가 설치된 본체(1)와, 이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2)로 이루어진다.
폴더(2)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3)와, 이 프론트 커버(3)와 고정 결합된 백 커버(Back Cover)(4)를 구비한다. 프론트 커버(3)와 백 커버(4) 사이에는 문자나 그림 등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엘씨디 모듈(LCD Module)(2a) 설치된다.
근래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정보기기로서만이 아니라 액세서리의 일종으로서인식되고 있으므로, 그 외관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2)가 닫힌 상태에서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3)가 백 커버(4)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나 형태와 같은 외관 디자인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새로운 휴대용 단말기를 구입하여야만 했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 구매층이 제품의 디자인을 매우 중시하는 젊은 사람들이므로, 근래에는 이와 같이 디자인의 교체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자체를 교체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이 갈수록 짧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인 낭비와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프론트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외관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론트 커버의 내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백 커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서 백 커버에 슬라이드 후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4b의 백 커버에서 슬라이드 후크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슬라이드 후크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백 커버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론트 커버 11 : 메인 후크
12a, 12b : 접촉편 13a, 13b : 걸림홈
15 : 보조 후크 20 : 백 커버
21 : 걸림공 23 : 슬롯(slot)
24 : 고정바 25 : 걸림턱
30 : 내부 커버 40 : 엘씨디 모듈
50 : 슬라이드 후크 51 : 고정공
53a, 53b : 걸림돌기 60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백 커버와, 상기 백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후크와, 상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되며상기 슬라이드 후크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후크는 인장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로킹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 변경을 위한 프론트 커버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를 여러 번 교체하더라도 후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의 결합 강도 내지는 충격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 사이에는 엘씨디 모듈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내부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의 교체 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백 커버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메인 후크와, 상기 메인 후크가 로킹되도록 상기 백 커버에 형성된 걸림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인 후크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백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공을 통하여 상기 백 커버의 배면측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 후크와, 상기 보조 후크가 로킹되도록 상기 백 커버의 측면에 형성된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폴더형(folder-type)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folder-type)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10)와, 프론트 커버(10)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프론트 커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백 커버(Back Cover)(20),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 사이에 설치된 내부 커버(30)와, 내부 커버(30)와 프론트 커버(10) 사이에 설치되어 문자나 그림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엘씨디 모듈(LCD Module)(40)을 구비한다. 프론트 커버(10)는 백 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 커버(30)는 백 커버(2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10)가 백 커버(2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엘씨디 모듈(40)은 내부 커버(30)에 의하여 백 커버(20) 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3, 도 4a 및 도 4b는 상술한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프론트 커버(10)의 내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는 백 커버(2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백 커버(20)에 슬라이드 후크(5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0)의 상단부 내면에는 메인 후크(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백 커버(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메인 후크(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0)의 하단부 측면에는 한 쌍의 보조 후크(15)가 프론트 커버(10)의 내면과 평행하게 상단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백 커버의 하단부 측면에는 상기 보조 후크(15)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의 결합 시, 프론트 커버(10)의 메인 후크(11) 및 보조 후크(15)는 각각 백 커버(20)의 걸림공(21) 및 걸림턱(25)에 탄성 변형되며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메인 후크(11)와 보조 후크(15)는 걸림공(21) 및 걸림턱(25)과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론트 커버(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접촉편(12a, 12b)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접촉편(12a, 12b)의 외측면에는 각각 걸림홈(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백 커버(20)의 양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슬롯(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23)에는 바(bar) 형상의 슬라이드 후크(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후크(50)에는,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의 결합 시,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들(13a, 13b)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53a, 53b)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들(53a, 53b) 사이에는 후술할 스프링(60)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돌기(53a, 53b)의 각 측면에는 접촉편(12a, 12b)과의 접촉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54a, 5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후크(50)가 슬롯(23)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53a, 53b)는 슬롯(23)을 관통하여 프론트 커버(10)를 향하여 노출된다.
한편, 도 5a는 백 커버(40)의 슬라이드 후크(50)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의 결합 시, 슬라이드 후크(50)가 슬롯(23) 내에서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서 걸림돌기(53a, 53b)는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추출된다.
한편, 슬라이드 후크(50)는 스프링(60)에 의하여 걸림돌기(53a, 53b)가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에 상시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60)으로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한다. 스프링(60)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후크(50)의 고정공(51)에 고정되며, 타단은 백 커버(20)의 슬롯(23) 내측에 형성된 고정바(24)에 고정된다.
도 5a에서는, 슬라이드 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가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에 삽입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 때, 스프링(60)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b는 슬라이드 후크(50)가 도 5a의 상태에서 백 커버(20)의 상단 방향(즉,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 스프링(60)은 인장된 상태이며, 슬라이드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는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백 커버(20)의 상부에 프론트 커버(10)가 결합되면,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후크(50)가 도 5a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슬라이드 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는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에 삽입되게 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결합된 상태에서, 백 커버(20)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가 결합되면, 프론트 커버(10)의 메인 후크(11)는 걸림공(21)의 중간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걸림공(21)을 통하여 백 커버(20)의 배면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백 커버(20)의 배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의 키패드 형성면(도 1 참조)과 접촉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론트 커버(10)를 백 커버(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폴더를 연 상태에서, 걸림공(21)을 통하여 노출된 메인 후크(11)의 선단부를 로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키면 된다.
한편, 걸림공(21)에는 메인 후크(11)의 선단부를 덮도록 후크 커버(27)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프론트 커버(10)를 백 커버(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크 커버(27)를 제거하여 메인 후크(11) 선단부를 노출시켜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론트 커버(10)의 교체를 위하여, 프론트 커버(10)를 백 커버(20)에 조립하고 분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론트 커버(10)의 조립을 위하여,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후크(50)가 백 커버(20)의 슬롯(2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엘씨디 모듈(40)과 내부 커버(30)를 백 커버(20)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10)의 보조 후크(15)를 백 커버(20)의 걸림턱(25)에 맞춰 끼워 넣은 다음, 메인 후크(11)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10)의 상단부를 백 커버(20)쪽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하면, 메인 후크(11)가 걸림공(21)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프론트 커버(10)의 접촉편(12a, 12b)이 걸림돌기(53a, 53b)의 경사면(54a, 54b)과 접촉하면서 백 커버(20)의 측면 내측으로 진입함으로써 슬라이드 후크(50)를 도 5b의 상태와 같이 후퇴시킨다. 이 때, 스프링(60)은 인장된다. 이 후, 접촉편(12a, 12b)이 백 커버(20)의 측면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하면, 슬라이드 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가 접촉편(12a, 12b)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3a, 13b)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후크(50)는 도 5a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가 걸림홈(13a, 13b)에 삽입됨으로써, 프론트 커버(10)는 백 커버(20)에 완전히 결합된다.
다음으로, 프론트 커버(10)의 분해를 위해서는, 먼저 폴더를 열어 백 커버(2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커버(27)를 제거하고, 메인 후크(11)를 로킹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킨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 후크(50)를 도 5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후퇴시키면,슬라이드 후크(50)의 걸림돌기(53a, 53b)가 프론트 커버(10)의 걸림홈(13a, 13b)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10)를 상단부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동시에 하단부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최종적으로 프론트 커버(10)의 보조 후크(15)가 백 커버(20)의 걸림턱(25)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프론트 커버(10)는 백 커버(2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를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바꿀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외관 디자인을 바꾸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전체를 교체함으로써 발생되는 경제적인 낭비와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후크의 탄성 변형에 의한 몰드 텐션(mold tension)을 이용한 결합방식 외에, 인장 스프링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는 슬라이딩 후크를 이용하여 프론트 커버를 백 커버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를 여러 번 교체하더라도 후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의 결합 강도 내지는 충격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 사이에 엘씨디 모듈과 같은 내부 부품을 백 커버에 고정하는 내부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교체 시에 내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의 조립을 위한 나사 등이 필요치 않으며, 프론트 커버에 형성된 각종의 후크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단말기의 전체 외관을 매끈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을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바형(bar type) 또는 플립형(flip type)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백 커버(20);
    상기 백 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0);
    상기 백 커버(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53a, 53b)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후크(50); 및
    상기 프론트 커버(10)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후크(5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53a, 53b)가 선택적으로 로킹되는 걸림홈(13a, 1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53a, 53b)가 상기 걸림홈(13a, 13b)에 로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후크(50)를 상시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백 커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내부 커버(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1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백 커버(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메인 후크(11)와, 상기 메인 후크(11)가 로킹되도록 상기 백 커버(20)에 형성된 걸림공(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후크(11)는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백 커버(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공(21)을 통하여 상기 백 커버(20)의 배면측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 후크(15)와, 상기 보조 후크(25)가 로킹되도록 상기 백 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0020021676U 2002-07-20 2002-07-20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293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76U KR200293077Y1 (ko) 2002-07-20 2002-07-20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76U KR200293077Y1 (ko) 2002-07-20 2002-07-20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077Y1 true KR200293077Y1 (ko) 2002-10-25

Family

ID=7312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76U KR200293077Y1 (ko) 2002-07-20 2002-07-20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73B1 (ko) * 2006-07-14 2007-10-04 한국화학연구원 브레비코민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73B1 (ko) * 2006-07-14 2007-10-04 한국화학연구원 브레비코민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337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20040075223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077Y1 (ko) 교체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95928Y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JP4027641B2 (ja) 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及びその化粧パネル
KR100721340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US20040152496A1 (en) Mobile phone with interchangeable housing
KR200293076Y1 (ko) 교체 가능한 장식용 커버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6310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구조의 휴대 단말기
JP2007148992A (ja) 電子機器
KR10064864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721175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US20090075707A1 (en) Portable slide terminal opened in a bar shape
KR101080474B1 (ko) 교체형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6567263B2 (en) Built-up microcomputer
US201000374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jig system
KR10061714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0333A (ko)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95116B1 (ko) 교체 가능한 프론트 케이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2375388B1 (ko) 스마트 단말기 케이스 일체형 핑거 그립
KR10032227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키 장치
KR200357038Y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손잡이 줄
KR200293949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구조
JP2003032342A (ja) 外装用化粧カバーおよび携帯用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